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윤 저, 대학도서관경영론, 완전개정판
제7장 가구, 설비의 계획과 관리
제4절 공조시설
4.2 공조의 관리와 대책
4.2.1 온도 및 습도의 관리 pp.361-362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에너지 절약 차원의 권장 실내온도 등등에 관한 것은 아닙니다. 그냥 일반적인 도서관의 온습도에 대한 얘기입니다.
* 대한민국 각급 도서관 표준 온/습도의 범위 - 온도 20±3℃, 습도 50±10%
- 출처 : 한국도서관기준(한국도서관협회, 2003)
* 종이기록물의 보존환경 유지기준 - 온도 18-22℃, 습도 40-55%(변화율은 10% 이내)
- 출처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6
* 벨야코바(L. A. Beljakova) - 서고 온도 16-18℃, 상대습도 50-60%(±5%)
* 플럼비(W. J. Plmumbe) - 서고 온도 16℃, 상대습도 40-65%(65% 넘게되면 책표지에 미세균 발생)
- 출처 : 미상, 기억나지 않음 (-_-;)
제가 근무한 규장각(보존환경이 완벽함)의 자료보존 환경입니다. 약 600년전 국보자료도 완전하게 관리하고 있는 곳입니다. 다소 기준이 엄격합니다.
특정 본존 서고에 알맞도록 자동 항온항습기 설치가 좋습니다(高價입니다만). 규장각은 전실 최적의 항온항습, 공기정화, 24시간 방제, 채광, 보존함 등 완벽 보존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작은 도서관이나 연구소는 기존 시설이나 예산이 없을 것입니다. 혹시 예산없고 보존이 급한 경우는 실평수(100m2)에 적합한 중소형 에어컨 몇대(대형보다 중소형 2-4대가 경제적, 공기청정 장치부착 필요) 및 우기철에 필요한 중형 제습기 설치(2-3대)가 필요합니다.
도서류 보존은 22-25℃, 상대습도 45-55% 적정 (계절에따라서 +- 5 ℃/% 허용할 수 있습니다), 최적은 22도씨, 상대습도 45% 입니다.
마이크로 자료, 디지털 전산자료 온도는 18-21℃, 상대습도는 40% +-5% 적정, 최적은 18도씨, 상대습도 40%입니다.
우리나라는 여름철 제습, 실외 유해공기 차단 공조기 작동, 저온에 신경을 써야하고, 좀이나 흰개미 방제, 열화로 지질변색에 유념해야합니다. 겨울철은 결빙 결로, 찬공기 유입에 유념해야합니다. 습기와 먼지는 보존의 적..늘 청결로 곰팡이 예방! 습도가 높은 계절 사무실내 정부권장 27℃는 보존서고 관리에는 다소 높은 온도입니다만 에너지 절약차원이라 어쩔수 없지만, 특히 보존할 자료는 우선순위를 정해서 따로 소규모로 관리하면 좋습니다(적정 온습도에 맞춤 가능). 보존서고는 긴옷을 입고 들어가야 할 정도로 서늘해야 합니다.
열람실이나 직원근무지는 다소 덥드라도 자료 보존실(서고)는 늘 청결하고, 낮은 온습도 유지, 열화방지를 위한 완전채광, 정기적 해중방제, 유해 공기 유입차단, 실내공기 청정을 유지 해야합니다. 다음 사이트 꼭 참조(붙임표)하세요
http://blog.naver.com/kimche27/110033423347 (표에서 *지적서고 참조)
열람실 및 자료실의 조도를 도서관 조도 기준인 300-500lux를 유지하고 불량 형광등에 대하여는 발견 1시간 이내에 교체하겠습니다.
첫댓글 이쁜 구지현 쌤... 이곳에서 만나게 되네요... 미국 세계도서관정보대회 나의 룸 메이트... 좋은 글 고마워요...
선생님 반갑습니다. 이렇게 인연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