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반(小盤)과 차상(茶床)
|
1) |
소반의 정의 |
|
㉠ 소반이란 음식을 한군데에 차려 놓고 한 두사람이 둘러 앉아 먹을수 있는 편평한 판을 말한다. ㉡ 큰것에 반해서 작은 반(盤)이라는 뜻을 가진다. 그러나 반(盤), 상(床), 탁(卓), 조(俎), 안(案), 대(台) 정등을 포함한다. ㉢ 용도에 따라서 모양과 크기가 다르며 특수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들도 있으며 나라별로, 시대벌로 큰 차이를 보인다. ㉣ 대표적으로 쓰는 말은 상(床)과 반(盤)이므로 반상(盤床)이나, 작다는 의미를 첨가하고자 한다면 소반상(小盤床)이라고 하는 것이 좋을듯 하다. |
|
2) |
소반의 역사 |
|
① |
고조선 |
㉠ |
유물도 문헌도 없음 |
㉡ |
중국 : 하남성 신양시 출토 유물. 호남성 장사시 마왕퇴 고분 출토 유물(BC145년. 높이5㎝ 가로76.5㎝ 세로46.5㎝) |
② |
삼국 |
㉮ |
고구려 |
|
㉠ 각저총(角抵塚) |
|
ㆍ 길림성 집안현 여산 남록 ㆍ 4세기 말 축조 ㆍ 씨름 무덤 ㆍ 부부 이별 장면 ㆍ 다과상 4개. 다병상 2개. 활상 1개 의자 2개. ㆍ 모두 마족상 |
|
㉡ 무용총(舞踊塚) |
|
ㆍ 길림성 집안현 여산 남록 ㆍ 4세기 말 5세기 초 축조 ㆍ 무용 무덤 ㆍ 고승 접객 장면 ㆍ 다과상 3개. 과일상 2개. 다병상 2개. 시자상 1개. 시자반 1개. 의자 3개. ㆍ 사각 마족상, 다리 없는 시자반, 원형다병상. |
㉯ |
신라(新羅) |
|
㉠ 삼국사기(三國史記), 권 제39 잡지(雜志), 제8 직관(職官) |
|
ㆍ 통일 신라시대 ㆍ 궤개전(机槪典):경덕왕때 궤반국으로 고침 ㆍ 궤반국(机盤局):간(干)1인, 사(史) 6인. ㆍ 궤(机)나 반(盤) 상(床) 을 제작하는 부서 |
㉰ |
백제. 가락국 |
|
ㆍ 기록과 문헌및 유물이 없음 |
㉱ |
일본 평성궁 고전(平城宮 古殿) |
|
ㆍ 경도부 중군 봉산정(峰山町) 출토 ㆍ 사각상, 장방형, 마족상. ㆍ 규격:높이 31㎝ 넓이 73×42㎝ 두께 3.5㎝ ㆍ 상판이 두쪽으로 됨 ㆍ 고구려 마족상의 영향을 받음 |
③ |
고려 |
㉮ |
동제상(銅製床) |
|
ㆍ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ㆍ 불교적 색체, 경상과 비슷 ㆍ 유일한 유물 |
㉯ |
고려사(高麗史) |
|
ㆍ 식화(食貨): 중상서(中尙署) 소속의 조각장, 나전장, 칠장. ㆍ 예지(禮志): 조안(詔案) 서안(書案) 향안(香案) 안상(案床) 과안(果案) 수존안(壽尊案) 화안(花案) 인안(印案) 필연안(筆硯案)등 의식때 사용. |
㉰ |
고려도경(高麗圖經): 서긍(徐兢) |
|
㉠ 제19권. 공기(工技) |
|
ㆍ 「고려는 공장이의 기술이 지극히 정교하여 그 뛰어난 재주를 가진이는 다 관아에 귀속시킨다」 |
|
㉡ 제28권. 공장(供張) |
|
ㆍ 단칠조(丹漆俎): 가로 3척, 세로 2척, 높이 2.5척. ㆍ 흑칠조(黑漆俎):식사, 흑칠. ㆍ 식사 때는 평상위에 앉아서 단칠조에 음식을 올려 놓고 식사 함. |
|
㉢ 제32권. 기명(器皿)3. 다조(茶俎) |
|
ㆍ 은하(銀荷): 은으로 만든 연잎형 작은 쟁반. ㆍ 홍조(紅俎): 붉은색 칠을한 상. |
④ |
조선 |
㉮ |
국조오례의 : 길이 1.8척 너비 8치, 높이 8.5치 |
|
㉠ 대주정(大酒亭), 소주정(小酒亭), 잔대(盞臺) ㉡ 다종반(茶鍾盤), 과반(果盤), 화반(花盤), 다반(茶盤) ㉢ 향안(香案), 찬안(饌案) |
㉯ |
진연의궤(進宴儀軌), 진찬의궤(進饌儀軌) |
|
㉠ 소주정(小酒亭), 주정(酒亭) ㉡ 다정(茶亭), 조각대원반(雕刻大圓盤), 주칠소원반(朱漆小圓盤), 황칠소원반(黃漆小圓盤), 소원반(小圓盤) ㉢ 보안(寶案), 진작탁(進爵卓), 황칠다정(黃漆茶亭), 주칠다정(朱漆茶亭) |
㉰ |
경국대전(經國大典) |
|
㉠ 목장(木匠), 조각장(雕刻匠), 나전장(螺鈿匠) |
㉱ |
계회도(契會圖), 기로도(耆老圖) |
|
㉠ 호족상 =각자 하나씩 차지 ㉡ 주인을 중심으로 남녀 양쪽으로 나누어 앉음. |
|
3) |
소반의 기능과 특성 |
|
① 기능 ㉮ 규격 ㆍ 작다: 좁은 문을 통과하기 편함 ㆍ 규격 : 너비 50㎝내외, 높이 25~30㎝ ㉯ 두께 ㆍ 가볍다 : 음식을 담아나르기에 편리함 ㆍ 사용자 : 부녀자나 어린이가 들기 쉽다. ㉰ 공간 ㆍ 크다 : 많은 음식을 탑재 ㆍ 손잡이 : 없다, 간편하다(휴대하기) ㉱ 용도 ㆍ 다양하다 : 여러면으로 활용 ㆍ 사용도 : 편리, 편안하다. ② 특성 ㉮ 지역 ㉠ 해주반 : 황해도 ㆍ 천판 : 장방형 사각상판 모서리는 능형?통판 ㆍ 다리 : 판각을 양면에 세움 ㆍ 문양 : 투각, 卍자 희자, 꽃모양 ㉡ 나주반 : 전라도 ㆍ 천판 : 장방형, 굵은 변죽, 얇은 통판. ㆍ 다리 : 호족, 구족, 죽절, 가락지 끼움 ㆍ 문양 : 복자, 수자, 희자, 십장생, 길상문 ㉢ 통영반 : 경상도 ㆍ 천판 : 괴목상판, 잡목 장방형, 자개반 나전 ㆍ 다리 : 마족, 통족, 윗중대, 아래중대, 운각판 ㆍ 문양 : 길상문, 십장생, 운학문, 화려한 문양 ㉯ 장식 ㉠ 자개 : 각종 문양, 나전칠기 ㆍ 통영반의 특색 ㆍ 보상문 : 포도문, 복자문 ㉡ 문양 : 전통문양, 부귀상징 ㆍ 통영반, 해주반, 나주반 공통 ㆍ 나비문, 호접다초문, 국화문 ㉢ 투각 : 각종 문양을 음각 ㆍ 해주반의 특색 ㆍ 卍자, 亞자, 당초문, 박쥐문, 모란문 ③ 구조 ㉮ 천판 ㉠ 사각 : 정사각형, 직사각형 ㉡ 8각 : 12각, 6각 ㉢ 원형 : 반원형 ㉣ 연엽 : 화형 ㉯ 다리 ㉠ 마족 : 말굽다리 ㉡ 호족 : 호랑이 다리 ㉢ 구족 : 개다리 ㉣ 죽절 : 대나무 마디 ㉤ 일주 : 단각, 다리하나 ㉥ 풍혈 : 바람구멍 ④ 재료 ㉮ 목재 ㉠ 가볍다 : 은행나무, 버드나무, 피나무, 오동나무, 지승 ㉡ 튼튼하다 : 느티나무, 팽나무, 화류목 ㉢ 결이좋다 : 호도나무, 가래나무, 소나무, 배나무 ㉯ 착색 ㉠ 칠 : 주칠, 흑칠, 황칠, 생칠 ㉡ 기름 : 들기름, 콩기름 ㉢ 색료 : 황토분, 선간주, 치자, 먹물 |
|
4) |
소반의 종류와 용도 |
|
① 종류 ㉮ 탁(卓) : 진작탁 ㉯ 반(盤) : 다반, 다종반, 과반 ㉰ 상(床) : 찬상, 차상, 로연상 ㉱ 정(亭) : 수주정, 주정, 다정 ㉲ 조(俎) : 단칠조, 흑칠조 ㉳ 탑(榻) : 좌탑, 와탑 ㉴ 안(案) : 향안, 과안, 화안 ㉵ 대(台) : 연대(燕台) ② 용도에 따른 종류 ㉮ 수라상 : 임금님 진지상 ㉯ 젯상 : 제사지내는 상 ㉰ 공고상 : 음식 나르는 상, 번상(番床), 풍혈상(風穴床) ㉱ 경상 : 경전보는상 ㉲ 책상 : 책보는 상 ㉳ 찻상 : 차 끓이는 상 ㉴ 점상 : 점치는 상 ㉵ 연상 : 벼루상 ㉶ 두리반 : 돌상 여럿이 사용하는 상 ③ 형태에 따른 종류 ㉮ 사각반 : 정사각형, 직사각형 ㉯ 호족반 : 호랑이 다리 소반, 8각, 12각판 ㉰ 구족반 : 개다리 소반, 8각, 12각판 ㉱ 마족반 : 말굽모양 다리 소반 ㉲ 일주반 : 단각반, 12각판, 8각판 ㉳ 원 반 : 대원반, 소원반 ㉴ 지승반 : 종이 끈으로 만듬 ㉵ 반월소반 : 반원형으로 만듬 ㉶ 막소반 : 산간 마을 서민용 ㉷ 교자상 : 연회때 사용하는 큰상 ㉸ 곁 상 : 곁드리는 상 ㉹ 전골상 : 전골남비를 올려놓는 상 ㉺ 잔 상 : 잔을 올려놓는상 |
|
5) |
찻상(茶床) |
|
① 찻상 ㆍ 다과상 역할 ㆍ 다리가 높다. ㆍ 호족, 구족, 죽절상 ② 차반 |
ㆍ 찻상역할 ㆍ 반의 형태 |
ㆍ 다리가 낮다. ㆍ 사각상 |
③ 다정 |
ㆍ 찻상 역할, 다과상도 겸함 ㆍ 궁중전용(어용찻상) |
ㆍ 다리가 높다. ㆍ 사각상 |
④ 다병상 |
ㆍ 다병을 올려놓음 ㆍ 무용총, 각저총 |
ㆍ 다리가 높다. ㆍ 진다의식, 다례의식용상 |
ㆍ 원형, 사각상 ⑤ 다종반 ㆍ 차잔을 올려 놓음 ㆍ 다리가 없다. ㆍ 다례의식용 반 ⑥ 시자상 ㆍ 다과를 나름 ㆍ 다리 있는것도 있고 없는것도 있음. ㆍ 무용총 벽화의 시녀 상 ㆍ 심부름 상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