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비 열전 2-1
제2대 정종(방과)의 여자들
煮豆詩 (자두시)
煮豆燃豆萁 (자두연두기)
콩깍지를 때서 콩을 삶으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가마솥 속의 콩은 울고있네
本是同根生 (본시동근생)
본래 한 뿌리에서 났건만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어찌 이리 급하게 삶아대느뇨
- 조 식 -
형님인 조비가 동생인 조식에게
죽기 싫으면 일곱 걸음 걸어가기 전에
시를 지으라고 하자 이렇게 시를 지었단다.
대체 권력이 뭐길래 그럴까?
권력이라고는 집에 있는 강아지도 내 맘대로
할 수 없는 힘없는 우리에게는 요원한 꿈이다.
형제지간에..
부자지간에..
모자지간에 그 무슨 해괴한 짓들인가?
그까짓 권력 때문에..
누구는 권력이 소태맛이라고 하는데
소태를 먹어 본 적도 없고 권력의 옆다리도
낑기지 못한 우리 눈에는 그저 미친 짓들일 뿐.
창업보다는 수성이 힘들다.
창업할 때는 힘을 모으지만 창업이 되고 나면
모두가 자기 지분을 차지하려고 난리법석이니
아귀다툼을 하는게 세랭게티의 하이애나같다.
조선왕비열전의 첫번째 주인공,
신덕왕후 강씨는 비운의 여자였다.
씰데없이 과욕을 부려서 자식들 셋도
비명횡사를 시켜 그 씨를 말려버렸다.
그냥.. '방원아! 고생했데이.
비록 내가 새 엄마지만 넌 정말 훌륭하다.
이렇게 방원이를 인정하고 칭찬한 후에,,
''내도 방번이와 방석이를 낳았으니
내 피붙이가 얼마나 소중하것냐?
내 솔직히 내 자식을 왕으로 앉히고 싶다.''
이렇게 자기의 맘을 터놓고,
''그러나 우짜냐~?
그것은 이 속좁은 아녀자의 생각이고,
공은 공이고 정은 정이 아니것냐~?
조선 창업에 니가 제일 고상혔고,
니가 고시에도 합격한 우리 이씨 집안의
재목이니 니가 다음에 대권을 이어 받어라.''
이렇게 통이 크게 양보한 다음에,
''이 새 엄마가 니하고 몇 살 차이는 아니지만,
그래도 니 아버지와 살을 부비고 살면서 니
동생 셋을 낳았으니 새엄마도 엄마가 아니겠냐?
내가 내 자식만 위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천륜이었다.
그동안 섭섭한게 있다면 이 어미를 용서하거라!''
''나는 내 혈육에 대한 대권 욕심을 버렸다.
네가 비록 돌아가신 형님의 아들이지만
내 아들이나 다름없으니 니가 용상에 오르면
돌아가신 형님도 얼마나 기뻐하겠는가?
니가 과거 급제할 때처럼...''
요렇게 감정 이입을 하고,
''내가 그리 오래 살 것 같지 않구나.
내가 눈을 감아도 우리 방번이와 방석이 그리고
경순이가 걱정이 돼서 눈을 감기가 쉽지 않구나.
방원아!
부디 대권을 잡아 용상에 오르면
우리 새끼들 잘 부탁한데이.
내 니만 믿는다.''
그러면서 방원이의 손을 살~포시
잡았으면 어찌 되었겠는가~?
그것도 쬐끔 젖은 눈망울을 하면서...
이랬다면, 이러했다면,
방원이는 하늘이 두 쪽이 나더라도
강씨 소생의 아들들을 잘 보호했을 것이다.
감동, 감화, 감격해서...
당시에는 설득의 심리학이 없어서였나?
ㅎ ㅎ ㅎ
역사나 인생사에는지 if(만약에)는 없다!
만약에 신덕왕후 강씨가 욕심을 내려놓고
마음을 비웠다면 아마도 부귀영화를
누리며 단명하지 많고 장수를 누렸을지도.
아쉽다! 아쉬워! 역사를 공부하다보면
늘 느끼는 이 아쉬움이 우리의 삶에
교훈을 주고 지혜롭게 살게 만드는 것이다.
신덕왕후 강씨와 대비되는 삶을 사신 분이
제2대 주인공인 정종의 여자, 정안왕후 김씨다.
신덕왕후와 비록 한 살 차이지만...
참 현명하신 왕후이셨다.
한마디로 좌우명이 (지분ᆞ수분ᆞ안분)이다.
지 : 분수를 알고..
지 : 분수를 지키면..
지 : 분수가 안전하다는 것이다..
정안왕후 김씨!
이런 좌우명도 필요없이 행동으로 보여준 분.
무릇 말로 백번 하는 것보다
한번이라도 행동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안왕후 김씨는 공민왕 4년(1335년)에 출생.
아버지는 경주 김씨 김천서이고
엄마는 담양 이씨였다.
담양 이씨? 좀 희귀한 이씨다.
여자를 들여올 때, 옛날 버전임,
가장 고려 대상은 친정 어머니다.
왜냐면 그 엄마에 그 딸이기 때문이다.
정안왕후 김씨를 잘 교육시킨 것으로
봐서 그렇다는 것이다.
이성계의 둘째 아들 방과와 결혼했다.
두 살 연하의 남자와...
태조 7년(1398)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방과가 세자로 책봉되자 덕빈으로 함께 책봉된다.
그리고 9월 태조가 건강(홧병?)상 이유로
하야를 하여 태상왕으로 물러나자
방과가 제2대 조선왕으로 등극했다.
남편 방과가 한 일은 무엇인가?
왕이 되기 위해 아무 한 일도 없이
방원이에 의해 허수아비 왕이 된 것이다.
김씨, 졸지에 남편이 왕이 되니 왕비가 된 것이다.
남편이 '허수아비'이니
자신은 '허수애미'이라는 걸 알았다.
즉 '실수애미'가 아닌 것을 깨달았다는 것이다.
정안왕후 김씨..
현모양처가 아니라 양처였다.
무신 소리냐 하면 자녀가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니 자신의 자녀를 위해
신덕왕후 강씨처럼 욕심을 부릴 이유가 없었다.
무소유의 철학을 터득하신 것이다.
무소유!
무소유란 무엇인가?
이것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정안왕후 김씨를 굳이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무소유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때
우리는 보다 홀가분한 삶을 이룰 수가 있다.
우리가 지니고 있는
직위나 돈이나 재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써 우리가 어떻게 사회에
공헌하고 봉사하며 살고 있는가에
따라서 삶의 가치가 결정되는게 아닐까?
우리 모두 무소유 정신으로, 맑은 가난으로,
청빈의 마음으로 여행을 했으면 좋겠네요.
내일 또 계속됩니다 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