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독서 감상문이란?
문장이나 작품을 읽고 난 후의 감상을 기초로 하여 쓴 글을 말한다.
독후 감상문 또는 독후감 이라고도 한다.
책을 읽은 후의 감상은 사람에 따라서 그 내용이 각각 다르다.
그러나 누구든지 책을 읽고 나면 무엇인가 얻게 마련이다
그것을 깨닫고 자신이 느낀 점을 구제적으로 정리하려면 읽은 책에 대한 감동을 오래
간직할 수 있도록 독서 감상문을 쓰는 것이 좋다.
2)독서 감상문을 쓰는 요령
1.감동받은 부분을 돌이켜본다
읽는 이의 마음에 감동을 주는 점이 있는 책을 좋은 책이리고 할 수 있다.
또한 좋은 책은 재미있는 책이기도 하다.
한권의 책을 읽고 나서 바로 다른 책을 펼쳐 들지 말아야 한다.
방금 읽은 책이 어떤 면이 재미있었고 어디가 잘 되었는지를 돌이켜봐야 한다.
바로 다른 책을 보게 되면 방금 읽은 책의 느낌이 엷어지게 된다.
그리고 떠오르는 생각들을 공책에 적으면서 책을 읽을 때 느꼈던 감동을 되새기는 것이 좋다.
그러면 등정 인물의 말이나 행동 등을 통하여 그 사고 방식이라든지 생각 등을 새삼 주목하게 되어
책만 읽을 때보다 더욱 그 인물에 가까워질 수잇기 때문이다.
짜임새 있고 깊이 있는 감상문을 쓰려는 노력이 책을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2.감동을 정리한다
아무리 깊은 감동을 받았더라도 그 느낌이 그대로 감상문이 될 수는 없다
그것을 완전한 문장으로 기록하려면 머릿속에 어수선하게 쌓여 있는 여러 가지 감동을 머릿속에서
꺼내어 구체적으로 정리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만을 집어 내거나 몇가지의 감동을 합치거나
가장 강하게 받은 감동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그와 같은 감동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그 근본을 확실히 밝히는 것도 중요하다
이 때 감동의 요점이나 핵심을 카드레 적어 늘어놓아 보면 무엇을 어떻게
써 나가야 할 것인지 그 윤곽이 점점 더 확실해진다.
3)첫부분을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구성해 본다
●감동의 중심에서부터 쓰기 시작한다.
●책 속의 어떤 정경에서부터 쓰기 시작한다.
◆그 작품을 읽은 동기에서부터 쓰기 시작한다.
◆자기의 생활 경험에서부터 쓰기 시작한다.
◆책에 나오는 순서에 따라서 쓰기 시작한다;
한 권의 책을 다 읽고 나서 어떤 감동을 받았다고 할지라도 그 내용은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
등장 인물의 행도에서 감동을 받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거기에 그려진 아름다운 풍경 쪽에 더 마음이 끌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자기가 받은 감동을 다른 사라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우선
글의 첫머리 쓰기를 잘 해야 한다.
3)독서 감상문의 형식
독서 감상문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형식이 있다.
1.보통의 형식
먼저 어떤 책, 어떤 작품인지를 대강 소개한 다음에 그것을 읽게 된 동기를 밝혀야 한다.
그리고 나서 자기가 가장 깊은 감동을 받은 점을 쓴다.
그런 다음 이야기의 줄거리에 따라서 느낀 점을 써 나간다
그리고 등장 인물의 말이나 행동 사물에 대한 사고 방식과 자신의 사고 방식를
비교하면서 가장 감명 깊게 느낀 점을 써서 끝맺는다.
2.문제를 제기하여 나가는 형식
전체 내용 속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몇가지의 문제를 선택해
그것에 대하여 자신이 생각한 바와 느낀 점을 서 나간다
문제 제기를 할 만한 내용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감상문을 쓰는 기초가 된다
3.서간문 형식
작품의 주인공이나 작가에게 호소하는 투로 혹은 서로 이야기하는 기분으로 써 나간다
이밖에도 등장 인물의 인품이나 심정에 대하여 공감하거나 반발하면서 쓰는 감상문이 있다.
특히 인상 깊은 장면이나 감동을 받은 장면에 대하여 쓰는 것과 주제를 맨 먼저 파악하여
쓰는 것은 독서 감상문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이다.
좋은 독서 감상문을 쓰려면 무엇보다 좋은 책을 골라 읽어야 한다
좋은 책이란 읽은 사람의 나이와 수준에 맞는 제대로 된 책을 말한다.
부모님들은 이 점에 유의하여 책을 사 주거나 사라고 해야 한다.
그리고 책 읽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도 부모님의 몫이다.
책을 읽는 시간과 분위기도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책을 읽으라는 무리한
요구를 한다면 제대로 된 책읽기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녀들에게 책읽기를 가르칠 때는
부분적인 흥미에 빠젿들지 말고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읽도록 지도한다.
자칫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거나
읽은 책의 내용이 뭔지도 모르면 독서를 한 효과가 반감돤다
그러므로 읽은 부분 대한 간단한 메모를 하고
줄거리를 이해하며 읽는 태도가 중요하다.
이 때 즐겁다, 슬프다, 기쁘다, 억울하다. 등의 단순한 감정을 메모하는 것보다는 어떤 부분이ㅣ
어떻게 감동적이었는지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지도한다.
독서 감상문은 이런 메모를 바탕으로
읽은 책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상세히 써 내려가도록 하면 된다
호야꽃 꽃말~ 아름다운 사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