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에서 15일 이상 체류를 원하실 경우에는 국경에서 따로 비자 발급(한달 비자비용 30$)을
받거나, 15일이 되기 전 태국으로 출국 후 재입국하는 비자클린 방법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오후 5시가 넘어 입국하려면 약 10,000낍(약 1400원)의 수수료를 지불하여야 합니다.
비엔티엔 시내 달랏 사오 터미널까지 툭툭이를 타고 이동하시면 됩니다.
라오스는 터미널 근처에는 항상 시장이 있습니다.
출발시간은 아침 7:30 부터 저녁 6:00 까지 입니다.


농카이에 도착하면 원 웨이 티켓을 사서 개표구에 넣고,
다시 버스를 타서 태국 국경 까지 가셔야 합니다.
이민국에서 어디 가느냐고 물으면 Tesco 에 쇼핑하러 간다,
혹은 태국 우돈타니 도시 구경하러 간다고 대답하시면 됩니다.
라오스 및 한국 방문객 추이
라오스 방문 한국인은 2007년 13,000여 명이던 것이 2008년 9월부터 시행한 일반 여권 소지자의 라오스 입국 비자 면제(15일) 조치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0년에는 전년 대비 53% 증가한 총 27,312명의 한국인이 라오스를 방문하였다. 일반 여행객과는 별도로 학교, 병원, 국내 봉사단체 등 각종 기관 단위로 라오스를 찾는 봉사단 규모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인의 라오스 방문 현황
단위: 명
한국인의 라오스 방문 현황연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방문객수 | 7,098 | 9,189 | 10,693 | 13,060 | 18,000 | 17,876 | 27,312 |
출처: 라오스 관광청
초창기 한국 방문 라오스인들은 주로 정부 초청 장학생 또는 정·관계 인사들이었으나 2008년 이후 관광 목적 방문객이 매년 2배 가량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라오스의 경제 수준 향상에 따라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라오스 비자 발급 현황
단위: 건
연도별 라오스 비자 발급 현황연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총 건 수(관광비자) | 660(237) | 881(502) | 1,337(1,221) 한국과 라오스의 민간 교류 현황 (라오스 개황, 2011. 10., 외교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