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열매껍질이 단단해서 수분의 침투와 가스의 교환이 곤단하기 때문에 생긴다. 나. 씨눈(胚)이 휴면하고 있으므로 씨앗내의 발육이 끝나지 않은 것.
3. 임목종자의 발아가 늦어지는 원인
가. 후숙에 오랜 시일을 요하는 수종은 대개 휴면기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종자를 일정시일 낮은 온도로 처리하든가,
반대로 고온처리를 함으로써 후숙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는 과산화수소(옥시풀)액 중에 2∼3일간 침척시킴으로써 발아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후숙성인 수종의 예로서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을 들수 있다.
나. 발아조건이 적당하지 않을 때 즉 씨를 뿌린 후 너무 건조하다든가 흙을 너무 두껍게 덮어서 광선과 온도가 부족할 때
또는 발아에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수종을 봄늦게 기온이 높아진 후에 뿌릴 때를 생각할 수 있다. 느티나무, 목련, 일본잎갈나무, 스트로브잣나무는 봄에 땅 온도가 낮을 동안에 파종하면 싹이 빨리 트지만
땅 온도가 높아진 뒤에 뿌리면 싹틈이 늦어지기 때문에 해토 후 곧 뿌리는 것이 유리하다.
다. 밀껍질을 가진 옻나무 검양옻나무의 종자는 씨 껍질의 밀납 때문에 수분의 침투방해로 발아가 늦어진다. 이러한 것은 밀껍질을 유산처리 함으로써 발아가 촉진된다.
라. 씨껍질이 매우 굳어서 물과 공기가 들어 갈 수 없고 또는 씨눈이 안에서 활동을 해도 껍질을 뚫고 나오기 어려운 것은
껍질에 틈새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호도나무, 목련, 멀구슬나무, 동백나무 등이다.
마. 채종 후 기건상태로 방치하면 껍질이 말라서 돌씨가 되는 수종이 있는데
예를 들면 주엽나무, 다가시나무 등의 콩과식물이 대표적인 것이다.
4. 발아 촉진법
임목의 종자는 그 수종고유의 발아특성이 있고 대개 발아가 늦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방법으로 발아촉진을 해줌으로써 파종 후 단시일 내에 발아하게 된다.
단시일 내에 발아가 되어야만 생장촉진은 물론 솎음, 추비 등 묘포관리에 편리하게 된다. 임목종자의 발아 촉진법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가. 침수법
(1) 냉수침적법 1일내지 5일간 냉수에 종자를 담그어서 충분히 물을 빨아들이게 한후에 뿌리는 방법이다. 날마다 깨끗한 물을 갈아주거나 또는 흐르는 물 속에 종자가마니를 넣어둔다.
이 방법은 소나무, 곰솔, 잎 갈나무, 참나무류, 아까시나무, 호도나무 등의 종자에 효과적이다.
너무 오래 담구어 두면 오히려 해롭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2)온습적 저장법;25씨 정도로 종자를 모래와섞어 겨울을 지나면 발아가 좋은것도 있다.
(3) 온탕 침적법 이것은 경제적이며 실행하기 쉽고 수종에 따라서는 큰 효과가 있다. 냉수침적으로써 큰 효과가 없을 때 이 방법을 쓴다. 아까시나무는 85∼90℃의 더운물에 1∼5분간 담가 휘저으면 대부분이 배의 크기로 불어난다.
나. 재워 묻기
씨뿌리기 며칠전에 종자와 가는 모래나 흙을 섞어서 이것을 두께 약15㎝가량으로 땅 위에다 펴고
그 위에 거적을 덮고 때때로 물을 부어서 종자가 불어난 뒤에 흙과 함께 뿌리는 방법이다.
아까시나무, 싸리나무, 회화나무, 주엽나무 등에 효과적이다.
다. 밀 벗기기(탈납법)
밀 벗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잿물 처리법 물 10ℓ에 나뭇재(목회) 3ℓ를 섞어 끓여서 만든 잿물에다 처음75℃의 온도에 5분간 담구어 휘젓고
물에 씻은 다음70℃의 갯물에 또 5분간 담구었다가 물에 씻어 응달에서 말린 후 파종한다.
(2) 가성소다(양잿물)액 처리법 잿물처리법과 비슷한데 잿물대신 양잿물 375g을 물 10ℓ에 타서 종자를5분간 침적시킨 후 꺼내어 물에 씻어 파종한다.
(3) 농유산 처리법 밀 벗기기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60%이상의 농유산에 30∼60분간 담그고 그후2∼3일간 맑은 물이 담구어 두었다가 응달에서 말린다. 사람이 상하기 쉬우니까 취급하는데 약액이 인체나 옷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는 주로 콩과식물의 종자나 산수유나무의 증자와 같이 종피가 단단한 씨앗 또는 옷나무 종자 등에 적용된다. 농유산 처리시 증자의 양에 따라 충분한 농유산의 양을 가지고 처리해야하며
이 때 사용하는 그릇은 유리그릇이나 질그릇을 사용해야 하며 처리도중에 자주 휘저어준다.
처리가 부족한 것은 씨껍질의 윤이 그대로 남아 있고 지나치게 처리된 것은 씨젓이 보이게 되거나 깊게 파인 자리를 볼 수 있다.
라. 흡수촉진법
종자를 모래에 섞어 비비거나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종자에 상처를 내어 쉽게 물을 빨아 들이도록 하는 방법이다.
주목나무, 향나무, 아까시나무, 멀구슬나무 등에 효과적이다.
마. 노천 매장법
이 방법은 발아촉진법인 동시에 종자의 저장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또한 농가에서 손쉽게 응용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30∼50㎝깊이의 나무상자(아래위에 철망을 붙임)를 만들어 이 속에다 종자를 모래와 같은 양이나 2:1비율로 섞어서 넣고
땅속 5∼10㎝깊이까지 채우고 그 위를 흙으로 덮고 다시 짚이나 검불을 덮어서 빗물이 저절로 새어 들어가게 해둔다.
이 때 철망을 붙이는 것은 쥐의 피해를 막고 빗물이 그대로 밑으로 빠지도록 한다. 매장하기 전까지는 기건 저장을 하여 두었다가 매장한다. 매장기간은 수종에 따라 다르다. 발아가 잘되는 종자는 이른 봄 파종1개월 전에 매장하고
비교적 발아가 곤란한 것은 가을에 매장하게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채취 즉시 매장하는 것 들매나무, 벗나무, 당단풍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백송, 호도나무, 가래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백합나무.때죽.회양목.주목 (2) 11월 중에 매장하는 것 벽오동, 팽나무, 물푸레나무, 신나무, 피나무, 층층나무, 옻나무, 달피나무. (3) 파종1개월 전에 매장하는 것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가문비나무, 젓나무, 측백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박달나무 파종기가 되면 노천매장한 것을 보아서 뿌리가 돋아나면 빨리 파종하는 것이 좋다. 노천매장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왼쪽그림 참조)
바. 온상 매장법
나무상자를 온상에 묻어 주고 가는 모래와 종자와의 비를 2:1로 하여 넣고 때때로 물을 준다. 이는 노천매장으로 발아가 곤란한 나무종자나 노천매장에 때를 놓친 종자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사. 저온 처리법
얼음 또는 냉장장치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종자를 처리 전 4∼5분간 뭍에 담구어 충분히 물을 빨아들이게 한 후
이것을 젖은 모래와 섞어 2∼5℃의 낮은 온도에 15∼20일간 간수하였다가 뿌리면 노천매장과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
또는 얼음덩어리 속에 4∼5일간 두었다가 파종하는 방법도 있다.
아.이밖에 방아찢는 기계로 종자의 겉피를 일정두께를 깎아내어 파종하는방법이 있다. 옻나무.
진달래, 철쭉류의 발아방법 -- 이주일님이 소개한 방법입니다.
그 흔하던 진달래도 이젠 숲이 점점활엽수로 바뀌고 우거지면서 차차 소멸되어갑니다.
십여년전만해도 소나무가 산에 너무많아 굴취하기 때문에 재배에 등한시 햇지만 그때
소나무 식재하신분들은 고소득을 이루고있습니다.현재는 차후 공급과다가 우려될정도로
많은물량이 심겨지고 있습니다.인터넷서핑을하다보면 소나무 2-4년생식재사진들이 엄청납니다
흔하다고 외면할때 도전할만한것이 바로 진달래입니다.다른 관목류들은 많은사람들이 재배하고
있지만 진달래를 재배하는 사람은 몇안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진달래 노동력이 필요한 재배입니다.
22 종자의 광발아성이 후숙에 의해 바뀌는 예는? 캔터키블루그라스 ; 신선종자는 호광성이나 10개월동안 후숙시 혐광성으로 바뀐다.
23 많은 종류의 호광성종자를 발아상을 적셔줌으로써 암소발아가 되게 하는 화합물은? KNO3(질산칼륨)
24 광이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기작은? 종자 내의 물질에 광이 흡수되어 광화학반을이 일어나 발아를 촉진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건조한 휴면종자는 광감수성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광은 흡수, 산소호흡, 적온 등이 구비되어 종자가 생리활동을 시작하면 광이 2차적인 보족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26 종자의 흡수과정은? 1) 1단계흡수 ; 발아 전에는 모관현상, 침윤(imbibition)에 의한 흡수 2) 2단계흡수 ; 발아가 시작되면 삼투(osmosis)에 의한 흡수
27 침종이란? 종자예조법의 하나로 작물종자를 균일하고 속히 발아시키기 위한 방법인데, 종자를 적당한 온도의 우물물에 충분히 침지하여 충분히 흡수시켜 파종하는 방법이다. 여러 작물종자에서 발아촉진효과가 인정되었다.
28 영구위조점이하의 토양함수량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영구위조점이하의 토양함수량은 생장중인 작물에는 흡수되지 않으나, 종자발아에는 유효하며 위조계수에서 포장용수량까지의 토양유효수의 범위에서 발아속도가 빨라진다.
29 종자에 흡수된 물에 의한 저장양분의 분해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라. 발아초기의 유식물은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종자내 양분으로 생장하게 되는데, 저장양분의 대부분은 분자량이 큰 물질이기 때문에 조직내를 이동할 수 없다. 종자에 물이 흡수되면 최초로 각종 가수분해효소들이 작용하여 세포막의 파괴되고 세포내로 침입한 효소들(아밀라제, 말타아제, 디아스타제, 리파아제, 프로테아제 등)은 녹말, 지방,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 양분들을 운반되기 쉬운 가용성물질인 포도당, 아미노산, 아미드 등으로 잘게 분해한다.
30 종자발아시 가용성양분의 이동(mobilization)이란? 종자흡수로 종피파열이 되고 가스교환이 활발해지면 가수분해효소들의 활동이 증대되어 저장양분이 분해된다. 이 분해된 양분이 배나 생장점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저장물질의 동원(mobilization)이라 한다.
31 종자발아시 가용성양분의 이동방법은? 배나 발아초기의 유식물에는 통도조직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분해된 가용성양분은 통도조직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세포사이를 확산(diffusion)에 의해 이동한다.
32 종자발아시 동화작용(assimilation)이란? 동원에 의하여 배나 생장점에 이동해 온 저분자물질에서 원형질이나 세포막물질과 같은 고분자물질이 합성되는 것을 동화작용이라 하고 이러한 동화작용에 의하여 유근, 유아등 식물이 자라게 된다.
33 종자발아시 호흡작용에 대하여 말하라. 발아중의 종자는 다른 기관이나 조직에 비해 호흡이 극히 왕성하고 에너지의 소모가 크다. 호흡작용에 의해 탄수화물이나 지방이 분해되어 CO2와 H2O가 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 에너지는 대부분 호흡열로 소모되고 생장에 필요한 동화작용에 소모된다. 발아시 호흡량은 건조종자의 100배, 소모되는 에너지는 종자건물의 50%이상에 해당된다.
34 발아시 유근과 유아의 출현순서는? 1) 수분의 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은 유근이 먼저 출현한다. 2) 보통 쌍떡잎식물에서는 유근이 먼저 출현하고 외떡잎식물에서는 유아가 먼저 출현한다. 3) 밀, 보리, 귀리, 쌀보리 등에서는 유근이 먼저 출현한다. 4) 벼는 물이 적으면 유근이 먼저 출현하고, 수중에서는 유아가 먼저 출현한다.
35 초기의 유식물에서 이유기란? 발아초기에는 유식물이 배유나 자엽의 저장양분에 의하여 생육되지만 어느 시기부터는 광합성이나 기타의 동화작용에 의하여 독립영양의 시기로 전환되는데 이 시기를 이유기라 한다. 벼는 본엽이 2-3매, 발근 수 5-7개, 맥류는 본엽 2-3매, 발근수 5-9개 정도인 때에 해당한다.
36 종자발아시험시 조사항목은? 1) 발아율 = 조사 마감일까지 정상묘의 수 / 치상종자 수 * 100 2) 발아세 = 조사 시작일까지 정상묘의 수 / 치상종자 수 * 100 3) 청결율(percentage of purity) = 순정종자중량 / 종자총중량 * 100 4) 용가(utility value) = P * G / 100 (P ; 청결율, G 발아율)
37 발아에 오랜시일을 요하는 수목종자 등과 같은 휴면종자나 경실종자의 발아력을 단시일 내에 조사하는 방법은? 발아시키지 않고 시험할 수 있는 간이검사법을 이용한다. 1) 육안감정법, 투시법 ; 광선을 투과시켜 활력유무를 검정한다. 2) 절단법 ; 배를 절단하여 그 색깔을 본다. 3) 비중법 ; 활력의 유무에 따르는 비중의 차이를 본다. 4) 효소소검출법 ; 효소작용의 유무에 의한 종자의 생사를 검정한다. 5) 생체염색법 ; 디나이트로벤졸, 인디고카민, 구아이아콜, 테트라졸륨용액 등의 색소에 의한 염색상황을 검정하여 활력유무를 판정한다. 6) 환원법 ; 조직의 환원력을 이용하여 검정한다. 7) X선조사법 ; 흡수된 종자에 염화바륨, 초화바륨과 같은 조영제를 흡수시켜 X선으로 촬영하는 법. 살아있는 배는 조영제를 흡수하지 않으나, 죽은 세포는 조영제를 흡수하여 검게 찍힌다. 8) 지베렐린과 티오요소의 혼합액에 의한 발아검정법 이용
****** (펌) 38 발아의 두 형태는? 1) 상배축 발아(Epigeal) : 콩, 소나무. 떡잎(cotyledon)이 지상으로 나옴. 배축(hypocotyl)이 꼬부려져 땅을 뚫고 신속히 길게 신장. 2) 배축 발아(Hypogeal) : 완두콩, 화본과 및 대부분의 종자. 자엽(cotyledon)이 땅속에 있음. 상배축(epicotyl)이 길게 신장.
39 발아율이 중요한 이유는? 1) 생산의 기본이 되는 개체의 형성여부 2) 경작(농사)의 결정요인(파종량, 보파, 재파, 보상)
40 발아율 검사가 필요한 종자 대상은? 1) 순도검사와 발아율 검사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 : 순수 종자라고 분리된 종자를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검사 2) 발아검사만 필요한 경우 - 발아검사만 필요한 경우, 98% 이상이 순수종자라고 생각되는 경우, -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종자의 구별 없이 단지 발아율만 필요한 경우 - 순수종자가 98% 이하인 경우에는 ① 순수종자 ② 다른작물 - 잡초-이물질 등의 2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리를 할 경우에는 적어도 순도검사량의 1/4 이상은 되어야 한다. - 최소시료는 400개이고(100개씩 4반복), 종자발아규정에 의하여 각각의 종자가 최적발아조건에서 실시되며(표 2), 7일∼수개월이 걸린다.
41 발아율 검사(Germination Test)요령은? 1) 발아의 최적조건에서 실시(온도 d/n, 수분, 배지, 광의 유무, 計數終末시기) 2) 실험실에서 간접적 평가 3) 포장조건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방법의 개발
======================================================================================== 종자의 발아능력을 검증하는 유일하고 정확도가 높은 검사방법. 종자검사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발아율 검사는 다른작물, 이물질, 잡초를 제하고 전체무게의 5%이상 되는 종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종자에 대하여 따로 검사를 실시한다. - 순도검사와 발아율 검사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 : 순수 종자라고 분리된 종자를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검사 - 발아검사만 필요한 경우 : 98% 이상이 순수종자라고 생각되는 경우, 종자의 구분 없이 단지 발아율만 필요한 경우, 순수종자가 98% 이하인 경우에는 ① 순수종자 ② 다른작물 - 잡초-이물질 등의 2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리를 할 경우에는 적어도 순도검사량의 ¼ 이상은 되어야 한다. 최소시료는 400개이고(100개씩 4반복), 종자발아규정에 의하여 각각의 종자가 최적발아조건에서 실시되며(표 2), 7일∼수개월이 걸린다. =======================================================================================
42 유식물 활력검사(Seed Vigor Test)란? 신속하고 균일한 발아와 정상 유식물로의 발달(field에서 실시하는 것이 최상) 정도를 검사하는 것.
***** 참고로 읽어봅시다. * 종자계급種子階級, seed classification) : 종자의 생산, 처리 및 배부과정에서 품종의 유전적인 균일성과 순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도의 일환으로 각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종자보증기관마다 조금씩 다르고 사료작물 종자에 대한 미국의 예는 다음과 같다. * 基本種子(breeder seed) : 육종가종자라고도하며 품종의 특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재배관리가 가능한 育種家나 시험기관에서 육종하고 생산한 量的으로 한정되어 있는 종자 또는 증식식물. 일반에게 공급되지 않음. 흰색 꼬리표를 붙인다. * 元原種(foundation seed) : 품종의 純度와 유전적인 균일성이 유지할 수 있는 관리조건 하에서 기본종자를 재배하여 생산한 종자. 농사시험장 관계자의 철저한 감독과 승인하에서 생산되며 원종 또는 보증종자의 增殖源이 된다. 흰색 R리표를 붙인다. * 原種(registered seed) : 품종의 균일성과 유전적 순도를 유지 할 수 있는 관리생산된 원원종의 후대로 비상업적 종자. 보증종자를 생산하는 종자생산업자에게 공급된다. 등록된 종자생산업자의 관리감독하에 생산되고 자주색 꼬리표를 붙인다. * 保證種子(certified seed) : 원원종이나 원종의 후대로서 대량생산과 공급이 가능하며 보증종자 생산업자의 감독하에 생산되어 일반농가에 판매된다. 청색 꼬리표가 붙는다. * 一般種子(common seed) : 보증종자로부터 증식되어 일반에게 유통되고 있으나 종자보증기관에서 보증하지 않은 非保證種子이다. * 選拔種子(selected seed) : 캐나다 종자계급체계에서 사용하는 등급으로, 품종의 균일성과 유전적 순도를 유지 할 수 있는 관리하에서 생산된 기본종자 또는 선발종자의 후대로 비상업적 종자. * 根源確認種子(source-identified seed) : 지리적 기원과 평가가 이루어진 자연종자 및 여러 보증기관의 기관에 의해 지리적 위치가 알려진 기원이 명확히 알려진 종자.
43 종자계수(種子計數, seed index)란? 100粒種의 무게(g으로 표시)
* 종자활력(種子活力, seed vigor) : 좋거나 나쁜 환경조건 하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출현하여 정상적인 유식물로 발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결정 짓는 종자의 특성. 종자활력검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 종자매트(seed mat): 한쪽 면이 종자로 된 매트. 여기서 매트는 (1) 종자나 비료 (2) 流失방지 (3)종자의 발아와 정착에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는 매개물로 작용한다. 완숙종자(完熟種子, seed maturity, physiological) 생리적으로 완전히 익은 종자. 즉 종자가 최대 건물량에 도달한 발달의 한 단계. 이어서 후숙이나 탈립이 일어난다. * 이상유식물(異狀幼植物, abnormal seedling): 적합한 환경조건 하에서 정상적인 식물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필수적 구조를 갖지 않은 식물 * 종자가공(種子加工, seed processing): 다 익은 종자를 수확하고 수확된 종자를 탈곡, 건조, 선별, 정선, 검사, 포장하여 판매에 이르기까지 종자에 행하여 지는 모든 처리와 부여된 모든 작업
******************** 기출문제 ******************** 32.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광선의 효과를 종자내 피토크롬(phytochrome)과 관련하여 설명하라. - 광발아성 종자의 경우 적색광선을 쬐이면 종자내 Pr가 Pfr로 변하여 발아가 촉진된다.
35. 저장중에 퇴화한 종자에서 비정상묘 발생이 많은 이유를 설명하라. - 퇴화 종자의 세포는 모두 동시에 죽는 것이 아니므로 유묘의 기본조직이 불균형하게 발육하는 기형의 유묘발생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36. 종피의 산소와 탄산가스에 대한 투과성이 종자의 발아에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라. - 산소는 저장양분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종자의 호흡에 필요하고 탄산가스는 이의 부산물이다. 호흡과정은 세포분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여 배의 발육이 진행되도록 한다. 종피의 투과성 증대는 산소의 유입과 탄산가스의 배출을 보다 쉽게 하여 발아에 유리하다.
37. 종자의 발아에 어떤 환경요인이 필수적인지 설명하라. - 수분, 산소 및 온도가 종자발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광발아성 종자에는 광이 필요하다. 수분은 종피를 연화시켜 가스의 투과성을 높이고 배를 팽윤시켜 종피를 뚫게하며,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저장양분을 수용성으로 바꾸어 이동하며,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터전이 되고 생체의 구성요소가 된다. 온도는 화학반응속도, 산소와 수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고 발아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일정 온도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는 효소활동을 저해하므로 발아가 저하된다. 산소는 호흡에 필수적이며 발아가 시작되면 호흡속도는 커지게 된다.
38. 양파의 종자가 과수분시 발아력을 상실하게 되는 이유를 설명하라. - 종자가 건조해야 후숙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치상일수......발아개체수 -------------------------- 1..................0. 2..................3 3..................14 4..................34 5..................24 6..................2 7..................1 8..................1 -------------------------- 39. 위 표는 보리의 치상일수별 발아개체수를 조사한 것이다. 발아세와 발아율을 구하라. (치상된 종자수는 100립임) - 보리의 발아세는 치상 후 4일째(중간조사일) 까지의 총공시 종자에 대한 발아종자의 백분율임 = 51% - 보리의 발아율은 최종조사일(치상 7일째)까지의 총공시 종자에 대한 발아종자의 백분율임 = 78%
40. 무와 상추종자를 암상태의 15℃와 30℃에서 각각 발아시킬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비교하여 설명하라. - 상추 종자는 광발아성 종자이고 무는 암발아성 종자이다. ---------------------------------------------------------------- 발아온도..........무.............상 추 ---------------------------------------------------------------- 15...............발아양호.....발아양호 30...............발아양호.....발아불량(고온에 의해 Pfr의 암전환이 일어남) ----------------------------------------------------------------
41. 발아속도지수(promptness index)란 무엇인가? - 발아 해석에 관한 용어로서 발아율과 속도를 동시에 나타낸 값으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PI=∑[(T - ti+1)ni] 식에서 T: 총조사 일수, ti: 치상후 조사일수, ni: 조사당일의 발아수
42. 종자의 발아촉진 물질로 알려져 있는 키네틴(kinetin)과 지베렐린(gibberellin)은 광조건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이들 두가지를 광조건에 따라 그 효과를 설명하라. 1) 키네틴(kinetin) - 광이 있을 때에만 효과적임 - 처리후 적광의 효과는 초적광에 의해 전도됨전 - 발아촉진은 장파장광 하에서 효과적임.. 2) 지베렐린(gibberellin) - 광이 있든 없든 효과적임 - 처리후 적광의 효과는 초적광에 의해 전도 되지 않음 - 400~700㎚에서 고루 효과적임 ------------------------------------------------------------------------------------ 9. 종자세의 뜻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가지 Perry; 종자세를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출현 중에 보이는, 활성과 능력의 정도를 결정하는 총체적인 종자의 성질" 이라 정의. 종자세는 종자의 충실도, 기계적 손상, 퇴화정도, 병원균 감염상태 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16. 종자의 흡수 속도와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주요인. 종자가 발아할 때에는 흡수→저장양분의 소화→양분의 이동→동화→호흡→생장. 종자의 흡수는 침윤과 삼투에 의해 발생한다. 흡수에 관계하는 요인 ; 종자의 피질조성, 용액의 농도, 종피의 수분투과성, 물의 공급도, 온도 등이 있다. ------------------------------------------------- 7. 발아적온에 따른 종자 분류? ----------------------- 3.발아과정.(6단계) ------------------------------- 5. 발아에 관여하는 내적요인, 외적요인은? -------------------- 17. 발아속도지수를 써라
가. 열매껍질이 단단해서 수분의 침투와 가스의 교환이 곤단하기 때문에 생긴다. 나. 씨눈(胚)이 휴면하고 있으므로 씨앗내의 발육이 끝나지 않은 것.
3. 임목종자의 발아가 늦어지는 원인
가. 후숙에 오랜 시일을 요하는 수종은 대개 휴면기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종자를 일정시일 낮은 온도로 처리하든가,
반대로 고온처리를 함으로써 후숙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는 과산화수소(옥시풀)액 중에 2∼3일간 침척시킴으로써 발아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후숙성인 수종의 예로서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을 들수 있다.
나. 발아조건이 적당하지 않을 때 즉 씨를 뿌린 후 너무 건조하다든가 흙을 너무 두껍게 덮어서 광선과 온도가 부족할 때
또는 발아에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수종을 봄늦게 기온이 높아진 후에 뿌릴 때를 생각할 수 있다. 느티나무, 목련, 일본잎갈나무, 스트로브잣나무는 봄에 땅 온도가 낮을 동안에 파종하면 싹이 빨리 트지만
땅 온도가 높아진 뒤에 뿌리면 싹틈이 늦어지기 때문에 해토 후 곧 뿌리는 것이 유리하다.
다. 밀껍질을 가진 옻나무 검양옻나무의 종자는 씨 껍질의 밀납 때문에 수분의 침투방해로 발아가 늦어진다. 이러한 것은 밀껍질을 유산처리 함으로써 발아가 촉진된다.
라. 씨껍질이 매우 굳어서 물과 공기가 들어 갈 수 없고 또는 씨눈이 안에서 활동을 해도 껍질을 뚫고 나오기 어려운 것은
껍질에 틈새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호도나무, 목련, 멀구슬나무, 동백나무 등이다.
마. 채종 후 기건상태로 방치하면 껍질이 말라서 돌씨가 되는 수종이 있는데
예를 들면 주엽나무, 다가시나무 등의 콩과식물이 대표적인 것이다.
4. 발아 촉진법
임목의 종자는 그 수종고유의 발아특성이 있고 대개 발아가 늦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방법으로 발아촉진을 해줌으로써 파종 후 단시일 내에 발아하게 된다.
단시일 내에 발아가 되어야만 생장촉진은 물론 솎음, 추비 등 묘포관리에 편리하게 된다. 임목종자의 발아 촉진법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가. 침수법
(1) 냉수침적법 1일내지 5일간 냉수에 종자를 담그어서 충분히 물을 빨아들이게 한후에 뿌리는 방법이다. 날마다 깨끗한 물을 갈아주거나 또는 흐르는 물 속에 종자가마니를 넣어둔다.
이 방법은 소나무, 곰솔, 잎 갈나무, 참나무류, 아까시나무, 호도나무 등의 종자에 효과적이다.
너무 오래 담구어 두면 오히려 해롭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2)온습적 저장법;25씨 정도로 종자를 모래와섞어 겨울을 지나면 발아가 좋은것도 있다.
(3) 온탕 침적법 이것은 경제적이며 실행하기 쉽고 수종에 따라서는 큰 효과가 있다. 냉수침적으로써 큰 효과가 없을 때 이 방법을 쓴다. 아까시나무는 85∼90℃의 더운물에 1∼5분간 담가 휘저으면 대부분이 배의 크기로 불어난다.
나. 재워 묻기
씨뿌리기 며칠전에 종자와 가는 모래나 흙을 섞어서 이것을 두께 약15㎝가량으로 땅 위에다 펴고
그 위에 거적을 덮고 때때로 물을 부어서 종자가 불어난 뒤에 흙과 함께 뿌리는 방법이다.
아까시나무, 싸리나무, 회화나무, 주엽나무 등에 효과적이다.
다. 밀 벗기기(탈납법)
밀 벗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잿물 처리법 물 10ℓ에 나뭇재(목회) 3ℓ를 섞어 끓여서 만든 잿물에다 처음75℃의 온도에 5분간 담구어 휘젓고
물에 씻은 다음70℃의 갯물에 또 5분간 담구었다가 물에 씻어 응달에서 말린 후 파종한다.
(2) 가성소다(양잿물)액 처리법 잿물처리법과 비슷한데 잿물대신 양잿물 375g을 물 10ℓ에 타서 종자를5분간 침적시킨 후 꺼내어 물에 씻어 파종한다.
(3) 농유산 처리법 밀 벗기기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60%이상의 농유산에 30∼60분간 담그고 그후2∼3일간 맑은 물이 담구어 두었다가 응달에서 말린다. 사람이 상하기 쉬우니까 취급하는데 약액이 인체나 옷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는 주로 콩과식물의 종자나 산수유나무의 증자와 같이 종피가 단단한 씨앗 또는 옷나무 종자 등에 적용된다. 농유산 처리시 증자의 양에 따라 충분한 농유산의 양을 가지고 처리해야하며
이 때 사용하는 그릇은 유리그릇이나 질그릇을 사용해야 하며 처리도중에 자주 휘저어준다.
처리가 부족한 것은 씨껍질의 윤이 그대로 남아 있고 지나치게 처리된 것은 씨젓이 보이게 되거나 깊게 파인 자리를 볼 수 있다.
라. 흡수촉진법
종자를 모래에 섞어 비비거나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종자에 상처를 내어 쉽게 물을 빨아 들이도록 하는 방법이다.
주목나무, 향나무, 아까시나무, 멀구슬나무 등에 효과적이다.
마. 노천 매장법
이 방법은 발아촉진법인 동시에 종자의 저장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또한 농가에서 손쉽게 응용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30∼50㎝깊이의 나무상자(아래위에 철망을 붙임)를 만들어 이 속에다 종자를 모래와 같은 양이나 2:1비율로 섞어서 넣고
땅속 5∼10㎝깊이까지 채우고 그 위를 흙으로 덮고 다시 짚이나 검불을 덮어서 빗물이 저절로 새어 들어가게 해둔다.
이 때 철망을 붙이는 것은 쥐의 피해를 막고 빗물이 그대로 밑으로 빠지도록 한다. 매장하기 전까지는 기건 저장을 하여 두었다가 매장한다. 매장기간은 수종에 따라 다르다. 발아가 잘되는 종자는 이른 봄 파종1개월 전에 매장하고
비교적 발아가 곤란한 것은 가을에 매장하게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채취 즉시 매장하는 것 들매나무, 벗나무, 당단풍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백송, 호도나무, 가래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백합나무.때죽.회양목.주목 (2) 11월 중에 매장하는 것 벽오동, 팽나무, 물푸레나무, 신나무, 피나무, 층층나무, 옻나무, 달피나무. (3) 파종1개월 전에 매장하는 것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가문비나무, 젓나무, 측백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박달나무 파종기가 되면 노천매장한 것을 보아서 뿌리가 돋아나면 빨리 파종하는 것이 좋다. 노천매장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왼쪽그림 참조)
바. 온상 매장법
나무상자를 온상에 묻어 주고 가는 모래와 종자와의 비를 2:1로 하여 넣고 때때로 물을 준다. 이는 노천매장으로 발아가 곤란한 나무종자나 노천매장에 때를 놓친 종자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사. 저온 처리법
얼음 또는 냉장장치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종자를 처리 전 4∼5분간 뭍에 담구어 충분히 물을 빨아들이게 한 후
이것을 젖은 모래와 섞어 2∼5℃의 낮은 온도에 15∼20일간 간수하였다가 뿌리면 노천매장과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
또는 얼음덩어리 속에 4∼5일간 두었다가 파종하는 방법도 있다.
아.이밖에 방아찢는 기계로 종자의 겉피를 일정두께를 깎아내어 파종하는방법이 있다. 옻나무.
진달래, 철쭉류의 발아방법 -- 이주일님이 소개한 방법입니다.
그 흔하던 진달래도 이젠 숲이 점점활엽수로 바뀌고 우거지면서 차차 소멸되어갑니다.
십여년전만해도 소나무가 산에 너무많아 굴취하기 때문에 재배에 등한시 햇지만 그때
소나무 식재하신분들은 고소득을 이루고있습니다.현재는 차후 공급과다가 우려될정도로
많은물량이 심겨지고 있습니다.인터넷서핑을하다보면 소나무 2-4년생식재사진들이 엄청납니다
흔하다고 외면할때 도전할만한것이 바로 진달래입니다.다른 관목류들은 많은사람들이 재배하고
있지만 진달래를 재배하는 사람은 몇안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진달래 노동력이 필요한 재배입니다.
22 종자의 광발아성이 후숙에 의해 바뀌는 예는? 캔터키블루그라스 ; 신선종자는 호광성이나 10개월동안 후숙시 혐광성으로 바뀐다.
23 많은 종류의 호광성종자를 발아상을 적셔줌으로써 암소발아가 되게 하는 화합물은? KNO3(질산칼륨)
24 광이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기작은? 종자 내의 물질에 광이 흡수되어 광화학반을이 일어나 발아를 촉진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건조한 휴면종자는 광감수성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광은 흡수, 산소호흡, 적온 등이 구비되어 종자가 생리활동을 시작하면 광이 2차적인 보족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26 종자의 흡수과정은? 1) 1단계흡수 ; 발아 전에는 모관현상, 침윤(imbibition)에 의한 흡수 2) 2단계흡수 ; 발아가 시작되면 삼투(osmosis)에 의한 흡수
27 침종이란? 종자예조법의 하나로 작물종자를 균일하고 속히 발아시키기 위한 방법인데, 종자를 적당한 온도의 우물물에 충분히 침지하여 충분히 흡수시켜 파종하는 방법이다. 여러 작물종자에서 발아촉진효과가 인정되었다.
28 영구위조점이하의 토양함수량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영구위조점이하의 토양함수량은 생장중인 작물에는 흡수되지 않으나, 종자발아에는 유효하며 위조계수에서 포장용수량까지의 토양유효수의 범위에서 발아속도가 빨라진다.
29 종자에 흡수된 물에 의한 저장양분의 분해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라. 발아초기의 유식물은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종자내 양분으로 생장하게 되는데, 저장양분의 대부분은 분자량이 큰 물질이기 때문에 조직내를 이동할 수 없다. 종자에 물이 흡수되면 최초로 각종 가수분해효소들이 작용하여 세포막의 파괴되고 세포내로 침입한 효소들(아밀라제, 말타아제, 디아스타제, 리파아제, 프로테아제 등)은 녹말, 지방,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 양분들을 운반되기 쉬운 가용성물질인 포도당, 아미노산, 아미드 등으로 잘게 분해한다.
30 종자발아시 가용성양분의 이동(mobilization)이란? 종자흡수로 종피파열이 되고 가스교환이 활발해지면 가수분해효소들의 활동이 증대되어 저장양분이 분해된다. 이 분해된 양분이 배나 생장점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저장물질의 동원(mobilization)이라 한다.
31 종자발아시 가용성양분의 이동방법은? 배나 발아초기의 유식물에는 통도조직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분해된 가용성양분은 통도조직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세포사이를 확산(diffusion)에 의해 이동한다.
32 종자발아시 동화작용(assimilation)이란? 동원에 의하여 배나 생장점에 이동해 온 저분자물질에서 원형질이나 세포막물질과 같은 고분자물질이 합성되는 것을 동화작용이라 하고 이러한 동화작용에 의하여 유근, 유아등 식물이 자라게 된다.
33 종자발아시 호흡작용에 대하여 말하라. 발아중의 종자는 다른 기관이나 조직에 비해 호흡이 극히 왕성하고 에너지의 소모가 크다. 호흡작용에 의해 탄수화물이나 지방이 분해되어 CO2와 H2O가 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 에너지는 대부분 호흡열로 소모되고 생장에 필요한 동화작용에 소모된다. 발아시 호흡량은 건조종자의 100배, 소모되는 에너지는 종자건물의 50%이상에 해당된다.
34 발아시 유근과 유아의 출현순서는? 1) 수분의 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은 유근이 먼저 출현한다. 2) 보통 쌍떡잎식물에서는 유근이 먼저 출현하고 외떡잎식물에서는 유아가 먼저 출현한다. 3) 밀, 보리, 귀리, 쌀보리 등에서는 유근이 먼저 출현한다. 4) 벼는 물이 적으면 유근이 먼저 출현하고, 수중에서는 유아가 먼저 출현한다.
35 초기의 유식물에서 이유기란? 발아초기에는 유식물이 배유나 자엽의 저장양분에 의하여 생육되지만 어느 시기부터는 광합성이나 기타의 동화작용에 의하여 독립영양의 시기로 전환되는데 이 시기를 이유기라 한다. 벼는 본엽이 2-3매, 발근 수 5-7개, 맥류는 본엽 2-3매, 발근수 5-9개 정도인 때에 해당한다.
36 종자발아시험시 조사항목은? 1) 발아율 = 조사 마감일까지 정상묘의 수 / 치상종자 수 * 100 2) 발아세 = 조사 시작일까지 정상묘의 수 / 치상종자 수 * 100 3) 청결율(percentage of purity) = 순정종자중량 / 종자총중량 * 100 4) 용가(utility value) = P * G / 100 (P ; 청결율, G 발아율)
37 발아에 오랜시일을 요하는 수목종자 등과 같은 휴면종자나 경실종자의 발아력을 단시일 내에 조사하는 방법은? 발아시키지 않고 시험할 수 있는 간이검사법을 이용한다. 1) 육안감정법, 투시법 ; 광선을 투과시켜 활력유무를 검정한다. 2) 절단법 ; 배를 절단하여 그 색깔을 본다. 3) 비중법 ; 활력의 유무에 따르는 비중의 차이를 본다. 4) 효소소검출법 ; 효소작용의 유무에 의한 종자의 생사를 검정한다. 5) 생체염색법 ; 디나이트로벤졸, 인디고카민, 구아이아콜, 테트라졸륨용액 등의 색소에 의한 염색상황을 검정하여 활력유무를 판정한다. 6) 환원법 ; 조직의 환원력을 이용하여 검정한다. 7) X선조사법 ; 흡수된 종자에 염화바륨, 초화바륨과 같은 조영제를 흡수시켜 X선으로 촬영하는 법. 살아있는 배는 조영제를 흡수하지 않으나, 죽은 세포는 조영제를 흡수하여 검게 찍힌다. 8) 지베렐린과 티오요소의 혼합액에 의한 발아검정법 이용
****** (펌) 38 발아의 두 형태는? 1) 상배축 발아(Epigeal) : 콩, 소나무. 떡잎(cotyledon)이 지상으로 나옴. 배축(hypocotyl)이 꼬부려져 땅을 뚫고 신속히 길게 신장. 2) 배축 발아(Hypogeal) : 완두콩, 화본과 및 대부분의 종자. 자엽(cotyledon)이 땅속에 있음. 상배축(epicotyl)이 길게 신장.
39 발아율이 중요한 이유는? 1) 생산의 기본이 되는 개체의 형성여부 2) 경작(농사)의 결정요인(파종량, 보파, 재파, 보상)
40 발아율 검사가 필요한 종자 대상은? 1) 순도검사와 발아율 검사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 : 순수 종자라고 분리된 종자를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검사 2) 발아검사만 필요한 경우 - 발아검사만 필요한 경우, 98% 이상이 순수종자라고 생각되는 경우, -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종자의 구별 없이 단지 발아율만 필요한 경우 - 순수종자가 98% 이하인 경우에는 ① 순수종자 ② 다른작물 - 잡초-이물질 등의 2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리를 할 경우에는 적어도 순도검사량의 1/4 이상은 되어야 한다. - 최소시료는 400개이고(100개씩 4반복), 종자발아규정에 의하여 각각의 종자가 최적발아조건에서 실시되며(표 2), 7일∼수개월이 걸린다.
41 발아율 검사(Germination Test)요령은? 1) 발아의 최적조건에서 실시(온도 d/n, 수분, 배지, 광의 유무, 計數終末시기) 2) 실험실에서 간접적 평가 3) 포장조건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방법의 개발
======================================================================================== 종자의 발아능력을 검증하는 유일하고 정확도가 높은 검사방법. 종자검사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발아율 검사는 다른작물, 이물질, 잡초를 제하고 전체무게의 5%이상 되는 종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종자에 대하여 따로 검사를 실시한다. - 순도검사와 발아율 검사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 : 순수 종자라고 분리된 종자를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검사 - 발아검사만 필요한 경우 : 98% 이상이 순수종자라고 생각되는 경우, 종자의 구분 없이 단지 발아율만 필요한 경우, 순수종자가 98% 이하인 경우에는 ① 순수종자 ② 다른작물 - 잡초-이물질 등의 2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리를 할 경우에는 적어도 순도검사량의 ¼ 이상은 되어야 한다. 최소시료는 400개이고(100개씩 4반복), 종자발아규정에 의하여 각각의 종자가 최적발아조건에서 실시되며(표 2), 7일∼수개월이 걸린다. =======================================================================================
42 유식물 활력검사(Seed Vigor Test)란? 신속하고 균일한 발아와 정상 유식물로의 발달(field에서 실시하는 것이 최상) 정도를 검사하는 것.
***** 참고로 읽어봅시다. * 종자계급種子階級, seed classification) : 종자의 생산, 처리 및 배부과정에서 품종의 유전적인 균일성과 순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도의 일환으로 각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종자보증기관마다 조금씩 다르고 사료작물 종자에 대한 미국의 예는 다음과 같다. * 基本種子(breeder seed) : 육종가종자라고도하며 품종의 특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재배관리가 가능한 育種家나 시험기관에서 육종하고 생산한 量的으로 한정되어 있는 종자 또는 증식식물. 일반에게 공급되지 않음. 흰색 꼬리표를 붙인다. * 元原種(foundation seed) : 품종의 純度와 유전적인 균일성이 유지할 수 있는 관리조건 하에서 기본종자를 재배하여 생산한 종자. 농사시험장 관계자의 철저한 감독과 승인하에서 생산되며 원종 또는 보증종자의 增殖源이 된다. 흰색 R리표를 붙인다. * 原種(registered seed) : 품종의 균일성과 유전적 순도를 유지 할 수 있는 관리생산된 원원종의 후대로 비상업적 종자. 보증종자를 생산하는 종자생산업자에게 공급된다. 등록된 종자생산업자의 관리감독하에 생산되고 자주색 꼬리표를 붙인다. * 保證種子(certified seed) : 원원종이나 원종의 후대로서 대량생산과 공급이 가능하며 보증종자 생산업자의 감독하에 생산되어 일반농가에 판매된다. 청색 꼬리표가 붙는다. * 一般種子(common seed) : 보증종자로부터 증식되어 일반에게 유통되고 있으나 종자보증기관에서 보증하지 않은 非保證種子이다. * 選拔種子(selected seed) : 캐나다 종자계급체계에서 사용하는 등급으로, 품종의 균일성과 유전적 순도를 유지 할 수 있는 관리하에서 생산된 기본종자 또는 선발종자의 후대로 비상업적 종자. * 根源確認種子(source-identified seed) : 지리적 기원과 평가가 이루어진 자연종자 및 여러 보증기관의 기관에 의해 지리적 위치가 알려진 기원이 명확히 알려진 종자.
43 종자계수(種子計數, seed index)란? 100粒種의 무게(g으로 표시)
* 종자활력(種子活力, seed vigor) : 좋거나 나쁜 환경조건 하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출현하여 정상적인 유식물로 발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결정 짓는 종자의 특성. 종자활력검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 종자매트(seed mat): 한쪽 면이 종자로 된 매트. 여기서 매트는 (1) 종자나 비료 (2) 流失방지 (3)종자의 발아와 정착에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는 매개물로 작용한다. 완숙종자(完熟種子, seed maturity, physiological) 생리적으로 완전히 익은 종자. 즉 종자가 최대 건물량에 도달한 발달의 한 단계. 이어서 후숙이나 탈립이 일어난다. * 이상유식물(異狀幼植物, abnormal seedling): 적합한 환경조건 하에서 정상적인 식물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필수적 구조를 갖지 않은 식물 * 종자가공(種子加工, seed processing): 다 익은 종자를 수확하고 수확된 종자를 탈곡, 건조, 선별, 정선, 검사, 포장하여 판매에 이르기까지 종자에 행하여 지는 모든 처리와 부여된 모든 작업
******************** 기출문제 ******************** 32.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광선의 효과를 종자내 피토크롬(phytochrome)과 관련하여 설명하라. - 광발아성 종자의 경우 적색광선을 쬐이면 종자내 Pr가 Pfr로 변하여 발아가 촉진된다.
35. 저장중에 퇴화한 종자에서 비정상묘 발생이 많은 이유를 설명하라. - 퇴화 종자의 세포는 모두 동시에 죽는 것이 아니므로 유묘의 기본조직이 불균형하게 발육하는 기형의 유묘발생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36. 종피의 산소와 탄산가스에 대한 투과성이 종자의 발아에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라. - 산소는 저장양분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종자의 호흡에 필요하고 탄산가스는 이의 부산물이다. 호흡과정은 세포분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여 배의 발육이 진행되도록 한다. 종피의 투과성 증대는 산소의 유입과 탄산가스의 배출을 보다 쉽게 하여 발아에 유리하다.
37. 종자의 발아에 어떤 환경요인이 필수적인지 설명하라. - 수분, 산소 및 온도가 종자발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광발아성 종자에는 광이 필요하다. 수분은 종피를 연화시켜 가스의 투과성을 높이고 배를 팽윤시켜 종피를 뚫게하며,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저장양분을 수용성으로 바꾸어 이동하며,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터전이 되고 생체의 구성요소가 된다. 온도는 화학반응속도, 산소와 수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고 발아속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일정 온도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는 효소활동을 저해하므로 발아가 저하된다. 산소는 호흡에 필수적이며 발아가 시작되면 호흡속도는 커지게 된다.
38. 양파의 종자가 과수분시 발아력을 상실하게 되는 이유를 설명하라. - 종자가 건조해야 후숙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치상일수......발아개체수 -------------------------- 1..................0. 2..................3 3..................14 4..................34 5..................24 6..................2 7..................1 8..................1 -------------------------- 39. 위 표는 보리의 치상일수별 발아개체수를 조사한 것이다. 발아세와 발아율을 구하라. (치상된 종자수는 100립임) - 보리의 발아세는 치상 후 4일째(중간조사일) 까지의 총공시 종자에 대한 발아종자의 백분율임 = 51% - 보리의 발아율은 최종조사일(치상 7일째)까지의 총공시 종자에 대한 발아종자의 백분율임 = 78%
40. 무와 상추종자를 암상태의 15℃와 30℃에서 각각 발아시킬 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비교하여 설명하라. - 상추 종자는 광발아성 종자이고 무는 암발아성 종자이다. ---------------------------------------------------------------- 발아온도..........무.............상 추 ---------------------------------------------------------------- 15...............발아양호.....발아양호 30...............발아양호.....발아불량(고온에 의해 Pfr의 암전환이 일어남) ----------------------------------------------------------------
41. 발아속도지수(promptness index)란 무엇인가? - 발아 해석에 관한 용어로서 발아율과 속도를 동시에 나타낸 값으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PI=∑[(T - ti+1)ni] 식에서 T: 총조사 일수, ti: 치상후 조사일수, ni: 조사당일의 발아수
42. 종자의 발아촉진 물질로 알려져 있는 키네틴(kinetin)과 지베렐린(gibberellin)은 광조건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이들 두가지를 광조건에 따라 그 효과를 설명하라. 1) 키네틴(kinetin) - 광이 있을 때에만 효과적임 - 처리후 적광의 효과는 초적광에 의해 전도됨전 - 발아촉진은 장파장광 하에서 효과적임.. 2) 지베렐린(gibberellin) - 광이 있든 없든 효과적임 - 처리후 적광의 효과는 초적광에 의해 전도 되지 않음 - 400~700㎚에서 고루 효과적임 ------------------------------------------------------------------------------------ 9. 종자세의 뜻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가지 Perry; 종자세를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출현 중에 보이는, 활성과 능력의 정도를 결정하는 총체적인 종자의 성질" 이라 정의. 종자세는 종자의 충실도, 기계적 손상, 퇴화정도, 병원균 감염상태 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16. 종자의 흡수 속도와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주요인. 종자가 발아할 때에는 흡수→저장양분의 소화→양분의 이동→동화→호흡→생장. 종자의 흡수는 침윤과 삼투에 의해 발생한다. 흡수에 관계하는 요인 ; 종자의 피질조성, 용액의 농도, 종피의 수분투과성, 물의 공급도, 온도 등이 있다. ------------------------------------------------- 7. 발아적온에 따른 종자 분류? ----------------------- 3.발아과정.(6단계) ------------------------------- 5. 발아에 관여하는 내적요인, 외적요인은? -------------------- 17. 발아속도지수를 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