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학교와 슈퍼바이저 공부 모임 학습 과정이 동일합니다.
3월에 공부할 내용을 각자 이메일로 미리 보냈습니다.
3월에는 아래 원고를 읽고 오기만 하면 됩니다.
따로 써올 과제는 없습니다.
('사회사업가인 나'는 모임 전, 미리 보내주세요.)
첫 모임에서는 이번에 보낸 원고 외에 다른 원고를 볼 수도 있습니다.
노트북을 준비해주세요. PDF 파일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패드를 가져와도 됩니다.
첫 모임은 미리 보낸 원고를 바탕으로 사회사업 기본 개념을 공부합니다.
과제를 읽고 당일 해석을 듣고 나면
사회사업은 어떤 일이며, 사회사업가는 누구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겁니다.
1강 공부 뒤 4월 두 번째 만날 때까지 과제는,
1) 1강 공부 내용을 정리하여 사회사업 개념을 정의합니다. 이를 글로 작성합니다. 자기 말로 표현합니다.
2) 지금 현장에서 맡고 있는 일 가운데 하나를 그 개념에 들어맞게 빗대어 설명합니다.
2강은 각자 작성해 온 과제를 읽고 나누고 보태며 공부합니다.
동료들에게 자기 과제를 공유하고, 낭독합니다.
이렇게 두 달에 걸쳐 사회사업 개념을 학습하고, 공부 과정을 정리합니다.
3강에서는 다른 주제를 다룹니다.
2강까지 마친 뒤 그 즈음 3강에서 무엇을 다룰지 안내하겠습니다.
1강 과제
<통합과 융합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 , 22쪽
<사회복지실천론>(최옥채)에서 '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이해' 18쪽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에서 '사회복지 전문직의 영역' 13쪽
<사회복지사를 위한 실천 이론>에서 '체계이론 세 가지 흐름' 36쪽
<구성주의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에서 '사회복지 실천과 전문성' 22쪽
<Social Work Methods> 6쪽
총 117쪽 분량입니다.
정신을 잃은 뒤 깨어나면 '나는 누구, 여긴 어디'를 생각합니다.
'사회사업가'가 누구인지에서 공부를 시작합니다.
이것을 선명하게 정리하면, 현장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은 별 것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답답한 현실에서도 여유를 찾게 될 겁니다.
지금 일하는 그곳에서, 그 일에서 조금씩 이뤄갈 용기.
용기는 학습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슈퍼바이저 공부 모임
지선주 군포시장애인복지관 부장
윤선미 성남시한마음복지관(장애인복지관) 팀장
문혜진 미추홀장애인복지관 팀장
장경호 대전 대덕종합사회복지관 팀장
김은진 군포송부종합사회복지관 과장
박선미 안산시장애인복지관 팀장
박상빈 김제사회복지관 과장
청년 사회복지사 사회사업 학교
이성령 충남가정위탁지원센터 사회복지사
이지윤 대전 대덕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김혜지 휴먼임팩트 사회복지사
방소희 방화11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서주찬 군산장애인통합돌봄서비스센터 팀장
박서연 대전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이애지 공주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김단비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사
김혜지 군산나운종합사회복지관 팀장
첫댓글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공부자료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윤선미 : 확인했습니다. ^^
확인했습니다!
소장님... 원문 자료도 읽고 가야 하나요?!
그냥 오세요~
저와 함께 공부해요.
네, 확인했습니다 :)
확인했습니다:)!
확인했습니다!
바쁜 일정이어도, 즐겁게 재밌게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인했습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