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괄호 안의 ㉠, ㉡을 순서대로 쓰시오. [2점]
이탈리아 속어 문학의 발전은 프랑스보다 늦었다. 그러나 13세기 말이 되자 중세를 통해 가장 위대한 작가로 꼽히는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가 나타났다. 피렌체 출신의 그는 젊어서 자신에게 구원의 여성이 된 베아트리체(Beatrice)와의 사랑을 노래한 서정시집 『신생(La Vita Nuova)』의 작가로 명성을 얻었으나, 연인이 죽자 철학과 정치에 뜻을 두었다. 그가 철학에 몰두한 결과 나오게 된 작품은 『향연(Il Convivio)』이며, 정치적 성향을 보여 주는 작품은 『왕정에 관하여(De Monarchia)』이다. 그는 정치적으로 ( ㉠ )에 반대하는 당파에 속해 활동했기 때문에 고향 피렌체에서 추방되었으며 결국 라벤나에 자리 잡았다. 그는 만년에 쓴 작품 『신곡(La Divina Commedia)』에서 로마의 시인 ( ㉡ )의 안내로 지옥과 연옥을 거쳐, 다시 베아트리체의 안내로 천국에 이르는 여정을 다루었다. 이 작품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과 더불어 중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
해설 : ㉠교황, ㉡베르길리우스
[서개론 p.240]
이탈리아에서 속어문학의 발전은 프랑스보다 늦었다. 그러나 聖프란체스코의 『太陽의 찬가』는 자연을 찬미하는 아름다운 걸작이었고, 13세기 말에는 중세를 통하여 가장 위대한 작가로 꼽히는 단테(1265~1321)가 나타났다. 피렌체 출신의 단테는 젊어서 그의 영원의 여성이 된 베아트리체에 대한 사랑을 노래부른 서정시 『신생(La Vita Nuova)』의 작가로서 출발하였으나, 그의 나이 25세 때 젊은 베아트리체가 사망함으로써 한때 절망에 빠졌다. 그 후 그는 철학공부에 뜻을 두었으며 그 성과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을 이탈리아어로 해설한 『향연(饗宴)』(1308)이라는 저술로 나타났다. 그는 피렌체에서 교황의 정책을 반대하는 당파를 지지한 탓으로 피렌체에서 추방되어 이탈리아 각처를 방랑하다가 만년에는 라벤나에 자리잡았다. 이러한 그의 정치적 경험으로 그는 황제파에 속하게 되고, 독일 황제에 의하여 통치되는 세계국가를 논한 『제정론(帝政論)』을 저술하였다.
그의 가장 위대한 걸작인 『신곡(神曲)』은 만년의 작품으로서 단테가 이교도인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안내로 지옥과 연옥, 그리고 다시 베아트리체의 안내로 천국에 이르는 웅장한 구상 하에 전그리스도교적인 우주의 환상과 그 속에서의 인간의 위치를 당대의 신학자와 철학자의 견해를 반영시키면서 비할 바 없는 통찰과 탁월한 문학적 솜씨로 묘사하였다. … 단테의 『신곡』은 아퀴나스의 『신학대전(神學大全)』과 장려한 고딕 교회건축과 더불어 중세문화의 주제가 그리스도교의 신앙임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