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의 난(永嘉之亂)은 중국 서진 말기에, 이민족이 서진의 수도를 정복한 난을 말하는 것이다.
회제(懐帝)의 연호였던 영가(永嘉 307년~312년) 때 일어났기에 그렇게 부르고 있다.
팔왕의 난(300년) 이후, 고대부터 중원(中原)이라 불리던 화북(華北)지역은 큰 혼란에 빠지며 많은 수의 유민(流民)이 각지를 유랑하는 신세가 되었고, 과거 한나라 시대 이후 중원에 들어와 살고 있었던 새외민족들에게는 큰 기회가 찾아왔다.
산서성을 중심으로 이주했던 흉노의 족장 유연은 팔왕의 난 때, 성도왕 사마영의 휘하에 있었으나 304년 서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좌국성(左國城)[1]을 본거지로 삼으며, 대선우(大單于)의 지위에 올랐다.
또한 한나라 때 내려진 유씨 성에 의거해 한왕(漢王)을 칭했다. 이 나라는 후에 조(趙)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후 산서성 남부로 세력을 확장해, 갈족의 석륵과 한족 유랑민의 우두머리였던 왕미를 휘하에 흡수해, 하북성과 산동성도 지배하에 두었다.
307년
사마예 황제 등극 (회제, 懐帝)
유연의 아들인 유총이 침공해오자 동해왕 사마월은 허창에 주둔하여 군대를 불러모았는데 회제는 이를 기회라고 판단[2], 장군 구희에게 밀서를 보내 동해왕 사마월을 주살할려고 했다. 정작 밀서를 전달하는 자가 사마월에게 체포되어 암살 시도는 실패했다. 사마월은 온 힘을 다해 국가의 혼란을 수습한 자신을 살해하려 든 회제의 처사에 격노하다가 분사(憤死)해버렸고, 구심점을 잃은 서진 왕조의 중앙 정부는 빠르게 붕괴되었다.
311년 5월, 결국 낙양성에 유총의 군대가 들이닥쳤고 서진군은 유총을 비롯한 전조의 주요 인물들이 12번의 전투를 모두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저항했다란 언급을 할 정도로 용맹하게 싸웠으나, 이미 뒤집힌 전세를 어쩌지 못한 채 불과 1개월도 못 된 6월경에 낙양성이 함락되었다.
황태자이며 회제의 외아들인 사마전을 포함한 30,000명이 살육되었고, 후한말 동탁의 낙양대겁탈 이래 다시 재건되었던 낙양은 약탈과 방화로 또다시 완전한 폐허가 되었다. 이때 궁전이 있는 낙양으로 수도를 옮기자는 왕미(한족)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유요(흉노)는 낙양을 깨끗이 태워버렸다.
회제는 체포되어 한나라의 수도 평양(平陽 - 현재 산서성 임분현 山西省 臨汾縣)으로 연행되었다
312년 유총은 회제를 회계공에 봉했는데 그를 연회에 초대했다. 사실 유총과 회제는 회제가 예장왕이던 시절에 서로 만났던 일이 있었기 때문에, 유총은 아끼던 첩을 사마치에게 선물로 주었고 그 첩은 회계공부인이 되었다.
313년 황실의 새해 맞이 행사에서 유총은 사마치에게 노예 복장을 입히고 고급 포도주를 들고 관리들을 접대하도록 했다. 원래 서진의 관리였던 유민과 왕준은 이런 굴욕적인 광경을 보고 감정이 복받쳐올라 크게 울고 말았다. 결국 313년 봄에 회제는 독살당했다.
여기까지가 좁은 의미의 영가의 난이다.
회제의 사후 장안에서 민제가 옹립되었으나, 이미 실질적인 서진 왕조는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민제도 흉노족의 포로가 되었고, 민제의 일가 친척도 흉노족들의 노비로 나누어 지는 사태가 벌어진 이후 서진의 마지막 황제 민제는 얼마 안 가 흉노족에 의해 살해되었다.
화베이는 이후 본격적인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민족들이 한족들을 유린하기 시작한 것이 사건이 바로 영가의 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