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一冊(제1책) : 禪讓(선양)의 時代(시대) : 虞書(우서)・夏書(하서)
・3쪽 첫째 줄 : 백 세 → 십 세
셋째 줄 : 周因於殷하니 → 周因於殷禮하니
・6쪽 아래에서 넷째~둘째 줄 : (아, 순이여. 하늘의 역수가 그대 몸에 있으니 진실로 그 중을 잡아라. 사해가 곤궁하면 하늘의 녹이 길이 끝나리라. → 하늘의 역수가 그대 몸에 있음이라. 그대는 마침내 원후에 올라야 하리라.
・66쪽 위에서 아홉째 줄 : 양이 주를 낳고 → 중
・101쪽 ~103쪽 맨 꼭대기 제목(일명 '하시라') : 尙書注解傳述人(상서주해전술인) → 蔡沈(채침)의 書經集傳序(서경집전서)
・109쪽 <제2장> 둘째 줄 : 恊和萬邦 → 協
<제7장> 둘째 줄 : 隩요 → 이오
・110쪽 아래에서 셋째 줄 : 伊嗜 → 耆
・111쪽 <제1장> 첫째 줄 : 安案 → 案
・126쪽 위에서 둘째 줄 : 끝의 음토없는 '希革' 삭제
・130쪽 위에서 셋째 줄 : '일이라.'와 '또' 사이에 다음 해석 넣으세요. : 일단(日短)은 낮의 40각이라. 성묘(星昴)는 서방 백호인 칠수의 묘수(昴宿)니 동짓날 어두울 때의 중성이라.
・131쪽 <제8장> 둘째 줄 : 成績 → 庶
・133쪽 '[도표9] 閏月定時成歲圖 해설'
첫 줄 : 皆云日行一度요 月行十三度十九分度之七이오 皆云日行一度에 月行十三度十九分度之七이라
여섯째 줄 : 終於九地라 數終於十이오 → 終於九라 地數終於十이오
8~9째 줄 : '(1도가 차이 나고)' 삭제
・134쪽 도표 아래 4~5째 줄 : 九地에서 마침이라. 수는 10에서 마치니, → 九에서 마치고, 지수는 10에서 마치니,
5~6째 줄 : '(곧 天數는 9로 마치고, 地水는 10을 마침)' 삭제
・139쪽 <제12장> 경문 끝 줄 : 음토없는 '欽哉' 삭제
・146쪽 <제2장> 경문 둘째 줄 : 㤠風雷雨 → 烈
・148쪽 첫 줄 : ䷳→ ䷲, 시창(矢鬯 → 비창(匕鬯
・158쪽 첫 줄 끝 : 臣 → 神
・161쪽 셋째 줄 : 租 → 祖
・168쪽 위에서 넷째 줄 : 공으로 시험하시며 → 공을 살피시어
・169쪽 첫 줄 : 음토없는 '濬川' 삭제
・181쪽 위에서 넷째 줄 : 밝고 큼을 → 화하를
・182쪽 <제21장> 둘째 줄 : 在 → 哉
・186쪽 <제23장> 경문 둘째 줄 : 夙也 → 夜
주석 첫째 줄 : 地祗之禮也 → 祇
・187쪽 주석 첫 문단 : 冑는 長也니 也라 → 冑는 長也니 自天子至卿大夫之適子
・189쪽 주석 첫 문단 : 事神祗 → 祇
・202쪽 <제2장> 경문 첫 줄 : 음토없는 '黎民' 삭제
・203쪽 첫 줄 : 孔子曰爲君難하면 → 며
・225쪽 <제19장> 주석 해석 첫 줄~ 셋째 줄 : “요가 나아가서 천하를 받은 곳을 문조라 하고, 순이 나아가서 천하를 받은 곳을 신종이라 하니, 사람에게서 천하를 받으면 반드시 그 사람이 나아가 받은 곳에 고한다” → “요를 따라서 천하를 받은 곳을 문조라 하고, 순을 따라서 천하를 받은 곳을 신종이라 하니, 사람에게서 천하를 받으면 반드시 그 사람을 따라 받은 곳에 고한다”
・229쪽 주석 해석 여섯째 줄 : (忍慝) →(引慝)
・242쪽 <제6장> 경문 셋째 줄 : 음토없는 '五' 삭제
・248쪽 아래에서 셋째 줄 '네 가지' 앞에 '저는' 넣음
・249쪽 아래에서 셋째 줄 : 교(橇)라 → 취
・254쪽 <제2장> 경문 해석 첫 줄 : 앞의 '삼가' 삭제
・255쪽 <제3장> 경문에서 음토없는 '吁' 삭제
・256쪽 <제4장> 경문 해석 둘째 줄 : 힘을 → 써
넷째 줄 : 꽃과 동물 → 꿩
・262쪽 맨 아랫 줄 [도표25] → 9
・262쪽 맨 아랫 줄 끝 부분부터 263쪽 첫 줄의 '와 [도표25] 堯制五服圖(요제오복도) 참조.' 삭제
・273쪽 <제9장> 경문 둘째줄 : 祝 → 柷
・274쪽 위에서 넷째 줄 끝 : 아홉 → 네
[참고10] 안에 다음 그림 추가
・275쪽 맨 아랫줄 : 아직 나오지 않은 → 끝에서 나온
・277쪽 [도표24] 설명 중 넷째 줄 : 아홉 → 네
끝 줄에 보인지 않는 부분 : 것은 鐘을 치는 角槌(각추)
본문 다섯째 줄 : 賁鼓(분고, 大鼓)과 → 와
・283쪽 <제11장> 경문 위에서 다섯째 줄과 284쪽 위에서 셋째 줄 : 萬事惰哉 → 墮
・314쪽 위에서 넷째 줄 : 또 횡수라 하니, 동북쪽으로 → 또 횡수라 하니, 업 땅에 이르러 청장과 합하고, 동북쪽으로
・317쪽 아래에서 넷째 줄 : 옳지 않다 →이 물이 아니라
아래에서 셋째 줄 : 陸水에서 '水' 삭제
・318쪽 아래에서 여덟째 줄 : 않을 것을 → 않음을
・319쪽 <제11장> 경문 : 竭 → 碣
・322쪽 위에서 넷째 줄 : '이부하' → '복부하'
・352쪽 <제52장> 경문 맨 아랫줄 : 菁자 한 글자 삭제
・354쪽 위에서 다섯째 줄 : 한 자가 → 열 자가
・356쪽 아래에서 아홉째와 열째 줄 : 혁현 → 공현
・357쪽 주석 원문 위에서 다섯째 줄 : 曰禹塞淫水於滎陽下하고 → 에
・363쪽 맨 아랫줄 : 다만 공을 → 다만 경에서 공을
・370쪽 위에서 아홉째 줄 : 광주 → 요주
・373쪽 첫째 줄 : 사나워져 → 사납고 거만해져
・388쪽 위에서 여덟째 줄 : 其地皆可巧 → 考
・389쪽 위에서 아홉째 줄 : 뚫을 때 → 뚫음에
・397쪽 첫 줄 : 고쳐져 → 바뀌어
・403쪽 아래에서 셋째 줄 : 벼를 바치고 → 피곡(皮穀, 겉곡식)을
넷째 줄 : 쌀로 → 알곡으로
・404쪽 위에서 둘째 줄의 藳는 '稿'와 '稁' 의 글자와 통함
주석 해석 위에서 11~12째 줄 : 이삭을 버리고 낟알을 바치고, 바깥 백 리는 더욱 머니, 그 껍질을 제거하고 쌀만 바쳤음 → 이삭의 줄기를 버리고 피곡(皮穀, 겉곡식)을 바치고, 바깥 백 리는 더욱 머니, 그 껍질을 제거하고 알곡만 바쳤음
・405쪽 아래에서 셋째 줄 : 南邦 → 男
・406쪽 <103장 > 경문 첫째 줄 : 음토없는 '綏服' 삭제
・408쪽 아래에서 여섯째 줄 : 황복을 꺼리어 멀리하니 → 황복과는 거리가 머니
맨 아랫줄 : 대강 → 개략(槪略)
・409쪽 위에서 여덟째 줄 : 주나라 제도 에 구기(九畿)는 → 주나라 제도(『周禮』 夏官司馬편)에 구기(九畿)를 기록함에
열한째 줄 : 리지에 또한 → 리지에 기록하기를 또한
<제106장> 경문 첫 줄의 음토없는 '曁' 삭제
・415쪽 위에서 여섯째, 일곱째 줄: 암 → 엄
・416쪽 <제2장>에서 음토없는 '王' 삭제
・417쪽 아래에서 셋째 줄 : 백이 악백의 말을 몰고, 섭숙이 오른쪽이 되어서 진나라 군대에 도달할 → 백이 악백에게 말을 몰게 하고, 섭숙이 오른쪽이 되어서 진나라 군대에 도달했을
・440쪽 <제3장> 경문 둘째 줄 : 象 → 常
경문 해석 둘째 줄 : 간하라. → 간하여
第二冊(제2책) : 革命(혁명)의 時代(시대) : 商書(상서)・周書(주서)
・26쪽 <제4장> 경문 둘째 줄 : 孥戮予 → 孥戮汝
・29쪽 경문 둘째 줄 : '生聰明하시어든'에서 '든' 삭제
・36쪽 맨아랫 줄 : 취하시고' → 잡으
・37쪽 경문 첫 줄 : '德 一新' → 日
・41쪽 제3장 둘째 줄 : '祗' → 祇
・45쪽 아래에서 셋째 줄 : '으로 하여금' → 을 부려서
・49쪽 제1장 경문 첫 줄 : '祀' → 祠
・50쪽 각주 첫 줄 : 仲任 → 仲壬
・51쪽 아래에서 넷째 줄 : '전을' → 제(祭)를
・53쪽 위에서 일곱째 줄 : '전을' → 제(祭)를
위에서 열여덟째 줄 : '삼 년 상중' → 삼년상 중
・54쪽 경문 해석 아래 *표의 첫째와 일곱, 여덟째 줄 : : '載' → 哉
・55쪽 주석 해설 셋째 줄 : (有名 → 有命
・57쪽 첫 줄 : '같게 하셨으며' → 따르
・59쪽 아래에서 둘째 줄 : 忘'→ 忌
・61쪽 위에서 둘째 줄 : 祗→ 祇
셋째 줄 : 祇 → 祗
・67쪽 위에서 여섯째 줄 : '( 노아에는'→ 도기는
・71쪽 [참고1] 아래에서 셋째 줄 : 선공과 향사례에 제향할 때는 → 선공에게 제향하고, 빈객에게 음식을 대접하며, 제후들과 활을 쏠 때는
[참고1] 맨 아랫줄 : 현복→ 현면
・77쪽 맨아랫줄 : 음토없는 '惟天' 삭제
・78쪽 첫 줄 : 음토없는 '享' 삭제
・79쪽 *표 셋째 줄 : '以德則亂' → 否
・83쪽 아래에서 둘째 줄 : '욕심을 따른 데' → 방종과 욕심
・84쪽 경문 제7장 첫줄 '必求諸道하시며 이' → 有言
・92쪽 경문 둘째 줄 : '綠' → 祿
・93쪽 경문 : '七世之廟에 可以觀政' → 德
・94쪽 위에서 셋째 줄 : '服乎當時하여' → 라도
위에서 열째 줄 : '입혀져' → 복종했더라도
・106쪽 경문 : '民用丕德' → 變
・109쪽 제11장 경문 해석 둘째 줄 : '늦도록' → 힘써서
・123쪽 제12장 경문 해석 셋째 줄 : '두신 이께서' → 지라.
・131쪽 제4장 주석 원문 넷째 줄 : 圯(흙으로 덮은 다리 이) → 圮(무너질 비)
・132쪽 맨 아랫줄 : 圯 → 圮
・141쪽 [참고25] 일곱째 줄 내용 삭제
・162쪽 네모 안 맨 아랫줄 : 이를 경 → 격
・167쪽 첫 줄 : 蘖 → 糵
・168쪽 첫 줄 : 거의 → 바라건대
・182쪽 제6장 첫 줄 : 祗 → 祇
・187쪽 제7장 첫 줄 음토없는 '用 ' 삭제
・196쪽 第五篇 太甲上 제2장 첫 줄의 '祗' → 祇, 둘째 줄의 '祇' → 祗
・208쪽 위에서 둘째 줄 : 祗 → 祇
・211쪽 제6장 둘째 줄 : 祗 → 祇
・211~223쪽까지 홀수쪽 하시라 : 湯誓 → 泰誓上
・215쪽 둘째 줄 : 주나라를→ 紂(주)
・220쪽 아래에서 둘째 줄 : '없음이라.' 뒤에 ' "고 하니라.' 덧붙임
・226쪽 <제1장> 주석 둘째 줄 : 循 → 徇
・235쪽 <제3장> 넷째 줄의 '祝'은 '크다'는 뜻으로는 '축'으로, '詛呪(저주)하다'는 뜻으로는 '주'로 읽는다. 여기서는 하느님인 상제께서 망함을 내리는 뜻이므로, 236쪽 둘째줄의 '저주하여'는 '크게'로 수정한다.
・253쪽 위에서 다섯째 줄 과 아래에서 둘째 줄 : 하나라 땅을 → 화하(華夏)를
・254쪽 <제6장> 경문 끝의 '不率俾' 앞에 '罔'자 더함
・259쪽 <제9장> 경문 둘째 줄의 '敦'은 '惇'으로 고치고, 음토없는 '治'는 삭제
아래에서 다섯째 줄 : '어진' → 능한
・274쪽 주석 원문 아래에서 셋째 줄 : 왈왈 → 不曰曰
・279쪽 아래에서 일곱째 줄 : 356 → 365
・280쪽 아래에서 여섯째 줄 : 364 → 365
・283쪽 <제11장> 경문 해석 셋째 줄 '낯빛을' 앞에 '당신은 당신의' 추가
・285쪽 주석 해석 위에서 셋째 줄 : '正人(정인)은' 뒤에 '관직에 있는 사람이니' 추가
・287쪽 아래에서 둘째 줄 : '나왔으니' 뒤에 '말이' 추가
・289쪽 위에서 넷째 줄 : 以剛克剛 → 彊
주석 해석 셋째 줄 : 물리침 → 물러남
・295쪽 <제32장> 경문 첫 줄 : 懲 → 徵
・296쪽 위에서 둘째 줄 : 類例는로 → '는' 삭제
여덟째 줄 : '狐突(호돌)의' → 이
・300쪽 아래에서 둘째 줄 : 말음은 → 말하지 않음은
・303쪽 아래에서 일곱째 줄의 '성명을' 다음에 '횡사하고' 추가
・304쪽 둘째 문단 해석 첫 줄 : '사람' 앞에 '『정의』에 이르기를' 추가
・310쪽 <제3장> 경문 첫 줄 : 음토없는 '分' 삭제, '賓' → 寶
・311쪽 <제4장> 주석 셋째 줄 : '安能盡其心이니' → 리
아래에서 셋째 줄 : 다하며 → 리오
・322쪽 <제7장> 경문 둘째 줄 : 外 → 畏
・327쪽 아래에서 다섯째 줄 : 동도를 피하여 → 피하여 동도에
・328쪽 [참고36] ① : 勤思 → 勤斯
・337쪽 <제1장> 경문 해석 둘째 줄 : '우리나라' → 왕가(王家)
・339쪽 위에서 둘째 줄 : '평정되지'→ 안
・340쪽 위에서 넷째 줄 : '우리 주나라를 고을로 삼으리라.' 하나다'→ 우리가 주나라를 변방고을로 삼으리라.' 하니라
・346쪽 아래에서 열한째 줄의 '않음이라' 뒤에 다음의 빠진 해석 넣으세요! : 말하기를, ‘하늘이 막고 닫아서 어렵게 하여 국가가 매우 어려운 것은 우리가 공을 이뤄야 할 바이니, 우리가 감히 무왕이 도모하신 바의 일을 끝까지 다하니 아니하랴?’ 함이라.
・ 347쪽 <제11장> 경문 해석 첫째 줄 : '말하여' → 면서
여섯째 줄 : '감히' 뒤에 '내 몸을 보존해' 넣을 것
・353쪽 경문 <제3장> 둘째 줄 : '恊' → 協
・355쪽 경문 <제2장> 첫째 줄 : '齊'의 음 ' 제' → 재
・356쪽 경문 첫 줄 : '恊' → 協
・368쪽 경문 셋째 줄 : '問' → 聞
・371쪽 <제9장> 경문 둘째 줄 : '有' → 惟
・373쪽 <제13장> 경문 첫 줄 : '伊' → 彛
・376쪽 네모안 [해설] 셋째 줄 : '안연편 서' → 안연편에서
・379쪽 아래에서 둘째 줄~셋째 줄 : '곁가지의 가르침' → 법규(法規)와 교령(敎令)
・380쪽 경문 해석 첫 줄 : '능히' 삭제
・382쪽 위에서 여덟째 줄 : '하니라.'와 '이끎은' 사이에 다음 문장 넣음 → 迪은 곧 吉康으로 이끈다는 迪이라. 하물며 이제 백성이 인도함에 따르지 않는 자가 없으니, 진실로 인도함을 두지 않는다면 나라에 정사가 없게 되니라.
・384쪽 <제23장>경문 둘째 줄 : '德' → 聽
・393쪽 [해설] 넷째 줄 : '네가' → 너희들이
'군주가 될' → 군주를 위할
・399쪽 <제13장>경문 첫 줄 : '南' → 男
・401쪽 위에서 다섯째 줄 : '봉토와 경기지방을' → 봉토의 경계를
여섯째 줄 : '땅을 넓혀 백성들을 거주를' → 백성들의 주거지 확보를
・410쪽 <제4장>경문 셋째 줄 : '鑊' → 雘
경문 해석 넷째 줄 : '가래나무로' → 목수가
・411쪽 <제5장>경문 둘째 줄 : '輯' → 集
・417쪽 <제1장>경문 해석 '주로부터' 뒤에 '아침에' 넣음
・419쪽 아래에서 일곱째 줄 : '봇도랑의 길이를 재고' → 봇도랑을 파고
・422쪽 <제10장>경문 둘째 줄 : '玆服厥命하여' → 玆服厥命이언마는
경문 해석 둘째~셋째 줄 : 명을 따라 마침내 → 명에 복종해야 하건마는 그 끝내는
・423쪽 첫 줄 : 병든 백성이 → 백성을 병들게 하는 자들이
<제11장>경문 둘째 줄 : '蹶' → 厥
・432쪽 첫 줄 : 하는 것 → 함
<제22장>경문 첫 줄 : 음토 없는 '乃' 삭제
・441쪽 위에서 여덟째 줄 : 하여금 → 사신
・442쪽 <제5장> 경문 해석 첫 줄의 '비로소' 삭제
・455쪽 둘째 문단 주석 해석 위에서 셋째~넷째 줄 : 새 읍이 다스려짐에 따 → 에 대해 다스림을 이뤄
・459쪽 <제29장> 경문 셋째 줄 : 貧 → 賓
・460쪽 <제31장> 경문 : 問 → 文
・473쪽 아래에서 셋째 줄 : 은나라→ 하나라
・477쪽 <제25장> 경문 둘째 줄 : 樂 → 洛
・479쪽과 738 <제4장> 경문 : 嚴恭寅畏하사 天命自度하시며 → 嚴恭寅하시며 畏天命하사 自度하시며
・480쪽 <제16장> 경문 둘째 줄 : '周文王과'에서 토씨인 '과' 삭제
・482쪽 <제2장> 주석 셋째 줄 : 舜라 → 舜이
<제3장> 경문 둘째줄 厥否母 → 厥父母
・484쪽 위에서 넷째 줄 : '천명으로써' 삭제
・492쪽 <제13장> 경문 둘째 줄 : 則의 음토를 '칙'으로 정정
・506쪽 주석 원문 첫 줄 : 說命 → 太甲
아래에서 여섯째 줄 : 열명 → 태갑
・507쪽 <제9장> 경문 첫 줄 : 祐 → 佑
・509쪽 <제10장> 경문 해석 둘째 줄 : 이어받아 → 이어받았다가
・510쪽 위에서 둘째 줄 : 재앙을 내리시어 → 베시고
・517쪽 <제20장> 경문 둘째 줄 : 勘 → 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