|
어원과 유래 |
|
이 오름은 풍수지리 형국론에 의하면 상여나가는 모양으로 상이오름이라고 부른다. 광이오름 옆에 위치하기 때문에 인간의 신체로 말하면 간 옆에 위치한 염통 모양이다. 일명 염통악이라고 한다. 염통은 인간육체의 중심을 의미하며 중요한 혈지를 형성한다. 옛날 지도에는 염통악. 상혜악(念通岳. 尙惠岳) 이라고 표기되었다. 이 오름 남동쪽에는 진주강씨 은열공후손 염통악파 입도조 姜渭亮 묘역이 위치한다. 이 오름은 모양이 염통같은 데서 유래된 것이다. |
|
지형과 식생 |
|
이 오름은 광이오름 남서쪽으로 연결되어 위치한다. 이 오름은 작은 화구구와 동산 같은 오름이다. 이 오름은 행정구역상 연동에 속하고, 표고 245m, 비고 60m이고, 비교적 완만한 북서쪽으로 개석된 말굽형 굼부리를 형성한다. 이 오름은 전체적으로 소나무,삼나무 등 잡목 숲을 형성한다. 이 오름의 정상은 넓은 초지대를 이루고, 중간에 북서쪽으로 개석된 말굽형 굼부리를 형성하고 있다. 남조순 오름을 중심으로 광이오름,상여오름 등이 크고 작은 형태로 삼형제가 나란히 이웃한 모습이다. 한라수목원에서 보면 하나로 연결된 오름같이 보인다. |
|
지질구조 |
|
이 오름의 지질구조는 대부분 도남동 현무암이고 부분적으로 노형동 현무암이 피복되었다. 암질은 흑회색 내지 암회색이 반상구조로 여러차례 용암류가 분출하여 다공질이 발달한 휘석반정 비현정질 현무암이 분포한다. 분석구는 암갈색 또는 암적색을 띠며 용암이 풍화된 화산회와 잔자갈의 분석편을 형성한다. 지질구조는 남조순오름과 유사하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