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피쿠로스(Épicure, Ἐπίκουρος, 전342-전270) - 정원(jardin, κῆπος)
342 에피쿠로스(Épicure, Ἐπίκουρος / Epicouros, 전342-전270) 그리스 철학자. 그는 아테네에서 태어났다(사모스 섬 출생이란 설도 있다). 아버지는 이 섬의 아테네 시민으로 식민지 경영자들의 일원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어린 시절을 사모스 섬에서 보냈다. 사모스 섬의 북쪽에 있는 콜로폰으로 갔다.
[321까지 머물렀다는 설도 있다, 그리고 여기서 데모크리토스의 제자인 나우시파네스(Nausiphane de Téos Ναυσιφάνης; 전325 활동)에게 배웠다.
323[열여덟] 아테네로 돌아왔다. [알렉산드로스 세상을 뜬 해이다]
321 [스물하나] 미틸렌(Mytilène, Μυτιλήνη)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
310-306 람프사코스(Lampsaque, Λάμψακος)에 있었으며, 여기서 메트로도로스(Métrodore, Μητρόδωρος, 전331–277), 콜로테스(Colotès, Κολώτης Λαμψακηνός 전320경- 268), 이도메네우스(Idoménée, Ἰδομενεύς, 전325-270)를 만났다.
306 마케도니아 장군인 데메트리오스 1세(Démétrios Ier, Δημήτριος Αʹ, 전336-283)에 의해 아테네가 속국에서 해방된 해이라 한다.
306년[서른다섯]에 아테네 성벽 밖에 “정원”(jardin, κῆπος)에서 에피쿠로스학파를 세웠다.
정원을 팔십 민(80 mines)으로 구입했다.
270[일흔둘] 에피쿠로스(Épicure, Ἐπίκουρος, 전342-전270) 세상을 뜨다.
* 케포스(정원) 학파 학당장, 307–271 Epicurus
271–250 헤르마르코스(Hermarque Ἕρμαρχoς, 전325경-전250경)
250–215 폴리스트라토스(Polystrate, Πολύστρατος ?-전219-218경)
215–201, 3대 디오뉘시오스(Dionysios de Lamptrée, Διονύσιος
201–??? 4대 바실레이데스(Basilides Βασιλείδης, c. 250 – c. 175 BC
c. 175 테스피스(Thespis Θέσπις, ?-?)
???–100 아폴로도로스(Apollodorus Ἀπολλόδωρος fl. 2nd century BC),
100–75 제논(Zeno of Sidon Ζήνων ὁ Σιδώνιος; c. 150 – c. 75 BC
75–70 파이드로스(Phèdre épicurien, Φαῖδρος; 전138– 70/69)
70–??? 파트론(Patron l'Épicurien, Πάτρων, ?-?)
* 관련연표: 퀴레네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570 테오그니스(Théognis de Mégare, Θέογνις, 전570-485) 540년 활동, 시인, 애가 시인.
55?파르메니데스(Parménide d'Élée, Παρμενίδης, 전6세기-전5세기), 그리스 철학자, 피타고라스학파 그리고 엘레아학파.
490 제논(Zénon d'Élée, Ζήνων, 490경-430경) 그리스 철학자. 엘레아학파.
490 엠페도클레스(Empédocle, Ἐμπεδοκλῆς, 전490경-430경) 시실리출신 그리스 철학자, 시인 기술자, 의사.
469 소크라테스(Socrate, Σωκράτης, 전470/469-전399) 그리스 철학자.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d'Abdère, Δημόκριτος, 전460경-370경), 그리스 철학자, 유물론자.
435 아리스티포스(Aristippe de Cyrène, Ἀρίστιππος, 전435-356) 퀴레네 학파, 399년에 퀴레네 학당을 세웠다. 딸이 승계했다. 윤리학에 헤도니즘(l'hédonisme, 즐김주의 쾌락주의)를 결합시켰다. 그의 딸 아레테(Arété de Cyrène Ἀρετή)도, 그의 손자 아리스티포스(Aristippe le Jeune)도 이 학파 학자이다.
- 아리스티포스의 계승자들이 마땅한 인물이 없다. 에피쿠로스로 이어가기에는 둘 사이가 100년 정도라, 에피쿠로스가 직계라고 보기가 어렵다. 에피쿠로스를 데모크리토스에 연결하는 이유가 있을 것 같다.
428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전428-전348) 아테네 철학자.
370? 나오시파네스(Nausiphane de Téos, Ναυσιφάνης; 전4세기-3세기경, 전325경 활동) 고대 회의주의 철학자이며, 수사학자. 데모크리토스(전460경-370경)와 퓌론(전360경–270경)의 제자. 에피쿠로스(전342-전270)의 스승.
356 알렉산드로스 대왕(Alexandre le Grand, Ἀλέξανδρος ὁ Μέγας ou Alexandre III de Macédoine, Ἀλέξανδρος Γ' ὁ Μακεδών 전356-323) 마케도니아 왕, 원정중 바빌론(현 이라크)에서 죽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342 에피쿠로스(Épicure, Ἐπίκουρος / Epicouros, 전342-전270) 그리스 철학자. 306년에 정원(jardin, κῆπος)에 에피쿠로스학파를 세웠다. 자연학에서는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을 지지했다. Principles opinions, De La Nature (Peri phuseos)
340 폴뤼아이노스(Polyaenus, Πoλύαινoς 전340경–278), 그리스 수학자, 에피쿠로스의 친구 On Definitions, On Philosophy
340 테오도로스(Théodore de Cyrène, Θεόδωρος), 아프리카 리비아에 있는 퀴레네 출신이지만, 퀴레네 학파와 무관하다. 수학자로서 퓌타고라스학파에 속한다. 무리수들의 계열 발견자: 자승의 근을 통한 나선형의 발견. 신기(神氣) 있는 테오도로스(Théodore le Divin (전340경-전250경),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측근.
34? 프락시파네스(Praxiphane, Πραξιφάνες, 기원전4세기-3세기초), 뮈틸레네 출생, 소요학파철학자, 문법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제자인 테오프라스토스(전372-288)의 제자이자 친구이다.
335 제논(Zénon, Ζήνων, 전335-264), 퀴프로스(Chypre, Κύπρος)의 키티움(Cition, gr. Κίτιον, lat. Citium) 출신, 스토아학파의 창시자. 크라테스에게 배웠다. (아리스토텔레스 사망시 제논은 3살, 디오게네스(87살에 사망) 사망시 제논 12살이었다.) / 므나세아스(Mnaseas Μνασέας, s.d.)의 아들.
331 메트로도로스(Métrodore de Lampsaque (le Jeune), Μητρόδωρος, 전331–277), 에피쿠로스파 철학자.
325 헤르마르코스(Hermarque de Mytilène, Ἕρμαρχoς, "reign of Hermes" 전325경-250경) 에피쿠로스 제자이며 정원학당의 초대학장. 엠페도클레스에 반대하여(Έπίστολίκα περί Εμπεδοκλεους: Contre Empédocle(22권), 학문들에 대하여(Περί των μαθηματων : Des sciences,
325 이도메네우스(Idoménée, Ἰδομενεύς, 전325경-270) 에피쿠로스 친구 겸 제자.
320 콜로테스(Colotès de Lampsaque, Κολώτης Λαμψακηνός, 전320경- 268) 에피쿠로스 제자. 에피쿠로스가 부드러운 이(Koλωτάρας)라 불렀다고 한다.
31? 헤로도토스(Hérodote, Ἡρόδοτος, s.d.)[전3세기경] 에피쿠로스 제자. 편지교환. - [동명이인: 헤로도토스(Hérodote, Ἡρόδοτος 전480경-425경) 그리스 역사학자 지리학자.]
31? 레온테우스(Léontée de Lampsaque, Λεοντεύς 전 3세기경, 에피쿠로스학파 철학자. 테미스타(Themista)의 남편, 스트라본(Strabon)에 의하면 람프사케노스(Λαμψακηνός)에서 가장 능란한 사람이라 한다.
31? 메노이케우스(Ménécée ou Ménœcée, Μενοικεύς, s.d.) 에피쿠로스의 편지 “La Lettre à Ménécée”
31? 퓌토클레스(Pythoclès, Πυθοκλής, s.d.) [전3세기경] 에피쿠로스 제자. 편지교환. La Lettre à Pythoclès (Ἐπιστολὴ πρὸς Πυθοκλήν en grec ancien)
290? 폴리스트라토스(Polystrate, Πολύστρατος ?-전219-218경) 철학자, 에피쿠로스학파의 헤르마르코스(Hermarque de Mytilène)를 이어서 정원의 2대 학장, 활동(250-219). Du mépris irraisonné(Du Mépris déraisonnable des opinions populaires), De la Philosophie
281 크뤼시포스(Chrysippe de Soles, Χρύσιππος / Khrýsippos, 전281-205) 아테네에서 제논의 제자 클레안테스에게 배웠다. 스토아학파 철학자. 스토아2대 학장, 계승자는 타르소스 출신 제논(Zénon de Tarse, Ζήνων Ταρσός, Zeno of Tarsus, 전성기 200)[전250-185]이다.
155 제논(Zénon de Sidon, 전155경-75경) 시돈출신, 에피쿠로스학파의 제논, 키케로와 동시대인. 목적들(Des Fins). 당대 아테네의 두 스승들 중 하나였다. 다른 하나는 Philodème de Gadara.
15? 데메트리오스(Démétrios Δημήτριος) / Demetrius Lacon or Demetrius of Laconia 전 2세기 후반) 에피쿠로스 철학자. 시돈의 제논(Zeno of Sidon)보다 나이 많고 필로다모스(Philodemus)의 스승이다. 헤르쿨라네움(Herculaneum)에서 여러 저술이 파피루스로 발굴되었다.
110 필로데모스(Philodème de Gadara, Φιλόδημος ὁ Γαδαρεύς, 전110경-전40경) 가다레우스(현 요르단) 출신 에피쿠로스 학자, .
106 키케로(Cicéron, Marcus Tullius Cicero, 전106-전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De inventione, 84, In Verrem: Contre Verrès, 70), De Republica (De la République), 54, De Legibus: Des lois, 52, De Oratore: De l'Orateur, 55, 스토아의 파라독스들(Paradoxa Stoicorum (Paradoxes des stoïciens) 46), 루쿨루스, 즉 아케데미아 전편, 아카데미아 후편(Lucullus ou Academia Priora ; Academia Posteriora, mai 45, 좋은 것들과 나쁜 것들에 목적에 관하여(De finibus bonorum et malorum (Sur la fin des bonnes et mauvaises choses) 45, 예언에 대하여(De divinatione: De la divination, 44, Tusculanes, en lat. Tusculanae disputationes, 45)(대화체, 스토아주의 설명),
98 루크레티우스(Lucrèce, Titus Lucretius Carus, 전98-55) 에피쿠로스학파 로마 시인, 철학자. 사물의 본성(De rerum natura)(De la nature des choses)
04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전4년-후65) 로마 제국 시대의 정치인, 사상가, 문학자, 황제 네로의 스승이었다. 「Lettres à Lucilius, lat.: Epistulae morales ad Lucilium」(말년인 63-64년 편지로서 124편이 실려있다.) [Lucilius le Jeune, 1세기경 인물, 네로통치 시기에 시실리 총독이었다. 에피쿠로스파의 신도인 루키리우스를 세네카가 스토아로 전향시키기 위해 편지를 썼다.]
O
46 플뤼타르코스(Plutarque, Πλούταρχος, 46-125경) 그리스 출신 로마의 철학자, 전기작가, 사상가. Œuvres morales, Ἠθικὰ, en lat. Moralia), 「Contre Colotès (Προς Κωλώτην): 원제목: Contre Colotès pour défendre les autres philosophes.」, 「스토아학파의 모순들에 관하여(Sur les contradictions stoïciennes」
08? 아에티우스(Aétius, Aetius le Doxographe, 후 1세기에서 2세기) 로마시대의 그리스 학설사가, 작가. Placita philosophorum(= Opinions des philosophes), in Hermann Diels, Doxographi Græci (Berlin, 1879, rééd. 1965), p. 267-444 (en grec).
100k 디오게네스(Diogène d'Œnoanda, Διογένης ὁ Οἰνοανδεύς, 2세기경) 그리스 에피쿠로스 학자, 현 터키지역 외노안다 도시의 주랑의 벽에(80미터) 에피쿠로스 철학의 요약을 새긴 자.
150? 섹스투스(Sextus Empiricus, Σέξτος Ἐμπειρικός, 2-3세기활동) (iie et iiie siècles après J.-C.) 회의주의 철학자, 경험 의학 학파의 의사. Contre les professeurs (Pros mathêmatikous / Adversus Mathematicos : contre les savants)
150 클레메스(Clément d’Alexandrie, Κλήμης ὁ Ἀλεξανδρεύς 150-215) 아테네 출신 호교론자. 교부 철학자. Les Stromates, Στρώματα ou Stromateis, Στρωματεῖς, « Mélanges »)(3부작의 셋째저술)
165 엘리앙/아일리아노스(Claude Élien. Κλαύδιος Αἰλιανός, 165/175-235), 로마의 지방(Palestrina) 출신, 역사가, 동물학자, 연설가. 시인 여러 역사들(Histoires Diverses)
20?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234 포르피리오스(Porphyre de Tyr, 234–310경) 네오플라톤주의, 플로티노스의 제자. 논리학 저술인Isagogè(268경), 스승의 저술 Ennéades를 편집하고 301년에 Vie de Plotin(vers 301)를 썼다. Lettre à Marcella, (마르셀라, 생몰 알 수 없음)
25?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250 락탄스(Lucius Caecilius Firmianus, dit Lactance (du latin Lactantius), 250-325), 크리스트교의 수사학자이자 호교론자이다. 그의 크리스트교 학설을 잘 확인되지 않았지만, «크리스트교인 키케로(Cicéron chrétien) »라 불렸다. Institutions divines(6권, 321경)
354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 d'Hippone, 354-430) 로마시대 철학자, 신학자.
40?-? 스토바이오스(Jean Stobée, Ἰωάννης ὁ Στοβαῖος / Joannes Stobæus, 원명 Stobi (Macédoine) 5세기 중엽활동 이교도이며, 학설사가 편집자. Anthologie 여기에는 많은 단편들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없는 것이 있다. 자연학과 윤리학 선집(Eclogæ physicæ et ethicæ), 철학선집(Eclogae philosophorum(1575 출판) Florilegium, ou Sermones (fr. Florilège)(1536년 첫 출간)
48? 스토바이오스(Jean Stobée, Ἰωάννης ὁ Στοβαῖος / Joannes Stobæus, 원명 Stobi (Macédoine) 5세기 중엽활동 이교도이며, 학설사가 편집자. Anthologie 여기에는 많은 단편들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없는 것이 있다. 자연학과 윤리학 선집(Eclogæ physicæ et ethicæ), 철학선집(Eclogae philosophorum(1575 출판) Florilegium, ou Sermones (fr. Florilège)(1536년 첫 출간)
490 심플리키우스(Simplicius ou Simplice, Σιμπλίκιος ὁ Κίλιξ), 490-560) 아테네에서 활동,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와 에픽테투스 주석가. Commentaires sur la Physique d'Aristote, édi. par Hermann Diels : In Aristotelis Physica commentaria
**연관자
685 아슈르바니팔, 사르단나팔로스(Assurbanipal, Sardanapale, Sardanapalos 전685경–전627년) 고대 아시리아의 마지막 왕(통치: 전669-627). 그의 통치 기간에 아시리아는 군사적뿐만아니라 문화적으로도 최전성기였고, 니네베에 최초의 체계적인 아슈르바니팔도서관을 세운 것으로 유명하다.
「사르단나팔루스의 죽음(La Mort de Sardanapale, 1827)」: 들라크르와(Eugène Delacroix, 1798-1863)의 작품.
356 알렉산드로스 대왕(Alexandre le Grand, Ἀλέξανδρος ὁ Μέγας ou Alexandre III de Macédoine, Ἀλέξανδρος Γ' ὁ Μακεδών 전356-323) 마케도니아 왕, 원정중 바빌론(현 이라크)에서 죽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336 데메트리오스 1세 (Démétrios Ier, Δημήτριος Αʹ, ou Démétrios Poliorcète, Δημήτριος ὁ Πολιορκητής, 전336-283) 마케도니아 장군, 아시아 왕(306-301)을 지내고 난 뒤 마케도니아왕(294 à 288)을 지냈다.
244 프롤레마이오스 4세(Ptolémée IV Philopatôr, Πτολεμαῖος Φιλοπάτωρ, 244-204)[재위 222-204],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왕. 마케도니아의 라고스(Lagos, Λαγός) 장교의 가계.
155 시돈의 제논(Zénon de Sidon, 전155-전75) 에피쿠로스학파. 필로데모스(Philodème de Gadara)와 마찬가지로 아테네에서 키케로의 스승들 중의 하나였다.
106 키케로(Cicéron, Marcus Tullius Cicero, 전106-전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De inventione, 84, In Verrem: Contre Verrès, 70), De Republica (De la République), 54, De Legibus: Des lois, 52, De Oratore: De l'Orateur, 55, 스토아의 파라독스들(Paradoxa Stoicorum (Paradoxes des stoïciens) 46), 루쿨루스, 즉 아케데미아 전편, 아카데미아 후편(Lucullus ou Academia Priora ; Academia Posteriora, mai 45, 좋은 것들과 나쁜 것들에 목적에 관하여(De finibus bonorum et malorum (Sur la fin des bonnes et mauvaises choses) 45, 예언에 대하여(De divinatione: De la divination, 44, Tusculanes, en lat. Tusculanae disputationes, 45)(대화체, 스토아주의 설명),
71 베르길리우스(Virgile, Publius Vergilius Maro, av.71-19) 라틴시인. 에피큐로스 학파의 철학자 시론(Siron)으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그의 종교적 입장은 초기에 에피큐로스주의에서 혼이 몸에 존재한다고 보는 신비적 플라톤주의로 바뀐다. 에네이스(Énéide, en lat. Aeneis 아에네이스(L’Énéide en lat. Aeneis)[ 트로이 전쟁후, 아이네이아스(Énée, Αἰνείας)의 시련을 그린 시]
04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전4년-후65) 로마 제국 시대의 정치인, 사상가, 문학자, 황제 네로의 스승이었다. 「Lettres à Lucilius, lat.: Epistulae morales ad Lucilium」(말년인 63-64년 편지로서 124편이 실려있다.) [Lucilius le Jeune, 1세기경 인물, 네로통치 시기에 시실리 총독이었다. 에피쿠로스파의 신도인 루키리우스를 세네카가 스토아로 전향시키기 위해 편지를 썼다.]
O
80 ? 아에티우스(Aétius, Aetius le Doxographe, 후 1세기에서 2세기) 로마시대의 그리스 학설사가, 작가. Placita philosophorum(= Opinions des philosophes), in Hermann Diels, Doxographi Græci (Berlin, 1879, rééd. 1965), p. 267-444 (en grec). ]
1592 가상디(Pierre Gassendi, 1592-1655) 프랑스 수학자, 철학자, 신학자, 천문학자. 연사론(連辭論)(Syntagma philosophiae Epicuri, 1649)
1818 맑스(Karl Marx, 1818-1883), 독일 철학자, 정치경제학자. 공산주의자. Differenz der demokritischen und epikureischen Naturphilosophie, 1841 .
1828 랑게(Friedrich-Albert Lange, 1828-1875) 독일 역사가, 철학자. 신칸트학파. 유물론의 역사(Geschichte des Materialismus und Kritik seiner Bedeutung in der Gegenwart, 1866)
1834 우제너(Hermann Karl Usener, 1834–1905) 독일 문헌 학자, 비교종교학자. Epicurea (1887) Principales opinions, XXIII (Usener, Eicucurea, 1887, pp. 77),
1848 브로샤르(Victor Brochard, 1848-1907) 프랑스 철학자. 고대철학사 전공. 1900년 도덕 정치 아카데미 회원.
1848 딜스(Hermann Alexander Diels, 1848-1922) 독일 문헌학자. 고대철학 전공, 그리스 학설(사)(Doxographi Graeci, 1879), 소크라테스 이전철학자들의 단편(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1903).,
1850 주와요(Emmanuel Joyau, 1850-1924), 끌레르몽-페랑 문학교수, 고대철학 전문가. 에피쿠로스(Épicure, 1910)
1853 토마(Félix Thomas, 1853-1920) 프랑스 철학자. De Epicuri canonica, 1889.
1854 기요(Jean-Marie Guyau, 1854-1888) 프랑스 철학자, 시인. 프랑스인 니체(« Nietzsche français »)라 불린다. .
1856 아믈랭(Octave Hamelin, 1856-1907) 프랑스 철학자. 르누비에 연관.
1866 로방(Léon Robin, 1866-1947) 프랑스철학자, 그리스철학 전문, 소르본에서 고대철학사 교수. La Pensée grecque et les Origines de l'esprit scientifique, 1923(480 p). 박사학위 논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라서, 이데아들과 수들에 대한 플라톤 이론(La Théorie platonicienne des Idées et des nombres d'après Aristote, 1908), 헬레나 사유, 기원에서 에피쿠로스까지(La Pensée hellénique, des origines à Épicure, 1942).
1871 벨리(Cyril Bailey, 1871–1957) 영국 고전문헌학자. 에피쿠로스: 정확한 교정(Epicurus: The Extant Remains, 1926).
1875 솔로빈(Maurice Solovine, 1875–1958) 루마니아 철학자, 수학자. 아인슈타인과 편지교환으로 알려졌다.
1876 드위트(Norman Wentworth DeWitt, 1876-1958) 카나다 철학자. 토론토에서 석사, 미국서 박사(“The Dido Episode in the Aeneid of Virgil”, Chicago, 1907), Epicurus and His Philosophy(Minneapolis, 1954)
1879 에르누(Alfred Ernout, 1879-1973) 프랑스 라틴문헌 전공, 문법학으로 교수자격. De la nature de Lucrèce(traduction et édition critique commentée (1916-1920),
1879 빅노네(Ettore Bignone, 1879–1953) 이탈리아 고전 문헌학자, 문필가. 에피쿠로스 연구자. L'Aristotele perduto e la formazione filosofica di Epicuro, Firenze, La Nuova Italia, 1936.
1881 보그리아노(Achille Vogliano, 1881–1953) 이탈리아 고대 그리스연구가, 파피루스연구자. Epicuri et Epicureorum scripta in Herculanensibus papyris servata, 1928
1883 뮐(Friedrich Leonhard „Fritz“ von der Mühll, 1883-1942), 스위스 바젤에서 고전문헌학 공부, 스위스 고대역사가, 고등학교 교사. / 동생: 1885 뮐(Peter von der Mühll, 1885-1970) 스위스 고전문헌학자.
1884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 프랑스의 철학자로, 과학, 시, 교육, 시간에 관한 철학을 연구했다. 원자론적 직관들(Les intuitions atomistiques: essai de classification, 1933) 공기와 몽상(L'Air et les Songes: Essai sur l'imagination du mouvement, 1943)
1898 하링거(Jakob Haringer, 1898-1948) 드레스덴 출생, 독일 작가.
1898 페스티지에르(André-Jean Festugière, 1898-1982), 프랑스 철학자, 도미니크 수도사, 후기 고대철학 전문가.
1899 운터슈타이너(Mario Untersteiner, 1899–1981) 이탈리아 그리스어 문헌학자. 철학사가.
1900 로쇼(Bernard Rochot, 1900-1971) 프랑스 과학의 역사가. 17세기 전공. Pierre Gassendi, 1592-1655, sa vie et son œuvre, 1955.
1900 봐양세(Pierre Boyancé, 1900-1976) 프랑스 대학교수, 라틴 그리스 문학전문, Epicure et M. Sartre, Revue philosophique, 1953, p. 426.
1902 디아노(Carlo Alberto Diano, 1902–1974), 이탈리아의 그리스어 학자. 고전 문헌학자, 번역가. Lettre di Epicuro e dei suo, 1946
1905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 프랑스 철학자. 교수자격(1928년 논술탈락, 1929년 1등)
1906 알피에리(Vittorio Enzo Alfieri, 1906–1997), 이탈리아 철학자, 반파시즘,
1912 지공 (Olof Alfred Gigon, 1912-1998), 스위스 고전문헌학자. 철학사가.
1919 브룅(Jean Brun, 1919-1994), 프랑스 철학자, 디종 대학교수, Épicure et les Épicuriens, 1961(Textes choisis par J. Brun)
1920 그릴리(Alberto Grilli, 1920–2007), 이탈리아 라틴전공 고전철학자. Diogenis Oenoandensis Fragmenta recensuit Albertus Grilli, Milano-Varese, Istituto editoriale cisalpino, 1960 / ALFIERI V. E. e UNTERSTEINER M., "Studî di filosofia greca" [Book Review]. M. Schiavone · Rivista di Filosofia Neo-Scolastica 44:175 (1952).
1927 베스트만(Rolf Rainer Otto Robert Westman, 1927-2017), 핀란드의 고대문헌학자, 철학사가. Plutarch gegen Kolotes: Seine Schrift „Adversus Colotem“ als philosophiegeschichtliche Quelle. Helsingfors 1955.
1928 아리게띠(Graziano Arrighetti, 1928–2017) 이탈리아의 고전문헌학자, 그리스어학자. 번역가. Opere di Epicuro, 1963.
1929 브룅슈빅(Jacques Brunschwig, 1929-2010), 프랑스 대학교수, 철학사가, 문헌학자, 번역가 .
?-? 메르바흐(Friedrich Merbach, s.d.) 독일 연구자. 학위논문: De Epicuri canonica, dissertation, Weida, 1909. [Karl Friedrich Merbach.]
*
1965 강상진(姜相溱, 1965-) 서울대 서양고중세철학. <Praedizierbarkeit des Akzidens. Zur Theorie der denominativa (nomina sumpta) in Kategorienkommentar Abailards, Albert - Ludwigs Univ. Freiburg, 2000, Klaus Jacobi.>
(5:06, 56QLC) (5:37, 56RLD) (6:13, 57VLI) (7:41, 58LL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