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조) 1.운전취급규정의 목적으로 가장 올바른 설명을 고르시오. ③
① 열차 및 차량운전에 상례되는 사항을 지시하기 위함이다.
② 한국철도공사의 수익성 증가를 위함이다.
③ 각종 사고의 예방으로 여객 및 화물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수송하기 위함이다.
④ 기관사의 안전을 위함이다.
(3조) 2.다음 중 열차에 대한 정의로 옳은 설명은? ②
① 동력발생장치에 의하여 궤도상을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조한 차량을 말한다.
② 정거장외 본선을 운전할 목적으로 조성한 차량을 말한다.
③ 여객을 태우거나 소화물을 실을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④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3조) 3.정거장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②
① 역 ② 신호소 ③ 조차장 ④ 신호장
(3조) 4.자격자 이외의 자에게 임시로 작업을 시킬 때 그 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자를 역장 등이 지명한 자를 무엇이라 하는가? ④
① 기관사 ② 관제사 ③ 차장 ④ 적임자
(3조) 5.구내운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① “구내운전”이라 함은 정거장 또는 차량기지구내에서 입환신호기, 입환표지, 선로별표시등의 현시 조건에 의하여 동력을 가진 차량을 이동 또는 전선하는 경우에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② 열차가 운행도중 최초의 진행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운전하는 경우를 말한다.
③ 특수한 사유로 인하여 특별한 주의력을 가지고 운전하는 경우를 말한다.
④ 동력차를 맨 앞으로 하지 않고 운전하는 경우를 말한다.
(3조) 6.다음 사항 중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따로 정하는 경우가 아닌 항목은? ④
① 본선의 명칭 및 순위
② 본선의 운전기본방향 기준
③ 운전취급을 생략하는 정거장
④ 안전측선의 명칭기준
(3조) 7. 운전관계 승무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① 열차에는 기관사, 부기관사 및 차장이 승무하여야 한다. 어떠한 이례적 상황에도 부기관사 또는 차장의 승무를 생략하거나 부기관사 및 차장의 승무를 동시 생략할 수 없다.
② 차장이 승무하지 않은 경우 정거장외에 있어서의 차장에 관한 규정은 기관사(열차에 2이상의 기관차가 연결시 보조기관사)에 이를 준용한다.
③ 제1항 단서에 의하여 차장의 승무를 생략한 경우에는 부기관사가, 부기관사의 승무를 생략한 경우에는 차장이, 부기관사 및 차장의 승무를 동시에 생략한 경우에는 기관사가 그 집무를 수행 또는 겸무할 수 있다.
④ 사고․기타 부득이한 사유에 의하여 정거장외에서 차장이 차에서 내렸을 때에는 최근정거장까지 그대로 운전할 수 있다.
(11조) 8.열차 또는 차량을 운전, 취급할 때에 무선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③
① 운전정보를 교환할 때
② 운전상 위급을 요하는 사항을 통보할 때
③ 통고방법이 정해져있는 열차를 운전 할 때
④ 열차 또는 차량의 입환취급 및 각종전호를 할 때
(3조) 9.전차선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②
① 전차선 ② 팬터그래프 ③ 급전선 ④ 귀선
(3조) 10.유효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① 열차를 정차시키는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의 양끝에 있는 차량접촉한계표지 상호간의 길이를 말하고 출발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에 대하여는 출발신호기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②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하여 정한 구역을 말하며 “운전허용구간”이라고도 한다.
③ 열차 또는 차량이 운행하는 선로가 지하에 설치된 구간을 말한다.
④ 신호기의 위치로부터 뒷면의 방향을 말하고 ,“신호기의 바깥쪽”이라 함은 앞면의 방향을 말한다.
(3조)11.폐색구간에 대한 정의로 맞는 설명을 고르시오. ③
① 궤도회로의 절연장치가 차량접촉한계표지 안쪽 또는 출발신호기의 바깥쪽에 설치되었을 때는 절연장치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② 열차의 조성 또는 차량의 입환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③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하여 정한 구역을 말하며 “운전허용구간”이라고도 한다.
④ 상치신호기(열차제어시스템 포함)의 취급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3조)12.정거장 또는 신호소에 열차가 진입할 때 정지위치를 지나더라도 대향열차 또는 입환차량과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선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① 안전측선 ② 주본선 ③ 부본선 ④ 고속선
(3조) 13.단행열차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③
① 정거장내에 유치하는 차량을 말한다.
② 비상변․공기압력계 및 수제동기를 갖추고 공기제동기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③ 동력을 가진 기관차 또는 동차만으로 조성한 열차를 말한다.
④ 공기의 관통은 가능하나 공기제동기의 기능이 불완전한 차량을 말한다.
(3조)14.역에 대한 정의로 올바른 설명을 고르시오. ③
① 열차의 조성 또는 차량의 입환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② 상치신호기(열차제어시스템 포함)의 취급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③ 열차를 정차하고 여객 또는 화물의 취급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④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
(3조)15.다음 중 운전취급규정에서 정의하는 운전보안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④
① 열차자동정지장치
② 건널목 보안장치
③ 폐색장치
④ 조향장치
(13조)16.다음 중 차량을 열차로 하지 않고 정거장외 본선을 운전할 수 있는 경우는? (2)
① 퇴행운전을 할때
② 입환을 할때
③ 추진운전을 할때
④ 차장이 탑승했을때
(14조)17. 다음 중 열차를 맨 앞이 아닌 운전실에서 운전할 수 있는 경우는? (1)
① 추진운전이나 퇴행운전을 할때
② 차량 입환을 할때
③ 차량 조성을 할때
④ 구내운전을 할때
(15조)18. 다음 중 열차의 전 차량중 관통제동취급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3)
① 운전실의 경우
② 일반 객차의 경우
③ 제동관통기불능차를 회송하는 경우
④ 차량을 입환하는 경우
(17조)19. 다음 중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차장이 탑승해야 하는 차량은? (4)
① 운전실
② 객실
③ 아무곳이나 탑승해도 된다
④ 완급차
(18조)20.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열차로 할 각 차량간의 연결기를 완전히 연결하고 제동관, 주공기관 등각 공기관 호스를 연결한 후 앵글콕크가 완전히 열려있어야 하며, 또한전기선이 설치된 차량의 경우 각 차량간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① 열차의 조성
② 열차의 입환
③ 열차의 구내운전
④ 열차의 구원운전
(19조)21. 열차의 조성은 열차로서 출발하는 시각 몇분 전까지 완료하여야 하는가? (3)
① 2분
② 5분
③ 10분
④ 15분
(20조)22. 다음 중 조성후에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4)
① 연결기의 연결 상태가 완전한가?
② 각 공기관 호스 및 전기선의 접속상태가 완전한가?
③ 차량의 정비상태에 이상이 없는가?
④ 최대한 많은 차량을 조성하였는가?
(21조)23. 조성차수는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2)
① 조성하는 검수원의 수
② 견인정수 및 열차장 제한
③ 열차번호
④ 열차의 출발시각
(22조)24. 다음 중 동력차를 맨 앞에 연결해야만 하는 경우는? (1)
① 특발열차를 운행 할때
② 공사열차 및 구원열차를 운행 할때
③ 선로나 열차에 고장이 있을때
④ 뒤에 보조기관차를 사용 할때
(23조)25. 다음 중 완급차를 연결할 때 위치가 맞는 것은? (2)
① 견인운전시 열차의 맨 앞
② 견인운전시 열차의 맨 뒤
③ 견인운전시 보조기관차가 있을 경우 바로 뒤
④ 추진운전시 열차의 맨 뒤
(24조)26. 화물열차로써 공기제동기 사용 가능 차량이 12대 일 경우 공기제동기 사용 불능차량을 몇 대까지 연결할 수 있는가? (단, 차장은 탑승하지 않았다.) (3)
① 연결할 수 없다
② 12대까지 가능
③ 1대만 가능
④ 6대 가능
(24조)27. 공기제동기 사용가능차량이 4대인 최고속도 100km/h의 열차가 연결할 수 있는 공기제동기 사용불능 차량의 수는 몇 대인가? (4)
① 연결할 수 없다
② 4대까지 가능
③ 2대 가능
④ 1대만 가능
(26조)28. 다음중격리차로 사용할 수 없는 차량은? (3)
① 빈 화차
② 불에 타지 않는 물질을 적재한 무개화차
③ 특대화물 적재화차
④ 불이 날 염려가 없는 화물을 적재한 유개화차
(26조)29. 동력을 가진 기관차는 화약류를 적재한 차량과 얼마나 격리해야 하는가? (2)
① 1차이상
② 3차이상
③ 5차이상
④ 연결할 수 없다
(28조)30. 화물열차에 회송차량을 연결하는 경우 어느 위치에 연결해야 하는가? (1)
① 열차의 맨 뒤
② 열차의 맨 앞
③ 화차와 화차 사이에
④ 아무곳이나 무관하다
(31조)31.열차 및 차량에 대한 공기제동기 시험의 시행자로 틀린 것은? 3
①차량관리계원이 배치된 장소 : 차량관리계원
②차량관리계원이 배치되지 않은 장소(차량관리계원이 승무한 열차) : 승무차량계원
③차량관리계원이 승무하지 않은 열차 : 차량사업소장
④운행도중 정거장에서 열차에 보조기관차를 분리ㆍ연결하였을 때 : 기관사
(30조)32.열차 또는 차량이 출발하기 전에 공기제동기 시험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3
①고정편성열차가 아닌 열차로써 시발역에서 열차를 조성하였을 때.
②운행 중 동력차의 연결위치를 변경하였을 때
③특히 지정한 정거장에서 출발할 때
④열차에 사용하는 동력차를 교체 또는 분리하거나 연결하였을 때
(32조)33.본선과 지선에 걸쳐서 운전하는 열차의 조성은 본선 운전형태 그대로 지선을 운전할 수 있다. 동력차의 연결 위치로 맞는 것은?①
① 동력차는 열차의 맨 앞
② 동력차는 열차의 맨 뒤
③ 동력차는 열차의 중앙
④ 동력차는 열차의 아무 곳이나 연결해도 된다.
(32조)34.본선과 지선에 걸쳐서 운전하는 열차의 조성은 본선 운전형태 그대로 지선을 운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선운전 열차의 완급차 연결 취급으로 맞는 것은?②
① 완급차는 열차의 맨 앞. 다만, 맨 앞에 제동 작용이 완전한 차량을 연결하였을 때에는 생략할 수 있다
② 완급차는 열차의 맨 뒤. 다만, 맨 뒤에 제동 작용이 완전한 차량을 연결하였을 때에는 생략할 수 있다
③ 완급차는 열차의 중앙. 다만, 중앙에 제동 작용이 완전한 차량을 연결하였을 때에는 생략할 수 있다
④ 완급차는 열차의 아무 곳이나 연결해도 된다. 다만, 제동 작용이 완전한 차량을 연결하였을 때에는 생략할 수 있다
(32조)35.본선과 지선에 걸쳐서 운전하는 열차의 조성은 본선 운전형태 그대로 지선을 운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선운전 열차의 뒷 표지 게출 위치 취급으로 맞는 것은?②
① 뒷표지는 부득이한 경우 외 열차의 맨 앞
② 뒷표지는 부득이한 경우 외 열차의 맨 뒤
③ 뒷표지는 부득이한 경우 외 열차의 중앙
④ 뒷표지는 부득이한 경우 외 열차의 아무 곳이나 가능
(37조)36.열차의 도착ㆍ출발 및 통과시각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②
① 도착시간 : 열차가 소정의 위치에 정차한 때
② 출발시간 : 열차가 출발역을 완전히 빠져나갔을 때
③ 통과시간 : 열차의 앞부분이 정거장의 본 역사 중앙을 통과한 때
④ 통과시간 : 열차의 앞부분이 신호소의 본 역사 중앙을 통과한 때
(40조)37.교행 또는 대피시의 열차 취급으로 틀린 것은?①
① 열차를 임시로 교행 또는 대피시키는 정거장에서는 관계 열차가 통과시에는 진행 가능하다.
② 대향열차와의 교행 또는 선발열차의 대피를 다른 정거장으로 변경하였거나 대향열차 또는 선발열차가 이미 도착하였을 때 원 교행 4또는 대피정거장 역장 역시 제1항 단서에 의하여 통과시킬 수 있다.
③ 열차 교행 또는 대피를 하는 정거장 및 열차는 열차운전시각표에 의하여 작성하는 열차운전표와 열차운전상황표에 표시하여야 한다.
④ 유효장이 짧아 열차 교행 또는 대피를 금지시키는 정거장 및 구내본선지정과 그 취급에 관한 사항은 열차운전시행세칙에 따로 정한다.
(41조)38.정거장에서 2이상의 열차착발에 있어서 상호 지장할 염려 있을 때는 동시에 이를 진입 또는 진출시킬 수 없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예외의 경우 중 아닌 것은?④
① 안전측선, 탈선선로전환기, 탈선기가 설치되어 있을 때
② 동일방향에서 동시에 진입하는 열차 쌍방이 정차위치를 지나서 진행할 경우 상호 접촉되는 배선에서는 그 정차위치에서 100m 이상의 여유거리가 있을 때
③ 단행열차를 진입시킬 때
④ 열차의 진입선로에 대한 출발신호기 또는 정차위치로부터 150m (동차ㆍ전동열차의 경우는 100m)이상의 여유거리가 있을 때
(35조)39.운전취급규정 제35조 정시운전 노력 중 맞는 것은?①
① 기관사는 열차가 지연되었을 경우 허용속도의 범위 내에서 회복 운전하여야 한다.
② 기관사는 열차가 지연되었을 경우 역장의 동의가 있을시 허용속도 이상으로 회복운전을 할 수 있다.
③ 기관사는 열차가 지연되었을 경우 관제사의 동의가 있을시 허용속도 이상으로 회복운전을 할 수 있다.
④ 기관사는 열차가 지연되었을 경우 검수관의 동의가 있을시 허용속도 이상으로 회복운전을 할 수 있다.
(42조)40.상하열차를 구별하여 운전하는 1쌍의 선로가 있는 경우 열차 또는 차량은 어느 쪽 선로로 운전 하여야 하는가?(한철도공사 기준) ④
① 열차-좌측 차량-우측
② 열차-우측 차량-좌측
③ 열차-우측 차량-우측
④ 열차-좌측 차량-좌측
(42조)41.운전취급규정 제42조 열차의 운전방향 규정에도 불구하고 관제사 지시를 받은 후 지정된 선로의 반대 선로로 운전할 수 있는 경우 중 아닌 것은?③
① 선로 또는 열차의 고장 등으로 퇴행할 때
② 정거장과 정거장외의 측선 간을 운전할 때
③ 정거장외에서 운전할 때
④ 공사 ․ 구원 ․ 제설열차 및 시험운전열차를 운전할 때
(39조)42.열차는 정거장외에서는 정차할 수 없다는 규정에 불구하고 관제사 승인에 의해 열차를 임시로 정차시킬 수 있는 경우 중 틀린 것은?④
① 선로장애 또는 그 우려로 이의 긴급처리를 위한 시설 관계 직원이 현장에 출장할 때
② 열차운전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긴급수리를 위한 보수자가 현장에 타고 내릴 때
③ 열차운행 또는 직무 수행 중 발생한 위급한 부상자의 긴급수송 및 치료를 위한 의료요원이 현지에 출장할 때
④ 공사직원 및 그 가족의 신병으로 이를 긴급수송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직원이 타고 내릴 때.
(29조)43.파손차량 연결시의 검사 및 조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④
① 파손차량은 차량사업소장의 검사를 받지 않으면 열차에 연결할 수 없다.
② 파손차량을 열차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밧줄 또는 철사를 사용하여 운전도중 분리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③ 차량사업소장의 검사를 한 자는 운전상 주의를 요하는 사항을 관제사에게 보고하고 필요시에는 적임자를 열차에 승차시켜야 한다.
④ 관제사에게 보고 없이도 기관사가 조치할 수 있다.
(33조)44.정거장외에 남겨놓았거나 또는 굴러간 차량을 최근 정거장까지 회수하는 경우에 규정에 의하지 않아도 되는 규정 중 아닌 것은?③
① 제15조(관통제동의 취급)
② 제18조(열차의 조성)
③ 제20조(조성후의 확인)
④ 제30조(공기제동기 및 제동감도의 시험)
(36조)45. 여객 접속역에서 여객을 계승하기 위하여 지연 열차의 도착을 기다릴 때에는 열차를 연발시킬 수 있다. 이때 누구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가? 3
① 기관사 ② 역장 ③ 관제사 ④ 차장
(43조)46. 1폐색구간에는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3
① 자동폐색신호기에 정지신호의 현시 있는 경우 그 폐색구간에 진입할 때
② 통신 두절된 경우에 연락 등으로 단행열차를 운전할 때
③ 폐색구간에서 시험운전열차를 운전할 때
④ 고장열차 있는 폐색구간에 구원열차를 운전할 때
(43조)47. 1폐색구간에는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2
① 선로 불통된 폐색구간에 공사열차를 운전할 때
② 폐색구간에서 제설열차를 운전할 때
③ 폐색구간에서 열차를 분할하여 운전할 때
④ 열차가 있는 폐색구간에 다른 열차를 유도할 때
(54조)48. 열차 또는 차량의 신호의 지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열차 또는 차량은 정지신호 현시가 있을 때는 그 현시지점을 넘어서 진행할 수 없다.
② 운행도중 앞에 있는 신호기에 갑자기 정지신호가 현시될 경우에는 그 신호기 바깥쪽에 정차할 수 없더라도 신속히 열차 또는 차량을 정지시키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 기관사는 열차운전 도중 폭음신호·불꽃신호·방호신호 및 수신호에 의해 정지신호가 현시된 것을 알았을 때에는 일단 자기 열차에 대한 정지신호로 보고 정차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④ ③의 경우에 정차했으나 정지수신호의 현시가 없고 선로 기타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될때에는 구간최대허용속도내로 운전할 수 있다.
(54조)49. 특수신호에 의한 정지신호에 의해 정차하였으나 정지수신호의 현시가 없고 선로 기타에 이상 없다고 판단되어 다시 진행시 전방 역까지 몇Km/h 이하의 속도로 주의 운전하여야 하는가? 2
① 15Km/h ② 25Km/h ③ 30Km/h ④ 45K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