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현 웅변, 바이올린 전문교육원 원문보기 글쓴이: 목련나무
민음표 |
길이(
|
민쉼표 | ||
이름 |
모양 |
모양 |
이름 | |
온음표 |
|
∥――∥――∥――∥ ――∥ (4박) |
|
온쉼표 |
2분 음표 |
|
∥――∥――∥ (2박) |
|
2분 쉼표 |
4분 음표 |
|
∥――∥ (1박) |
|
4분 쉼표 |
8분 음표 |
|
∥―∥ (1/2박) |
|
8분 쉼표 |
16분 음표 |
|
∥∥ (1/4박) |
|
16분 쉼표 |
32분 음표 |
|
∥·∥ (1/8박) |
|
32분 쉼표 |
(2) 점음표와 점쉼표
1) 점음표 - 음표의 오른쪽에 작은 점이 붙은 음표를 말하며, 이 점은 앞 음표의 절반의 길이를 더하여 갖는다.
2) 점쉼표 - 점음표와 같은 길이를 갖지만 잘 쓰이지 않는다.
점 음 표 |
점 쉼 표 | ||
점온 음표 |
|
점온 쉼표 |
|
점2분 음표 |
|
점2분 쉼표 |
|
점4분 음표 |
|
점4분 쉼표 |
|
점8분 음표 |
|
점8분 쉼표 |
|
※ 박자에 관계없이 한 마디의 전체를 쉴 때는 온쉼표를 쓴다.
3) 겹 점음표와 겹 점쉼표 - 음표(쉼표)의 오른쪽에 작은 점이 2개 붙어 있는 음표(쉼표)로서 뒤의 점은 앞점의 ½의 길이이다.
(3) 음표와 쉼표의 적기
1) 음표는 셋째 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위의 음은 기둥(대)을 아래로 적고 둘째 칸 음 이하는 위로 적는다. 기둥의 길이는 한 옥타브의 길이가 좋다. 쉼표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4) 잇단음표
1) 셋잇단음표 - 본래 2등분해야 할 음표를 3등분 한 것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2) 두 잇단음표 - 3등분해야 할 음표를 2등분한 것으로, 셋잇단음표와 반대이다.
4. 박자와 리듬
(1) 세로줄과 마디
1) 세로줄 - 보표 위에 셈여림표를 나타내기 위하여 세로로 그은 줄
2) 마디 - 세로줄과 세로줄 사이
3) 겹세로줄 - 악곡의 중간에 '조'나 '박자'가 바뀔 때, 또는 악곡의 단락을 나타낼 때 쓰이는 두 개의 세로줄을 겹세로줄이라 하고 악곡이 완전히 끝날 때 오른쪽이 굵게 표시되는 겹세로줄은 끝 세로줄 또는 마침표라고 한다.
(2) 박자와 박자표
1) 박자 - 일정한 사이를 두고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셈여림을 말하며, 센박과 여린박으로 나뉜다.
2) 박자표 - 조표 다음에 쓰이는 분수 모양이나 C등으로 한 마디 안에 들어 있는 박자의 수를 지시한다.
4···♩가 한마디 안에 4개 6 ··· ♪가 한 마디 안에 6개
― ―
4···한 박자 길이의 음표가 ♩ 8 ··· 한 박자 길이의 음표가 ♪
3) 여러 박자표의 셈여림
2박자 계통
3박자 계통
4박자 계통
6박자 계통
4) 박자표의 여러 가지
(3) 박자의 갈래
갈래 |
2박자 계통 |
3박자 계통 |
4박자 계통 |
박자 젓기 |
홑박자 |
2/2, 2/4, 2/8 |
3/2, 3/4, 3/8 |
4/2, 4/4, 4/8 |
민음표를 한 박으로 하여 박자 젓기 한다. |
겹박자 |
6/2, 6/4, 6/8 |
9/2, 9/4, 9/8 |
12/2, 12/4, 12/8 |
점음표를 한 박으로 하여 박자 젓기 한다. |
섞임 박자 |
5/4(2/4+3/4, 3/4+2/4), 7/4(3/4+4/4, 4/4+3/4) |
여러 종류의 박자 젓기를 섞어서 박자 젓기를 한다. |
(4) 셈여림의 바뀜(당김음)
1) 리듬 변화에 의한 당김음 - 한마디 안에서 박자의 분할에 의하여 강박과 약박이 바뀌는 것으로서 이 경우 약박이 강박이 된 것을 당김음(Syncopation, 싱코페이션) 이라고 한다.
2) 붙임줄에 의한 당김음
3) 기호에 의한 셈여림의 바뀜
4) 쉼표에 의한 셈여림의 바뀜
(5) 갖춘마디와 못갖춘마디
1) 갖춘마디 : 모든 마디가 박자표대로 박수가 갖추어진 마디이며, 센박으로 시작되므로 샌내기라 한다.
2) 못갖춘마디 : 박자표대로 박수가 갖추어지지 않은 마디이며, 여린박으로 시작되므로 여린내기라 한다. 악곡의 첫째 마디와 끝 마디의 박자 수를 합하면 갖춘마디가 된다.
※ 3/4박자와 6/8박자의 비교
(3/4박자는 한 마디가 3등분 되고, 6/8박자는 한 마디가 2등분 된다.)
4분의 3박자와 8분의 6박자는 한 마디 안에 들어가는 음표의 길이가 같으므로 형태를 구분해야 한다.
(6) 박자 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