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들어가는 말 Ⅱ. 陰陽五行과 干支의 象徵 1. 陰陽五行과 干支의 象徵 2. 干支의 生滅軌道와 支藏干 Ⅲ. 干支의 象徵과 命理學 1. 四柱의 구조와 六親 2. 干支의 檢證 Ⅳ. 끝맺는 말 |
<논문 요약>
干支에 陰陽五行論이 결합될 때, 간지는 시간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10천간은 하늘에서 반복⋅순환하며 변화하는 시간의 흐름을 木⋅火⋅土⋅金⋅水라는 다섯 단위로 나누어 각 단위를 다시 陰과 陽으로 세분한 것이다. 12지지는 땅에서 반복⋅순환하며 변화하는 시간의 흐름을 木⋅火⋅金⋅水라는 네 단위로 나누어 각 단위를 다시 陰과 陽으로 세분하고 그 끝마다 나머지 오행 土를 부가한 것이다. 때문에 간지에는 음양오행의 상징적 의미가 들어있다. 천간과 지지에서 土가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은 하늘과 땅이 氣와 質이라는 각기 다른 요소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氣로 이루어진 하늘은 변화하기 쉬워 火와 金 사이에 土가 있고, 質로 이루어진 땅은 변화하기 어려워 매 계절의 끝마다 土가 있다. 土의 역할은 전환을 중재하는 것인데, 하늘과 땅이 각기 다른 요소로 이루어져 그 흐름이 다르니, 이것에 맞추어 土가 배치되었고, 결국 천간은 10개, 지지는 12개가 되었다.
천지만물은 생멸을 거듭하며 변화하니, 干支에서 木⋅火는 생장의 상징이고, 金⋅水는 소멸의 상징이다. 氣로 이루어진 하늘은 木에서 火로의 성장 사이에서는 물론 金에서 水로의 사멸 사이에서도 土의 중재 역할이 필요 없다. 오직 木⋅火의 생장에서 金⋅水의 소멸로 전환될 때에만 그 사이에 土의 중재가 필요하다. 그런데 質로 이루어진 땅은 하나의 오행 단위에서 이어지는 다른 오행 단위로 전환될 때마다 모두 土의 중재가 필요하다.
천지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 간지이니, 사람을 포함하여 천지의 흐름과 함께 하는 만물 역시 상징적인 간지의 원리에 따라 변화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인간의 운명을 점치려는 노력은 간지의 상징과 그 변화법칙에 대한 연구로 집중되니, 그것이 바로 명리학이다. 이 논문에서는 명리학의 학문적 기반을 비판하기 위해 먼저 간지의 상징적 원리를 따져보고, 그런 다음 실제 四柱에서 그 상징이 맞는지 검증해 보겠다.
주제어: 陰陽五行, 10天干, 12地支, 60甲子, 四柱八字.
Ⅰ. 들어가는 말
10天干은 ‘木[甲(陽)⋅乙(陰)] → 火[丙(陽)⋅丁(陰)] → 土[戊(陽)⋅己(陰)] → 金[庚(陽)⋅辛(陰)] → 水[壬(陽)⋅癸(陰)]’로, 12地支는 ‘木[寅(陽)⋅卯(陰)⋅辰(陽)] → 火[巳(陰)⋅午(陽)⋅未(陰)] → 金[申(陽)⋅酉(陰)⋅戌(陽)] → 水[亥(陰)⋅子(陽)⋅丑(陰)]’로 음양오행과 결합하여 일정한 상징적 의미를 압축하고 있다. 간지가 음양오행과 언제 어떻게 정교한 원리로 압축되었는지 명확히 알 수는 없다. 그렇지만 그 결합 구조를 알면 간지의 상징적 의미가 드러나니, 명리학의 근본적 원리를 고찰하는 데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10天干과 12地支는 글자들을 단순하게 나열한 것이 아니라, 천지가 생장⋅소멸하며 반복⋅순환하는 순서를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상징화시켜 배치한 것이다. 木으로 표현되는 봄은 만물이 태어나서 자라는 것을, 火로 표현되는 여름은 만물이 성장해서 번성하는 것을, 金으로 표현되는 가을은 지금까지 이룬 성과를 정리해서 거둬들이는 것을, 水로 표현되는 겨울은 거둬들인 것을 압축해서 보관하는 것을 상징한다. 土는 천간과 지지에서 비록 위치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전환을 위한 중재 역할을 상징한다.
陰陽을 생략하고 五行으로만 천간과 지지의 순서를 볼 때, 천간은 ‘木(봄) → 火(여름) → 土(계하) → 金(가을) → 水(겨울)’로 되어 있고, 지지는 ‘木-土(봄) → 火-土(여름) → 金-土(가을) → 水-土(겨울)’로 되어 있다. 천간에서 木⋅火와 金⋅水 사이에 土가 있는 것은 木⋅火의 생장 운동을 金⋅水의 소멸운동으로 중개해서 마찰 없이 전환시키기 위함이다. 지지에서 각 계절의 끝 곧 다음 계절 바로 전에 土가 있는 것은 각 계절을 바로 이어지는 다음 계절로 중개해서 충돌 없이 전환시키기 위함이다.
Ⅱ장 2절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辰⋅戌⋅丑⋅未의 地藏干을 보면, 그 의미가 명확해진다. 辰의 지장간 ‘乙⋅癸⋅戊’, 戌의 지장간 ‘辛⋅丁⋅戊’, 丑의 지장간 ‘癸⋅辛⋅己’, 未의 지장간 ‘丁⋅乙⋅己’에서 ‘辰 속의 癸’, ‘戌 속의 丁’, ‘未 속의 乙’, ‘丑 속의 辛’은 모두 다음 계절과의 충돌을 막기 위해 상반되는 인자를 숨긴 것이다. 곧 봄의 끝에 있는 辰은 여름(火)이 오도록 水(癸)를, 여름의 끝에 있는 未는 가을(金)이 오도록 木(乙)을, 가을의 끝에 있는 戌은 겨울(水)이 오도록 火(丁)를, 겨울의 끝에 있는 丑은 봄(木)이 오도록 金(辛)을 土에 감춘 것이다.
각기 다른 오행은 12지지를 궤도로 생장과 소멸을 반복하면서 순환하는데, 자신의 계절에서는 가장 강하고 상반되는 계절에서는 가장 약하다. 그런데 하나의 오행에서 양간과 음간은 음과 양의 차이 때문에 운동 방향이 반대로 되어 음간이 사멸하는 시점에서 양간이 탄생하고, 음간이 탄생하는 시점에서 양간이 사멸한다. 淵海子平의 ‘음양간이 순역으로 생멸하는 도표(陰陽順逆生旺死絶之圖)’는 양간과 음간의 생장소멸을 12지지로 알기 쉽게 도식화시킨 것인데, 명리학도들은 흔히 ‘12運星表’라고 부른다.
천간뿐만 아니라 지지도 12운성의 원리에 따라 12지지를 궤도로 생멸한다. 이런 점에서 상징적인 간지의 생멸 법칙을 알면, 사람을 포함하여 천지만물이 생멸하는 법칙을 밝힐 수 있다는 전제가 성립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운명이 四柱八字로 구성된 상징적인 간지의 변화라는 전제가 성립할 수 있는지 따져보겠다. 그런데 순서에서 먼저 간지의 상징이 음양오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 원리를 고찰하고, 이어서 실제 사주의 임상에 간단하게 12운성표를 적용하여 그 원리를 검증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겠다.
Ⅱ. 陰陽五行과 干支의 象徵
1. 陰陽五行과 干支의 象徵
서문에서 간략히 설명했듯이, 干支를 음양오행의 구조로 파악할 때, 그 상징적 의미가 드러난다.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구성된 10天干은 ‘木⋅火⋅土⋅金⋅水’라는 五行을 陽⋅陰⋅陽⋅陰의 순서로 배치한 것으로 하늘에서 ‘봄(木)⋅여름(火)⋅계하(土)⋅가을(金)⋅겨울(水)’이라는 다섯 계절의 순환에 대한 상징이다.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로 구성된 12地支는 ‘木⋅火⋅金⋅水’라는 四行에 각기 土를 하나씩 넣어 陽⋅陰⋅陽⋅陰의 순서로 배치한 것으로 땅에서 ‘봄(木)⋅여름(火)⋅가을(金)⋅겨울(水)’이라는 계절의 진행에 대한 상징이다.
맑고 가벼운 기체로 이루어진 하늘은 변화하기 쉽고, 탁하고 무거운 형질로 이루어진 땅은 변화가 어려우니, 하늘은 여름과 가을의 중간에, 땅은 각 계절의 끝마다 전환을 중재하는 土를 두었다. 지지를 더 설명하면, 봄의 끝에는 辰이, 여름의 끝에는 未가, 가을의 끝에는 戌이, 겨울의 끝에는 丑이 다음 계절로 전환되도록 중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10천간과 12지지는 계절의 순환을 음양오행의 상징적 부호로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그 상징적 구조가 더할 수 없을 정도로 간결하고 치밀하다.
사람을 포함하여 천지 속의 모든 것도 천지와 동일하게 생장하고 소멸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간지의 상징에는 천지의 생멸뿐만 아니라 사람의 운명까지 포함되어 있다. 명리학은 이와 같은 전제 아래 간지의 상징과 그 변화 법칙을 연구한다. 곧 명리학에서 간지의 상징은 사람의 성격과 특성 및 제반 사항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명리학이 학문적 기반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10천간과 12지지를 음양오행 곧 계절과 연결해서 그 상징적 의미를 살펴봐야 한다.
‘甲⋅乙⋅寅⋅卯’라는 木은 봄과, ‘丙⋅丁⋅巳⋅午’라는 火는 여름과, ‘庚⋅辛⋅申⋅酉’라는 金은 가을과, ‘壬癸亥子’라는 水는 겨울과 관계시키면, 각 계절에 따른 사물의 특성이 드러나니, 그것이 그 간지가 드러내는 상징이다. 土는 천간과 지지로 나누어서 설명해야 하니, 천간에서 戊⋅己는 木⋅火의 분출과 확장 운동을 金⋅水의 수렴과 응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중개 역할이고, 지지에서 辰⋅戌⋅丑⋅未는 각 계절의 끝자락에서 다음 계절과 충돌 없이 이어지도록 변환시키는 중개역할이다. 이런 점에서 土의 상징은 전환을 위한 중개이다.
봄이 되면 사물은 초목이 황량한 대지 위로 푸르게 솟아오르는 것처럼 자라니, 이것을 상징하는 것이 木이다. 木을 다시 陽과 陰으로 나누면, 甲과 寅은 陽이고, 乙과 卯는 陰이다. 甲과 寅 陽木은 겨우내 움츠리고 있다가 대지 위로 분출하는 사물의 흐름을, 乙과 卯 陰木은 陽木의 분출이 줄어들면서 다소 옆으로 퍼져나가려는 사물의 흐름을 상징한다. 나무에 비유한다면, 陽木은 처음 솟아나오는 큰 줄기이고, 陰木은 큰 줄기에서 나온 가지와 잎이다. 이런 특성은 사물에서는 물론 정신에서도 포함된다.
여름이 되면 사물은 무성하게 확장되니, 이것을 상징하는 것이 火이다. 火를 다시 陽과 陰으로 나누면, 丙과 巳는 陽이고, 丁과 午는 陰이다. 丙과 巳 陽火는 사방으로 밝게 빛나며 뻗어나가려는 사물의 흐름을, 丁과 午 陰火는 환하게 퍼져나가는 확장이 다소 줄어들면서 일정한 장소에서 강한 열을 내는 사물의 흐름을 상징한다. 火를 陰과 陽으로 상반되게 나눌 때, 이런 구분이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陽火는 태양빛에, 陰火는 불에 비유된다. 물론 이런 특성은 사물과 정신 모두에 포함되고, 나머지 오행에서도 동일하다.
가을이 되면 사물은 더 이상 자라거나 뻗어나가지 않고 움츠리며 지금까지 이룩한 것을 거둬들이니, 이것을 상징하는 것이 金이다. 金을 다시 陽과 陰으로 나누면, 庚과 申은 陽이고, 辛과 酉는 陰이다. 庚과 申 陽金은 강하게 수렴하는 사물의 흐름을, 辛과 酉 陰金은 수렴한 것을 완전히 정리하여 분류하는 사물의 흐름을 상징한다. 가을을 肅殺之氣로 표현하는 것은 木⋅火를 통해 이룩한 성과를 열매로 수렴⋅정리하여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쓸모없는 쭉정이를 싸늘한 기운으로 가차 없이 잘라버리기 때문이다.
겨울이 되면 사물은 더 이상 활동할 수가 없어 이제껏 애써 거둬들인 성과가 잘못되지 않도록 응축해서 저장하니, 이것을 상징하는 것이 水이다. 水를 다시 陽과 陰으로 나누면, 壬과 亥 陽水는 강하게 가라앉으며 응축하는 사물의 흐름을, 癸와 子 陰水는 응축하는 힘이 너무 강해 내부에서 저절로 반발력이 생겨나오는 사물의 흐름을 상징한다. 겨울에 물이 얼어 수도관이 터지는 것이 이 때문이고, 또 사람들을 너무 심하게 압박하면, 죽음을 무릅쓰고 들고 일어나 저항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木⋅火⋅金⋅水에 대한 상징을 이처럼 간략히 설명했다. 이제부터는 다소 복잡한 土에 대해 살펴보겠다. 천간에서 戊⋅己는 木⋅火의 분출⋅확산운동을 정지시켜 금수의 수렴⋅응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중개 역할의 상징이니, 하늘은 氣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지지에서 辰⋅戌⋅丑⋅未는 제각기 계절의 끝자락에서 다음 계절이 이어지도록 전환을 중개하는 역할의 상징이니, 땅은 質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土는 천간이든 지지든 모두 전환을 중개하는 역할의 상징이지만 그 역할은 제각기 모두 다르다.
먼저 土를 陰과 陽으로 나누면, 戊⋅辰⋅戌은 陽이고, 己⋅丑⋅未는 陰이다. 천간에서 戊土가 陽인 까닭은 木⋅火의 분출⋅확산 운동을 金⋅水의 수렴⋅응축 운동으로 전환 중개하는 데 있어 戊가 앞장서 적극적으로 정지시켰기 때문이고, 己土가 陰인 이유는 전환을 위한 준비를 성숙시켜 마무리하기 때문이다. 곧 木에서 火로 확산하는 기운을 金에서 水로 응결하는 기운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戊土의 상징이고, 뒤를 이어 전환이 무르익도록 준비를 완료하는 것이 己土의 상징이라는 말이다.
지지에서 辰⋅戌이 陽인 까닭은 辰(䷪) 다음에 巳(䷀)는 陰氣가 전혀 없는 極陽의 흐름이고, 戌(䷖) 다음에 亥(䷁)는 陽氣가 전혀 없는 極陰의 흐름이기 때문이다. 곧 極陰과 極陽은 수동적인 陰土로는 감당할 수 없어 陽土가 그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丑⋅未가 陰인 까닭은, 丑(䷒) 다음에 寅(䷊)과 未(䷠) 다음에 申(䷋)은 음양이 반반씩 고르게 섞여 있는 흐름이기 때문이다. 곧 양기와 음기가 절반씩 있는 寅과 申으로의 전환은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陽土가 아니라 수동적이고 부드러운 陰土가 중개해야 하기 때문이다.
辰⋅戌⋅丑⋅未가 전환의 역할을 하면서 각기 다른 부호로 표현되는 것은 각기 자신의 계절을 대변하며 다음 계절을 열어주는 중개 역할의 상징 때문이다. 辰은 봄을 대변하며 水를 감추어 여름을 열고, 戌은 가을을 대변하며 火를 감추어 겨울을 열며, 丑은 겨울을 대변하며 金을 감추어 봄을 열고, 未는 여름을 대변하며 木을 감추어 가을을 연다. 辰이 水를 숨기는 것은 申⋅子와 水三合을, 戌이 火를 숨기는 것은 寅⋅午와 火三合을, 丑이 金을 숨기는 것은 巳⋅酉와 金三合을, 未가 木을 숨기는 것은 亥⋅卯와 木삼합을 이루기 때문이다.
지지의 삼합 운동을 대표하는 천간은 상극의 계절을 지나자마자 얼굴을 내밀면서 자라기 시작하여 자신의 계절에 왕성하게 꽃을 피우고 다음 계절 끝머리에 상극의 계절과 충돌하지 않도록 숨으니, 辰⋅戌⋅丑⋅未가 이 역할을 수행한다. 곧 ‘寅⋅午⋅戌’ 火삼합운동은 丙火의 순환궤도를 드러내 주는 것이니, 丙火는 ‘巳⋅午⋅未’의 여름(火)과 반대 계절인 ‘亥⋅子⋅丑’의 겨울(水)을 지나자마자 바로 寅月에 얼굴을 내밀며 자라나 자신의 계절에 활짝 피었다가 다음 계절 가을의 끝머리에 겨울과 충돌하지 않도록 戌土 속으로 숨는다.
다음 2절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으로 辰의 지장간 ‘乙⋅癸⋅戊’, 戌의 지장간 ‘辛⋅丁⋅戊’, 丑의 지장간 ‘癸⋅辛⋅己’, 未의 지장간 ‘丁⋅乙⋅己’에서 ‘辰 속의 癸’, ‘戌 속의 丁’, ‘未 속의 乙’, ‘丑 속의 辛’이 모두 이상의 설명과 관계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점을 사주 감정에 응용할 수 있다. 곧 辰⋅戌⋅丑⋅未가 이어지는 다음 계절을 열어주기 위해 각기 木⋅火⋅金⋅水를 숨기면, 당사자의 인생에서 해당 간지가 사라지니, 부모⋅형제⋅자식⋅재물⋅직업⋅배우자 등을 잃는 슬픔이 될 수 있다. 뒤에서 실제 사주로 간지가 사라지는 아픔을 확인하겠다.
2. 干支의 生滅軌道와 支藏干
<12運星表>
天干 生旺死絶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長生 |
亥 |
午 |
寅 |
酉 |
寅 |
酉 |
巳 |
子 |
申 |
卯 |
沐浴 |
子 |
巳 |
卯 |
申 |
卯 |
申 |
午 |
亥 |
酉 |
寅 |
冠帶 |
丑 |
辰 |
辰 |
未 |
辰 |
未 |
未 |
戌 |
戌 |
丑 |
建綠 |
寅 |
卯 |
巳 |
午 |
巳 |
午 |
申 |
酉 |
亥 |
子 |
帝旺 |
卯 |
寅 |
午 |
巳 |
午 |
巳 |
酉 |
申 |
子 |
亥 |
衰 |
辰 |
丑 |
未 |
辰 |
未 |
辰 |
戌 |
未 |
丑 |
戌 |
病 |
巳 |
子 |
申 |
卯 |
申 |
卯 |
亥 |
午 |
寅 |
酉 |
死 |
午 |
亥 |
酉 |
寅 |
酉 |
寅 |
子 |
巳 |
卯 |
申 |
墓 |
未 |
戌 |
戌 |
丑 |
戌 |
丑 |
丑 |
辰 |
辰 |
未 |
絶 |
申 |
酉 |
亥 |
子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胎 |
酉 |
申 |
子 |
亥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養 |
戌 |
未 |
丑 |
戌 |
丑 |
戌 |
辰 |
丑 |
未 |
辰 |
명리학이 학문으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간지에 일정한 변화의 법칙이 있어야 한다. 앞에 있는 12운성표는 바로 천간이 12지지에 따라 생장하고 소멸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봄의 분출은 겨울의 응축을 기반으로 솟아올라 자신의 계절에 화려한 꽃을 피우고 그 다음 계절에 쇠락하기 시작하여 상반되는 수렴의 계절 가을이 오면 힘이 다해 사라진다. 이후에 겨울에 오면 응축을 기반으로 다시 얼굴을 내밀고 자라나기 시작하니, 이것은 陽木 甲이 지지의 순서대로 순환하며 생장하고 소멸하는 것이다.
그러나 陽木을 기반으로 일어나는 陰木 乙은 지지의 순서를 거스르며 생장하고 소멸한다. 같은 오행이지만 甲 다음에 乙이니, 乙은 甲을 기반으로 나와서는 생장소멸의 궤도를 甲과 달리한다. 실제 나무(木)를 가지고 살펴보면, ‘가지와 잎(乙⋅卯)’이 그 ‘根幹(甲⋅寅)’에 의지해서 자라면서도 음양이 달라 그 모체인 갑과 다른 방향으로 달려가며 생멸하는 것과 같다. 양간과 음간의 이와 같은 차이는 간지 전체에 그대로 적용되니, 甲⋅丙⋅戊⋅庚⋅壬은 지지의 순서대로, 乙⋅丁⋅己⋅辛⋅癸는 지지의 순서를 역으로 거슬리며 생장⋅소멸한다.
그런데 12운성표를 확인하면 알 수 있는 것으로 戊와 丙, 己와 丁은 생멸궤도가 동일하다. 이것에 대해 火土同宮이라고 표현하는데, 하늘의 계절인 계하가 실제로 땅에 없어 여름에 소속시킨다는 의미이다. 계하(戊⋅己)가 여름(丙⋅丁) 다음에 있지만 함께 있는 것이라, 사주감정에서는 여름보다 약간 늦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하늘의 흐름은 땅의 흐름과 맞물려 돌아가니, 戊⋅己는 辰⋅戌⋅丑⋅未에서 힘을 얻어야 할 것 같지만, 土의 모체는 火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火보다 약간 늦게 반응하며 火에서 힘을 얻는 것으로 보면 된다.
10天干이 12지지의 궤도로 흘러가듯이 12지지도 오행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동일하게 같은 궤도를 따라 순환한다. 그런데 땅의 흐름은 質의 순환이기 때문에 前月의 기운과 삼합의 기운이 함께 뒤섞여 숨어있다. 그것이 바로 支藏干으로 地支 속에 여러 기운을 감추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지장간은 지난달의 흐름이 잔재한 餘氣, 삼합의 염원이 담긴 中氣, 그리고 그달의 기운을 그대로 품고 있는 本氣 또는 正氣로 구분된다. 지지의 흐름을 30일로 표현할 경우, 아래 지장간표에서 숫자는 그 영향을 미치는 날의 수이다.
편의를 위해 지지를 계절의 시작인 寅⋅巳⋅申⋅亥로, 계절의 중앙인 子⋅卯⋅午⋅酉로, 계절의 끝인 丑⋅辰⋅未⋅戌로 나눠 지장간에 대해 설명하겠다. 그런데 알고 있어야 할 점은 지지에서도 계절의 시작은 모두 陽으로, 계절의 무르익음은 모두 陰으로 보고, 천간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곧 겨울의 시작인 亥는 지지의 순서에서는 陰일지라도 陽으로 보고 壬과 같은 것으로, 여름의 중앙인 午는 지지의 순서에서 陽일지라도 陰으로 보고 丁과 같은 것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땅은 하늘의 기를 이어받아 형질로 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子⋅卯⋅午⋅酉부터 보자. 子월의 餘氣는 亥월의 本氣가 그대로 넘어와 壬이고, 中氣는 申⋅子⋅辰 水三合의 염원인 癸이며, 本氣는 자신의 얼굴인 癸이다. 卯월의 餘氣는 寅월의 本氣인 甲이고, 中氣는 亥⋅卯⋅未 木삼합의 염원인 乙이며, 本氣는 乙이다. 酉월의 餘氣는 申월의 本氣인 庚이고, 中氣는 巳⋅酉⋅丑 金삼합의 염원인 辛이며, 本氣는 辛이다. 午월의 餘氣는 丙이고, 中氣는 己이며, 本氣는 丁이다. 午월의 中氣가 丁이 아닌 까닭은, 지지는 火의 기운이 너무 강해 未에서 金으로 전환하기 전에 미리 한 번 더 전환해놔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寅⋅巳⋅申⋅亥를 보자. 그런데 寅月과 申月은 모두 餘氣로 丑과 未의 本氣인 己土가 와야 하지만 계절의 시작은 역동적인 陽이기 때문에 모두 陽土인 戊土가 와야 한다. 그러니 寅월의 餘氣는 己가 아니라 戊이고, 中氣는 寅⋅午⋅戌 火삼합의 염원인 丙이며, 本氣는 甲이다. 申월의 餘氣는 己가 아니라 戊이고, 中氣는 申⋅子⋅辰 水삼합의 염원인 壬이며, 本氣는 庚이다. 巳월의 餘氣는 戊이고, 中氣는 巳⋅酉⋅丑 金삼합의 염원인 庚이며, 本氣는 丙이다. 亥월의 餘氣는 戊이고, 中氣는 亥⋅卯⋅未 木삼합의 염원인 甲이며, 本氣는 壬이다.
그런데 덧붙일 말이 있으니, 寅⋅巳⋅申⋅亥의 중기는 삼합의 오행에서 양간이고, 물론 午火의 중기 己土는 다소 다르지만 子⋅卯⋅午⋅酉의 중기는 모두 삼합의 오행에서 음간인 이유에 대한 것이다. 申⋅子⋅辰은 壬水의, 亥⋅卯⋅未는 甲木의, 巳⋅酉⋅丑은 庚金의, 寅⋅午⋅戌은 丙火의 순환궤도이다. 그런데 子⋅卯⋅午⋅酉의 중기가 음간인 까닭은 해당 오행이 자신의 계절에서 무르익어 이미 삼합의 목적을 달성했기 때문이고, 寅⋅巳⋅申⋅亥의 중기가 양간인 까닭은 다음 계절을 목표로 역동적으로 달려가서 삼합의 꿈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辰⋅戌⋅丑⋅未를 보자. 辰월의 餘氣는 乙이고, 中氣는 申⋅子⋅辰 삼합의 염원인 癸이며, 本氣는 戊이다. 戌월의 여기는 辛이고, 中氣는 寅⋅午⋅戌 삼합의 염원인 丁이며, 本氣는 戊이다. 丑월의 여기는 癸이고, 中氣는 巳⋅酉⋅丑 삼합의 염원인 辛이며, 本氣는 己이다. 未월의 여기는 丁이고, 中氣는 亥⋅卯⋅未 삼합의 염원인 乙이다. 辰⋅戌⋅丑⋅未가 삼합의 인자를 운동력이 약한 음간으로 감추는 것에 대해 墓⋅庫라는 표현을 하는데, 해당 六親을 부정적으로 잃어버린다는 의미에서는 墓이고, 해당 六親을 긍정적으로 감춰두었다가 다시 사용한다는 의미에서는 庫이다.
<支藏干表>
구분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餘氣 |
壬 10 |
癸 9 |
戊 7 |
甲 10 |
乙 9 |
戊 7 |
丙 10 |
丁 9 |
戊 7 |
庚 10 |
辛 9 |
戊 7 |
中氣 |
癸 10 |
辛 3 |
丙 7 |
乙 10 |
癸 3 |
庚 7 |
己 9 |
乙 3 |
壬 7 |
辛 10 |
丁 3 |
甲 7 |
本氣 |
癸 10 |
己 18 |
甲 16 |
乙 10 |
戊 18 |
丙 16 |
丁 11 |
己 18 |
庚 16 |
辛 10 |
戊 18 |
壬 16 |
이상에서 12운성과 지장간에 대해 다소 복잡하게 설명했으니, 상징적인 간지의 생멸을 명리학과 관계해서 간략하게나마 실제로 검증하기 위함이다. 곧 명리학이 학문으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간지가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생멸하는 것을 四柱로 증명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2006년 한경비즈니스에서 「운세사업 대통 4조 시대」라고 했듯이 자신의 운명에 대해 궁금해 하는 많은 사람들이 점집을 찾아 조언을 구하는 것에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면, 그 근거를 간지의 상징에서 찾아 논증하겠다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Ⅲ. 干支의 象徵과 命理學
남의 운명을 추리하기 위해서는 첫째, 간지를 구체적 사건으로 환원해서 해석할 수 있는 六親에 대해 알아야 한다. 둘째, 앞에서 이미 설명한 것으로 支藏干에 대해 또 간지의 힘을 나타내는 12운성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셋째, 四柱의 구조 및 간지가 복잡하게 변화하는 법칙 곧 合⋅刑⋅沖⋅破⋅害⋅神殺 등에 대해 꿰뚫고 있어야 한다. 넷째, 이상 세 가지를 종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간지가 사주에서 역학적으로 운과 함께 어떻게 생장하고 소멸하는지 그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야 있어야 한다. 사실 넷째 것은 명리 공부의 마지막 단계라고 보면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명리학의 전제로 간지의 상징이 현실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지 논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지의 변화법칙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명리학 서적에 나오는 기초사항이다. 간지의 상징을 실제로 검증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육친과 12운성 및 사주의 구조뿐이다. 그런데 지장간에 대해 설명한 것은 그것이 12운성의 墓와 직결되고, 사주의 상징적 구조를 가장 분명하게 검증하는 데 부수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간지의 검증에 필요한 나머지 四柱의 구조와 六親에 대해 살펴보자.
1. 四柱의 구조와 六親
時 |
日 |
月 |
年 |
乙 |
乙 |
庚 |
辛 |
酉 |
巳 |
寅 |
卯 |
만약 이런 사주를 감정하려면 남녀의 구분에 따라 庚寅월에서 시작하는 大運을 먼저 기록해야 한다. 대운은 여자일 경우, 辛卯⋅壬辰⋅癸巳⋅甲午의 순으로 60갑자의 순서대로 대운이 바뀌는 숫자와 함께 기록하고, 남자일 경우, 己丑⋅戊子⋅丁亥⋅丙戌의 순으로 60갑자를 거슬러 올라가며 대운이 바뀌는 숫자와 함께 기록하면 된다. 남녀에 따라 대운이 다르게 흐르는 까닭은 연주의 천간이 사주를 구성하는 바탕이기 때문에 사주 당사자가 陽인 남자인데 연간이 陰이면 사주의 바탕과 어긋나 대운이 역행하게 된다.
위의 사주에서 일간(乙)은 주인공으로 일간 이외의 다른 간지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대운과 세운의 변화에 따른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게 된다. 대운은 10년마다 변화되는 큰 운이고 세운은 해마다 마주치는 운이다. 사주 자체를 원국이라고 할 때, 원국은 그 사람의 내적인 특성은 물론 외적인 환경까지 포함한다. 사주는 원국도 중요하지만 운 역시 그 만큼 중요하다. 원국이 승용차라면 운은 도로이니, 소형 승용차일지라도 포장된 도로에서는 잘 달리고, 고급 승용차일지라도 비포장도로에서는 주행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四柱에서 年柱는 조상, 月柱는 부모형제, 日干은 자신, 日支는 배우자, 時柱는 자식을 상징한다. 연주라는 무수한 조상을 바탕으로 일간 자신을 낳아준 월주 부모가 있고, 日干이 자신의 배우자 日支를 만나 시주의 자식을 낳으며 살다가 죽는 것이 인생이다. 일간을 사주 당사자로 보는 데는 이와 같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사주의 각 주를 응용하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볼 수 있지만, 사주 전체를 인생 전체로 볼 경우, 연주는 소년기를, 월주는 청⋅장년기를, 일주는 장년기를, 시주는 노년기를 상징한다.
사주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이 정도로 마치고, 六親에 대해 설명하겠다. 육친은 일간의 음양오행을 중심으로 다른 간지들과의 생극 관계를 나타내는 것인데, 사주를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열쇠이다. 일간과 오행⋅음양이 모두 같으면 比肩, 음양이 다르면 劫財이다. 일간이 생하면서 음양이 같으면 食神, 음양이 다르면 傷官이다. 일간이 극하면서 음양이 같으면 偏財, 음양이 다르면 正財이다. 일간을 극하면서 음양이 같으면 偏官, 음양이 다르면 正官이다. 일간을 생하면서 음양이 같으면 偏印, 음양이 다르면 正印이다.
인성⋅재성⋅관성은 음양에 따라 偏과 正으로 세분된다. 일간의 陰陽과 동일하게 陰과 陰 또는 陽과 陽일 경우, 음양이 한쪽으로 치우쳐 조화가 일어나지 않아 ‘치우칠 편(偏)’자를 붙이고, 일간의 陰陽과 다르게 陰과 陽 또는 陽과 陰일 경우, 음양이 맞아 조화로우므로 ‘바를 정(正)’을 붙여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남자의 사주에 편재(여자)가 배우자 자리인 일지에 있는데, 정재가 옆에서 유혹하면, 부인과 음양의 조화가 맞지 않아 찾아가게 되니, 이런 구조는 바람둥이 사주이다. 옆에 정재가 없을 경우는 운에서 오면 찾을 뿐이다.
나와 동일한 오행으로서 陰陽이 같으면 比肩, 다르면 劫財라고 한 까닭은 글자 그대로 어깨를 나란히 하여 협동하는 관계를 비견, 재산을 빼앗아가는 관계를 겁재로 보기 때문이다. 그런데 남자의 경우, 겁재는 내가 사랑하고 아끼는 여자나 재산을 남의 남자가 겁탈한다는 의미는 물론 나도 그럴 수 있다는 의미까지 포함한 용어이다. 다른 육친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의 사주에 겁재라는 인자가 있으면, 언제나 그런 일을 남에게 당하거나 본인이 일으킬 수 있는 특성을 원천적으로 이미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세상의 변화는 서로 상극인 요소를 향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곧 태극이 요동치는 것은 태극 속의 음이 양을 향해, 양이 음을 향해 움직이기 때문이다. 오행의 변화는 자신이 극하거나 자신을 극하는 방향을 향해 움직이는 힘의 흐름에 의한 것으로 水는 火를 향해 올라가고, 火는 水를 향해 내려온다. 이런 힘 때문에 계절의 변화가 오며 세상이 소용돌이치는 것이다. 水가 火를 향해 올라가는 과정에 나오는 것이 木이고, 火가 水를 향해 내려오는 과정에 나오는 것이 金인데, 그 사이에서 변화를 중개하는 것이 土이다.
이런 점에서 일간을 활발하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財와 官이다. 곧 명리적으로 인생은 사주에서 내가 극할 재나 나를 극하는 관이 있을 때 가장 역동적이라는 말인데, 관보다는 재가 더 역동적이다. 사람들은 원초적으로 통제받기보다는 제어하기를 훨씬 더 좋아하기 때문이다. 사주의 구조가 나쁠 경우, 재 대운 뒤에 곧잘 중병에 걸려 세상을 떠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역동적인 추진력 때문에 재산 축적에 혈안이 되어 돈은 벌었지만, 결국 기운을 너무 소모하여 세상을 떠난다는 말이다.
官星(官)은 나를 극하며 제어하는 것으로 직장⋅명예 등을 상징하는데, 여자의 경우 배우자⋅애인, 남자의 경우 자식이기도 하다. 財星(財)은 내가 극하며 제어하는 것으로 아버지⋅재물⋅봉급⋅시장 등을 상징하는데, 남자의 경우 배우자⋅애인, 여자의 경우 시모이기도 하다. 印星(印)은 나를 낳아주는 것으로 모친⋅조부⋅학문⋅공부⋅자격⋅문서⋅장인 등을 상징하고, 食神과 傷官은 내가 내놓는 것으로 조모⋅재주⋅기술⋅언변⋅생식기⋅수족⋅집 등을 상징하는데, 여자의 경우 자식, 남자의 경우 장모이기도 하다. 비견과 겁재는 형제⋅친구⋅동업자⋅연적을 상징한다.
2. 干支의 檢證
사주를 보는 방법은 팔자 여덟 글자를 육친으로 환원해서 이 육친들이 역학적으로 나의 팔자에 있는 인자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고, 또 어떻게 운과 뒤엉키며 흘러가는지를 보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본 논문의 목적과는 관계가 있기는 하지만 많은 논증 뒤에 할 수 있는 일이다. 우선 여기서 해야 할 일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간지에 그와 같은 상징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辰⋅戌⋅丑⋅未의 상징에 대해 확인하려고 하니, 아래의 사주에서 그것이 연⋅월⋅일⋅시 어디에 있는지 주의해서 보기 바란다.
① 坤命 ○庚己○ 미국에 살면서 40대 초반의 나이에
○辰亥巳 폐렴 치료가 늦어 차남을 잃었다.
위의 명조에서 먼저 확인할 일은 水의 墓庫인 辰土가 일지에 있다는 것이다. 대운까지 따질 일은 아니지만 43세부터 甲辰대운이다. 이럴 경우 辰이 壬水를 묘지로 집어넣는 작용이 확실하게 발생한다. 대운이 그렇지 않을지라도 세운에서 壬水가 약화될 때, 40세 이후에 壬水의 入墓작용이 일어난다. 앞에서 여자인 본인 곧 일간인 庚金이 낳는 오행은 식상관으로 자식을 상징한다고 했다. 남편이 의사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나이 40대 초반에 10대 초의 둘째 아들을 잃었다고 한다.
다른 사례로 사주 자체가 정확히 기억되는 것은 아니지만, 壬辰생 癸水 일간인 여자 분이 있었는데, 대운의 시작이 辰년이었다. 癸水 일간에 壬水는 겁재로 형제를 상징한다. 연주는 초년을 상징하니, “어릴 때 형제분들을 대부분 잃었군요.”라고 했더니, “많이 낳았는데 거의 자라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습니다.”라고 했다. 간지의 상징을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놀랄 일이지만 명리학을 공부한 사람들에게는 쉬운 일이다. 명리학을 공부한 필자도 한편으로는 당연한 것으로 여기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기할 뿐이다.
② 乾命 ○丁丙○ ①번 명조의 장남으로 10대
○丑戌戌 중반에 동생을 잃었다.
연지와 월지에 丙火 형제의 묘지가 겹쳐 있다. 일간이 丁火이니 丙火는 겁재로 형제이다. 혹시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노파심에 戌土의 역할을 다시 설명하겠다. 戌土는 寅⋅午⋅戌 火삼합으로 丙火와 상반되는 겨울(水)이 오면 충돌을 막기 위해 丙火를 丁火로 바꾸어 숨긴다. 戌의 지장간 辛⋅丁⋅戊에서 丁이 바로 숨긴 丙火이다. 숨긴다는 것은 사주 당사자의 인생에서 사라지는 것이니, 그것의 상징이 부모면 부모가, 형제면 형제가, 자식이면 자식이, 직장이면 직장이 초년에서 약화될 때 사라진다.
③ 乾命 ○乙壬○ ④ 乾命 ○丁辛○
○卯戌卯 ○巳丑丑
③번 명조는 사업가인데 월지 부모궁에 상관 丙火와 정재 戊土의 묘지가 있다. 그 부인이 상담을 요청해 “시부모님께 많은 돈이 들어가는군요!”라고 했더니, ‘자신이 마음을 비워서 살았지 그렇지 않으면 못 살았다.’고 했다. ④번 명조도 동일하다. 연지와 월지에 庚金 정재의 묘지가 겹쳐 있다. 초년에 부모님의 고정 수입이 없었음은 물론 아버지 역할이 없다. 또 장성한 후에도 부모궁 월지가 정재의 묘지이니, 부모가 가져간 돈이 상당할 것인데, 그렇다고 한다. 이럴 경우, 사주를 알면 부모를 원망할 수 없다. 내 팔자 그대로 그런 부모와 사는 것이기 때문이다.
⑤ 坤命 ○壬甲○ 庚寅대운 庚寅년에 투자하는
○寅戌巳 곳마다 아주 크게 성공했다.
이제부터는 辰⋅戌⋅丑⋅未가 아닌 다른 것, 곧 일지 식신 寅木을 주목해 보자. 이 분은 38세부터 庚寅 대운이 들어왔다. 12운성을 참고하면 寅木에 편재 丙火가 長生하는데, 丙火의 삼합 궤도 寅⋅午⋅戌을 떠올리길 바란다. 丙火는 겨울을 나기 위해 戌土 속에 숨었다가 봄이 오면 다시 나온다. 12운성에서 장생한다는 것은 없던 것이 가시적으로 드러나 눈에 뜨인다는 것이다. 40대 후반 분인데 “작년 庚寅년에 돈 좀 벌었지요!”라고 했더니, ‘그때는 투자하는 일마다 잘 되었다.’고 했다. 대운과 세운에서 겹쳐서 함께 왔으니 성공할 수밖에 없다.
⑥ 坤命 ○癸乙乙 1살부터 丙戌 대운, 세운 庚戌(1970)년 7살에
○巳酉巳 교통사고로 허벅지 아래 한쪽 다리가 절단됐다.
위의 사주에서는 연주의 乙木을 주의해서 보기 바란다. 월간의 乙木은 자신과 상극인 酉金 위에 앉아 있어 극히 약하지만, 연간은 목욕지에 있어 절대로 약하지 않다. 그런데 대운과 세운에서 동시에 乙木의 묘지인 戌이 왔고 또 세운의 庚金이 乙木과 합을 해서 다른 오행 곧 金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라지게 했다. 운명을 볼 줄 알았다면, 극도로 조심해서 고비를 넘겼어야 했다. ⑥번 명조는 사주의 구조까지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복잡하지만 간지의 상징이 이렇게 적용됨을 간단히 보여준 것이다.
⑦ 坤命 戊壬○○ 戊寅 대운, 庚寅년에
申寅酉亥 부동산이 팔렸다.
여기서는 申金과 酉金에 대해 주목하자. 金生水이니, 申金과 酉金은 이 분에게 부동산 문서가 될 수 있다. 庚寅년 중반을 넘어 ‘사업을 해야 하는데 돈이 없다.’고 해서 ‘여기저기 부동산이 있는데 팔아서 하면 될 것이 아니냐.’고 했더니, 처음에는 ‘없다.’고 하다가 나중에는 ‘팔리지 않는데 어떻게 하냐.’고 해서 ‘곧 팔릴 것’이라고 했다. 1달쯤 뒤에 찾아와서 팔렸다고 했다. 酉金도 그렇지만 申金이 戊寅대운에 庚寅년이라 寅木과 충돌로 이 사주에서 사라져야 하니, 팔릴 것이라고 했던 것이다. 12운성이 순환하는 원리를 이해하면 바로 알 수 있다.
Ⅳ. 끝맺는 말
음양오행과 결합된 간지는 천지가 변화하는 원리를 상징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활용하여 사람의 운명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명리학은 신비한 영적인 능력으로 남의 운명을 예언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토대를 통해 추리하는 것일 뿐이다. 간지는 사물이 성장하고 소멸하는 단계를 음양오행의 원리로 가장 간단하고 정교하게 논리적으로 도식화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실 동양철학 그 어디에서도 이처럼 정교하고 간결한 형이상학적인 원리는 찾아보기 어렵다.
신비한 영적 능력으로 남의 운명을 아는 것은 학술적으로 다룰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그러나 명리학은 상징적인 간지와 그 변화원리를 연구하여 논리적으로 남의 운명을 추론하는 과학이니, 이제부터라도 이것을 귀중한 우리 전통과학으로 새롭게 인식시키고 발전시켜야 한다. 우리가 명리학을 미신으로 여기거나 쓸모없는 구시대의 잔재로 여겼던 것은 그동안 서양문물의 영향으로 패배주의에 빠져 우리들 스스로 무시하고 등한시한 결과이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으니, 우리 것을 새롭게 돌아보고 재정리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간략하게 명리학의 대전제인 간지의 상징적 원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갈 길은 지극히 멀다. 동양의 전통과학 명리학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간지의 변화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함은 물론 사람들의 잘못된 인식 특히 학자들의 고정관념부터 먼저 바꿔야 한다. 대중들이 대소사에 점집을 찾는 것은 아직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유산을 믿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자들은 동양의 전통과학을 신비주의 또는 미신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접근을 거부하고 있으니, 탈출구가 없는 동양학에 앞길이 더욱 망막하다.
이제 겨우 첫 걸음마를 시작한 것에 불과하지만 필자가 음양오행과 결합된 간지의 상징을 검토해 본 결과 명리학은 훌륭한 체계를 갖추고 있는 학문이다. 누구라도 먼저 체계화시켜 지금의 음성적인 형태와 다르게 새롭게 포장하여 떳떳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내놓는다면, 동양학 전체가 풍요로워질 수 있는 학문이 바로 명리학이다. 갑자기 모든 것이 변화되리라고는 바랄 수 없고, 먼저 우리 학자들의 인식이라도 바뀌었으면 하는 마음에 몇 년간 칩거하면서 연구한 결과의 일부를 학계에 보고한다.
<참고 문헌>
春秋繁露
太極解義
淵海子平
子平真詮評注.
金惠貞, 中國 風水地理學의 天文觀 硏究, 公州大學校 大學院 中語中文學科 박사학위 논문, 2008.
文載坤, 漢代易學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沈揆喆, 命理學의 淵源과 理論體系에 관한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曺圭文, 天綱 袁守成의 命理思想에 관한 연구, 大田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9.
韓東錫, 宇宙變化의 原理, 대원출판, 2001.
金顯錫, 大運萬歲曆, 東洋書籍, 1976.
朱熹, 곽신환⋅윤원현⋅추기현 옮김, 太極解義, 소명출판, 2009.
李振勳, 눈썹도인과 함께 하는 命理 여행, 문원, 2010.
한국경제신문, 한경비즈니스, 2006. 1. 16.
<中文提要>
陰陽五行與干支之象徵 - 與命理學之關係爲主 / 金 學 睦
干支與陰陽五行論結合時, 干支象徵地顯示時間之流行. 十天干, 是在天把反復循環的時間之流行, 分爲木⋅火⋅土⋅金⋅水之五個單位, 而又把各單位細分爲陰與陽之兩方面的. 十二地支, 是在地把反復循環的時間之流行, 分爲木⋅火⋅金⋅水之四個單位, 而又把各單位細分爲陰與陽之兩方面, 而且在各單位之末附着土的. 因此, 十天干與十二地支具有陰陽五行之象徵的意義.
在十天干與十二地支, 土的位置不同的原因, 以天與地構成著各有不同的因素卽氣與質故. 以氣所構成的天容易變化, 所以土存在著火與金之間; 以質所構成的地不容易變化, 所以土存在著各季節之末. 土之功能是仲裁各季節之轉換的. 但是天與地構成著各有不同的因素, 而其流行亦各有不同, 故隨不同的流行, 土的位置不同配置, 終於成爲十個的天干與十二個的地支.
天地萬物以生長消滅不斷變化, 在干支, 木⋅火是生長的象徵, 金⋅水是消滅的象徵. 以氣所構成的天, 不僅從木到火之成長過程中, 不須要土的仲裁功能, 又從金到水之死滅過程中, 亦不須要土的仲裁功能, 只要從木⋅火的生長轉變到金⋅水的消滅過程中, 才須要土的仲裁功能. 然而以質所構成的地, 在木⋅火⋅金⋅水之四個單位循次轉變時, 都須要土的仲裁功能.
干支, 卽是把天地之流行象徵地表出的. 與天地同流的人們和萬物, 亦隨著干支之象徵原理變化流行而已. 因此, 人類從來對於干支之象徵原理與變化法則, 不斷地硏究, 而把它要運用算命的道. 此就是所謂命理學. 本論文爲了批判的檢討命理學之學的基盤, 先要論破干支的象徵原理, 還要檢證干支的象徵原理與個人的四柱如何相關聯.
關鍵詞: 陰陽五行, 10天干, 12地支, 60甲子, 四柱八字.
김학목(Kim, Hak-Mok)
영문제목
陰陽五行과 干支의 象徵
YinYang-Five Elements and Ten Heavenly Stems-Twelve Earthly Branches' Simbol
— 命理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MyungriHak -
첫댓글 오행과 10간을 설명을 하셌는데요 제생각엔 오행 십관12지에 하도낙서를 넣으면 더욱 좋지 않을까요?
ㅎㅎ 생각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