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력 | 서기 | 간지 | 연호 | 연령 | 기사 | 순조 | 24 | 1824 | 갑신 | 道光 | 4 | 1 | 7월 2일, 務安 外邑坊 高節里에서 태어나다. | 순조 | 31 | 1831 | 신묘 | 道光 | 11 | 8 | 警軒 金相澈에게 「石潭要訣」을 배우다. | 헌종 | 3 | 1837 | 정유 | 道光 | 17 | 14 | 李正奎에게 과거 공부를 하다. ○ 겨울, 羅州 陞補試에 응시하다. | 헌종 | 4 | 1838 | 무술 | 道光 | 18 | 15 | 봄, 遯村 洪敬燮에게 三經을 배우다. | 헌종 | 5 | 1839 | 기해 | 道光 | 19 | 16 | 光山金氏 金弼柱의 딸과 혼인하다. ○ 7월, 조부상을 당하다. | 헌종 | 7 | 1841 | 신축 | 道光 | 21 | 18 | 봄, 咸平 射山講堂에서 독서하다. ○ 尹滋華, 鄭鍾學, 梁相器 등과 교류하다. | 헌종 | 8 | 1842 | 임인 | 道光 | 22 | 19 | 가을, 東堂試에 응시하다. | 헌종 | 10 | 1844 | 갑진 | 道光 | 24 | 21 | 봄, 長城 白羊寺에서 독서하며, 雙溪樓에 걸린 圃隱 鄭夢周의 시에 차운하다. ○ 8월, 복시에 응시하다. | 헌종 | 13 | 1847 | 정미 | 道光 | 27 | 24 | 겨울, 靈光 佛甲寺에서 독서할 때, 양상기, 白奎洙, 高時勉, 정종학, 윤자화 등이 내회하다. | 헌종 | 14 | 1848 | 무신 | 道光 | 28 | 25 | 4월, 부친상을 당하다. ○ 9월, 모친상을 당하다. | 철종 | 2 | 1851 | 신해 | 咸豐 | 1 | 28 | 봄, 鷺湖로 梅山 洪直弼을 찾아뵙고 제자가 되다. ○ 5월, 함평으로 가서 新別堂, 觀海亭 등지를 유람하다. | 철종 | 4 | 1853 | 계축 | 咸豐 | 3 | 30 | 7월, 홍직필을 곡하다. ○ 장녀가 태어나다. | 철종 | 5 | 1854 | 갑인 | 咸豐 | 4 | 31 | 3월, 동문들과 홍직필의 문집 간행을 논의하다. ○ 겨울, 백규수, 丁士賓과 靈東 萬谷祠 강당에서 강습하다. | 철종 | 6 | 1855 | 을묘 | 咸豐 | 5 | 32 | 가을, 井邑의 考巖書院 道會所에서 坊外 유생 6백여 명이 연명으로 尹拯 父子의 관작 추탈을 요구하는 소를 올릴 때 동참하다. | 철종 | - | ~ | ~ | 咸豐 | - | ~ | 이즈음 여기저기로 옮겨 독서도 하고, 과거에 응시도 하며, 永恩府院君 金汶根과 판서 尹正求를 찾아 보기도 하다. | 철종 | 12 | 1861 | 신유 | 咸豐 | 11 | 38 | 2월, 漢城試에 응시하다. ○ 4월, 문과에 급제하여 가주서가 되다. ○ 7월, 승문원 부정자가 되다. | 철종 | 13 | 1862 | 임술 | 同治 | 1 | 39 | 8월, 肇慶廟 別檢이 되다. | 고종 | 1 | 1864 | 갑자 | 同治 | 3 | 41 | 12월, 성균관 전적, 사간원 정언이 되다. | 고종 | 2 | 1865 | 을축 | 同治 | 4 | 42 | 1월, 思悼世子를 죽음으로 몰고 간 辟派의 거두 金龜柱의 復權과 贓汚罪를 범한 金始淵의 放免에 반대하여 그들의 죄를 바룰 것을 청하는 소를 올렸다가 대간에서 체직되다. ○ 2월, 사헌부 지평이 되었다가 곧바로 체직되고 海路로 松京을 여행하다. ○ 6월, 이조 정랑이 되다. | 고종 | 3 | 1866 | 병인 | 同治 | 5 | 43 | 프랑스 군대가 강화도를 침입한 소식을 듣고 친지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상경하다. ○ 12월, 永惠翁主의 祿牌를 직접 납입하지 않고 下隷로 대행하게 했다는 죄목으로 의금부에 拿囚되었다가 방면되다. | 고종 | 4 | 1867 | 정묘 | 同治 | 6 | 44 | 12월, 평안도 大同 察訪, 춘추관 기사관이 되다. | 고종 | 6 | 1869 | 기사 | 同治 | 8 | 46 | 11월, 節使의 差使員으로 義州에 가다. | 고종 | 7 | 1870 | 경오 | 同治 | 9 | 47 | 관찰사 韓啓源과 御史 李裕承의 狀啓에 따라 특명으로 중임되다. | 고종 | 8 | 1871 | 신미 | 同治 | 10 | 48 | 1월, 〈安州行〉을 짓다. ○ 6월, 지평이 되다. ○ 7월, 임기가 만료되어 귀향하다. | 고종 | 9 | 1872 | 임신 | 同治 | 11 | 49 | 8월, 예조 좌랑이 되다. | 고종 | 10 | 1873 | 계유 | 同治 | 12 | 50 | 봄, 상경하여 大貞洞에 우거하다. ○ 4월, 성균관 직강이 되다. ○ 12월, 장령이 되다. | 고종 | 11 | 1874 | 갑술 | 同治 | 13 | 51 | 2월, 時弊 5條를 진달하다. | 고종 | 13 | 1876 | 병자 | 光緖 | 2 | 53 | 3월, 부인상을 당하다. | 고종 | 16 | 1879 | 기묘 | 光緖 | 5 | 56 | 가을, 고을 원 洪在鼎의 도움으로 폐허가 되었던 선대의 遊山亭을 중건하다. ○ 8월 종형 朴淇榮의 장자 朴瑛相을 後嗣로 삼다. | 고종 | 17 | 1880 | 경진 | 光緖 | 6 | 57 | 〈遊山亭重修記〉를 짓고, 「錦城邑誌」를 修葺하다. ○ 11월, 상경하여 대정동에 우거하다. | 고종 | 18 | 1881 | 신사 | 光緖 | 7 | 58 | 1월, 中學橋에 이거하고 소를 올려 時弊를 진달하다. ○ 5월, 自辟으로 직강이 되다. | 고종 | 19 | 1882 | 임오 | 光緖 | 8 | 59 | 時務 6조를 진달하다. | 고종 | 20 | 1883 | 계미 | 光緖 | 9 | 60 | 6월, 헌납이 되다. ○ 11월, 지평이 되다. ○ 12월, 병조 정랑이 되다. | 고종 | 21 | 1884 | 갑신 | 光緖 | 10 | 61 | 2월, 정언이 되다. ○ 10월, 정변이 일어나 대내에서 6일 간 숙직하며 監軍하다. ○ 시무 5조를 진달하다. ○ 12월, 병조 좌랑이 되다. | 고종 | 22 | 1885 | 을유 | 光緖 | 11 | 62 | 3월, 전적이 되다. ○ 7월, 직강이 되다. ○ 9월, 碧洞으로 이거하다. | 고종 | 23 | 1886 | 병술 | 光緖 | 12 | 63 | 상소하여 斥和論을 주장하다. ○ 11월, 奉常寺 判官이 되다. | 고종 | 25 | 1888 | 무자 | 光緖 | 14 | 65 | 사간, 직강, 통례원 우통례가 되다. | 고종 | 26 | 1889 | 기축 | 光緖 | 15 | 66 | 9월, 좌통례가 되다. ○ 12월, 장령이 되다. | 고종 | 27 | 1890 | 경인 | 光緖 | 16 | 67 | 1월, 장악원 정이 되다. ○ 3월, 致仕하고 낙향하여 졸할 때까지 친지들과 교유 하며 爲先 사업 등에 진력하다. | 고종 | 29 | 1892 | 임진 | 光緖 | 18 | 69 | 아들 朴玟相이 태어나다. | 고종 | 30 | 1893 | 계사 | 光緖 | 19 | 70 | 5월, 아들 朴瑛相을 곡하다. | 고종 | 31 | 1894 | 갑오 | 光緖 | 20 | 71 | 東學敎徒가 궐기하자 본읍 수령과 방어 계책을 논의하다. | 고종 | 35 | 1898 | 무술 | 光武 | 2 | 75 | 1월 6일, 졸하다. ○ 3월, 胎山 先塋에 장사 지내다. | - | - | 1912 | 임자 | - | - | - | 문인들이 활자로 문집을 인행하다. |
|
첫댓글 감사합니다
죽포박기종 증조부님 자료는 한국학자료센타에 확인 가능합니다.
C.D 에 전체자료가있습니다
복사해서 보내드릴까요.
죽포집만 필요합니다
복사해 보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