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잔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오래살이 풀로써 전국의 어디에서나 자생하며 주로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라고 있다. 키는 40∼120cm정도되며 식물체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줄기를 따라 대생(對生), 윤생(輪生) 또는 호생(互生)하며 긴타원형 또는 둥근타원형에
길이는 4∼8cm, 폭은 0.5∼4cm 정도로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원줄기 끝에 피는데 엉성한 원추화서(圓錐花序)를 형성하며 꽃받침은 5개이고
꽃모양은 종과 같이 생겼으며 연한 보라색을 띄고 있다. 직경은 5∼6mm이고 길이는
1.3∼1.5cm 정도로 작다. 열매는 삭과로 끝에 꽃받침이 달린 채 익으며 종자는 직경이
0.3mm 정도되는 둥근 미세립이다.
유사종으로는 둥근잔대, 넓은잔대, 두메잔대, 왕잔대, 나리잔대, 진퍼리잔대, 털잔대, 당잔대,
섬잔대 등 많은 종류가 있다.
잔대는 칼슘과 비타민 A 와 C 가 풍부한 우수한 식품으로 이른 봄 싹과 뿌리를 나물로 이용하는데
무침, 장아찌, 구이, 튀김, 부침 등으로 조리하여 먹으며 특히 등산시에 싹을 뜯어
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일품이다. 맛이 달고 부드러워 산나물로 계속 전망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유망한 산채의 하나이다.
뿌리의 주성분은 더덕, 도라지와 같은 싸포닌으로 예로부터 한약명으로 사삼(沙蔘),
백사삼(百沙蔘), 남사삼(南沙蔘)이라 하여 진해, 거담, 강장제로 그리고 폐를 맑게 하고
종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재배적지 잔대는 물빠짐이 좋고 유기물이 풍부한 양지바른 산기슭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아
배수가 양호하고 걸차며 햇빛이 잘 드는 포장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포장은 미사질양토 또는 사양토가 알맞으며 가뭄이 가지 않으면서
배수가 양호한 포장을 골라야 한다.
종자준비 잔대의 종자는 개화 후 50일이면 성숙이 완료되나 숙기가 고르지 않고
종자 크기가 1,000립중이 250mg정도가 될 정도로 매우 미세하여 채종이 매우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개화 후 50일 정도 지난 10월경에 꽃대를 잘라 자루속에 넣은 다음
후숙시켜 털어서 채종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채종된 종자는 즉시 파종하거나 노천 매장후 봄에 파종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으며
이보다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베렐린 100ppm에 24시간 침지 후 파종하면
90%이상 발아시킬 수 있다. 발아조건은 25℃ 명조건이 좋은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 한가지 주의 할 점은 종자처리 전 저온에 의한 입고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종자소독을 실시하는 것인데 시판되는 지오람 또는
베노람 1,000배액에 2시간 침종한후 음건하도록 한다.
10a당 종자 소요량은 2∼3ℓ정도이다.
포장준비 파종 10일전에 본포장에 퇴비 등 기비를 고루 시용하고 경운 정지한 다음 두둑을 만든다.
잔대는 특히 토양이 과습한 것을 싫어하므로 가능한 한 두둑을 높게 하는 것이 좋으며 폭은
작업하기 적당하게 75∼90cm 정도로 하면 된다.
잔대는 이식성이 비교적 약한 식물로 알려져 있어 직파재배가 권장되고 있다.
파종은 종자처리가 된 종자에 3∼4 배량의 톱밥을 고루 섞어 혼합하여 뿌려야 균일하게 파종 할 수 있다.
파종방법은 주로 흩어뿌림을 하고 있으며 파종 후에는 얇게 복토한 후 널판지를 이용하여
가볍게 다진 다음 짚을 덮고 관수를 충분히 하여 준다. 파종 후에는 수시로 발아가 되는 것을
관찰하여 발아가 거의 되였다고 판단될 때 흐린 날을 골라 짚을 제거해 주도록 하여야 되는데
맑은 날 제거하게 되면 강한 햇빛으로 인해 어린 싹이 고사할 염려가 있다.
파종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으나 가을에는 10월 하순경, 봄에는 평지,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 고냉지에서는 4월 중순경이 알맞다.
시비방법 잔대도 도라지나 더덕과 같이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퇴비나
계분을 밑거름으로 충분히 시용한 다음 파종하는 것이 좋다. 재배년수가 3∼4년 소요되므로
파종 전 밑거름을 주는 양이 많을 수록 좋다. 10a 당 퇴비 3,000, 요소 20, 용성인비
54, 염화가리 16kg을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웃거름으로 요소 8, 염화가리 4kg을 2회에 걸쳐 나누어 준다.
2년차부터는 가을에 지상부가 말라 죽을 때 퇴비를 피복하면 월동시 동해예방과 함께
유기물 공급방법도 될 수 있다.
제초작업 잔대의 싹은 발아 후 초기에는 매우 연약하여 잡초와 경합이 되면 생존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가능한 조기에 잡초를 제거하고 보호해 주어야 된다.그러나 유묘기에 적합한 제초제는
선발된 것이 없으므로 손제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후로도 잡초의 발생을 보아 가면서 수시로
제초해야 되는데 일부 농가에서는 제초제로 데브리놀을 시용하여 효과를 보았다고
하나 아직은 공시되지 않았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물관리 잔대는 비교적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뭄에는 관수가 역시 필요하다.
발아후 봄철 가뭄이나 8월 이후 가뭄이 심할 때는 충분히 관수를 해주어야 지상부
생육은 물론 뿌리의 비대가 촉진된다. 반대로 잔대는 토양이 과습하면 뿌리가 썩어
고사하기 쉬우므로 장마철에는 배수에 철저를 기해야 하며, 두둑이 낮아져 배수로가
없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랑을 가끔씩 손질해 주도록 하여야 한다
수확 잔대는 잎줄기를 나물로 이용할 경우에는 초장이 10-15cm 정도가 될 때 수확하여
정선한 다음 2-4kg 단위로 소포장하여 출하하면 된다. 출하시가격이 낮아 판매가
곤란할 시에는 묵나물로 만들어 가격이 높을 때 100g 단위로 포장하여 출하하게 되면 효과적이다.
뿌리는 파종 2-3년 이후부터 뿌리의 무게가 20g정도 이상되면 수확할 수 있다.
수확된 뿌리는 깨끗하게 씻고 껍질을 벗겨서 건조하여 츨하한다.
식용으로는 도라지와 같이 쓰이고 있으나 앞으로는 도라지보다 수요가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유는 맛이 감미가 있고 부드러운 감을 주고 있어 젊은 세대들은 도라지나 더덕보다
더욱 선호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0a당 수량은 잎줄기로는1,300kg정도이며 뿌리는 2-3년근의 경우
1,000-1,800kg의 생뿌리를 수확할 수 있다.
|
첫댓글 아하 잔대도 종류가 많네요.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잔대찾아 삼만리~~~~ ^ ^
ㅋㅋㅋㅋ 절도해오시느라 애쓰셨습니당 ㅋ
와




징


울집에 잔대 잘 말리고 잇어요 술 담궈야
잔대 좋은 정보 감솨
좋은 정보 잘 복고 갑니다


울 엄마 잘부어서 고생하시는데, 울엄마 많이 드려야 겠어요~~
잎이 넙죽한거뚜 있씨유.
잔대의 종류가 맣군요. 잔대를 잘 배웠습니다
며칠전 산에 물보러 갔다가 캤는데 ,기냥 말라 버렸어요,, 맨으로 먹기도 그렇구해서..
잔대는 여성분들 혈액순환에 좋다고들 하든데요.. 사실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