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기청정기와 가습기를 대신하는 초록 식물 파워! 지금 느껴보세요. 공기 안의 여유로움이 느껴집니다. |
그저 눈을 즐겁게 하는 역할만 하던 그린 인테리어의 시대는 끝났다. 웰빙 트렌드에 발맞춰 그린 인테리어는 이제 네모난 콘크리트 안 우리의 일상으로 들어왔다. 아파트 베란다의 텃밭과 공간마다의 초록 식물은 정서적인 안정은 물론 육체적인 건강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는 이론이 이 화두를 증명한다. 녹색 식물의 잎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제공한다. 이론적으로 화초에 물 1ℓ를 주었을 경우 산소 600ℓ가 만들어지고, 이산화탄소 600ℓ가 제거된다. 결국 값비싼 공기청정기 대신 집안에 녹색식물을 기르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얘기다. 녹색 식물의 놀라운 생명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화초는 훌륭한 가습기이다. 식물이 실내 공간의 5~10%를 차지할 경우, 습도는 20~30%나 올라간다. 이 이론은 25~30평 아파트에 1m 높이의 잎이 달린 녹색 식물 4~5그루만 있으면 가습 효과를 발휘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낮에는 광합성을 하니까 공기가 맑아지지만 밤에는 호흡 작용으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어 오히려 몸에 해롭지 않냐고 반문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불필요한 걱정이다. 식물의 호흡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광합성에서 제거되는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훨씬 적기 때문. 그래도 걱정이 된다면 밤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선인장류를 침실 등의 생활 공간에 놓아두면 거뜬하게 해결된다.
대한민국 최고의 전통 조각보·자수 작가인 김현희씨의 집은 아파트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완벽한 가드닝이 펼쳐진다. 50여 년이 넘도록 마당 있는 주택에서만 살다가 아파트로 이사한 지 일년. 마땅한 마당이 없는 삭막하고 답답한 아파트지만 어릴 때부터 친구처럼 지내던 화초를 떼어놓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이사하자마자 베란다 가든 만들기에 착수했다. 흙에서만 키우던 식물을 화분에 키우려다 보니 제대로 자랄 수 있는 화초를 선택하는 일은 모험이었다. 처음엔 물이 졸졸 흐르는 돌 용기에 바이올렛, 남천, 율마, 선인장, 스타트 필름 등 까다롭지 않은 것들을 올망졸망 심었다. 매일 시든 잎과 꽃을 따주고, 흙이 마르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통풍 잘 되도록 신경 쓰면서 조금씩 종류와 개수를 늘려나가 지금의 모양새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이 화려한 정원의 주인공들은 그녀의 일년 넘는 아파트 생활의 동반자이다. 가드닝 철칙 1> 미련을 갖지 말 것
가드닝 철칙 2> 구근 식물, 보관만 잘 하면 죽지 않는다 가드닝 철칙 3> 겨울은 화초 특별 관리 기간
온도 ∥ 겨울철에는 날씨가 춥기 때문에 화초를 실내에 두는 경우가 많은데, 온도가 너무 높으면 벌레가 생기고 시들기 쉽다. 따라서 겨울철 화초 관리 온도는 10~15℃ 선을 유지하는 게 좋다. 햇살이 따스한 날, 오후 1~2시 정도에 창문을 열어 햇볕을 쪼이거나 환기를 시킨다. 직사광선은 화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피하고, 잎을 황갈색으로 바꿀 수 있는 온풍기는 멀리해야 한다. 물 주기 ∥ 화초에 물을 줄 때에는 배수 구멍으로 물이 새어 나올 정도로 흠뻑 주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겨울철에는 물주는 횟수를 줄여 비교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관엽식물의 경우 여름철에는 사흘에 한 번, 겨울에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가 적당하다. 겨울철 물을 자주 주면 뿌리가 썩어 검은 반점이 나타날 수 있고, 오후 늦게 물을 주면 뿌리가 얼어버릴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비료 ∥ 겨울철에는 비료를 최대한 피한다. 부득이하게 겨울철 꽃을 피우는 화초에 영양제를 공급할 경우엔 식물에 닿지 않도록 주의할 것.
1. 거실과 베란다는 꽃길로 연결된다. 빛의 방향에 따라 식물의 배치를 바꾼다. 2. 평상시엔 베란다에서 키우는 환타지아. 손님 맞을 때는 꽃꽂이 대신 거실을 화려하게 빛낸다.
겨울에 집안으로 들여놓은 식물을 바닥에 놓아둔다는 건 위험천만한 일이다. 하루에 10시간 이상 난방이 가동되는 계절이므로 실내 공기는 심하게 건조하다. 그나마 아파트에서 햇볕과 통풍 조절을 가장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베란다가 겨울철 그린 공간으로 가장 만만하다. 하지만 오로지 베란다에서 그린을 가꾸는 것만으로 집안 곳곳에 가습 효과를 노리는 건 무리가 있다. 어쨌든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집안으로 초록 식물을 끌어들여야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일단, 햇빛과 통풍에 민감한 것들은 베란다에서 키우고, 관리가 수월한 편인 반음지 식물은 부분적으로 그늘이 지는 거실이나 서재, 침실에서 조금씩 키운다. 또한 스킨답서스, 스파트필름, 아이비 등의 음지 식물은 습기만 있으면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므로 빛이 없는 욕실이나 서재 등이 적합하다. 이 중 거실이나 침실 등 따뜻한 바닥에 놓고 키우는 화초는 흙과 잎의 상태를 보아 물 주기에 더욱 신경 쓸 것.
햇빛과 통풍에 민감한 식물로 채워진 화단
1. 현관과 거실 사이 바닥, 음지 식물 시리즈 현관에서 거실로 연결되는 곳에 전통 가구를 콘솔 느낌으로 놓았다. 이런 공간은 해가 들지 않기 때문에 음지 식물인 스파트 필름, 산호초, 포인세티아, 프리뮬라, 산데리아 등이 잘 자란다. 스파트 필름을 까만색 사각 화병에 심어 좌우 대칭으로 바닥에 배치하여 퓨전 스타일을 연출했다. 똑같은 종류를 시리즈로 놓으니 상쾌하면서도 한결 정돈된 느낌.
2. 거실과 주방 사이 바닥, 초록 식물 파티션 거실과 주방이 트여 있는 구조. 눈에 거슬리는 가전제품은 절대 밖에 내놓지 않고, 청소할 때 거치적대는 의자는 하나도 사지 않는 집주인의 깔끔한 성격 덕분에 식물들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식탁 대용 좌식 떡판과 거실 사이에 가지가 길고 잎이 여린 남천과 골드세피아 화분을 몇 개 놓아 공간을 분할해주는 기능을 하면서 마치 전원에 온 듯 편안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주방 창틀에 허브 화분을 조로록 놓아두세요’라는 그린 인테리어 기사를 자주 보았을 것이다. 이 또한 근거 없는 얘기는 아니다. 음식을 할 때 어느 정도 높아지는 온도, 원활한 통풍, 창과 커튼을 통한 광량 조절 등 화초가 잘 자랄 수 있는 삼박자가 척척 들어맞기 때문이다. 이처럼 실내에서는 창가가 초록 식물을 장식 및 관리하기 가장 좋은 장소. 드라세나, 테이블 야자, 베고니아, 세인트폴리아, 프리뮬러, 콜레우스, 시네나리아, 양란 등은 창가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식물. 창이란 원래 밝음을 취하는 장소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내가 어두워지지 않도록 식물의 높이를 배려해야 한다. 또한 초화 등의 분화를 놓는 경우에는 깨끗한 플라워 박스나 플랜터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효과는 배가 된다. 하지만 겨울의 창가 식물은 일상 관리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창 틈은 온도 변화가 심하여 밤에는 기온이 뚝 떨어져 한낮의 온도와 차이가 나므로 고온성 식물은 피한다.
관리가 수월한 반음지 식물과 향기 나는 난의 조화 초록의 기운이 물씬 느껴지는 이 공간의 또 다른 매력은 향. 들어서는 순간 달콤한 향이 코끝을 즐겁게 한다. 초록 식물 사이에 풍란과 서양란, 카사블랑카를 곁들인 것. 흙으로 구운 컵에 작은 풍란을 심었는데, 방안 가득 기분 좋은 향을 내뿜는 것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향기 있는 방으로 컨셉트를 잡았다.
1. 주방 창가, 정화력 강한 화초 따뜻해서 식물이 자라기 좋은 주방 창틀에 푸미나와 스파트 필름 화분을 빼곡히 채워 풍성한 느낌을 살렸다. 주방은 사람의 움직임이 많은 공간이므로 너무 크고 강한 식물은 피할 것. 정화력이 강한 스파트 필름, 벤저민, 고무나무 등은 요리를 하면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와 이산화황, 음식 냄새를 없애주는 역할도 한다.
2. 어두운 작은 방 창가, 광량에 맞는 식물 배치 베란다가 막고 있어 해가 거의 들지 않는 작은 방. 한식 격자창으로 되어 있는데, 창가의 반은 해가 들고 반은 해가 들지 않는다. 이러한 광량의 차이에 적합한 식물을 구분해서 배치하는 것도 그린 인테리어의 포인트. 창에 가려서 해가 들지 않는 곳에는 스파트 필름을, 창을 열면 해가 드는 쪽에는 바이올렛, 좁쌀난, 베고니아를 놓았다. |
출처 : [여성중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