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4. 4기능 지도
I. 듣기 지도
1. 듣기의 유형
1) 독백 (Monologue):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의 방해를 받지 않는 가운데 듣는 사람의 이해 여부와 무관하게 말을 계속 하는 것으로 강의, 라디오 방송, 뉴스청취등이 있다.
2) 대화 (Dialogue):두 사람 이상의 발화자가 개입되는 대화
상호작용형 (Interpersonal Dialogue):발화자들은 서로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대화를 나눈다.
업무형 (Transactional Dialogue):대화의 목적이 정보 전달에 있는 대화이다.
2. 듣기의 특성
덩어리 (Clustering):듣기는 읽기와 달리 기억의 한계로 인해 발화를 몇 개의 덩어리로 묶어 이해하게 된다.
잉여 (Redundancy):주위에서 들리는 수많은 대화를 들어보면 실제로 우리는 동일한 정보가 여러 번 반복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잉여성은 듣고 이해하는 과정을 좀 더 쉽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교체말하기 (rephrasings), 반복하기 (repetitions), 정교화하기 (elaborations) & 삽입하기 (insertions of “I mean” and “You know”)
축소형 (Reduced forms):수업시간에 정확한 형태만 듣던 학습자에게는 어려운 부분일 수 있다.
음운론 (Phonological): Djeetyet?을 사용–Did you eat yet?
형태론 (Morphological): I’ll을 사용 - I will
통사론 (Syntactic): “When will you be back?”에 대한 답으로 “Tomorrow, maybe” 사용
화용론 (Pragmatic): 집에서 전화가 울렸을 때 “Mum! Phone!”이라고 소리치는 아이
수행상 변이 (Performance Variables):발화는 미리 치밀하게 계획된 웅변이나 강의 등을 제외하고는 발화당시의 상황과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hesitations, false starts, pauses…
구어식 표현 (Colloquial language):실제 생활에서 사용되는 많은 발화는 우리가 교과서나 문법책에서 보는 영어와는 다를 수가 있다. 속어나 비어, 숙어적 표현이나 여러 가지 독특한 표현들을 포함한다.
전달 속도 (Rate of Delivery):듣기에서 듣는 사람은 발화를 마음대로 중지하거나 언제든지 다시 들을 수도 없기 때문에 듣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발음 특성 (Stress, rhythm, intonation):영어의 구어체는 영어만이 갖는 독특한 리듬과 강세 패턴, 억양 구조를 갖는다.
상호작용 (Interaction):듣기는 대부분의 경우 대화자들간의 상호작용을 내포한다. 따라서 교실에서 외국어의 듣기 연습을 시킬 때에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특성에 입각한 의미협상전략 등에 유의하여 연습시켜야 할 것이다.
3. 듣기 학습 활동의 유형
반응형 (Reactive):학습자가 발화를 듣고 단순하게 따라하는 등의 활동으로 의미는 고려하지 않고 소리를 따라하면서 발음 연습 등을 할 때 주로 하는 활동이다.
집중형 (Intensive):학습자에게 발화의 특정요소에 주의를 기울여 찾아내도록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교실활동에는특정단어나 구를 따라하게 하거나 억양이나 강세, 축약형, 특정 문법구조를 찾아 내도록 하는 활동 등이 있다.
응답형 (Responsive):학습자들에게 발화에 대하여 어떤 반응을 보이도록 요구하는 활동이다. 교실활동으로 학습자들에게 질문을 하거나 명령을 내리거나 학습자의 이해를 측정하는 질문을 하는 활동이 있다.
선택형 (Selective):긴 내용의 발화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 정보를 찾아내도록 하는 활동이다. 연설이나 방송, 이야기, 긴 대화 등을 듣고 학습자들에게 사람의 이름이나 날짜, 특정 사실이나 지명, 주제 등을 찾아내게 하는 활동등이 포함된다.
확장형 (Extensive):Intensive나 Selective 활동과는 달리 발화의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긴 강의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인 주제나 목적을 찾아내는 활동으로 학습자들은 보통 필기를 하거나 토론 등을 통해 듣기자료의 완전한 이해를 추구한다.
상호작용형 (Interactive): 모든 유형의 활동을 통합한 듣기활동으로 학습자들은 다른 학습자들과 토론이나 대화, 역할극 등을 통하여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듣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II. 말하기 지도
1. 말하기 방법의 원리
정확성에 초점을 둔 언어 중심(language-based)으로부터 유창성을 위한 내용 중심(message-based)에 이르기까지 모든 활동을 포함하도록 한다.
∙의미 있는 장(meaningful context)과 실제 언어(authentic language)를 이용하여 내적 동기를 부여 한다.
∙적절한 피드백과 수정(correction)을 제공한다.
∙말하기와 듣기의 자연스런 연결을 이용한다.
∙학생에게 ‘말하기’ 시작 기회를 주도록 한다:말하기 전략을 발달시키도록 한다.
2. 성공적인 말하기 학습유형
말할 기회를 많이 준다. (Learners talk a lot):교실에서의 말하기 활동은 우선 학습자들에게 말할 기회를 많이 주어야한다.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학생들의 그룹 활동이나 짝 활동을 통하여 외국어를 말할 시간을 많이 가져야 한다.
참여를 고르게 한다. (Participation is even):효율적인 말하기 학습활동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골고루 가져야한다.
동기부여를 높인다. (Motivation is high):학습자들은 자신들이 흥미를 갖고 있는 토픽에 관해 이야기 할 때, 그리고 어떤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때 학습 동기가 높아져 말하기 능력의 향상이 다른 언어 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해할수 있는 수준의 언어사용이 강조된다. (Language is of an acceptable level):학습자들에게 너무 정확한 발화를 강조할 것이 아니라 서로 간에 이해 될 수 있는 수준의 언어 구사를 강조할 때 학습자들은 말을 많이 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말하기 능력이 향상된다.
3. 교실 학습 활동의 종류
모방형 (Imitative):언어형식에 집중하는 활동으로 특정 자모음, 발음의 강세나 리듬, 억양, 문법 구조 연습을 한다. 의사 소통능력에 도움이 되기위해서 이 활동은 교실활동으로 너무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집중형 (Intensive):imitative와 비슷한 활동으로 중요한 문법 구조등을 짝 활동의 형식으로 연습하는 활동이다.
응답형 (Responsive):교사나 학생들이 질의-응답형식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상호작용이기는 하나 대화(dialogue) 수준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업무형 (Transactional Dialogue):responsive 활동을 확장하여 대화문의 형식을 취하는데 주로 상대방과의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한다.
상호작용형 (Interpersonal Dialogue):대화문을 통해 말하기를 연습하는 활동으로 대화자들 사이의 사회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대화이다.
확장형 (Extensive: monologue):주로 중상위수준에서 이루어지며 구두보고나 요약 또는 간단한 연설 등을 연습하는 활동이다. 언어 스타일은 확장된 과제를 위해서 주로 계획되고(deliberative) 형식적이지만, 가벼운 형식으로 전달되는 스피치도 포함된다.
4. 담화분석 (Discourse Analysis)의 정의
∙문장 (sentence): 문법에서 도출되어 올바른 형식을 갖춘 단위
∙발화 (utterance): 의사소통에서 문장의 사용가치에 의해 특징이 지워지는 담화의 단위
∙담화 (discourse): 여러 문장을 연결하여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담화분석은 언어의 형태 보다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원어민과 학습자간에 실제적으로 의사를 전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을 갖고 있는지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한 예로 ‘It's stuffy here’의 문장이 단순한 사실을 표현하거나, 불평을 하고 있거나, 아니면 명령을 하는 등의 언어적 기능을 나타내는데 이는 사용된 맥락 안에서 결정된다. 언어의 기능적인 면을 실제 언어 사용맥락에 비추어 제대로 사용되고 있고 이해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담화 분석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성공적인 언어습득은 상대방 화자와의 상호 작용을 하는 담화를 통해 실용적 목표 (pragmatic goals)를 성취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1) 대화의 규칙 (rules of conversation)
주의 집중 (Attention Getting): 대화를 시작하면서 청자의 관심과 주의력을 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청자가 주의력을 갖고 대화에 참여할 때 화자는 자신의 의도한 목적대로 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주제 결정 (Topic nomination): 상대방의 주의력이 이루어졌으면 특정주제로 대화를 시작하게 된다. 특정주제를 유도할 수 있는 서술이나 질문을 함으로써 대화를 시작한다.
주제 전개 (Topic Development): 특정주제를 가지고 원활하게 대화를 이끌어 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대방의 실수에 대해 수정작업을 통해 대화의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명료화 (clarification), 관련 다른 주제로 바꾸어 대화를 이끌어나가는 화제전환 (shifting), 대화주제와 관련없는 주제는 회피(avoidance), 상대방 말에 적절하게 끼어드는 개입(interruption)등의 전략 등이 사용된다.
주제 종결 (Topic termination): 상대방이 알아차릴 수 있는 말이나 대화를 통해 대화를 종결한다.
2) 문체 (styles)와 형식성 (formality)
문체는 특정한 의사소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제나 청중 혹은 주위 환경에 따라 언어의 사용을 달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친한 친구 사이의 문체와 입사시험에서 면접관과 주고받는 문체는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각기 다른 상황에서 알맞은 문체를 선택하여 언어를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이 의사소통능력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