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인구수도면적공식명칭기후민족 구성언어정부/의회형태종교화폐대륙국가번호GDP인구밀도도메인
서남아시아 카스피해 연안 |
10,462,904명 (2024년 추계) |
바쿠 |
86,600.0㎢ 세계면적순위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Republic of Azerbaijan) |
건조성기후 |
아제르바이잔인(90%), 다게스탄인(3%), 러시아인 |
아제르바이잔어 |
중앙집권공화제 / 다당제&단원제 |
이슬람교(93%), 러시아정교(3%), 아르메니아 정교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AZN) |
아시아 |
994 |
USD 45,483,000,000 |
121명/㎢ |
.az |
요약 자카프카지예 지역 동부에 있는 국가. 수도는 바쿠, 국민의 90%는 아제르바이잔인이다. 화폐는 아제르바이잔 마나트이며 시장경제체계다. 공화제로 대통령 줌심제이며 단원제이다. 보건위생 수준은 매우 양호하며 모든 교육은 무상으로 이루어지고 문맹률이 낮다.
목차접기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국기
ⓒ Paul Stringer/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련을 구성했던 15개 공화국 중 하나이다. 카프카스 산맥의 남동부에 있는 아제르바이잔은 북쪽으로 러시아, 서쪽으로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남쪽으로 이란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카스피 해를 끼고 있다.
아르메니아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나히체반 자치공화국과 분쟁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가 영토에 포함되며, 수도는 바쿠이다.
카프카스 산맥의 남동부에 있는 3개국(조지아·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가운데 가장 동쪽에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의 남쪽에는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지역이 있다.
풀스크린확대축소
아제르바이잔
자연환경
카프카스 산맥(Caucasus Mountains)
카프카스 지방의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에 있는 산맥
ⓒ Azeri / wikipedia | Public Domain
변화가 많은 자연경관이 특색이다. 영토의 40% 이상이 저지대이며 50% 정도가 해발 400∼1,500m이다. 해발 1,500m 이상 되는 지역은 전체의 10%를 조금 넘는다. 산맥의 사면은 너도밤나무·참나무·소나무 등으로 덮여 있다. 중부와 동부는 건조한 아열대성기후로 겨울은 온화하며 여름(4∼5개월)은 매우 덥고 길다.
Mount Shahdagh
아제르바이잔의 최고봉 산
ⓒ Freieck / wikipedia | CC BY-SA 3.0
국민
아제르바이잔 소수 민족
아제르바이잔 소수 민족 분포
ⓒ Maphobbyist / wikipedia | Public Domain
아제르바이잔인은 고대로부터 자카프카지예 지역에 살았던 이란인 등 기존 정착민들의 혼혈에 11세기 오구주족의 한 분파인 셀주크족이 이주해 오면서 투르크인의 혈통이 혼합되어 형성되었다. 나히체반 자치공화국은 실질적으로 모든 거주자가 아제르바이잔인들인 반면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는 3/4 이상이 아르메니아인이다. 러시아인이 인구의 6% 정도로 소수민족 가운데 가장 많다. 2024년 추계인구는 1,046만 2,904명이며, 전체 인구의 55%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15세 이하의 인구의 비율은 22.3%이다(2024).
나히체반 자치공화국(Nakhchivan Autonomous Republic)
나히체반 자치공화국 국기
ⓒ Malarz pl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경제
아제르바이잔은 1990년대초 시장경제로 전환을 선언하고 대부분의 상품가격을 자유화하고 국영기업들을 민영화했다. 반면 토지의 사유화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경작지가 전체 국토의 1/8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농산물 생산은 풍부하다. 주요 농산품은 밀·목화·포도(포도주용)·감자·담배·차 등이다. 소비에트 정권하에서 중공업의 발전에 주력한 결과 석유 및 천연 가스 산업이 크게 확대되었으며 기계·설비 제조업과 식품가공업도 주요산업으로 성장했다.
아제르바이잔 석유 산업
아제르바이잔 육상 유전
ⓒ Indigoprime / wikipedia | CC BY 2.0
20세기초에는 러시아제국 및 소련의 석유생산량 대부분을 담당했다. 그후 석유생산에 있어서 아제르바이잔의 중요성은 점차 약화되었으나 아직도 카스피 해 유전에서 연간 상당량의 석유를 생산하고 있다. 전력생산의 대부분은 화력발전에 의존한다. 다양한 공업부문 가운데 에너지 산업, 제조업, 화학공업이 가장 중요하다.
아제르바이잔의 기계
바쿠 외곽에서 오일을 추출하는 기계
ⓒ Gulustan / wikipedia | CC BY-SA 3.0
아제르바이잔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바쿠가 공업 중심지이며, 숨가이트는 철 야금업의 요지이다. 정유업을 통해 광물성 비료, 연료, 제초제, 공업용 기름, 합성고무, 플라스틱 등의 제품이 생산되며 경공업 제품으로는 면직물·모직물·신발류 및 기타 소비재 등이 있다. 항행이 가능한 강이 거의 없어 대부분의 화물은 철도로 운반된다. 그러나 카스피 해 연안의 바쿠는 해항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아제르바이잔 비자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