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니어그램의 정의
에니어그램이란 '에니어(annear, 9, 아홉)'라는 단어와 '그라모스(grammos, 도형·선·점)'라는 단어의 합성어이다. 즉 에니어그램은 그리스어로 '아홉 개의 점이 있는 그림'이라는 뜻이다. 원과 아홉 개의 점, 그리고 그 점들을 잇는 선으로만 구성된 단순한 도형이지만 그 안에는 우주의 법칙과 인간 내면의 모든 것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에니어그램은 사람을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어떤 사람이라도 그 중 하나의 유형에 속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그것은 사람을 9가지 유형으로만 구분, 획일화해 놓은 것이 아니라 9가지 유형의 문을 통해 들어가는 성격의 문과 같은 것이다.
9가지 유형의 문을 통과하고 난 뒤에 사람들은 세상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가치관은 어떤지, 주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내면의 여행을 떠나게 되는 것이다. 거기에는 무수히 많은 관계들의 역동과 변형, 수준, 행동하게 되는 방식, 자신 내부의 동기들이 있다.
2) 에니어그램의 역사
에니어그램의 역사는 추정된 것에 의해서만 보면 약 4500여 년 전(기원전 2500년 전)에 중동 지방(현재의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고대의 지혜이다. 이것은 보편적인 진리의 압축이며, 수 천년 동안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특히 수피즘), 유대교(카발라)에 의해 축적되어 온 것이다.
현재의 에니어그램 이론은 어떤 한 가지 근원에서 온 것이 아니며, 고대의 전통에서 비롯된 지혜와 현대의 심리학이 결합된 것이다.
3) 에니어그램의 체계
에니어그램의 상징을 현대 서구사회로 가져온 사람은 ①이바노비치 구르지예프(George Ivanovich Gurdjieff)이다. 구르지예프는 이 에니어그램의 상징을 우주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이해하고 자기 삶의 객관적인 목적을 알도록 일깨우는 수련 중심의 하나로 삼아 발전시켰다. 구르지예프의 제자인 우스펜스키는 미국으로 건너가 에니어그램을 보급시켰다.
또 하나의 인물은 정신과 의사인 ②오스카 이차죠(Oscar Ichazo)이다. 이차죠는 철학, 과학, 종교에 능통한 사람으로서 에니어그램 상징의 모든 자료들을 배열, 현대의 에니어그램의 기본적 원형을 만들었다. 그는 칠레의 아리카에 가서 정신치료 프로그램에 에니어그램을 도입해서 사람들을 가르쳤다. 그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에니어그램을 접했고, 이러한 에니어그램을 보급, workshop 형태로 진행한 사람은 그의 제자인 클라우디아 나란죠(Claudia Naranzo)이다. 나란죠를 통해 미국 전역에 에니어그램이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그 가운데에는 예수회 신부들이 상당수 있었다. 그 예수회 신부들에 의해 종교적 측면으로 쓰여졌다. ③돈 리처드 리소는 이 에니어그램을 심리학과 접목시켜 여러 가지 분류와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밖에도 에니어그램을 노사 관계, 인사 관리에 접목시킨 ④헬렌 팔머 등이 있다. 이렇게 에니어그램은 수련, 정신적 질병치료, 심리학, 노사 양측에 관련된 의사소통 등에 쓰이고 있다.
4) 에니어그램의 목적
(1) 우리의 삶의 에너지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참 자기를 발견하도록 안내하며, 궁극적으로 통찰의 지혜(깨달음을 얻는 지혜)를 통해 개인적으로 마음의 평화(심리적 자유)를 얻도록 한다.
(2) 성격의 개선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통해 평생(생애) 인격 개발, 배우자와 기타 인간이해를 하여 인간 관계를 개선한다.
(3) 내적 여정을 통해 자신 속에 내재해 있는 무한한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집착을 버리고 아홉 가지 성격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고 통합을 이루어 전인(全人)을 지향한다.
(4) 우리를 억압하고 있는 요소로부터 자신을 해방하고, 우리의 변화 가능성을 발견케 함으로써 자기 계발, 자기 혁신은 물론이고 나아가 가족 계발, 교회나 사찰 등 공동체 계발, 조직 계발, 사회 계발의 도구로서 활용한다.
(5) 우리 삶의 궁극적 목적인 자아실현을 도모한다. 잘못된 자아실현으로서 흔히 다음 세 가지를 든다. 즉 첫째, 아홉 가지 성격 중 하나에 집착하는 것, 둘째, 포로나 강박 행동으로 인하여 방어기제를 끝없이 쓰고 가짜로 자아실현을 하는 것, 셋째, 격정(강렬하고 갑작스러우며 누르기 힘든 정서)에 매달려 유형 1의 경우 끝없는 분노, 유형 2의 경우 자기도취 등 기울어진 정열적 자기애에 사로잡혀 있는 것 등이다. 따라서 이들 세 가지로부터 벗어나서 자유롭게 자기의 잠재능력을 최고로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