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검색 엔진의 이해와 활용하기 [교재 87 ~ 132쪽]
1. 검색엔진의 개념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검색사이트를 이용하여 학습과 관련된 자료들을 찾을 수 있다.
3. 전자도서관과 전자신문을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 세부내용 :
검색 엔진의 이해, 검색 사이트의 활용 방법, 전자도서관과 전자신문 활용방법
* 교재 3장(방송강의 3강)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인터넷의 활용 과목은 교재와 함께 앞서 자료실에 올려드린 방송강의 PPT(2008년 제작)를
병행해서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PDF파일 요약정리(1~10장) 자료제공 : 김미수 튜터
3장 검색 엔진 이해와 활용하기 핵심정리
miso4u
1. 검색 엔진 이해하기
1) 정보검색: ․ 컴퓨터통신망을 이용한 일련의 정보 취득 작업
․ 산재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음 ․ 검색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형태로 제시
․ 적합한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찾음 ․ 찾고자 하는 정보의 검색어를 정확하게 선정
․ WWW에 모든 정보가 있지는 않음
2) 검색엔진의 개요: ․ 인터넷의 흩어진 정보를 찾는 웹서버
․ 검색 로봇, 인덱스, 질의서버로 구성 ․ 문서 전체의 내용을 인덱싱하는 전문 인덱싱 방법을 채택
3) 검색 엔진의 특징: ․ 인터넷의 정보검색은 거의 검색엔진 이용
․ 각 검색 엔진마다 서로 다른 입력방식
․ 저장된 인덱스의 종류와 크기, 결과 출력형태 등이 모두 다름
․ 하나의 검색엔진에서 원하는 결과가 없을 경우 다른 검색엔진을 사용해야 함
․ 통합된 검색엔진의 필요성
4) 검색 엔진의 구조 (오른쪽 그림)
5) 검색 엔진의 종류
① 야후: 주제별로 정리된 디렉토리 서비스(http://kr.yahoo.com)
․ 주제별 검색과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모두 지원
․ 가장 큰 특징은 사이트들의 정확성을 매일 점검
․ 웹, 이슈, 지식, 블로그, 사전, 뉴스, 이미지, 동영상, 쇼핑, 지도 등의 검색 기능
② 네이버: 국내 검색엔진으로 국내 최대의 데이터 보유 (http://www.naver.com)
․ 국내 검색엔진에서 가장 다양한 옵션 제공
․ 이미지나 사운드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 검색 가능
․ 한글, 한자, 영어 처리와 복합명사 분석 기능
․ 검색어의 분포를 기반으로 한 랭킹 기술사용
․ 지식in, 전문자료, 책, 사전, 지역, 뉴스, 쇼핑, 사이트, 내PC 검색 기능
③ 구글: ․ 페이지 순위 기술에 의해 관련성이 높은 결과 상위에 게재 (http://www.google.co.kr)
․80억 개 이상의 웹 페이지를 매우 빠르게 검색․2000년 9월부터 한국어 검색 서비스 시작
․'비슷한 페이지수'링크 기능 제공으로 유사한 페이지 검색 가능
․ 웹 문서, 이미지, 뉴스, 디렉토리, 블로그, 학술검색, 계산, Gmail 등의 기능
④ 천리안: 한글의 특징적인 면을 고려한 검색 (http://www.chol.com)
․ 자연어 논리연산자와 한글 외래어를 영문으로 변환하여 검색
․ 검색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질의어에 확장 기능 제공
․ 유의어의 종류로 한글확장, 영문확장, 발음확장 등을 제공
․ 천리안 폰, 나도 한마디, 블로그, 영화, 증권, 휴대폰, 파일링크 등의 기능 제공
⑤ 알타비스타: 방대한 자료와 빠른 검색 (http://kr.altavista.com/)
․ 웹문서와 유즈넷 뉴스그룹의 검색 가능 ․ 검색어와 날짜별 검색 가능, 다국어 지원
․ 주제별 분류와 다양한 메타문자 지원 ․ 이미지, MP3/오디오, 비디오, 번역 등의 기능 제공
⑥ 파란: 전화번호 안내와 정보검색 서비스의 통합 (http://www.paran.com)
․ 한국통신에 의해 개발된 검색 엔진
․ 전화번호안내, 정보검색, 커뮤니티, 다양한 부가 서비스 무료 제공
․ 한글, 한자, 영어, 중국어, 일본어 처리 기능
․ 주요 기능으로는 웹 검색, 전화번호 검색, 일본 웹 검색,
․ 뉴스 검색,멀티미디어 검색,지도 검색 등
⑦ 엠파스: 국내 검색엔진으로 단어와 문장을 통한 멀티미디어 검색 가능 (http://www.empas.com)
․ 1999년 11월 국내에서 개발한 검색 엔진 ․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나 문장으로 검색 가능
- 2 -
․ 자연어, MP3, 동영상, 이미지 파일 검색 가능 ․ 주로 전문 용어 검색에 효과적으로 이용
․ 검색 추천 기능을 지원
⑧ 기타 검색엔진
․ 인포시크: 자연어 검색 지원 http://www.infoseek.com/
․ 익사이트: 주제별 계층별 분류 http://www.excite.com/
․ 웹크롤러: 검색엔진 방법의 효시 http://www.webcrawler.com/
․ 핫봇: 쉬운 사용, 결과의 정확성이 높음 http://www.hotbot.com/
․ 카인즈: 각종 신문 잡지및 세계 각국 600여종의 영문잡지에 대한 뉴스검색 서비스 http://www.kinds.or.kr
2. 검색 사이트 활용하기 - 검색 사이트 활용 예
3. 전자도서관과 전자 신문 활용하기
1) 전자 도서관의 활용
․ 가상공간에서 인터넷을 통해 세계의 모든 정보 자원에 대한 시공간 초월 서비스
․ 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자도서관은 대부분 기존 도서관에서 운영하며 제한적인 원문서비스 가능 ․․
도서관 소장 자료의 목록 및 본문정보를 XML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인터넷의 WWW를 통해 서비스
․ 한국의 경우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이 전담기관, 국립중앙도서관이 주관기관으로 추진
2) 전자 저널과 전자신문
① 전자 저널(ScienceDirect): ․ 1,800 여개의 저널, 총 33백만개의 초록을 통한 논문검색 사이트
․ 전자저널검색, 실시간 채팅, RSS 피드 지원, Scopus 인용정보, 고화질의 이미지 제공
② 전자신문 : ․ 범용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만족하게 해주는 정보를 정기적으로 출간
․최신의 정보뿐만 아니라 과거의 정보도 신속하게 검색․국내 대부분의 신문사들이 전자신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