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이씨(全州李氏)는 신라 문성왕(文聖王, 839-856) 때에 사공(司空)을 지냈다는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후대로 이어져 22세 이성계(李成桂)에 이르러 조선을 건국, 왕위에 오름으로써 왕으로 추존 된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4대조 이안사(李安社)까지가 선원세계(璿源世系)에 들어가고, 시조부터 17세까지는 선원선계(璿源先系)라 한다.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이자춘(李子春)ㆍ이성계(李成桂)가 고려 말 고려 중앙정부에 진출, 현달하면서 고려의 여러 문벌귀족들과 연혼관계를 맺어 문벌로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조선을 건국한 이래 더욱 번성하여 우리나라의 가장 유력한 성씨 중의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자손이 크게 번성, 현달하여 파계(派系)도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데, 성씨를 이를 때 제왕(帝王)은 “不敢祖其祖”, 즉 조상으로 칭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여러 왕자(王子), 즉 대군(大君)이나 군(君)을 파조(派祖)로 하여 분파하였는데 이를 선원파계(璿源派系)라 한다.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분파(分派)는 이안사(李安社-목조(穆祖)로 추존)의 선계(先系)에서 갈라지는 파와 그 이후에서 갈라지는 파를 합하여 모두 123파가 된다. 이안사(李安社) 이전의 선계(先系)에서 갈라진 분파로는 15세조 이단신(李端信)을 파조(派祖)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이안사(李安社)의 할아버지인 이린(李隣)의 동생 이거를 파조(派祖)로 하는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이안사(李安社)의 동생인 이영습(李英襲)을 파조(派祖)로 하는 주부동정공파(主簿同正公派)가 있다. 이성계(李成桂)가 조선 태조로 즉위한 후 추존 4조(祖) 사이의 인물을 파조(派祖)로 하는 분파로는 먼저 이행리(李行里-익조(翼祖)로 추존) 대에서 이어선(李於仙)을 파조(派祖)로 하는 안천대군파(安川大君派), 이진(李珍)을 파조(派祖)로 하는 안원대군파(安原大君派), 이정(李精)을 파조(派祖)로 하는 안풍대군파(安豊大君派), 이매불(李梅拂)을 파조(派祖)로하는 안창대군파(安昌大君派), 이구수(李球壽)를 파조(派祖)로하는 안흥대군파(安興大君派)의 5대군파(大君派)가 있다. 다음으로 이춘(李椿-도조(度祖)로 추존) 대에서는 7대군파(大君派)가 나누어졌는데, 이안(李安)을 파조(派祖)로 하는 함녕대군파(咸寧大君派), 이장(李長)을 파조(派祖)로 하는 함창대군파(咸昌大君派), 이송(李松)을 파조(派祖)로 하는 함원대군파(咸原大君派), 이원(李源)을 파조(派祖)로 하는 함천대군파(咸川大君派), 이고태(李古泰)를 파조(派祖)로하는 함릉대군파(咸陵大君波), 이전을 파조(派祖)로 하는 함양대군파(咸陽大君派), 이응거(李應巨)를 파조(派祖)로하는 함성대군파(咸城大君派)가 그것이다. 이자춘(李子春-환조(桓祖)로 추존) 대에서는 이자흥(李子興)을 파조(派祖)로 하는 완창대군파(完昌大君派), 이자선(李子宣)을 파조(派祖)로 하는 완원대군파(完原大君派), 이평(李平)을 파조(派祖)로 하는 완천대군파(完川大君派), 이종(李宗)을 파조(派祖)로 하는 완성대군파(完城大君派)의 4대군파(大君派)가 나누어진다. 태조 이성계의 형제인 이원계(李元桂)의 후손이 완풍군파(完豊君派), 이화(李和)의 후손이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로 나누어지는데, 이상이 모두 18개 파이다. 그리고 태조 이후 고종 이전까지에 걸쳐 대군(大君)ㆍ군(君)을 파조(派祖)로 하는 파가 99파여서 모든 분파 수는 123파이다. 그러나 대군(大君)ㆍ군(君) 중에서 미혼으로 마쳤거나 후사가 없어 절손(絶孫) 된 경우가 20명이 되므로 전체 분파 수는 20파 정도가 적다. 이들 분파 중에서 조선조에 가장 번성한 파는 세종의 열세번 째 아들 이침(李琛)을 파조(派祖)로 하는 밀성군파(密城君派)이다. 후손에서 정승 6명, 대제학(大提學) 3명이 배출되었다. 이에 버금가는 파(派)는 정종의 열 번째 아들 이후생(李厚生)을 파조(派祖)로 하는 덕천군파(德泉君派)이다. 그 외에 세종의 다섯째 아들 이여(李璵)를 파조(派祖)로 하는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정종의 넷째 아들 이무생(李茂生)을 파조(派祖)로 하는 선성군파(宣城君派), 태종의 둘째 아들 이보(李補)를 파조(派祖)로 하는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가 번성하였다. 이 중에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의 자손이 가장 번성하였다. 정종의 열다섯번 째 아들 이선생(李善生)을 파조(派祖)로 하는 무림군파(茂林君派)와 중종의 아홉 번째 아들 이초(李초)를 파조(派祖)로 하는 덕흥대원군파(德興大院君派)에서는 많은 무관(武官)을 배출하였다. 전주 이씨(全州李氏) 선원선계(璿源先系)에 의하면 6세조 이긍휴(李兢休) 대에서부터 고려에 벼슬하였다. 시조인 이한(李翰)은 신라 태종 무열왕의 10세손인 군윤(軍尹) 김은의(金殷義)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고, 3세 이천상(李天祥)은 복야(僕射)를 지냈고 시랑(侍郞)을 지낸 영일 정씨(迎日鄭氏) 정습명(鄭襲明)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균윤(軍尹)은 고려시대의 향직계(鄕職階)로 종9품에 해당하는 것이었고, 정습명(鄭襲明)은 영일 정씨(迎日鄭氏)의 1세조가 되는 인물로 고려 인종ㆍ의종대(1123-1170)의 명신이었다. 선계(先系)에 대한 족보의 기록에는 사실과 다른 점이 있는 것 같다. 또 고려조에 들어와 7세조인 이렴순(李廉順)은 첨대정승(僉隊政丞)을 지낸 정익조(鄭翼祚)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는데, 고려에서 정승(政丞)이란 관직명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가 원(元)의 부마국으로 된 충렬왕 이후이며, 또 ‘첨대정승(僉隊政丞)’이란 관직명은 사용된 적이 없다.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6세조에서 고려에 벼슬하기 시작해 7세조 이렴순(李廉順) 때부터 11세조 이충민(李忠敏) 대에 이르는 동안 전주(全州)에 토착해서 향역(鄕役)에 종사한 것 같다. 그들이 직책이 호장(戶長), 장리(長吏)로 나타나 있다. 또한 대(代)를 뛰어넘어 13세조 이진유(李珍有)도 호장(戶長)을 지냈다 한다. 12세조 이화(李華)가 추밀(樞密)을 지내 중앙정부의 관직에 나아갔고, 13세조 이진유(李珍有) 대를 지나 14세조 이궁진(李宮進)은 한림(翰林), 15세 이용부(李勇夫)ㆍ이단신(李端信)은 각각 대장군(大將軍)ㆍ문하시중(門下侍中), 16세조 이린(李璘)ㆍ이거는 각각 내시집주(內侍執奏)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세계에 나오는 이들 중 역사에서 확인되는 인물은 무신정권성립초기에 무인이었던 이린(李璘)부터이다. 이보다 앞서 전주 이씨(全州李氏) 출신으로는 현종 때에 세워진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居頓寺圓空國師勝妙塔碑)’의 주인공인 승려 지종(智宗)과 전주리(全州吏) 출신으로 의종 즉위년에 사망한 평장사(平章事) 이준양(李俊陽)이 있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이 전주 이씨(全州李氏) 세계(世系)에 나오는 인물들과 어떤 관계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린(李璘)은 내시집주(內侍執奏)를 지냈고 시중(侍中)을 지낸 남평문씨가(南平文氏家)의 문극겸(文克謙)의 딸과 결혼하였다. 이 이린(李璘)은 ‘고려사’ 문극겸전(文克謙傳)에 이린(李隣)으로 나타나는 인물로, 무신난 주도자의 한 사람인 이의방(李義方)의 동생이다. 문극겸(文克謙)의 사위인 이린(李隣)이 전주 이씨(全州李氏) 16세조, 곧 이성계(李成桂)의 6대조인 이린(李璘)과 같은 인물이라는 것은 ‘남평문씨세보(南平文氏世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린(李璘)은 무인집권초기에 형인 이의방(李義方)과 함께 권력을 장악한 소수 무인에 속하였을 것이다. 그의 장인인 문극겸(文克謙)이 무신난 직후에도 문신으로 왕의 측근인 우승선어사중승(右承宣御使中丞)을 역임하였고, 명종3년 김보당(金甫堂)의 무인정권에 대한 반대로 일어난 계사(癸巳)의 난에 많은 문신이 살육 당할 때에도 이의방(李義方)의 두둔으로 무사하였다는 것은 무인정권에서의 이들 형제의 위치를 짐작케 해 준다. 이의방(李義方)은 명종4년 12월 서경(西京)에서 일어난 조위총(趙位寵)의 반란을 진압하는 도중에 정중부의 아들이 보낸 자객에게 살해되었다. 이 때 형인 이준의(李俊義)도 함께 잡혀 죽었고 곧 이어서 태자빈이 되었던 그의 딸도 쫓겨났다. 이의방(李義方)이 피살된 뒤 이린(李璘)의 위치가 어찌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린(李璘)의 아들 이양무(李陽茂)는 장군(將軍)을 지냈다 하나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뚜렷이 나타난 것이 없다. 그의 아들이 이안사(李安社)로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인데, 적어도 이때에는 개경관인(開京官人)에서 본관지(本貫地)인 전주로 돌아와 있었다. 이안사(李安社) 대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고려말에 이색(李穡)이 찬한 이자춘신도비(李子春神道碑), ‘고려사(高麗史)’의 기록, 조선개국 후 이성계(李成桂)의 선대(先代)를 찬양하기 위해 세종의 명으로 편찬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등에서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이안사(李安社)는 전주(全州)의 유력한 세력이었던 것 같다. 이 때는 몽고군의 고려침략이 한창이었던 고종 후반기였다. 그는 그가 아끼던 관기(官妓)의 일로 지주(知州)와 산성별감(山城別監)과 문제가 생겨 전주(全州)에 더 이상 살 수 없어 강원도 삼척(三陟)으로 옮겨 두타산성에 의지해 몽고군의 침입에 대비했는데, 이때 그를 따라 삼척(三陟)으로 옮긴 민호가 1백 70여 호였다. 몽고군은 고려를 침략하면서 어떤 지역의 주민을 항복시키면 그 지역의 주민을 군대로 징발하여 고려의 다른 지역을 공격하게 했다. 몽고군은 주력부대로서 뒤에 남고 고려의 백성들이 선봉대가 되어 고려를 공격하였고, 때로는 자진하여 몽고에 항복 고려의 여러 지역주민들에게 항복을 권하거나 공격에 앞장서는 자들도 있었다. 이러한 사태를 예방하고 또 효과적으로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강화도에 옮긴 고려정부는 산성별감(山城別監)을 전국에 파견하여 백성들을 산성(山城)이나 섬으로 옮기게 했다. 그런데 산성별감(山城別監)들은 주민들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명령에 따라 강제적으로 옮기게 하였으므로 그 사이에 갈등이 생기기도 했다. 수확을 바로 앞둔 농사를 그대로 두고 급하게 산성(山城)으로 옮기라거나, 먹고 살 양식과 물이 부족한 섬에 많은 주민들을 한꺼번에 옮기는 등의 일이 벌어졌고, 이에 백성들이 산성별감(山城別監)에 대항해 반란하거나 때로는 몽고에 항복, 혹은 살던 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유리하기도 하였다. 이안사(李安社)를 비롯한 전주민(全州民) 1백70여 호가 살던 곳을 떠나 멀리 삼척(三陟)으로 옮긴 것은 이러한 상황 아래에서였다. 이안사(李安社)는 삼척으로 옮겼으나 자신과 갈등을 일으켰던 앞의 산성별감(山城別監)이 이 지역 안렴사(按廉使)로 부임하게 되자, 화가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다시 동북면(東北面)의 의주(宜州-덕원)로 옮긴다. 고려정부는 그를 의주병마사(宜州兵馬使)에 임명하여 원병(元兵)을 막게 했으나, 그는 이 지역을 경략 중이던 원(元)의 산길대왕(散吉大王)에게 항복하고 족녀(族女)를 산길(散吉)에게 아내로 보낸다. 이에 앞서 전주(全州)에서 함께 떠나온 1백70여 호 외에 의주(宜州)에서 그에게 새로이 의탁해온 민호(民戶)가 많아 1천여 호에 이르렀는데 이들은 그 후 이안사(李安社)의 관할 하에 있게 되었다. 원(元)에 귀순한 이안사(李安社)와 그 관할 아래 있는 민호(民戶)는 고려의 영토를 떠나 여진족이 사는 지역이며, 원(元)의 통치를 받는 두만강변의 알동(斡東)에 옮겨 살게 된다. 이곳에서 이안사(李安社)는 원제(元帝)로부터 남경등처(南京等處) 5천호소수천호(千戶所首千戶) 겸달로화적(兼達魯花赤)에 임명되었다. 그는 돌로 성을 쌓고 소와 말을 방목하면서 살았다. 이안사(李安社)는 뒤에 다시 원제(元帝)의 명에 의해 알동천호구당(斡東千戶句當)에 임명되었는데, 이 직책은 그의 아들 이행리(李行里)에게 세습되었다. 7년 뒤 원(元) 세조(世祖-쿠빌라이)가 일본을 침략하기 위하여 고려는 물론 원(元)에 귀부한 여러 종족들에게 군사동원을 명령하였다. 이때 이행리(李行里)는 알동(斡東)의 천호장(千戶長)으로서 자기 관할의 군인을 징발하여 이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충렬왕을 뵙게 되었다. 선대에 고려에 반역한 자의 아들이 이제는 고려의 종주국인 원의 부대장으로 충렬왕을 보게 된 것이다. ‘고려사’나 ‘용비어천가’에는 그가 선대의 일은 부득이한 일이었다고 공손하게 사죄하면서 용서를 빌었다고 기록되어 있고, 충렬왕도 너그럽게 대했다고 한다. 이행리(李行里) 대에 전주 이씨가(全州李氏家)는 알동(斡東)에서 다시 의주(宜州)로 옮겨 살게 되었다. 여진족들 사이에서 이행리(李行里)의 세력이 점차 커지자 여진 천호(千戶)들이 그를 제거하려 했기 때문이다. 임시로 공주(孔州-함북 경원)에 피신했다가 이어 선친이 자리잡았던 의주(宜州)로 옮긴 것이다. 부자 대에 걸쳐 약 1세기 동안 여진인의 서리에 살았던 셈이다. 그러자 알동민(斡東民)이 많이 따라와서 그의 기반이 되었다. 이곳에서 그는 승사랑(承仕郞)을 제수받고, 쌍성등지(雙城等地)의 고려 군민(軍民)을 관할하는 달로화적(達魯花赤)이 되었다. 이곳에서 그는 등주(登州-안변) 호장(戶長) 최기열(崔基烈)의 딸과 결혼하여 춘(椿-래선(來善))을 낳았다. 그리고 그는 등주(登州)를 비롯, 화주(和州)ㆍ함주(咸州-함흥)를 왕래하면서 주민을 이주시키고 영향권을 넓혀갔다. 이춘(李椿)은 원(元) 조정으로부터 아버지의 관직을 세습하고 발안첩목아란 몽고식(蒙古式) 이름을 받았다. 이에 앞서 알동(斡東)에서 이행리(李行里)를 따라온 민호(民戶)들이 토지가 비옥한 함주(咸州)에 많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춘(李椿) 대에 의주에서 함주(咸州)로 옮겨갔다. 그 후 그의 손자인 이성계(李成桂)가 고려조에 출사(出仕)하고 조선을 개국하기까지 이곳은 이 집안의 터전이 되었다. 이춘(李椿)은 처음에 알동백호(斡東百戶)의 딸 박씨(朴氏)와 결혼하여 자흥(子興)(-탑사불화(塔思不花), 완창대군(完昌大君)으로 추봉)과 자춘(子春)을 낳고, 뒤에 쌍성총관(雙城摠管)의 딸 조씨(趙氏)와 결혼하여 완자불화(完者不花)와 나해(那海)를 낳았다. 박씨(朴氏) 자녀와 조씨(趙氏) 자녀 사이에 세습분쟁이 있었고, 자흥(子興)의 아들 교주(咬住)가 어렸기 때문에 자춘(子春)이 아버지의 기반을 물려받게 되었다. 함주(咸州)를 터전으로 삼은 이씨(李氏) 집안이 고려조에 출사(出仕)하게 된 계기는 공민왕 5년에 있었던 고려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 공격과 탈환이었다. 그런데 이보다 한 해 앞서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 관내의 실력자인 이자춘(李子春)은 고려에 와 공민왕을 뵈었다고 한다. 이미 중국에서 원(元)이 쇠퇴하고 있었으므로 이자춘(李子春)은 이때 고려로 귀순할 뜻을 가졌건 것이 아닌가 한다. 공민왕도 원(元)의 쇠퇴에 대응, 약 1세기 동안 잃었던 영토를 수복할 뜻을 갖고 있었으므로 이자춘(李子春)을 잘 회유했다. 이때 공민왕은 이자춘(李子春)에게 “장차 너를 귀하게 해 주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다음해 공민왕은 중앙정부에 포진한 기철(奇轍)을 비롯한 부원세력을 일소하고, 99년 동안 원(元)에 빼앗긴 쌍성총관부를 공격, 영토수복에 성공하였다. 이 전쟁에서 이자춘(李子春)은 고려군에 협조, 공을 세우고 대중대부사복경(大中大夫司僕卿)에 제수된다. 이때 쌍성총관 가문의 한 사람인 조돈(趙暾)과 조인벽(趙仁璧) 역시 고려에 협조, 공을 세우는데, 조인벽(趙仁璧)이 이자춘(李子春)의 딸과 결혼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이자춘(李子春)은 그 뒤 판군기감사(判軍器監事)로 서강병마사(西江兵馬使)를 겸했고, 천우위상장군(千牛衛上將軍)을 거치면서 왜구방어에 공을 세웠다. 공민왕 10년 영록대부판장작감사(榮祿大夫判將作監事)로 삭방도만호(朔方都萬戶) 겸 병마사(兼兵馬使)로 부임, 그곳에서 죽었다. 이자춘(李子春)이 죽은 뒤 그의 세력은 아들 이성계(李成桂)에게로 이어졌다. 이성계(李成桂)는 고려에 벼슬하여 많은 공을 세우고, 마침내는 정도전(鄭道傳), 조준(趙浚), 조인옥(趙仁沃) 등이 중심이 된 정치세력의 추대를 받아 새 왕조를 건설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그는 조상대부터 내려온 세력을 기반으로 고려의 관군(官軍)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친병(親兵-사병) 조직을 거느리고 있었다. 이 사병조직은 이성계(李成桂)가 고려의 무장으로 전쟁에 나아갈 때나, 혹은 최영(崔瑩)과 같은 고려 유신(遺臣) 세력을 제거할 때 선봉에 서서 그를 지지했다. 이성계(李成桂)는 공민왕 10년 이후 동북면(東北面)에 쳐들어온 원(元)의 행성승상(行省丞相) 납합출(納哈出), 여진인 삼선(三善)ㆍ삼개(三介)ㆍ호발도(胡拔都)를 모두 격퇴하였고, 공민왕 18-19년에는 2번에 걸쳐 원의 동녕부(東寧府)를 공격, 망원(亡元)의 잔류세력을 치는 한편 자신의 휘하세력을 확장해 갔다. 또한 전 국토를 종횡무진 약탈하던 왜구토벌에도 여러 번 공을 세웠다. 이때 그가 거느리는 부대에는 그의 세력아래 있는 동북면(東北面)의 여진족이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이성계(李成桂)가 고려 정부의 정권을 장악하는 계기가 된 것은 우왕 14년에 있었던 명(明)의 요동정벌이었다. 중원을 통일한 명(明)은 고려에 부당한 요구를 해왔고, 이에 우왕과 최영이 중심이 되어 전군을 동원, 요동을 치게 하였다. 이때 우군통제사(右軍統制使)로 출전한 이성계(李成桂)는 본래 이 정벌을 반대했었다. 위화도에서 좌군통제사(左軍統制使) 조민수(曹敏修)를 비롯한 장수들을 설득, 회군하여 최영을 제거하고 우왕을 유폐시킴으로써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어 그는 조민수(曹敏修)마저 제거하는 데 성공, 공양왕을 세웠으나 이미 정(政)ㆍ군(軍)이 모두 그에게 속해 있었던 痼甄? 이와 같이 하여 몽고의 침입 때 전주(全州)에서 동북면(東北面)으로 이주한 전주 이씨가(全州李氏家)는 조선을 개국, 그 왕실이 되었던 것이다.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후손으로서 조선조에서 현달하거나 학자로 이름을 남긴 인물은 왕손(王孫)으로서 자손이 번성한 만큼이나 많다. 그 중에서 국사에 이름이 알려진 인물들을 중심으로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이원계(李元桂)는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이다. 공민왕 초에 내부령(內府令)이 되고, 홍건적(紅巾賊) 침입 때 안우(安祐)ㆍ김득배(金得培)의 휘하에 종군,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워 2등 공신(二等功臣)에 책록되었다. 우왕 14년 요동정벌(遼東征伐) 때 팔도도통사조전원수(八道都統使助戰元帥)로 우군통제사(右軍統制使)인 이성계(李成桂) 휘하장수로 출전하였다. 1392년 조선 개국 후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지고 개국공신(開國功臣) 2등(等)에 책록되었다. 이화(李和)는 이성계(李成桂)의 서제(庶弟)이다. 조선개국 후 1등 공신(一等功臣)에 책록, 의안백(義安伯)에 봉해졌다. 이성계(李成桂)의 아들들 사이의 왕위계승 싸움에서 이방원(李芳遠) 측에 서서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等), 좌명공신(佐命功臣) 3등(等)이 되었다. 태종 7년 영의정(領議政)이 되고, 대군(大君)에 진봉(進封)되었다. 태조묘정에 배향되었다. 이양우(李良祐)는 태조7년 왕자의 난 후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 영안군(寧安君)에 봉해지고,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를 지낸 뒤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이천우(李天祐)는 처음에 만주로 유입(流入), 공민왕 18년 이전에는 여진족 동녕부(東寧府)의 수령으로 있었다. 공민왕 18년 이성계(李成桂)가 동녕부(東寧府)를 공격, 여진족을 복속시켰을 때 따라와 휘하장수로 활동하였다. 그는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 후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으로 완산후(完山侯)에 봉해졌다. 정종2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거쳐 제2차 왕자(王子)의 난 때에는 군권(軍權)을 장악한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로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이 되고, 완산군(完山君)에 개봉(改封)되었다. 그 뒤 판사평부사(判司平府事)ㆍ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ㆍ이조판서(吏曹判書)ㆍ의금부도제조(義禁府都提調)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나중에 태종묘정에 배향되었다. 이숙(李淑)은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지고 우승지(右承旨),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하였다.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는 세자에서 폐위(廢位)된 후 세종의 형으로서 강산을 유람하고 풍류객들과 사귀며 노는 것으로 일생을 마쳤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는 글읽기를 좋아하고 무예에도 능했는데, 뒤에 불가(佛家)에 귀의했다. 충민공(忠愍公) 이양(李穰)은 문종(文宗) 때 우찬성(右贊成)에 오르고 단종 때 판병조사(判兵曹事)를 겸했으나, 김종서와 함께 살해되었다. 이사철(李思哲)은 종실로 학문에 뛰어나 세종 말년에 도승지(都承旨)로 ‘선원록(璿源錄)’, ‘종친록(宗親錄)’, ‘유부록(類附錄)’을 개수했다.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等), 좌익공신(佐翼功臣) 2등이 되어 좌찬성(左贊成)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에 이르렀다.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은 세조의 총애를 받은 종친이었다. 세조 12년 무과(武科)에 장원, 다음해 사도병마도총사(四道兵馬都摠使)가 되어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等)이 되고, 병조판서(兵曹判書)를 거쳐 영의정(領議政)에 특진되었다. 성종(成宗) 1년 어린 성종(成宗)을 몰아내고 왕(王)이 되려한다는 탄핵으로 경상도 영해(寧海)에 안치(安置), 그곳에서 죽었다.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은 성종의 형이다. 서사(書史)를 좋아했고, 문장이 뛰어나 그의 시작(詩作)이 중국에까지 널리 애송(愛誦)되었다. 고양(高陽)의 북촌에 별장을 두고 자연에 묻혀 일생을 마쳤다. 종성령(鍾城令) 이구(李球)는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 들어가 그의 학문을 계승, 기일원론(氣一元論)을 발전시켰으며, 심무체용론(心無體用論)을 주창했다. 조선의 전통적인 특색을 가장 잘 발휘한 학자로 알려졌다. 선조조 이후 현달한 인물 중에서 영의정에 오른 인물로는 이양원(李陽元)ㆍ이원익(李元翼)ㆍ이홍주ㆍ이경석(李景奭)ㆍ이성구(李聖求)ㆍ이경여(李敬輿) 등이 있다. 이양원(李陽元)은 명종18년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서 명(明)나라에 들어가 객사한 정사(正使) 김주(金澍)를 대신하여 명나라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가 고려의 이인임(李仁任)으로 오기(誤記)된 것을 바로잡고 돌아와 그 공으로 가자(加資)되고,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等),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봉해진 뒤, 다음해 우의정(右議政)?승진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도대장(留都大將)으로 한강(漢江)을 지키다가 양주(楊州)에서 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후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이때 의주(義州)에 피난 중이던 선조가 요동(遙東)으로 건너가 내부(內附)했다는 와전(訛傳)된 소문을 듣고 통분히 여겨 단식 8일만에 죽었다. 이원익(李元翼)은 선조2년 과거에 급제한 뒤 여려 관직을 거쳐 임란 후인 선조 30년 우의정(右議政)에 오르고, 변무사(辨誣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와서 1598년 영의정(領議政)이 되었으나, 탄핵을 받아 삭직(削職)된 유성룡(柳成龍)을 변호하다 사직하고 은퇴했다. 선조 41년 다시 영의정이 되고 수차 사의를 표했으나 허락되지 않던 중 1615년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홍천(洪川)에 유배,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영의정(領議政)이 되었다. 인목대비(仁穆大妃)가 광해군(光海君)의 처형을 명했으나 이에 반대하여 유배에 그쳤다. 그에 앞서 그는 1608년 대동법(大同法)의 실시를 건의, 경기ㆍ강원도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이를 실시, 불합리한 세조(租稅) 제도를 시정하려고 했다. 안주목사(安州牧使)로 있을 때 군병방수제도(軍兵防守制度)를 개혁, 1년에 3개월 복무를 2개월로 단축, 법제(法制)로 채택하게 했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고 남인(南人)에 속했으나 성품이 원만하여 정적(政敵)들에게 호감을 받았고, 서민적인 인품으로서 오리정승(梧里政丞)이란 이름으로 많은 일화가 전한다.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이홍주는 병조참판(兵曹參判)ㆍ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ㆍ도승지(都承旨)를 지내고, 인조 2년 이괄(李适)의 난 때 팔도도원수(八道都元帥)가 되어 난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다. 그 후 대사헌(大司憲)ㆍ전주부윤(全州府尹)ㆍ병조판서(兵曹判書)ㆍ예조판서(禮曹判書)ㆍ의금부부사(義禁府事) 등을 거쳐 1636년 우의정(右議政)에 올랐다. 이해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적진에 왕래하면서 화의를 교섭했으나 항복에는 끝까지 반대했다. 다음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거쳐 영의정(領議政)에 이르렀다. 이경석(李景奭)은 병자호란 뒤 부제학(副提學)으로 삼전도비문(三田渡碑文)을 찬진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다. 1642년 세자이사(世子貳師)로 김상헌(金尙憲)과 척화신(斥和臣)으로 심양(瀋陽)에 잡혀가 1년 간 구금되었다가 돌아와 대사헌(大司憲)ㆍ이조판서(吏曹判書)ㆍ우의정(右議政)을 거쳐 효종 즉위년에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지지수축(地池修築), 군인양성(軍人養成)을 청(淸)에 청하였는데, 이것이 북벌계획으로 의심받아 혼자 책임을 지고 백마성(白馬城)에 감금당하기도 하였다. 이성구(李聖求)는 이수광의 아들이다. 그가 헌납(獻納)으로 있을 때 아버지 수광은 대사헌(大司憲), 동생 민구(敏求)는 홍문관(弘文館)에 있었으므로 한 집안의 3부자가 3사(司)를 지낸다고 세상사람의 찬탄을 받았다.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이항복(李恒福)이 정협(鄭浹)의 문제로 반대파의 모함을 받자 항변(抗辯)하여 구출했다.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어 남한산성(南漢山城)에 왕(王)을 호종(扈從), 1637년 왕세자(王世子)가 심양(瀋陽)에 볼모로 갈 때 우의정(右議政)에서 좌의정(左議政)이 되어 수행하고, 뒤에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이경여(李敬輿)는 일찍이 호란이 있을 것을 예견했었는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왕을 호종(扈從)했다. 1642년 배청친명파(排淸親明派)로 청(淸)나라 연호(年號)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심양(瀋陽)에 억류되었다가 다음해 세자(世子)와 함께 귀국, 우의정(右議政)이 되었다. 1644년 사은사(謝恩使)로 청(淸)나라에 갔다가 다시 억류되었다. 그동안 본국에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효종 즉위 후 유배에서 풀려나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고 이어 영의정(領議政)이 되었으나, 청(淸)의 간섭으로 파면되었다. 지봉(芝峯) 이수광은 인조 때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올랐으며 조선후기 실학의 선구를 이루는 ‘지봉유설(芝峯類說)’의 저자로 유명하다. 그는 선조 18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정묘호란 후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올랐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여러 번 사신(使臣)으로 명(明)나라에 왕래, 당시 명나라에 와 있던 이탈리아 신부에게서 ‘천주실의(天主實義)’, ‘중우론(重友論)’을 얻어 왔다. 광해군 6년 ‘지봉유설(芝峯類說)’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天主敎)와 서양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되었다.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인물로는 이조(李肇-숙종조), 이민서(李敏敍-숙종조), 이진망(李眞望-영조조), 이광덕(李匡德-영조조)이 있다. 이후원(李厚源)은 우의정에 올랐는데 효종을 도와 북벌계획을 추진하였고 인재등용에도 힘써서 송준길(宋浚吉)을 병판에, 송시열(宋時烈)을 이판(吏判)에 추천하여 임명케 했다. 이見資?숙종 때 좌의정(左議政)에 올랐다. 숙종 승하 후 부고사(訃告使)로 청에 갔는데, 거기에서 독일 신부 쾨글러, 푸르투갈신부 사우레스 등과 사귀었고, 천주교(天主敎)ㆍ천문(天文)ㆍ역산(曆算)에 관한 서적을 가지고 귀국, 이를 소개했다. 당대의 석학(碩學)으로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했으며 특히 청(淸)나라의 실학사조(實學思潮)에 관심이 깊어 이를 소개했고 서학(西學)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노론(老論) 4대신의 한 사람으로 세제(世弟-영조)의 대리청정을 주청한 것이 계기가 되어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다. 역시 노론(老論) 4대신의 한 사람이었던 이건명(李健命)도 숙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나, 신임사화(辛任士禍)로 유배 사사(賜死)되었다. 영의정(領議政) 이유(李濡)는 경종묘정에 배향되었고, 이상황(李相璜)은 헌종묘정에 배향되었다. 이광사(李匡師)는 영조 31년 나주(羅州)의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백부(伯父) 진유(眞儒)가 처벌을 당할 때 이에 연좌, 회령(會寧)에 유배되었는데, 학문(學問)으로써 많은 문인들이 모여들자 다시 진도(珍島)에 유배, 배소(配所)에서 일생을 마쳤다. 정제두(鄭齊斗)에게서 양명학(陽明學)을 배웠고, 일찍이 윤순(尹淳)에게서 글씨를 공부하여 원교체(圓嶠體)라는 독특한 필체를 이루었다. 그의 후손이 계속 정제두(鄭齊斗)의 학문을 이어 이른바 강화학파를 이루었다. 이시원(李是遠)은 영의정(領議政) 이수현(李壽賢)의 현손으로 순조 때 관직에 나아가 고종 2년 이조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ㆍ예문관제학(禮文館提學)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에 이르렀다.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스 군함이 양화진(楊花津)에 들어오자 경계를 엄히 하고 외인(外人)을 물리치라고 상소했다. 이어 양화진(楊花津)이 점령되자 울분에 못 이겨 유소(遺疏)를 남기고 자결했다. 영재(寧齋) 이건창(李建昌)은 그의 아들이다. 어려서 4서5경에 정통, 15세 때 과거에 급제하였다. 23세 서장관(書狀官)으로 청에 가서 황각(黃珏) 등과 사귀어 문명(文名)을 떨쳤다. 아버지의 가르침으로 항상 서양인을 미워했고 갑오경장 후 관직을 떠났다. 철저한 척화주의자(斥和主義者)로 일관하였다. 그가 지은 ‘당의통략(黨議通略)’은 당쟁의 원인을 기술한 것으로 당쟁사(黨爭史)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후손 중에는 조선후기 실학자로 알려진 이덕무(李德懋)와 그의 손자 이규경(李圭景) 및 이송(李淞)ㆍ이긍익(李肯翊)ㆍ이서구(李書九) 등이 있다. 이덕무(李德懋)는 박학다재하여 경사(經史)에서 기문이서(奇文異書)에 이르기까지 통달했고, 문장(文章)이 뛰어나 문명(文名)을 일세(一世)에 떨쳤다. 1778년 심념조(沈念祖)를 따라 북경(北京)에 가서 학자들과 사귀면서 학문을 닦고, 산천(山川), 도리(道里), 궁실(宮室), 누대(樓臺), 초목(草木), 충어(蟲魚), 조수(鳥獸)에 이르기까지 이름을 적어와 더욱 명성을 날렸다. 돌아와서는 북학(北學)을 제창했고,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4검서관(檢書官)으로 이름을 떨쳤다.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은 일생동안 벼슬을 하지 않고 할아버지 이덕무(李德懋)가 이룩한 실학(實學)을 계승하여 조선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로 명성을 떨쳤다. 우리나라와 중국 고금사물(古今事物)에 대한 수백 종의 서적을 탐독하여 정밀한 고증으로써 천문(天文)ㆍ역산(曆算)ㆍ종족(種族)ㆍ역사(歷史)ㆍ지리(地理)ㆍ문학(文學)ㆍ음운(音韻) 등 모든 학문을 고정(考訂) 변증(辨證)했다. 이서구(李書九)는 실학자로 우의정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순조조에 이(吏)ㆍ형(刑)ㆍ호조(戶曹)의 판서(判書),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대사헌(大司憲), 대호군(大護軍)을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오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명문장가(名文章家)로서 특히 시명(詩名)이 높아 박제가(朴齊家), 이덕무(李德懋), 유덕공(柳得恭)과 함께 한시(漢詩)의 4대가로 알려졌고, 오언고시(五言古詩)에 능했다. 정조 승하 후에는 호조판서(戶曹判書)로 지실록사(知實錄事)가 되어 ‘정조실록(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이송(李淞)은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아버지 이민곤(李敏坤)이 귀양가던 도중 금성(金城)에서 불에 타 죽는 참상을 보고, 벼슬을 단념하고 서산(西山)에 은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실학(實學)을 깊이 연구했다. 실학의 대가인 홍대용(洪大容)과 학문을 토론하며 경륜(經綸)을 논하였다. 박지원(朴趾源), 박제가(朴齊家), 이덕무(李德懋), 유득공(柳得恭) 등 당대 대표적인 실학자(實學者)들과 교분이 두터웠고, 여러 번 임관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연려실(燃藜室) 이긍익(李肯翊)은 이광사(李匡師)의 아들로 실학자이면서도 강화학파의 계보에도 들어가는 인물이다. 어려서 아버지 이광사(李匡師)에게서 수학(修學), 학문(學問)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실학(實學)을 제창하고 고증학파(考證學派) 학자(學者)로서도 유명했다. 소론(小論)의 한 사람으로 당론(黨論)을 강경히 주장, 귀양살이를 여러 번 겪었고, 온 집안이 크게 화를 입었다. 저작(著作)이 많았으나 겹치는 귀양살이로 대부분이 없어지고 현재 전하는 그의 대표적 저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은 조선왕조의 역대 사실을 여러 책에서 뽑아 엮은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의 사적(史籍)이다. 외세의 침입이 본격화되던 조선말의 인물로는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과 그의 형 이최응(李最應), 종실로 갑신정변 후 개화정당에서 영의정을 지낸 이재원(李載元) 등이 있다. 흥선대원군은 가까운 왕실이면서도 안동 김씨(安東金氏) 세도정치 기간에는 파락호 생활로 목숨을 부지했다. 고종 즉위 후 섭정이 되어 당시 외척 세도의 아성인 안동 김씨(安東金氏)의 주류를 숙청, 당색(黨色)을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부패관리를 파직시키는 한편 사설서원(私設書院)을 철폐했으며, 법률제도의 확립을 기해 중앙집권적인 정치기강을 수립했다. 또한 비변사(備邊司)를 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三軍府)를 두어 행정권과 군사권을 분리시켰고, 세제(稅制)를 개혁하여 귀족ㆍ상인에게 차별 없이 세금을 징수했으며 조세(租稅)의 운반 과정에서 지방관들의 부정을 근절하였다. 그의 개혁정치는 조선사회의 모순을 개혁, 보수적인 왕조를 재건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청(淸)ㆍ일(日)을 대표로 하는 서양 제국주의의 침략 앞에 조선은 점차 몰락의 길을 가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그의 정치행로도 많은 파란을 겪게 되었던 것이다. 망국의 시기를 전후하여서는 의병장으로 일본 침략군에 대항해 싸우다가 체포되어 사형된 이강년(李康秊), 진안(鎭安)에서 의병을 일으켜 김동신(金東臣)과 함께 기세를 떨친 이석용(李錫庸), 유생으로 궐기했던 이은찬(李殷瓚), 그 외에 이재윤(李載允), 이학순(李學純), 이래수(李來修)가 있다. 헤이그밀사 사건의 주인공 이준(李儁)은 독립협회, 국채보상운동에도 참여하였고, 이위종(李瑋鍾)과 함께 고종의 밀명을 받고 만국평화회의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일본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이위종(李瑋鍾)은 그 뒤 이상설과 함께 블라디보스톡으로 가서 항일투쟁을 하였다. 이 시기에 불교사(佛敎使)를 연구, 학계에 큰 공적을 남긴 인물로 이능화(李能和)를 들 수 있다. 그는 어려서 한학(漢學)을 배우고, 1895년 관립(官立) 법어학교(法語學校)에 입학, 1897년 관립한성외국어학교(官立漢城外國語學校) 교관이 되었다. 다음 1907년 관립한성법어학교(官立漢城法語學校) 교장이 되었다가 의정부(議政府)의 특명으로 도일(度日), 각 관청(官廳)을 시찰하고 돌아와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 위원(委員)이 되었다. 1910년 한일합병으로 학교(學校)가 폐쇄되자 학문 연구에 전심, 사료(史料) 수집과 종교(宗敎)ㆍ민속(民俗) 등을 연구했다. 1912년 사립 능인보통학교(私立能仁普通學校) 교장이 되고, 1914년 불교진흥회(佛敎振興會) 간사에 피선, 다음해 교장직을 사임한 후 불교진흥회 월보를 편집했으며, 1917년 동 진흥회의 이사(理事)가 되었다. 1921년 총독부 ‘조선사편수위원회(朝鮮史編修委員會)’의 편수관ㆍ편수위원이 되고, 많은 저서(著書)와 논문(論文)을 남겼다.
 |
 |
|
|
역대 주요 인물 |
|
등과(登科)ㆍ음사인명(蔭仕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이문정(李文挺)(충숙왕조) 이자을(李資乙)(충혜왕조) 이재(李才)(공민왕조) 이극제(李克濟)(우왕조) 이방원(李芳遠)(우왕조) 이방연(李芳衍)(우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이사철(李思哲)(좌상(左相))이승윤(李承胤)(헌납(獻納)) 이래(李倈)(참의(參議))이유녕(李幼寧)(이정(吏正)) 이몽필(李夢弼)(호판(戶判))이억손(李億孫)(감사(監司)) 이원경(李元卿)(사서(司書))이현당(李賢讜)(장령(掌令)) 이장(李璋)(호좌(戶佐))이현충(李顯忠)(목사(牧使)) 이희손(李希孫)(한림(翰林))이??(李??)(형좌(刑佐)) 이건(李楗)(예참(禮參))이순효(李純孝)(병좌(兵佐)) 이억상(李億祥)(감사(監司))이희온(李希溫)(예정(禮正)) 이희검(李希儉)(병판(兵判))이명(李銘)(교리(校理)) 이수철(李壽鐵)(북병사(北兵使))이희량(李希良)(전적(典籍)) 이경운(李景雲)(지평(持平))이량(李樑)(이판(吏判)) 이귀수(李龜繻)(한림(翰林))이식(李栻)(이참(吏參)) 이여경(李餘慶)(감정(監正))이양원(李陽元)(영상(領相)) 이제민(李齊閔)(참찬(參贊))이충작(李忠綽)(감사(監司)) 이해귀(李海龜)(정랑(正郞))이순수(李順壽)(시정(寺正)) 이언이(李彦怡)(시정(寺正))이명생(李命生)(첨정(僉正)) 이헌국(李憲國)(좌상(左相))이응기(李應祺)(한림(翰林)) 이유인(李裕仁)(함감(咸監))이정빈(李廷賓)(이좌(吏佐)) 이극강(李克綱)(첨정(僉正))이준도(李遵道)(부사(府使)) 이충원(李忠元)(호판(戶判))이응(李凝)(호좌(戶佐)) 이로(李輅)(판돈(判敦))이경린(李景麟)(동지(同知)) 이준(李準)(참찬(參贊))이원익(李元翼)(영상(領相)) 이준종(李俊宗)(정랑(正郞))이성중(李誠中)(호판(戶判)) 이경중(李敬中)(이좌(吏佐))이승양(李承揚)(판관(判官)) 이희득(李希得)(대헌(大憲))이언유(李彦愉)(부사(府使)) 이양중(李養中)(승지(承旨))이홍인(李弘仁)(시종(侍從)) 이기(李璣)(공정(工正))이경??(李景??)(헌납(獻納)) 이각(李覺)(군수(郡守))이시언(李時彦)(찬성(贊成)) 이축(李軸)(형판(刑判))이윤(李贇)(군수(郡守)) 이성전(李性傳)(병좌(兵佐))이성임(李聖任)(감사(監司)) 이밀(李謐)이영(李嶸)(한림(翰林)) 이유징(李幼澄)(호당(湖堂))이충성(李忠成)(정언(正言)) 이지강(李之綱)(군수(郡守))이??(李??)(호판(戶判)) 이원(李瑗)(좌윤(左尹))이??(李??)(지평(持平)) 이춘기(李春祺)(부사(府使))이대윤(李大胤)(가선(嘉善)) 이용순(李用醇)(북병사(北꿈?)이수광(李晬光)(제학(提學)) 이수록(李綏祿)(옥당(玉堂))이세온(李世溫)(판사(判事)) 이정신(李廷臣)(참판(參判))이파(李坡)(권지(權知)) 이육(李堉)(통정(通政))이진빈(李軫賓)(헌납(獻納)) 이우익(李友益)(병정(兵正))이빈(李馪)(통정(通政)) 이삼(李森)(직강(直講))이한겸(李漢謙)(예정(禮正)) 이효신(李孝信)이의영(李宜永)(예좌(禮佐)) 이춘영(李春英)(첨정(僉正))이춘상(李春祥)(성권(成權)) 이성록(李成祿)(형의(刑議))이호의(李好義)(형참(刑參)) 이여하(李汝賀)(현감(縣監))이유연(李幼淵)(주서(注書)) 이이경(李頤慶)(승지(承旨))이수(李浽)(군수(郡守)) 이충(李冲)(찬성(贊成))이극신(李克信)(부사(府使)) 이호신(李好信)(부학(副學))이식립(李植立)(동지(同知)) 이현(李俔)(승지(承旨))이진(李瑱)(현령(縣令)) 이은로(李殷老)(정랑(正郞))이천추(李天樞)(예좌(禮佐)) 이창정(李昌廷)(지평(持平))이명(李溟)(호판(戶判)) 이경직(李景稷)(호판(戶判))이성구(李聖求)(영상(領相)) 이경여(李敬輿)(영상(領相))이소(李熽)(상례(相禮)) 이창후(李昌後)(참판(參判))이사맹(李師孟)(형의(刑議)) 이순(李楯)(교리(校理))이용진(李用晉)(승지(承旨)) 이민구(李敏求)(이판(吏判))이휴(李茠)(형의(刑議)) 이유달(李惟達)(승지(承旨))이중길(李重吉)(목사(牧使)) 이영식(李永式)(목사(牧使))이중계(李重繼)(지평(持平)) 이상항(李尙恒)(응교(應敎))이유일(李惟一)(병정(兵正)) 이유성(李惟聖)(승지(承旨))이명운(李溟運)(정랑(正郞)) 이필달(李必達)(부윤(府尹))이광유(李光裕)(평사(評事)) 이원여(李元輿)(이정(吏正))이시환(李時煥)(형의(刑議)) 이민수(李敏樹)(참의(參議))이계(李烓)(감사(監司)) 이진철(李晋哲)(감정(監正))이경석(李景奭)(영상(領相)) 이시민(李時敏)(황도(黃都))이신(李莘)(한림(翰林)) 이상형(李尙馨)(교리(校理))이석달(李碩達)(감사(監司)) 이후양(李後陽)(장령(掌令))이대순(李大純)(서윤(庶尹)) 이보(李莆)(시정(寺正))이유길(李惟吉)(병정(兵正)) 이명웅(李命雄)(전백(全伯))이정규(李廷圭)(승지(承旨)) 이상연(李愓然)(승지(承旨))이후석(李後奭)(시정(寺正)) 이유술(李惟述)(승지(承旨))이??(李??)(대헌(大憲)) 이상질(李尙質)(교리(校理))이시모(李時模)(예참(禮參)) 이시해(李時楷)(이참(吏參))이시만(李時萬)(전백(全伯)) 이응시(李應蓍)(이참(吏參))이시우(李時雨)(부사(府使)) 이태방(李泰芳)(도사(都事))이창형(李昌馨)(승박(承博)) 이지??(李之??)(부학(副學))이유온(李有溫)(시정(寺正)) 이사우(李士踽)이철(李晢)(지사(知事)) 이태운(李泰運)(병좌(兵佐))이만영(李晩榮)(평백(平伯)) 이삼준(李三俊)(시정(寺正))이순형(李純馨)(판교(判校)) 이후원(李厚源)(우상(右相))이양복(李陽復)(병좌(兵佐)) 이이현(李頤賢)(부사(府使))이비현(李丕顯)(병좌(兵佐)) 이정영(李正英)(찬성(贊成))이제형(李齊衡)(판교(判校)) 이순남(李順男)(현감(縣監))이성??(李性??)(사간(司諫)) 이규로(李奎老)(목사(牧使))이순암(李純馣)(지평(持平)) 이정즙(李廷楫)(시정(寺正))이후(李垕)(사간(司諫))이주(李周) 이수함(李守諴)(지평(持平))이성시(李聖時)(군수(郡守)) 이제운(李齊運)(정랑(正郞))이장형(李長馨)(현령(縣令)) 이만길(李晩吉)(사예(司藝))이정(李晶)(형참(刑參)) 이유명(李惟明)(통정(通政))이형(李逈)(필선(弼善)) 이시??(李時??)(지평(持平))이익한(李翊漢)(참판(參判)) 이극태(李克泰)(사예(司藝))이증(李曾)(지평(持平)) 이민서(李敏叙)(복상(卜相))이지백(李知白)(현령(縣令)) 이무(李堥)(지돈(知敦))이민치(李敏徵)(장령(掌令)) 이동로(李東老)(승지(承旨))이백린(李伯麟)(지평(持平)) 이현기(李玄紀)(대성(大成))이태귀(李泰龜)(공참(工參)) 이민적(李敏迪)(대헌(大憲))이하(李夏)(승지(承旨)) 이명빈(李明彬)(군수(郡守))이언강(李彦綱)(형판(刑判)) 이숙달(李叔達)(장령(掌令))이우정(李宇鼎)(예판(禮判)) 이상제(李尙悌)(직강(直講))이선(李選)(이참(吏參)) 이민채(李敏采)(지평(持平))이훤(李藼)(이좌(吏佐)) 이제(李璾)(통례(通禮))이성익(李聖翊)(학록(學錄)) 이윤림(李潤霖)이이정(李以挺)(사예(司藝)) 이당규(李堂揆)(이참(吏參))이덕주(李德周)(충백(忠伯)) 이유(李濡)(영상(領相))이덕령(李德齡)(병좌(兵佐)) 이순악(李舜岳)(상례(相禮))이립중(李立中)(예정(禮正)) 이양년(李養年)이무(李堥)(이판(吏判))이륜(李綸)(승지(承旨)) 이??(李??)(현감(縣監))이현석(李玄錫)(판서(判書)) 이사영(李思永)(예참(禮參))이명은(李命殷)(장령(掌令)) 이치귀(李徵龜)(형판(刑判))이扁?李元齡)(가선(嘉善)) 이희채(李熙采)(부사(府使))이증(李增)(부윤(府尹)) 이문흥(李文興)(승지(承旨))이진(李震)(현감(縣監)) 이만근(李萬根)(예정(禮正))이사명(李師命)(병판(兵判)) 이정린(李挺麟)(병좌(兵佐))이이명(李頤命)(좌상(左相)) 이삼석(李三碩)(승지(承旨))이형상(李衡祥)(부윤(府尹)) 이기상(李箕祥)(병좌(兵佐))이태동(李泰東)(현감(縣監)) 이세무(李世茂)(목사(牧使))이만령(李萬齡)(목사(牧使)) 이적(李菂)(부사(府使))이수영(李秀英)(첨지(僉知)) 이덕성(李德成)(충백(忠伯))이가창(李嘉昌)(현감(縣監)) 이현조(李玄祚)(강백(江伯))이익수(李益壽)(이판(吏判)) 이중장(李重章)(직강(直講))이선(李瑄)(좌랑(佐郞)) 이천과(李天果)(병정(兵正))이우진(李宇晉)(승지(承旨)) 이몽익(李夢翼)(찰방(察訪))이민영(李敏英)(승지(承旨)) 이진식(李震栻)(사예(司藝))이건명(李健命)(좌상(左相)) 이만흥(李蔓興)(현감(縣監))이기한(李起漢)(직강(直講)) 이정명(李鼎命)(옥당(玉堂))이언기(李彦紀)(대간(大諫)) 이만재(李萬材)(예좌(禮佐))이익년(李翼年)(지평(持平)) 이언순(李彦純)(현감(縣監))이사상(李師尙)(대헌(大憲)) 이우겸(李宇謙)(교리(校理))이한종(李漢宗)(정언(正言)) 이구령(李九齡)(승정(承正))이사원(李師源)(승권(承權)) 이익한(李翊漢)(공참(工參))이무(李堥)(호판(戶判)) 이언경(李彦經)(감사(監司))이규년(李奎年)(목사(牧使)) 이귀령(李龜齡)(장령(掌令))이만선(李萬選)(호판(戶判)) 이춘제(李春躋)(형판(刑判))이상열(李尙說)(필선(弼善)) 이세석(李世奭)(집의(集議))이진수(李震壽)(유수(留守)) 이동언(李東彦)(지평(持平))이덕영(李德英)(호참(戶參)) 이조(李肇)(이판(吏判))이명세(李命世)(지평(持平)) 이관명(李觀命)(좌상(左相))이가운(李嘉運)(현감(縣監)) 이대성(李大成)(호판(戶判))이제(李濟)(대헌(大憲)) 이수대(李遂大)(병좌(兵佐))이방언(李邦彦)(정언(正言)) 이준(李焌)(사예(司藝))이진검(李眞儉)(예판(禮判)) 이진유(李眞儒)(이참(吏參))이진급(李眞伋) 이정필(李廷弼)(승지(承旨))이광보(李光普)(장령(掌令)) 이진망(李眞望)(예판형(禮判衡))이최영(李㝡英)(군수(郡守)) 이정걸(李廷傑)(병참(兵參))이의종(李義宗)(장령(掌令)) 이정소(李廷熽)(병참(兵參))이중관(李重觀)(승지(承旨)) 이성중(李成中)(이판(吏判))이석희(李錫禧)(현감(縣監)) 이지성(李知聖)이광세(李匡世)(호참(戶參)) 이창의(李昌誼)(우상(右相))이정룡(李廷龍)(감사(監司)) 이정석(李廷錫)(장령(掌令))이진순(李眞淳)(참판(參判)) 이광덕(李匡德)(예참형(禮參衡))이현록(李顯祿)(대헌(大憲)) 이일제(李日躋)(참판(參判))이제담(李齊聃)(헌납(獻納)) 이진수(李眞洙)(승지(承旨))이도원(李度遠)(응교(應敎)) 이장(李獎)(전도(全都))이창술(李昌述)이중진(李重震) 이사기(李師夔)(현감(縣監))이흡(李潝)(이의(吏議)) 이휘진(李彙晋)(장령(掌令))이도겸(李道謙)(승지(承旨)) 이성효(李性孝)(교리(校理))이택심(李宅心)(통례(通禮)) 이성해(李聖海)(정언(正言))이장(李璋)(문학(文學)) 이진기(李震箕)(도사(都事))이기헌(李箕獻)(참의(參議)) 이중경(李重庚)(지사(知事))이현모(李顯模)(응교(應敎)) 이채(李埰)(승지(承旨))이하술(李河述)(승지(承旨)) 이현망(李顯望)(교리(校理))이진길(李晋吉)(지평(持平)) 이현량(李顯良)(지평(持平))이시희(李時熙)(장령(掌令)) 이중인(李重寅)(주서(注書))이재춘(李載春)(찰방(察訪)) 이광제(李光躋)(지평(持平))이구령(李耈齡)(장령(掌令)) 이창유(李昌儒)(참의(參議))이익정(李益炡)(병판(兵判)) 이진의(李鎭義)(지평(持平))이윤항(李胤恒)(예정(禮正)) 이광찬(李匡贊)이경후(李景垕)(도사(都事)) 이훈(李塤)(승지(承旨))이의중(李毅中)(수찬(修撰)) 이창수(李昌壽)(이판(吏判))이기언(李箕彦)(정언(正言)) 이제암(李齊嵒)(지사(知事))이제화(李齊華)(참판(參判)) 이민곤(李敏坤)(사간(司諫))이일성(李日成)(현령(縣令)) 이광의(李匡誼)(정언(正言))이심해(李心海)(양사(兩司)) 이문제(李文濟)(승정(承正))이??(李??)(승지(承旨)) 이형준(李亨俊)(장령(掌令))이성경(李星慶)(판윤(判尹)) 이복기(李復基)(가주서(假注書))이관섭(李觀燮)(병정(兵正)) 이정중(李廷重)(승지(承旨))이일형(李一馨)(전적(典籍)) 이준휘(李儁徽)(교리(校理))이득종(李得宗)(대헌(大憲)) 이중해(李重海)(양사(兩司))이세현(李世鉉)(지평(持平)) 이제현(李齊顯)(장령(掌令))이윤항(李胤沆)(함도(咸都)) 이면구(李勉求)(대성(大成))이서문(李瑞文)(전적(典籍)) 이유수(李惟秀)(판서(判書))이량천(李亮天)(삼사(三司)) 이윤욱(李允郁)(지평(持平))이현?李顯泰)(정언(正言)) 이존중(李存中)(이판형(吏判衡))이휘중(李徽中) 이두운(李斗運)(현감(縣監))이후달(李厚達)(삼사(三司)) 이명준(李命俊)(양사(兩司))이최중(李㝡中)(이판(吏判)) 이흥종(李興宗)(승지(承旨))이양오(李養吾) 이상지(李商芝)(참의(參議))이명환(李明煥)(수찬(修撰)) 이현옥(李鉉玉)(통정(通政))이사증(李師曾)(일사로(一師魯)) 이시항(李時沆)(평도(平都))이진??(李鎭??)(참판(參判)) 이현지(李顯祉)(가주서(假注書))이성규(李聖圭)(판서(判書)) 이진형(李鎭衡)(기백(圻伯))이정오(李正吾)(승지(承旨)) 이창임(李昌任)(승지(承旨))이창섭(李昌燮) 이면휘(李冕徽)(개재휘(改在徽))이종명(李宗明)(지평(持平)) 이항조(李恒祚)이시건(李蓍建)(참의(參議)) 이빈(李斌)(예좌(禮佐))이성수(李性遂)(대간(大諫)) 이진규(李晋圭)(승지(承旨))이형달(李亨達)(참판(參判)) 이시민(李時敏)(사서(司書))이동태(李東泰)(승지(承旨)) 이언형(李彦衡)(대간(大諫))이의진(李義眞)(참판(參判)) 이유년(李惟年)(가주서(假注書))이시정(李蓍廷)(대간(大諫)) 이유철(李有喆)이제형(李齊衡)이완(李梡) 이평(李枰)(승지(承旨))이정철(李廷喆)(판서(判書)) 이혜조(李惠祚)(양사(兩司))이종영(李宗榮)(양사(兩司)) 이방영(李邦榮)(참판(參判))이종욱(李宗昱)(예좌(禮佐)) 이정렬(李廷烈)(지평(持平))이복경(李復慶)(도사(都事)) 이태정(李台鼎)이영중(李永中)(대간(大諫)) 이치중(李致中)(이판(吏判))이익선(李益烍)(승지(承旨)) 이택수(李澤遂)(승지(承旨))이윤급(李胤伋)이상운(李尙運) 이주(李ꞿ)(판서(判書))이득복(李得福)(교리(校理)) 이진복(李鎭福)이득일(李得一)(대간(大諫)) 이종령(李宗齡)(호의(戶議))이익섭(李益燮)(병좌(兵佐)) 이경명(李擎明)(찰방(察訪))이형원(李亨元)(참판(參判)) 이영봉(李榮鳳)이사조(李思祚)(심류(心留)) 이양수(李養遂)(승지(承旨))이명훈(李命勳)(교리(校理)) 이한경(李漢慶)(지평(持平))이휘지(李徽之)(우상(右相)) 이병정(李秉鼎)(이판(吏判))이의필(李義弼)(참의(參議)) 이범제(李範濟)(지평(持平))이양정(李養鼎)(목사(牧使)) 이회상(李會祥)(교리(校理))이종렬(李宗烈)(지평(持平)) 이영하(李泳夏)(옥당(玉堂))이복상(李復祥)(이의(吏議)) 이득신(李得臣)(병판(兵判))이유하(李游夏)(승지(承旨)) 이의강(李義綱)(감사(監事))이연상(李衍祥)(이판(吏判)) 이의행(李義行)(참판(參判))이원(李遠)(교리(校理)) 이창급(李昌伋)이상건(李尙建)이의암(李義嵒)(참판(參判)) 이형원(李亨元)(충백(忠伯))이민좌(李敏佐) 이기임(李基任)(가주서(假注書))이사렴(李師濂)(승지(承旨)) 이기(李夔)(승지(承旨))이중복(李重馥)(참판(參判)) 이동기(李東夔)이우진(李羽晉)이면긍(李勉兢)(병판(兵判)) 이백형(李百亨)(승지(承旨))이복휘(李福徽)(사간(司諫)) 이태석(李台奭)이의익(李義翊)(이참(吏參)) 이유백(李有白)(정언(正言))이태현(李泰賢) 이의관(李義寬)(승지(承旨))이규응(李奎應) 이성오(李性吾)(참의(參議))이의봉(李義鳳)(승지(承旨)) 이의준(李義駿)(참판(參判))이서구(李書九)(좌상(左相)) 이창한(李昌漢)(승지(承旨))이회수(李會遂)이덕부(李德溥) 이면수(李勉修)(승지(承旨))이겸환(李謙煥)(승지(承旨)) 이상로(李商輅)이심전(李心傳)이동형(李東馨)이현묵(李顯黙) 이석원(李錫源)이성준(李星俊)이종태(李宗泰)(지평(持平)) 이윤복(李胤馥)(현감(縣監))이량소(李良素) 이긍연(李兢淵)(승지(承旨))이의구(李義球)이의진(李義進) 이후규(李厚圭)이존원(李存遠)이심연(李心淵)(한림(翰林)) 이복일(李復一)이방인(李邦仁)이동직(李東稷) 이동양(李東讓)(주서(注書))이태형(李太亨)(참판(參判)) 이태량(李台亮)(기과(耆科))이명제(李明濟)(정언(正言)) 이현도(李顯道)(교리(校理))이석기(李錫祺)이만존(李萬存) 이한룡(李漢龍)이경행(李敬行)(감찰(監察)) 이제형(李齊亨)(예좌(禮佐))이만영(李萬榮)(지평(持平)) 이도(李燾)이복윤(李福潤)이익진(李翼晋)이창주(李昌冑) 이룡주(李龍柱)이형달(李衡達)(예좌(禮佐)) 이재휘(李載徽)(지평(地坪))이석후(李錫垕) 이우제(李遇濟)(교리(校理))이석심(李錫心) 이상황(李相璜)(영상(領相))이현수(李顯秀) 이익회(李益恢)(옥당(玉堂))이동면(李東冕)(검열(檢閱)) 이서(李垿)(옥당(玉堂))이기경(李基慶)(옥당(玉堂)) 이동우(李東宇)이덕승(李德升)이서조(李瑞朝)이의원(李毅遠) 이명연(李明淵)(승지(承旨))이안묵(李安黙) 이원팔(李元八)(장령(掌令))이윤행(李允行)(정언(正言)) 이홍달(李弘達)이정현(李廷顯)이상렴(李尙濂)이창서(李昌瑞) 이명부(李明孚)이남규(李南圭)(승지(承旨)) 이동만(李東萬)(수찬(修撰))이윤겸(李允謙)(은대(銀臺)) 이우형(李宇炯)이??(李??)이면승(李勉昇)(이판(吏判)) 이주석(李周奭)(승지(承旨))이성연(李聖淵)이의명(李義明) 이익영(李翼榮)이경윤(李卿尹)이동환(李東煥) 이유채(李惟采)(사간(司諫))이기헌(李基憲)(수찬(修撰)) 이남익(李南翼)(정언(正言))이재기(李在璣)(부사(府使)) 이언보(李彦輔)이조(李潮)(헌납(獻納))이석(李鉐) 이회상(李晦祥)(옥당(玉堂))이유명(李惟明)(참판(參判)) 이약수(李若洙)이완심(李完心)이탁원(李鐸遠)(승지(承旨)) 이로(李潞)(승지(承旨))이진생(李晋生)(참판(參判))이육(李堉) 이병철(李秉喆)이지담(李之聃)이승달(李承達)(장령(掌令)) 이동사(李東師)이면구(李勉求)이창심(李昌心) 이??(李??)(정언(正言))이유성(李游誠)(집의(執義)) 이동영(李東永)(수찬(修撰))이시원(李始遠) 이지연(李止淵)(우상(右相))이목연(李穆淵)(판서(判書)) 이국연(李國淵)(승지(承旨))이봉순(李鳳純)(승지(承旨)) 이기연(李紀淵)(판서(判書))이현성(李鉉成)(헌납(獻納)) 이돈중(李敦重)이진연(李晋淵)(승지(承旨)) 이지연(李志淵)(판서(判書))이인규(李寅奎)(승지(承旨)) 이인기(李寅夔)(참판(參判))이인량(李寅亮)(참판(參判)) 이인석(李寅奭)(판서(判書))이인고(李寅皐)(참판(參判)) 이득연(李得淵)이유백(李有伯)(승지(承旨)) 이건형(李建亨)(대간(大諫))이재한(李在漢)(주서(注書)) 이규하(李奎夏)(승지(承旨))이시원(李是遠)(판서(判書)) 이조영(李祖榮)(판서(判書))이승규(李承圭)(한림(翰林)) 이형달(李亨達)(좌랑(佐郞))이위달(李渭達)(교리(校理)) 이원달(李源達)(참판(參判))이제달(李濟達)(승지(承旨)) 이돈(李墩)(주서(注書))이득온(李得溫)(대간(大諫)) 이석주(李錫宙)(장령(掌令))이영렬(李永烈)(장령(掌令)) 이헌기(李憲琦)(판서(判書))이헌위(李憲瑋)(이판(吏判)) 이헌구(李憲球)(좌상(左相))이원묵(李元黙)(참판(參判)) 이정두(李廷斗)(참판(參判))이봉주(李鳳柱)(승지(承旨)) 이상은(李尙殷)(승지(承旨))이응인(李應寅)(승지(承旨)) 이익준(李益焌)(참의(參議))이익훤(李益烜)(은대(銀臺)) 이종목(李鍾穆)(교리(校理))이회구(李繪九)(승지(承旨)) 이정신(李鼎臣)(판서(判書))이정서(李鼎叙)(승지(承旨)) 이락중(李樂重)(판서(判書))이덕현(李德鉉)(부사(府使)) 이창정(李昌廷)(장령(掌令))이인회(李寅會)(참판(參判)) 이윤구(李允九)(주서(注書))이상신(李商新)(헌납(獻納)) 이인만(李寅晩)(장령(掌令))이준연(李晙淵)(정언(正言)) 이면주(李冕宙)(참판(參判))이한춘(李漢春)(참판(參判)) 李寅??(이인??)(이판(吏判))이인명(李寅命)(판서(判書)) 이인태(李寅泰)(참판(參判))이상경(李象敬)(옥당(玉堂)) 이돈우(李敦宇)(이판(吏判))이회순(李會淳)(판서(判書)) 이헌주(李憲周)(교리(校理))이병운(李秉運) 이장옥(李章玉)(참판(參判))이중장(李重章)(한림(翰林)) 이면식(李冕植)(승지(承旨))이병식(李秉植)(한림(翰林)) 이일형(李日瀅)(승지(承旨))이성규(李聖圭)(판서(判書)) 이종정(李鐘正)(승지(承旨))이병온(李秉溫) 이상중(李相重)(장령(掌令))이제승(李濟承)(승지(承旨)) 이면우(李勉宇)(자헌(資憲))이준선(李駿善)(지평(持平)) 이강훈(李康勳)(집의(執義))이긍우(李肯宇)(집의(執義)) 이회룡(李會龍)(참의(參議))이린규(李麟圭)(승지(承旨)) 이태용(李泰容)(참판(參判))이현형(李鉉亨)(승지(承旨)) 이민하(李民夏)(승지(承旨))이찬하(李纘夏)(판서(判書)) 이건필(李建弼)(참판(參判))이돈하(李敦夏)(판서(判書)) 이건하(李乾夏)(판서(判書))이연응(李沇應)(판서(判書)) 이응하(李應夏)(판서(判書))이륜하(李崙夏)(승지(承旨)) 이승보(李承輔)(판서(判書))이후선(李後善)(승지(承旨)) 이동영(李東永)(교리(校理))이심용(李心容)(주서(注書)) 이기호(李起鎬)(참판(參判))이경회(李慶會)(응교(應敎)) 이회정(李會正)(판서(判書))이창오(李昌吾)(주서(注書)) 이형하(李瀅夏)(참판(參判))이정리(李正履)(교리(校理)) 이용직(李容直)(판서(判書))이병문(李秉文)(판서(判書)) 이병규(李秉珪)(승지(承旨))이용은(李容殷)(참판(參判)) 이수인(李守寅)(승지(承旨))이돈연(李敦淵)(전백(全伯)) 이윤성(李潤成)(군수(郡守))이응진(李應辰)(판서(判書)) 이상겸(李象謙)(교리(校理))이유겸(李維謙)(옥당(玉堂)) 이홍겸(李弘謙)이겸수(李謙洙)(주서(注書)) 이면주(李冕柱)(승지(承旨))이승수(李升洙)(판서(判書)) 이규영(李珪永)(판서(判書))이??영(李??永)(판서(判書)) 이제익(李濟翼)(장령(掌令))이명윤(李命允)(교리(校理)) 이명응(李明應)(판서(判書))이돈응(李敦應)(판서(判書)) 이인철(李寅轍)(참판(參判))이용호(李容鎬)(참판(參判)) 이회영(李會英)(승지(承旨))이재원(李載元)(이판(吏判)) 이재면(李載冕)(보국(輔國))이재완(李載完)(판서(判書)) 이재순(李載純)(판서(判書))이재긍(李載兢)(판서(判書)) 이재극(李載克)(판서(判書))이재덕(李載悳)(판서(判書)) 이재만(李載晩)(옥당(玉堂))이재현(李載現)(승지(承旨)) 이재각(李載覺)(참판(參判))이재건(李載乾)(우령(右令)) 이세응(李世應)(승지(承旨))이국응(李國應)(승지(承旨)) 이오응(李五應)(승지(承旨))이재곤(李載崑)(판서(判書)) 이택응(李宅應)(이의(吏議))이수만(李秀萬)(좌령(左令)) 이수룡(李秀龍)(승지(承旨))이수홍(李秀弘)(옥당(玉堂)) 이면상(李冕相)(자헌(資憲))이원회(李元會) 이해창(李海昌)(승지(承旨))이종호(李鍾浩)(옥당(玉堂)) 이중칠(李重七)(참판(參判))이중오(李重五)(이의(吏議)) 이용선(李容善)(참판(參判))이교영(李敎英)(승지(承旨)) 이복영(李復永)(옥당(玉堂)) 이용태(李容泰)(내부대신(內部大臣)) 이승우(李承宇)(대교(待敎))이희원(李喜元)(참판(參判)) 이근수(李根秀)(판서(判書))이승우(李勝宇)(참판(參判)) 이기종(李起鍾)(승지(承旨))이기용(李起鏞)(좌령(左令)) 이규익(李圭益)(참판(參判))이건창(李建昌)(참판(參判)) 이교하(李敎夏)(승지(承旨))이경하(李敬夏)(참판(參判)) 이중하(李重夏)(판서(判書))이시하(李時夏)(교리(校理)) 이길하(李吉夏)(좌령(左令))이인필(李寅弼)(대성(大成)) 이운하(李雲夏)(좌령(左令))이정연(李鼎淵)(승지(承旨)) 이범익(李範翊)(우령(右令))이범찬(李範贊)(참의(參議)) 이범진(李範晋)(판서(判書))이범조(李範祖)(승지(承旨)) 이범대(李範大)(우령(右令))이범승(李範昇)(이의(吏議)) 이범홍(李範弘)(참의(參議))이범인(李範仁)(승지(承旨)) 이범설(李範偰)(우령(右令))이범창(李範昌)(승지(承旨)) 이범세(李範世)(비서승(秘書丞))이범석(李範錫)(승지(承旨)) 이윤종(李胤鍾)(참판(參判))이석종(李奭鍾)(승지(承旨)) 이건용(李建容)(참의(參議))이필용(李弼鎔)(승지(承旨)) 이원긍(李源兢)(승지(承旨))이인창(李寅昌)(승지(承旨)) 이순하(李舜夏)(승지(承旨))이윤재(李允在)(관찰(觀察)) 이중덕(李重德)(응교(應敎))이주황(李周璜)(정자(正字)) 이민식(李敏植)(승지(承旨))이종국(李鍾國)(승지(承旨)) 이공엽(李公燁)(승지(承旨))이희규(李熙奎)(주서(注書)) 이기동(李起東)(주서(注書))이기봉(李紀鳳)(주서(注書)) 이희석(李羲錫)(대간(大諫))이철우(李喆宇)(대간(大諫)) 이순의(李舜儀)(참의(參議)) 이지용(李址鎔)(내부대신(內部大臣)) 이준용(李埈鎔)(판서(判書))이학상(李鶴相)(주서(注書)) 이승택(李承澤)(참의(參議))이봉구(李鳳九)(해방사(海防使)) 이경동(李瓊仝)(대헌(大憲))이목(李穆)(평사(評事)) 이수(李穟)(목사(牧使))이석봉(李石峯)(군수(郡守)) 이세장(李世璋)(옥당(玉堂))이공인(李公仁)(군수(郡守)) 이윤호(李允濠)(시정(寺正))이??(李??)(도사(都事)) 이철(李鐵)(승지(承旨))이갱(李鏗)(병정(兵正)) 이진선(李振先)(병정(兵正))이구징(李久澄)(지중추(知中樞)) 이윤원(李允源)(판돈(判敦))이성(李垶)(지평(持平)) 이태환(李泰煥)(전적(典籍))이재창(李再昌)(현감(縣監)) 이재명(李再明)이진환(李震煥)(시정(寺正))이육(李堉) 이종렬(李宗烈)이석홍(李錫弘)(교리(校理)) 이현수(李顯秀)(정언(正言))이익섭(李益燮)(찰방(察訪))
무과(武科) 이복연(李復淵)(병사(兵使))이인달(李寅達)(병사(兵使)) 이경하(李景夏)(훈장(訓將))이장오(李章吾)(대장(大將)) 이득제(李得濟)(대장(大將)ㆍ판서(判書)) 이석구(李石求)(대장(大將))이철구(李鐵求)(금장(禁將)) 이경순(李景純)(대장(大將))이봉의(李鳳儀)(대장(大將)) 이항의(李恒儀)(관찰사(觀察使))이교의(李敎儀)(군수(郡守)) 이일제(李逸濟)(병사(兵使))이동식(李東植)(방어사(防禦使)) 이동선(李東善)(선전(宣傳))이동엽(李東燁)(병사(兵使)) 이형겸(李亨謙)(군수(郡守))이원겸(李元謙)(부사(府使)) 이주성(李周聖)이주풍(李周豊)이상??(李尙??)(통사(統使)) 이상??(李尙??)(통사(統使))이경무(李景懋)(훈장(訓將)) 이광익(李光益)(금장(禁將))이규남(李圭男)(방어(防禦)) 이규철(李圭徹)(보국(輔國))이규덕(李圭德)(승지(承旨)) 이종승(李鍾承)(참판(參判))이종진(李鐘晋)(판윤(判尹)) 이규원(李奎遠)(대장(大將))이상의(李象義)(선전(宣傳)) 이건구(李建九)(현감(縣監))이홍술(李弘述) 이국현(李國賢)(대장(大將))이형덕(李亨德)(선전(宣傳)) 이당(李溏)(대장(大將))이습(李熠)(병사(兵使)) 이석응(李奭應)(자헌(資憲))이재봉(李載鳳)(판서(判書)) 이재준(李載駿)(병사(兵使))이창용(李昌鎔)(부사(府使)) 이장용(李章鎔)(부사(府使))
음사인명(蔭仕人名) 이방번(李芳蕃)(무안대군(撫安大君)) 이여(李璵)(광평대군(廣平大君))이부(李溥)(영순군(永順君) 이영(李嶸)(청안군(淸安君)) 이천수(李千壽)(안정부정(安定副正)이한(李漢)(군수(郡守)) 이인건(李仁健)(현감(縣監))이욱(李郁)(군수(郡守)) 이후재(李厚載)(부정(副正))이중휘(李重輝)(군수(郡守)) 이현응(李顯應)(현감(縣監))이시중(李時中)(참판(參判)) 이홍연(李弘淵)(진사(進士))이시휘(李時輝)(진사(進士)) 이현기(李顯基)(정랑(正郞))이익중(李益中)(참봉(參奉)) 이량연(李亮淵)(승지(承旨))이인장(李寅章)(진사(進士)) 이주(李週)(현령(縣令))이산휘(李山輝)(군수(郡守)) 이권중(李權中)(목사(牧使)) 이덕호(李德浩)(진사(進士)ㆍ회안대군(懷安大君)) 이군생(李群生)(순평군(順平君)) 이숙평(李叔平)(의신부정(義新副正)이신(李伸)(창선(彰善)) 이팽손(李彭孫)(정주부령(貞州副令)) 이팽동(李彭同)(선산부령(善山副令)) 이계홍(李繼洪)(부사직(副詞直))이계민(李繼閔)(지평(持平)) 이백강(李白疆)(진사(進士))이형백(李馨白)(진사(進士)) 이완(李梡)(병판(兵判))이희삼(李希參)(부윤(府尹)) 이로영(李魯榮)(가선(嘉善))이기백(李起白)(호판(戶判)) 이정설(李廷枻)(통정(通政))이가동(李嘉東)(통헌(通憲)) 이정직(李廷樴)(좌윤(左尹))이하빈(李夏彬)(통정(通政)) 이두혁(李斗赫)(가선(嘉善))이평무(李平武)(자헌(資憲)) 이평렬(李平烈)(부호군(副護軍))이인하(李仁夏)(동추(同樞)) 이규형(李奎炯)(참봉(參奉))이기하(李基夏)(도사(都事)) 이현하(李現夏)(동추(同樞))이진하(李瑨夏)(참봉(參奉)) 이규호(李奎豪)(감찰(監察))이규선(李奎善)(감찰(監察)) 이규철(李奎哲)(의관(議官))이종건(李宗鍵)(참봉(參奉)) 이량하(李亮夏)(감역(監役))이규언(李奎彦)(참봉(參奉)) 이규동(李奎東)(참봉(參奉))이규승(李奎升)(감역(監役)) 이규택(李奎澤)(참봉(參奉))이순건(李淳鍵)(참봉(參奉)) 이성건(李晟鍵)(의관(議官))이창완(李昌完)(가선(嘉善)) 이무생(李茂生)(선성군(宣城君)) 이천정(李千丁)(도성부수(陶城副守)) 이미수(李眉壽)(부흥령(復興令)) 이윤조(李胤祖)(의령감(義寧監))이춘영(李春英)(한림(翰林)) 이시재(李時材)(판결사(判決事)) 이성장(李星長)(전설감(典設監))이익민(李益敏)(군수(郡守)) 이준창(李俊昌)(참봉(參奉))이교성(李喬成)(동지(同知)) 이덕선(李德善)(참봉(參奉))이계종(李啓宗)(가선(嘉善)) 이규석(李奎錫)(가선(嘉善))이례종(李禮宗)(통정(通政)) 이경일(李敬鎰)(동추(同樞))이용진(李容鎭)(통정(通政)) 이규장(李奎長)(감역(監役))이익룡(李益龍)(동추(同樞)) 이중하(李重和)(교관(敎官))이덕생(李德生)(수도군(修道君)) 이검(李儉)(어산부정(語山副正)) 이숙조(李淑祚)(곤산수(崑山守)) 이은(李嶾)(양곡부수(楊谷副守))이헌충(李憲忠)(현감(縣監)) 이대명(李大命)(장사랑(將仕郞))이지수(李枝守)(통훈(通訓)) 이백영(李伯英)(참봉(參奉))이문형(李文馨)(선무랑(宣務郞)) 이대영(李大榮)(통훈(通訓))이정갑(李正甲)(통훈(通訓)) 이용선(李用善)(통정(通政))이승기(李承麒)(가선(嘉善)) 이승홍(李承泓)(참봉(參奉))이우춘(李遇春)(동추(同樞)) 이경렬(李慶烈)(절형(折衡))이춘형(李春馨)(현감(縣監)) 이복생(李福生)(석보군(石保君)) 이래(李勑)(연산부정(燕山副正))이기(李驥)(수산수(守山守)) 이계옹(李繼翁)(거령부정(居寧副正))이거(李琚)(교위(校尉)) 이룡수(李龍洙)(도정(都正))이동신(李東信)(참봉(參奉)) 이인수(李寅洙)(통정(通政))이봉수(李鳳洙)(참봉(參奉)) 이홍필(李弘苾)(참봉(參奉))이후생(李厚生)(덕천군(德泉君)) 이효백(李孝伯)(신종군(新宗君)) 이부정(李富丁)(신곡수(新谷守)) 이련손(李連孫)(심주부수(沁州副守)) 이억기(李億祺)(완흥군(完興君)ㆍ시호(諡號):의민(毅愍)) 이륜(李輪)(우윤(右尹))이유(李猷)(현령(縣令)) 이진성(李震晟)(현감(縣監))이창조(李昌祖)(진사(進士)) 이덕휘(李德徽)(동추(同樞))이광하(李光夏)(가선(嘉善)) 이은일(李殷一)(가선(嘉善))이관주(李琯周)(참봉(參奉)) 이귀정(李貴丁)(완성군(菀城君)) 이계성(李繼性)(화령부수(化寧副守)) 이계보(李繼保)(상산군(商山君))이억손(李億孫)(이판(吏判)) 이유정(李惟貞)(완계군(完溪君))이준(李準)(전성군(全城君)) 이정익(李廷益)(집의(執義))이덕항(李德恒)(현감(縣監)) 이덕함(李德咸)(좌승지(左承旨))이탁(李籜)(대사헌(大司憲)) 이규년(李奎年)(목사(牧使))이흔(李俒)(진사(進士)) 이기홍(李基弘)(진사(進士))이은회(李殷會)(비승(비승(秘丞))) 이은두(李殷斗)(감찰(監察))이재륜(李在崙)(현감(縣監)) 이재화(李在華)(군수(郡守))이덕동(李德東)(자헌(資憲)) 이은종(李殷鍾)(오위장(五衛將))이학주(李鶴周)(참봉(參奉)) 이효성(李孝誠)(운수군(雲水君))이철(李轍)(익화수(益和守)) 이조수(李調壽)(강릉수(江陵守))이종유(李宗裕)(통정(通政)) 이한원(李漢遠)(참봉(參奉)) 이말생(李末生)(도평군(桃平君)ㆍ시호(諡號):공소(恭昭)) 이창(李昌)(수성군(壽城君)ㆍ이판(吏判)ㆍ시호(諡號):효민(孝敏)) 이지(李墀)(이성군(伊城君)ㆍ소의대부(昭義大夫)) 이명귀(李明龜)(당해군(唐海君)ㆍ소의대부(昭義大夫)) 이세귀(李歲龜)(석성군(石城君)ㆍ감사(監司)) 이예(李芮)(어모장군(禦侮將軍)ㆍ주계군(朱溪君)) 이희분(李希芬)(참판(參判))이태경(李泰慶)(참의(參議)) 이진경(李震慶)(충의위(忠義衛)) 이수응(李壽膺)(충의위(忠義衛))이제권(李濟權)(참봉(參奉)) 이제행(李濟行)(도사(都事))이제풍(李濟豊)(주사(主事)) 이영섭(李榮涉)(통정(通政))이용호(李庸鎬)(참봉(參奉)) 이선생(李善生)(무림군(茂林君))이동한(李東漢)(사과(司果)) 이제(李褆)(양녕대군(讓寧大君))이심(李諶)(안창부정(安昌副正)) 이식(李植)(사천수(沙川守)) 이지손(李智孫)(용천부수(龍川副守)) 이덕보(李德輔)(호군(護軍))이광립(李光立)(세마(洗馬)) 이민후(李敏厚)(군수(郡守)) 이보(李補)(효령대군(孝寧大君)ㆍ시호(諡號):정효(靖孝)) 이채(李寀)(의성군(誼城君)ㆍ현록(顯祿)ㆍ시호(諡號):호민(胡敏)) 이??(李??)(보성군(寶城君)ㆍ현록(顯祿)) 이밀(李密)(낙안군(樂安君)ㆍ시호(諡號):이안(夷安)) 이정(李定)(영천군(永川君)ㆍ현록(懸錄)ㆍ시호(諡號):호안(胡安)) 이의(李宜)(원천군(原川君)ㆍ양녕대군(讓寧大君)) 이??(李??)(안강도정(安康都正)) 이전(李恮)(무송군(茂松君)) 이임(李任)(유성군(儒城君))이승원(李承元)(목사(牧使)) 이창인(李昌仁)(부사직(副司直))이숙(李淑)(현령(縣令)) 이사건(李思騫)(판관(判官))이응길(李應吉)(사과(司果)) 이성민(李聖民)(문행(文行))이혜(李惠)(감역(監役)) 이창(李菖)(교위(校尉))이세강(李世綱)(진사(進士)) 이세휘(李世徽)(진사(進士))이덕겸(李德謙)(진사(進士)) 이윤집(李允執)(현감(縣監))이제붕(李齊鵬)(현감(縣監)) 이제봉(李齊鳳)(승사랑(承仕郞))이갑규(李甲奎)(참봉(參奉)) 이기선(李起善)(진사(進士))이강준(李康準)(군수(郡守)) 이정재(李貞宰)(진사(進士)) 이이(李怡)(영신군(永新君)ㆍ정의(正義)) 이호(李顥)(명원군(明原君)ㆍ입조(立朝)ㆍ청백(淸白)) 이대성(李大成)(사정(司正))이몽인(李夢寅)(판관(判官)) 이광윤(李光胤)(직장(直長))이경인(李景寅)(교위(校尉)) 이광숙(李光淑)(첨지(僉知))이광연(李光淵)(첨지(僉知)) 이광익(李光翼)(직장(直長))이광욱(李光勗)(별제(別提)) 이승현(李升賢)(주부(主簿))이사현(李師賢)(현감(縣監)) 이제현(李齊賢)(통덕랑(通德郞))이극성(李克成)(첨지(僉知)) 이광필(李光泌)(찰방(察訪))이진현(李晋賢)(현감(縣監)) 이태령(李泰齡)(진사(進士))이흥종(李興宗)(참판(參判)) 이만섭(李萬葉)(현감(縣監))이봉령(李鳳齡)(직장(直長)) 이현익(李顯益)(현감(縣監))이귀령(李龜齡)(군수(郡守))
이만집(李萬集)(진사(進士)) 이만협(李萬協)(부사(府使)ㆍ증참판(贈參判)) 이만형(李萬亨)(현감(縣監))이득령(李得齡)(주부(主簿)) 이극령(李極齡)(동추(同樞))이광적(李光迪)(교관(敎官)) 이광면(李光勉)(감찰(監察))이원령(李元齡)(현감(縣監)) 이옹(李顒)(함원군(咸原君)ㆍ(창선경학(彰善經學)) 이제안(李齊顔)(호군(護軍))이제삼(李齊參)(판윤(判尹)) 이제용(李齊容)(지평(持平))이격(李格)(첨추(僉樞)) 이권(李棬)(호군(護軍))이섬(李棎)(참봉(參奉)) 이필방(李必芳)(부호군(副護軍)) 이시정(李時靖)(부호군(副護軍)) 이치귀(李徵龜)(부호군(副護軍))이배근(李培根)(문학(文學)) 이현순(李顯純)(첨추(僉樞))이완종(李完宗)(통덕랑(通德郞)) 이준구(李準九)(도사(都事))이명규(李明圭)(악정(樂正)) 이흥복(李興馥)(통정(通政))이회환(李會煥)(가선(嘉善)) 이홍우(李洪宇)(도사(都事))이병우(李柄宇)(참봉(參奉)) 이수(李儔)(유성군(儒城君))ㆍ장양부정(將陽副正) 이승상(李承常)(부사(府使))이정(李挺)(병사(兵使)) 이명(李蓂)(진사(進士))이희충(李希忠)(주부(主簿)) 이숭견(李崇堅)(참봉(參奉))이춘양(李春陽)(진사(進士)) 이기생(李杞生)(참봉(參奉))이태항(李泰恒)(통사랑(通仕郞)) 이증철(李曾喆)(절형(折衡))이명우(李命宇)(통정(通政)) 이석년(李錫年)(참봉(參奉))이선재(李善宰)(참봉(參奉)) 이돈(李惇)(??성정(??城正)) 이신(李信)(평고도정(平皐都正)ㆍ시호(諡號):단효(端孝)) 이지번(李枝蕃)(목사(牧使))이복(李輻)(부호군(副護軍)) 이상로(李商老)(사과(司果))이탕로(李湯老)(진사(進士)) 이익신(李益新)(사과(司果))이재(李滓)(진사(進士)) 이경운(李慶雲)(충의위(忠義衛))이기용(李基容)(통정(通政)) 이득환(李得煥)(통정(通政))이용우(李鏞宇)(교관(敎官)) 이건(李健)(송산도정(松山都正))이지혜(李枝蕙)(현감(縣監)) 이축(李軸)(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이광률(李匡律)(교관(敎官))이원의(李元儀)(감역(監役)) 이기태(李起泰)(의관(議官))이훈(李薰)(고림군(高林君)) 이선손(李璿孫)(칠산군(漆山君)) 이회순(李會順)(오위장(五衛將))이동우(李東宇)(감찰(監察)) 이담손(李聃孫)(춘성부정(春城副正))이혼(李渾)(승지(承旨)) 이대윤(李大胤)(정랑(正郞))이엽(李曄)(부총관(副摠官)) 이세동(李世棟)(통정(通政))이효남(李孝男)(부호군(副護軍)) 이한영(李漢榮)(사정(司正)) 이윤의(李允儀)(오위장(五衛將)) 이기양(李起陽)(동추(同樞)) 이종(李徖)(율원군(栗元君)ㆍ부원수(副元帥)ㆍ적개공신(敵愾功臣)ㆍ시호(諡號):양환(讓桓)) 이자겸(李子謙)(여양군(呂陽君))이대(李薱)(전성군(全城君)) 이기원(李起元)(참령(參領))이즙(李楫)(부윤(府尹)) 이요빈(李堯賓)이흡(李潝)(참봉(參奉)) 이시양(李時養)(호군(護軍))이희구(李熙九)(참봉(參奉)) 이함순(李咸順)(봉사(奉事))이갑우(李甲宇)(동의금(同義禁)) 이기숙(李起淑)(도사(都事))이순빈(李舜賓)(부위(副尉)) 이수(李洙)(부위(副尉))이기중(李起中)(동돈(同敦)) 이우빈(李禹賓)(도정(都正))이진(李溍)(우후(虞侯)) 이인양(李仁養)(참봉(參奉))이기(李紀)(군수(郡守)) 이호태(李好泰)(가선(嘉善))이득영(李得英)(통정(通政)) 이선구(李善求)(참봉(參奉))이순우(李舜宇)(시정(寺正)) 이강흡(李康洽)(가선(嘉善))이박(李樸)(공의(工議)) 이로(李櫓)(군수(郡守))이규빈(李奎賓)(동지(同知)) 이척(李滌)(동지(同知))이상원(李尙元)(도사(都事)) 이주한(李柱漢)(통덕랑(通德郞))이봉령(李鳳齡)(진사(進士)) 이삼빈(李參賓)(판관(判官))이영(李泳)(가선(嘉善)) 이상희(李尙熙)(진사(進士))이채한(李埰漢)(오위장(五衛將)) 이이령(李以齡)(참봉(參奉))이중민(李重珉)(효정(孝旌)) 이신오(李臣吾)(시정(寺正))이동우(李東宇)(동추(同樞)) 이정빈(李井賓)(부사과(副司果))이인완(李寅完)(가선(嘉善)) 이기일(李璣鎰)(통훈(通訓))이찬호(李燦皓)(비승(秘丞)) 이연복(李淵馥)(가선(嘉善))이회중(李會中)(비승(秘丞)) 이기상(李起相)(군수(郡守))이기홍(李起弘)(감역(監役)) 이진오(李進吾)(선전(宣傳))이득춘(李得春)(참봉(參奉)) 이기일(李起一)(오위장(五衛將))이축(李軸)(부원군(府院君)) 이정(李瀞)(선무령(宣務令))이란실(李蘭實)(동추(同樞)) 이기채(李起采)(부호군(副護軍))이강석(李康碩)(감찰(監察)) 이순재(李舜宰)(도정(都正))이동행(李東行)(통정(通政)) 이정룡(李廷龍)(통정(通政))이기현(李起炫)(통정(通政)) 이강순(李康順)(승지(承旨))이강환(李康煥)(지평(持平)) 이기문(李起文)(통정(通政))이기옥(李起沃)(참봉(參奉)) 이기홍(李起洪)(동지(同知))이강식(李康植)(조봉(朝奉)) 이기조(李起祚)(가선(嘉善))이독수(李篤洙)(감찰(監察)) 이순호(李順浩)(참봉(參奉))이진오(李進吾)(선전(宣傳)) 이득춘(李得春)(참봉(參奉))이기일(李起一)(오위장(五衛將)) 이정규(李廷奎)(첨추(僉樞))이붕의(李鵬儀)(참봉(參奉)) 이용의(李龍儀)(감찰(監察))이재어(李載語)(감찰(監察)) 이세적(李世迪)(통정(通政))이성춘(李成春)(가선(嘉善)) 이언선(李彦善)(가선(嘉善))이언계(李彦季)(가선(嘉善)) 이진영(李鎭英)(자헌(資憲))이송호(李松鎬)(예의(禮議)) 이기태(李起泰)(전부(典簿))이맹영(李孟英)(부총관(副摠官)) 이홍의(李洪儀)(참서관(參書官))이상의(李商儀)(참봉(參奉)) 이기신(李起申)(주사(主事))이찬휘(李贊輝)(절형(折衡)) 이일문(李日文)(가선(嘉善))이석윤(李錫胤)(진사(進士)) 이기범(李奇範)(사용(司勇))이정문(李正文)(의관(議官)) 이정룡(李正龍)(의관(議官))이??(李??)(성녕대군(誠寧大君)) 이의(李宜)(원천군(原川君))이해(李偕)(열산도정(烈山都正)) 이감(李瑊)(이산부정(尼山副正))이원춘(李原春)(사과(司果)) 이몽인(李夢寅)(임진순(壬辰殉)ㆍ충정(忠旌)) 이지분(李之蕡)(승지(承旨)) 이정발(李正發)(참봉(參奉))이정민(李正民)(참봉(參奉)) 이림(李琳)(율진부령(栗津副令))이승형(李升亨)(감찰(監察)) 이유형(李有亨)(직장(直長))이??(李??)(진사(進士)) 이충언(李忠彦)(선략(宣略))이기준(李基俊)(참봉(參奉)) 이정(李偵)(기성수(岐城守))이존숙(李存肅)(부흥군(復興君)) 이복록(李福祿)(교위(校尉))이원충(李元忠)(충의위(忠義衛)) 이한휴(李漢休)(동지(同知))이병대(李炳大)(교관(敎官)) 이복강(李福疆)(병사(兵使))이후헌(李後憲)(진사(進士)) 이명단(李命玬)(도사(都事))이만관(李萬觀)(가선(嘉善)) 이명행(李明行)(참봉(參奉))이명용(李命容)(동추(同樞)) 이준용(李俊容)(도사(都事))이관용(李寬容)(참봉(參奉)) 이희옥(李喜玉)(교관(敎官))이희천(李喜阡)(주사(主事)) 이언하(李彦河)(통정(通政))이백용(李白容)(감찰(監察)) 이방용(李芳容)(감찰(監察))이후은(李後銀)(군수(郡守)) 이명진(李明震)(어모장(禦侮將))이영배(李永培)(복정(僕正)) 이희영(李喜英)(동지(同知))이정재(李貞材)(감찰(監察)) 이만백(李萬白)(가선(嘉善))이진석(李瑨錫)(동추(同樞)) 이순준(李淳俊)(참봉(參奉))이후귀(李後龜)(호랑(戶郞)) 이태환(李泰環)(예랑(禮郞))이광흥(李光興)(부사(府使)) 이용선(李用善)(참판(參判))이복순(李福純)(수사(水使)) 이원효(李元孝)(통사(統使)) 이존신(李存信)(영제부수(寧堤副守))이징(李澄)(현감(縣監)) 이영(李瓔)(충의위(忠義衛))이윤기(李允起)(통덕랑(通德郞)) 이종좌(李宗佐)(동추(同樞))이존량(李存良)(평서군(平西君)) 이수철(李壽鐵)(승지(承旨))이응종(李應宗)(봉사(奉事)) 이익복(李益福)(참봉(參奉))이일욱(李日旭)(좌윤(左尹)) 이동언(李東彦)(가선(嘉善)) 이존웅(李存雄)(운악부수(雲岳副守)) 이석손(李碩孫)(진사(進士))이진필(李震弼)(부호군(副護軍)) 이조(李祧)(경녕군(敬寧君))이식(李植)(모양군(牟陽君)) 이승손(李承孫)(선사군(仙槎君))이정(李禎)(신당령(神堂令)) 이수광(李晬光)(시호(諡號):문간(文簡)) 이동규(李同揆)(승지(承旨))이한조(李漢朝)(정언(正言)) 이승석(李升碩)(동추(同樞))이상률(李相律)(참의(參議)) 이상수(李相秀)(의관(議官))이연종(李年鍾)(참봉(參奉)) 이태규(李台揆)(정랑(正郞))이희수(李喜綉)(동추(同樞)) 이종석(李鍾錫)(참봉(參奉))이종욱(李鍾旭)(교관(敎官)) 이말손(李末孫)(청산부수(靑山副守)) 이종(李悰)(충익위(忠翊衛))이처혁(李處赫)(통덕랑(通德郞)) 이은귀(李銀龜)(형의(刑議))이준일(李俊一)(절형(折衡)) 이영원(李榮遠)(첨지(僉知))이종식(李鍾植)(참봉(參奉)) 이영(李穎)(복성군(福城君))김능수(金陵守)이금산(李金山) 이순(李珣)(서원령(西原令))이질(李礩)(찬성(贊成)) 이용순(李用淳)(병판(兵判))이시우(李時雨)(지평(持平)) 이익권(李益拳)(장령(掌令))이공유(李公裕)(통정(通政)) 이창성(李昌成)(가선(嘉善))이종현(李鍾顯)(참봉(參奉)) 이종만(李鐘萬)(통정(通政))이병규(李炳奎)(참봉(參奉)) 이종유(李鍾柔)(공의(工議))이기영(李琦永)(주부(主簿)) 이주민(李柱玟)(오위장(五衛將))이종홍(李鐘弘)(도사(都事)) 이관영(李寬永)(감찰(監察))이치영(李致永)(오위장(五衛將)) 이주곤(李柱坤)(사과(司果))이공우(李公愚)(통정(通政)) 이병규(李炳圭)(참판(參判))이희기(李喜基)(통정(通政)) 이종권(李鍾權)(통정(通政))이정영(李廷永)(오위장(五衛將)) 이성영(李聖永)(참봉(參奉))이주생(李柱生)(종사랑(從仕郞)) 이??(李??)(오성군(梧城君))이강(李杠)(풍성군(豊城君)) 이유(李鍮)(성산군(星山君))이시웅(李時雄)(복정(僕正)) 이장모(李章模)(동추(同樞))이동환(李東煥)(동지(同知)) 이순재(李舜載)(진사(進士))이일(李鎰)(청평도정(淸平都正)) 이득의(李得義)(충순위(忠順衛)) 이중철(李重喆)(전력부위(展力副尉)) 이범석(李範碩)(감정(監正))이사룡(李泗龍)(공의(工議)) 이송신(李松信)(참판(參判))이용수(李容秀)(가선(嘉善)) 이??(李??)(은천군(銀川君))이용기(李容箕)(참봉(參奉)) 이용성(李容成)(통정(通政))이희옥(李喜玉)(첨추(僉樞)) 이용규(李容奎)(가선(嘉善))이희련(李喜連)(도정(都正)) 이종??(李鍾??)(참봉(參奉))이덕영(李德永)(참봉(參奉)) 이연철(李演喆)(감역(監役))이용순(李用淳)(이판(吏判)) 이병도(李秉燾)(복정(僕正))이종근(李鍾根)(도정(都正)) 이종철(李鍾轍)(참봉(參奉))이천영(李天永)(동지(同知)) 이병춘(李秉春)(동지(同知))이용모(李容謨)(통덕랑(通德郞)) 이농(李襛)(근녕군(謹寧君))이범(李範)(충렬공(忠烈公)) 이승순(李承淳)(가선(嘉善))이기학(李基學)(동추(同樞)) 이헌상(李憲相)(비승(秘丞))이병린(李炳麟)(의관(議官)) 이병귀(李炳龜)(참봉(參奉))이한정(李漢鼎)(동돈(同敦)) 이종현(李宗鉉)(참봉(參奉))이한승(李漢昇)(동돈(同敦)) 이??(李??)(익녕군(益寧君)) 이정은(李貞恩)(수천부정(秀泉副正)) 이표(李彪)(청기군(靑杞君))이억재(李億載)(咸川君) 이원익(李元翼)(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 이의전(李義傳)(완선군(完善君)) 이수약(李守約)(완릉군(完陵君)) 이증현(李曾賢)(완창군(完昌君)) 이존도(李存道)(완성군(完城君)) 이인복(李仁復)(완양군(完崍?) 이언수(李彦秀)(완흥군(完興君))이시좌(李時佐)(군수(郡守)) 이함(李涵)(영양군(英陽君))이신손(李神孫)(도정(都正)) 이춘(李春)(도정(都正))이몽상(李夢祥)(현감(縣監)) 이운치(李雲徵)(감역(監役))이홍열(李弘說)(통사랑(通仕郞)) 이사관(李思寬)(감역(監役))이인규(李寅圭)(참봉(參奉)) 이명휘(李明輝)(참봉(參奉))이봉생(李逢生)(사과(司果)) 이수기(李秀基)(동추(同樞))이종순(李鍾淳)(오위장(五衛將)) 이병호(李秉浩)(참봉(參奉))이순(李淳)(정양군(定陽君)) 이자(李孜)(덕림군(德林君))이옥정(李玉貞)(진천군(晋川君)) 이찬(李瓚)(참봉(參奉))이후영(李厚榮)(만호(萬戶)) 이천응(李天應)(복정(僕正))이성채(李成彩)(동지(同知)) 이원실(李元實)(오위장(五衛將))이해삼(李海三)(참봉(參奉)) 이기의(李基義)(참봉(參奉))이종익(李鍾翊)(참봉(參奉)) 이동호(李東浩)(의관(議官))이기봉(李基奉)(비서승(秘書丞)) 이병규(李秉圭)(가선(嘉善))이종선(李鍾善)(감역(監役)) 이여(李璵)(광평대군(廣平大君))이부(李溥)(문과(文科)) 이쟁(李崢)(회원군(會原君))이징(李澄)(부정(副正)) 이동명(李東鳴)(현감(縣監))이상순(李尙純)(현령(縣令)) 이찬연(李燦淵)(가선(嘉善))이화하(李化夏)(참봉(參奉)) 이침(李琛)(밀성군(密城君))이계(李誡)(운산군(雲山君)) 이전(李銓)(광성군(匡城君))이구수(李耈壽)(광원군(廣原君)) 이후여(李厚輿)(도정(都正))이면지(李勉之)(생원(生員)) 이영조(李英祖)(감역(監役))이헌성(李憲成)(군수(郡守)) 이병구(李秉九)(현감(縣監))이중두(李重斗)(주사(主事)) 이민장(李敏章)(목사(牧使))이범지(李範之)(목사(牧使)) 이원상(李元祥)(군수(郡守))이영희(李英禧)(감역(監役)) 이헌술(李憲述)(현감(縣監))이병오(李秉五)(현령(縣令)) 이용목(李容穆)(감역(監役))이중익(李重翊)(군수(郡守)) 이기지(李器之)(진사(進士))이봉상(李鳳祥)(집의(執義)) 이영유(李英裕)(현감(縣監))이헌조(李憲祖)(목사(牧使)) 이병국(李秉國)(군수(郡守)) 이현(李玹)(수춘군(壽春君)ㆍ시호(諡號):안도(安悼)) 이??(李??)(수안군(遂安君)ㆍ시호(諡號):양소(襄昭)) 이석(李錫)(적성군(赤城君)) 이영(李楹)(흥양군(興陽君)) 이억정(李億禎)(진사(進士))이준국(李俊國)(사용(司勇)) 이덕우(李德宇)(자헌(資憲))이명선(李明善)(통정(通政)) 이상백(李尙白)(동추(同樞))이두재(李斗栽)(동지(同知)) 이봉춘(李鳳春)(동지(同知))이용동(李容東)(감찰(監察)) 이중수(李重壽)(비서승(秘書丞))이필호(李弼鎬)(의관(議官)) 이성택(李聖宅)(가선(嘉善))이용태(李容泰)(감찰(監察)) 이중래(李重來)(참봉(參奉))이중혁(李重奕)(참봉(參奉)) 이중권(李重權)(도사(都事))이병업(李秉業)(동지(同知)) 이용두(李容斗)(가선(嘉善))이중찬(李重燦)(가선(嘉善)) 이근호(李根鎬)(감역(監役))이전(李瑔)(영풍군(永豊君)) 이영(李穎)(취성군(鷲城君))이탄(李坦)(계림군(鷄林君)) 이린(李璘)(하창군(河昌君))이명후(李名後)(군수(郡守)) 이임한(李任漢)(감역(監役))이창수(李昌秀)(통정(通政)) 이병호(李丙虎)(감찰(監察))이당(李瑭)(영해군(寧海君)) 이석신(李錫新)(교관(敎官))이??(李??)(완원군(完原君)) 이수강(李壽剛)(이성군(伊城君)) 이몽우(李夢禹)(순흥군(順興君))이진(李瑱)(문옥서(文玉署)) 이상질(李尙質)(교리(校理))이훤(李藼)(한림(翰林)) 이한종(李漢宗)(세마(洗馬))이돈(李敦)(현감(縣監)) 이사섭(李師燮)(감역(監役))이정훈(李正薰)(가선(嘉善)) 이명훈(李明薰)(참봉(參奉))이경구(李慶九)(감찰(監察)) 이선우(李宣雨)(참봉(參奉))이양우(李亮雨)(교관(敎官)) 이계송(李繼宋)(정랑(正郞))이상온(李尙溫)(참봉(參奉)) 이훤(李萱)(참봉(參奉))이한정(李漢井)(참봉(參奉)) 이??(李??)(도사별제(都事別提))이운성(李雲星)(동추(同樞)) 이가식(李嘉植)(통덕랑(通德郞))이주황(李周煌)(가선(嘉善)) 이귀현(李龜鉉)(가선(嘉善))이승학(李承學)(도사(都事)) 이인구(李麟九)(참봉(參奉))이회(李懷)(익양군(益陽君)) 이수린(李壽麟)(장천군(長川君)이륜(李倫)(양성군(陽城君)) 이응우(李應祐)(파산수(坡山守))이승주(李承冑)(판관(判官)) 이응동(李應東)(호군(護軍))이영옥(李永玉)(교관(敎官)) 이상언(李尙彦)(도정(都正))이규석(李圭錫)(가선(嘉善)) 이홍훈(李洪薰)(가선(嘉善))이효훈(李孝薰)(참봉(參奉)) 이재엽(李載燁)(동추(同樞))이거(李岠)(영양군(永陽君)) 이수전(李秀荃)(흥녕군(興寧君))이??(李??)(풍해군(豊海君)) 이참(李僣)(능강수(綾岡守))이득(李得)(직장(直長)) 이우룡(李友龍)(충의위(忠義衛))이동환(李東煥)(통정(通政)) 이지우(李芝祐)(가선(嘉善))이옥희(李玉熙)(가선(嘉善)) 이규??(李圭??)(통정(通政))이문구(李文九)(가선(嘉善)) 이성희(李成熙)(가선(嘉善))이종희(李鍾熙)(가선(嘉善)) 이문길(李文吉)(통정(通政))이안희(李安熙)(감역(監役)) 이규연(李圭然)(참봉(參奉))이기(李岐)(덕양군(德陽君)) 이종린(李宗麟)(풍산군(豊山君))이수(李晬)(귀천군(龜川君)) 이형윤(李炯胤)(봉래군(蓬萊君)) 이형신(李炯信)(봉산군(蓬山君))이기홍(李箕洪)(집의(執義)) 이시현(李蓍顯)(현령(縣令))이현겸(李玄謙)(현감(縣監)) 이초(李岧)(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정(李鋥)(하원군(河原君))김인령(金引齡)(당은군(唐恩君)) 이돈(李潡)(응천군(凝川君))이정한(李挺漢)(동돈(同敦)) 이홍일(李弘逸)(동돈녕(同敦寧))이세정(李世禎)(도정(都正)) 이명회(李明會)(도정(都正))이형종(李亨宗)(동돈(同敦)) 이풍(李灃)(판돈(判敦))이희(李燨)(완성군(完城君)) 이시인(李時仁)(군수(郡守))이하전(李夏銓)(도정(都正)) 이형령(李亨齡)(익성군(益城君)) 이의경(李儀慶)(양릉수(楊陵守))이진기(李震琦)(군수(郡守)) 이창성(李昌性)(충의위(忠義衛)) 이한룡(李漢龍)(충의위(忠義衛)) 이석재(李碩載)(충의위(忠義衛)) 이병인(李秉仁)(오위장(五衛將))이광박(李光博)(감정(監正)) 이해국(李海國)(오위장(五衛將))이광언(李光彦)(감찰(監察)) 이해윤(李海允)(감찰(監察))이우정(李禹鼎)(가선(嘉善)) 이기용(李基鎔)(감찰(監察))이성(李珹)(의안군(義安君)) 이보(李俌)(능원대군(綾原大君))이식(李湜)(영풍군(靈豊君)) 이온(李榲)(금창군(錦昌君))이정(李炡)(동창군(東昌君)) 이기화(李基和)(가선(嘉善))이전(李佺)(능창대군(綾昌大君)) 이??(李??)(인평대군(麟坪大君))이해(李垓)(여흥군(驪興君)) 이절(李折)(영릉군(驪陵君))이규응(李奎應)(승지(承旨)) 이재량(李載亮)(참판(參判))이재헌(李載憲)(군수(郡守)) 이재범(李載範)(통정(通政))이재충(李載忠)(진사(進士)) 이재유(李載愈)(참봉(參奉))이재욱(李載旭)(부사(府使)) 이욱(李栯)(복녕군(福寧君))이환(李煥)(양후군(楊厚君)) 이춘광(李春珖)(현감(縣監))이경상(李儆尙)(군수(郡守)) 이만영(李萬榮)(진사(進士))이동석(李東錫)(참판(參判)) 이한종(李漢宗)(참봉(參奉))이권성(李權聖)(진사(進士)) 이창용(李昌鎔)(감역(監役))이봉서(李鳳瑞)(판관(判官)) 이병원(李炳遠)(가선(嘉善))이대원(李大遠)(참봉(參奉)) 이상호(李象鎬)(주사(主事))이기영(李基永)(가선(嘉善)) 이증(李證)(순성군(順城君))이사성(李嗣盛)(이산수(伊山守)) 이면(李綿)(진성수(珍城守))이창수(李昌秀)(첨사(僉使)) 이승헌(李承憲)(현감(縣監))이서(李楈)(충의위(忠義衛)) 이도생(李道生)(판관(判官))이상용(李尙瑢)(통정(通政)) 이방식(李芳植)(참봉(參奉))이두봉(李斗鳳)(참봉(參奉)) 이돈후(李敦厚)(참봉(參奉))이소(李訴)(장평주정(長平副正)) 이순(李順)(부림령(富林令)) 이윤인(李允仁)(수주부령(樹州副令)) 이효당(李孝讜)(판관(判官))이원룡(李元龍)(현감(縣監)) 이봉민(李鳳敏)(동추(同樞))이재수(李在秀)(참봉(參奉)) 이병민(李丙珉)(참봉(參奉))이장형(李長亨)(복정(僕正)) 이기(李夔)(부사(府使))이재용(李在容)(박사(博士)) 이낙선(李樂善)(통정(通政))이덕수(李德秀)(참봉(參奉)) 이호선(李浩善)(감역(監役))이승태(李承台)(진사(進士)) 이승규(李承奎)(통정(通政))이춘선(李春善)(가선(嘉善)) 이겸(李謙)(고정부정(古丁副正))이정(李靖)(참의(參議)) 이좌(李佐)(참의(參議))이서(李緖)(추성부수(秋城副守)) 이장진(李長震)(참의(參議))이시정(李時貞)(감찰(監察)) 이연(李延)(통정(通政))이진득(李振得)(가선(嘉善)) 이길응(李吉膺)(도사(都事))이종용(李宗容)(통정(通政)) 이규동(李圭東)(주사(主事)) 이위(李偉)(평성군(坪城君)) 이준원(李濬源)(예성군(芮城君))이돈효(李敦孝)(판관(判官)) 이영조(李榮祚)(첨사(僉使))이신억(李信億)(상호군(上護軍)) 이대성(李大城)(가선(嘉善))이영실(李永實)(참봉(參奉)) 이삼학(李參鶴)(동추(同樞))이돈희(李敦希)(동추(同樞)) 이강린(李康麟)(통정(通政))이만재(李滿宰)(참봉(參奉)) 이정순(李廷淳)(참봉(參奉))이기효(李起孝)(가선(嘉善)) 이강덕(李康德)(주부(主簿))이강록(李康錄)(참봉(參奉)) 이임환(李林桓)(오위장(五衛將))이기만(李起萬)(통정(通政)) 이강국(李康國)(가선(嘉善))이윤재(李允宰)(가선(嘉善)) 이강래(李康來)(동돈(同敦))이천복(李千福)(도정(都正)) 이화문(李化汶)(참봉(參奉))이용규(李容奎)(가선(嘉善)) 이희열(李喜烈)(도사(都事))이종구(李鍾球)(참봉(參奉)) 이현영(李賢永)(참봉(參奉))이지(李祉)(혜녕군(惠寧君)) 이수(李洙)(예천군(醴泉君))이효식(李孝植)(축산군(笁山君)) 이순년(李舜年)(層佇?首登令))이지무(李枝茂)(동추(同樞)) 이근소(李根蘇)(가선(嘉善))이서표(李瑞彪)(가선(嘉善)) 이우영(李友英)(현령(縣令))이진혁(李震赫)(통정(通政)) 이택주(李澤珠)(참봉(參奉))이택화(李澤和)(가선(嘉善)) 이섭동(李攝東)(참봉(參奉))이의동(李儀東)(교관(敎官)) 이문백(李文伯)(참봉(參奉))이동영(李東英)(우위장(羽衛將)) 이방학(李芳學)(통정(通政))이치혁(李致赫)(동추(同樞)) 이창완(李昌琓)(자헌(資憲))이택균(李澤均)(감찰(監察)) 이연동(李燕東)(교관(敎官))이희옥(李熙玉)(참봉(參奉)) 이희우(李熙佑)(감찰(監察))이몽상(李夢祥)(현감(縣監)) 이정량(李貞良)(시정(寺正))이동무(李東茂)(부사(府使)) 이희철(李熙哲)(동추(同樞))이경립(李敬立)(참판(參判)) 이의창(李義昌)(동지(同知))이사순(李思舜)(참봉(參奉)) 이찬규(李贊圭)(도정(都正))이종식(李鍾植)(참봉(參奉)) 이원(李元)(운양령(雲陽令))이몽경(李夢慶)(진사(進士)) 이연직(李延直)(참봉(參奉))이명규(李命圭)(참봉(參奉)) 이범순(李範順)(통정(通政))이완종(李琬鐘)(통정(通政)) 이필원(李弼洹)(참봉(參奉))이범성(李範聖)(통정(通政)) 이수종(李璲鐘)(감찰(監察))이길원(李吉洹)(참봉(參奉)) 이준국(李俊國)(사용(司勇))이성량(李成良)(감찰(監察)) 이위록(李威祿)(동추(同樞))이명장(李明璋)(동지(同知)) 이응수(李應壽)(동추(同樞))이춘(李湷)(통정(通政)) 이후민(李垕敏)(통덕랑(通德郞))이종룡(李鍾龍)(가선(嘉善)) 이중휘(李重輝)(참봉(參奉))이중서(李重瑞)(감찰(監察)) 이재호(李在鎬)(도정(都正))이지호(李之鎬)(도사(都事)) 이순호(李順鎬)(참봉(參奉))이경호(李京鎬)(주부(主簿)) 이중환(李重煥)(가선(嘉善))이인호(李寅鎬)(주사(主事)) 이중득(李重得)(참봉(參奉))이병오(李秉五)(부호군(副護軍)) 이중하(李重河)(참봉(參奉))이용조(李容祚)(참봉(參奉)) 이병록(李秉祿)(선략(宣略))이용운(李容運)(통정(通政)) 이중태(李重泰)(가선(嘉善)) 이희(李憘)(양원군(楊原君)ㆍ시호(諡號):명혜(明惠)) 이윤방(李潤芳)(복정(僕正))이윤하(李允廈)(통정(通政)) 이종필(李鍾弼)(도정(都正)) 이자흥(李子興)(완창대군(完昌大君)ㆍ시호(諡號):충간(忠簡)) 이천계(李天桂)(영성대군(永城大君)ㆍ시호(諡號):효민(孝愍)) 이란(李蘭)(밀양군(密陽君)ㆍ시호(諡號):문장(文莊)) 이사철(李思哲)(파성군(坡城君)ㆍ좌상(左相)ㆍ시호(諡號):문안(文安)) 이석공(李石公)(병사(兵使)) 이자영(李自英)(판관(判官))이희춘(李希春)(참의(參議)) 이소종(李紹宗)(녹원종훈(錄原從勳)) 이정무(李廷武)(선무랑(宣務郞ㆍ녹원종훈(錄原從勳)) 이민신(李敏臣)(녹원종훈(錄原從勳)) 이운개(李雲開)(복정(僕正))이중경(李重慶)(부호군(副護軍)) 이태성(李泰成)(중추(中樞)) 이우현(李禹鉉)(증군자정(增軍資正)) 이태용(李泰庸)(참봉(參奉))이중휘(李重輝)(부총관(副摠官)) 이득창(李得昌)(교관(敎官))이문엽(李文曄)(이참(吏參)) 이종섭(李鍾燮)(비서승(秘書丞)) 이진기(李鎭基)(부호군(副護軍)) 이갑기(李甲基)(증공참(贈工參))이옥현(李屋鉉)(호의(戶議)) 이태수(李泰洙)(장례부경(掌禮副卿)) 이태승(李泰承)(통덕랑(通德郞))이태준(李泰浚)(의관(議官)) 이태혁(李泰爀)(동추(同樞))이발세(李發世)(통덕랑(通德郞)) 이서일(李瑞一)(군자정(軍資正))이필종(李弼宗)(통례(通禮)) 이석규(李錫圭)(도사(都事))이수모(李壽模)(감역(監役)) 이만지(李萬枝)(가선(嘉善))이태중(李泰重)(동지(同知)) 이대악(李大岳)(오위장(五衛將))이창복(李昌福)(가선(嘉善)) 이팔룡(李八龍)(의관(議官))이사명(李思明)(파주군(坡州君)) 이덕근(李德根)(목사(牧使))이두(李斗)(부사과(副司果)) 이자망(李子望)(익찬(翊贊))이대남(李大南)(복정(僕正)) 이병채(李炳彩)(참봉(參奉))이달성(李達成)(참봉(參奉)) 이병안(李秉安)(참봉(參奉))이기수(李基秀)(도사(都事)) 이백만(李伯萬)(참봉(參奉))이종려(李宗瓈)(참판(參判)) 이인룡(李仁龍)(종사랑(從仕郞))이기종(李基鍾)(복정(僕正)) 이종룡(李宗龍)(운성군(雲城君))이분(李芬)(밀흥군(密興君)) 이방(李方)(경랑군(慶朗君))이천보(李千甫)(주부(主簿)) 이효관(李孝寬)(사직(司直))이석숭(李石崇)(용교위(勇校尉)) 이췌(李萃)(전력부위(展力副尉)ㆍ녹정국훈(錄靖國勳)) 이세영(李世榮)(통례(通禮))이명복(李命福)(사직(司直)) 이언순(李彦諄)(사직(司直))이귀령(李龜齡)(첨추(僉樞)) 이천익(李千翼)(봉사(奉事))이덕숭(李德崇)(주부(主簿)) 이종최(李宗最)(사과(司果))이유창(李惟昌)(교수(敎授)) 이호명(李浩明)(별제(別提))이호성(李浩成)(훈도(訓導)) 이호중(李浩中)(시중(侍中))이정신(李廷臣)(훈도(訓導)) 이원주(李爰柱)(직장(直長))이면주(李勉柱)(봉사(奉事)) 이용구(李容九)(군수(郡守))이용림(李容琳)(진사(進士)) 이흥균(李興均)(정위(正尉))이광필(李光弼)(참봉(參奉)) 이민균(李旻均)(의관(議官))이원계(李元桂)(완산백(完山伯)) 이양우(李良祐)(완원군(完原君)) 이천우(李天祐)(완산군(完山君)ㆍ개국공신(開國功臣)ㆍ시호(諡號):양경(襄慶)) 이굉(李宏)(월평군(月平君)ㆍ동돈녕(同敦寧)) 이명인(李明仁)(월성군(月城君)ㆍ주부(主簿)) 이세원(李世元)(부사과(副司果))이학(李鶴)(진사(進士)) 이극조(李克操)(충의위(忠義衛))이전(李㙉)(충의위(忠義衛)) 이형진(李亨震)(충의위(忠義衛))이제(李濟)(충의위(忠義衛)) 이상회(李相檜)(진사(進士))이상후(李相垕)(충의위(忠義衛)) 이극부(李克扶)(사부(師傅))이구(李坵)(시정(寺正)) 이담(李橝)(주부(主簿))이순원(李順遠)(시정(寺正)) 이이재(李以載)(호의(戶議))이윤룡(李允龍)(동추(同樞)) 이문헌(李文憲)(동추(同樞))이??섭(李??燮)(감찰(監察)) 이돈신(李敦信)(동추(同樞))이경섭(李敬燮)(감찰(監察)) 이극양(李克揚)(부사(副詞)) 이극정(李克挺)(어모장군(禦侮將軍)) 이희열(李禧烈)(절형(折衡))이이룡(李以龍)(통덕랑(通德郞)) 이황종(李黃鍾)(찰방(察訪))이극규(李克揆)(수문장(守門將)) 이기(李璣)(봉사(奉事))이세형(李世亨)(찰방(察訪)) 이봉(李鳳)(사과(司果))이중행(李中行)(통정(通政)) 이극원(李克援)(통덕랑(通德郞)) 이정린(李廷麟)(장사랑(將仕郞)) 이명존(李命存)(통덕랑(通德郞)) 이수백(李洙伯)(부호군(副護軍))이근(李根)(현감(縣監)) 이종련(李宗璉)(보공장군(保功將軍)) 이문후(李文厚)(부총관(副摠官))이흥섭(李興燮)(참봉(參奉)) 이중립(李中立)(주부(主簿))이근(李根)(사과(司果)) 이상원(李相元)(도사(都事))이종인(李宗仁)(월평군(月坪君)) 이형근(李亨根)(부총(副摠))이형지(李亨枝)(주부(主簿)) 이손(李蓀)(승지(承旨)ㆍ시호(諡號):정간(靖簡)) 이적(李積)(부위(副尉))이경숙(李景淑)(수의부위(修義副尉)) 이응현(李應賢)(판관(判官))이득룡(李得龍)(현감(縣監)) 이윤방(李潤邦)(도정(都正))이세존(李世存)(승지(承旨)) 이한원(李漢元)(복정(僕正))이이기(李以記)(동돈(同敦)) 이이엽(李以燁)(참봉(參奉))이월명(李越明)(가선(嘉善)) 이응회(李應檜)(습독(習讀))이우진(李遇鎭)(악정(樂正)) 이화익(李和益)(오위장(五衛將))이응식(李應栻)(사과(司果)) 이민진(李民鎭)(악정(樂正))이하종(李河宗)(통정(通政)) 이두섭(李斗燮)(판윤(判尹))이병수(李秉洙)(사과(司果)) 이봉춘(李奉春)(감찰(監察))이세림(李世淋)(통훈(通訓)) 이기(李紀)(통정(通政))이규(李規)(주부(主簿)) 이백욱(李伯郁)(직제학(直提學))이형준(李亨俊)(직장(直長)) 이이원(李以源)(부위(副尉))이문횡(李文宖)(호군(護軍)) 이동섭(李東燮)(비승(秘丞))이문규(李文奎)(증좌윤(贈左尹)) 이안섭(李安燮)(가선(嘉善))이문호(李文鎬)(참봉(參奉)) 이용섭(李鎔燮)(참봉(參奉))이행신(李行信)(가선(嘉善)) 이장(李樟)(동추(同樞))이문백(李文白)(동추(同樞)) 이병섭(李秉燮)(도정(都正))이??(李??)(진사(進士)) 이덕현(李德鉉)(교관(敎官))이태효(李泰孝)(진사(進士)) 이이호(李利浩)(가선(嘉善))이윤황(李潤煌)(감찰(監察)) 이윤홍(李潤烘)(도사(都事))이이덕(李以德)(동추(同樞)) 이문석(李文碩)(참봉(參奉))이종현(李宗鉉)(참봉(參奉)) 이재섭(李在燮)(동추(同樞))이남신(李南信)(참봉(參奉)) 이동신(李東信)(의관(議官))이규섭(李珪燮)(참봉(參奉)) 이기석(李基錫)(참봉(參奉))이사국(李士國)(동추(同樞)) 이근식(李根植)(만호(萬戶))이효백(李孝白)(가선(嘉善)) 이신룡(李信龍)(통덕랑(通德郞))이득한(李得漢)(악정(樂正)) 이관영(李觀英)(통정(通政))이관철(李觀喆)(도정(都正)) 이정현(李整鉉)(참봉(參奉))이창서(李昌瑞)(악정(樂正)) 이창기(李昌淇)(통정(通政))이인권(李仁權)(참봉(參奉)) 이재권(李在權)(가선(嘉善))이영원(李榮源)(통훈(通訓)) 이봉기(李奉基)(통정(通政))이봉국(李奉國)(참봉(參奉)) 이지해(李之海)(통덕랑(通德郞))이기하(李基夏)(참봉(參奉)) 이진섭(李晋燮)(동추(同樞))이춘석(李春錫)(판서(判書)) 이종수(李鐘洙)(도정(都正))이항길(李恒吉)(감찰(監察)) 이봉춘(李奉春)(감찰(監察))이은세(李殷世)(현감(縣監)) 이복남(李福南)(절도사(節度使))이입신(李立信)(좌윤(左尹)) 이윤호(李潤昊)(호참(戶參))이효섭(李孝燮)(동추(同樞)) 이명구(李溟九)(가선(嘉善))이기우(李奇雨)(참봉(參奉)) 이상우(李相雨)(참봉(參奉))이승두(李承斗)(통정(通政)) 이영우(李泳宇)(도사(都事))이근원(李根元)(오위장(五衛將)) 이단신(李端信)(시중(侍中))이작산(李作山)(가선(嘉善)) 이공직(李公直)(복사(僕射))이염(李琰)(군수(郡守)) 이배(李培)(판서(判書))이여(李輿)(판서(判書)) 이문정(李文挺)(대제학(大提學)ㆍ좌명공신(佐命功臣)ㆍ시호(諡號):문경(文敬)) 이몽(李蒙)(호판(戶判)) 이백유(李伯由)(예판(禮判)ㆍ시호:문정(文靖)) 이속(李粟)(승지(承旨))이손약(李孫若)(군수(郡守)) 이윤생(李閏生)(호참(戶參)) 이목(李穆)(대제학(大提學)ㆍ시호(諡號):정간(貞簡)) 이세장(李世璋)(진사(進士))이윤함(李允涵)(감역(監役)) 이계(李枅)(가선(嘉善))이두광(李斗光)(진사(進士)) 이만협(李晩協)(통정(通政))이동적(李東迪)(부호군(副護軍)) 이명상(李明相)(가선(嘉善))이현량(李顯亮)(절형(折衡)) 이치량(李致亮)(도사(都事))이치형(李致亨)(오위장(五衛將)) 이태련(李台連)(참봉(參奉))이명원(李明元)(참봉(參奉))
조선조 급제자 정록
사철(思哲)(세종(世宗)14년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유의(由義)(세종(世宗)23년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만간(萬幹)(태종(太宗)16년 신시(新試) 을과(乙科)) 승윤(承胤)(단종(端宗)1년 증광시(增廣試) 정과(丁科)) 경동(瓊同)(세조(世祖)8년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래(徠)(세조(世祖)1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목(穆)(연산(燕山)1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유녕(幼寧)(연산(燕山)2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수(禭)(연산(燕山)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석봉(石峰)(중종(中宗)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몽필(夢弼)(중종(中宗)1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억손(億孫)(중종(中宗)1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원경(元卿)(중종(中宗)2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현당(賢讜)(중종(中宗)27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장(璋)(중종(中宗)2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현충(顯忠)(중종(中宗)28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희손(希孫)(중종(中宗)2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세장(世璋)(중종(中宗)2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발(拔)(중종(中宗)30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건(楗)(중종(中宗)37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순효(純孝)(중종(中宗)3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억상(億祥)(중종(中宗)39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희온(希溫)(명종(明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희검(希儉)(명종(明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명(銘)(명종(明宗)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수철(壽鐵)(명종(明宗)2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희량(希良)(명종(明宗)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경(瓊)(명종(明宗)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경운(景雲)(명종(明宗)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헌국(憲國)(명종(明宗)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량(樑)(명종(明宗)7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귀수(龜壽)(명종(明宗)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공인(公仁)(명종(明宗)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식(拭)(명종(明宗)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여경(餘慶)(명종(明宗)1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양원(陽元)(명종(明宗)11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제민(齊閔)(명종(明宗)1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충작(忠綽)(명종(明宗)14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해귀(海龜)(명종(明宗)1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언이(彦怡)(명종(明宗)1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순수(順壽)(명종(明宗)1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명생(命生)(명종(明宗)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응기(應麒)(명종(明宗)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인(裕仁)(명종(明宗)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정빈(廷賓)(명종(明宗)18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극강(克綱)(명종(明宗)1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준도(遵道)(명종(明宗)1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충원(忠元)(명종(明宗)21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응(凝)(명종(明宗)2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제민(齊閔)(명종(明宗)21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경린(景麟)(선조즉위년(宣祖卽位年)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언양(彦讓)(선조즉위년(宣祖卽位年)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로(輅)(선조즉위년(宣祖卽位年)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구호(久濠)(선조즉위년(宣祖卽位年)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준(準)(선조(宣祖)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원익(元翼)(선조(宣祖)2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준종(俊宗)(선조(宣祖)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성중(誠中)(선조(宣祖)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경중(敬中)(선조(宣祖)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승양(承楊)(선조(宣祖)5년 친시(親試) 병과(丙科)) 희득(希得)(선조(宣祖)5년 친시(親試) 병과(丙科)) 언유(彦愉)(선조(宣祖)5년 친시(親試) 병과(丙科)) 양중(養中)(선조(宣祖)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홍인(弘仁)(선조(宣祖)6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기(璣)(선조(宣祖)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경률(景률)(선조(宣祖)6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각(覺)(선조(宣祖)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시언(時彦)(선조(宣祖)9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축()(선조(宣祖)9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윤(贇)(선조(宣祖)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성전(性傳)(선조(宣祖)10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언상(彦祥)(선조(宣祖)10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성임(聖任)(선조(宣祖)10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밀(謐)(선조(宣祖)1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영(嶸)(선조(宣祖)1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철(鐵)(선조(宣祖)1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징(幼澄)(선조(宣祖)16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충성(忠誠)(선조(宣祖)1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지강(之綱)(선조(宣祖)1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영(영)(선조(宣祖)1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원(瑗)(선조(宣祖)1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집(집)(선조(宣祖)1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춘기(春祺)(선조(宣祖)1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대윤(大胤)(선조(宣祖)1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용순(用淳)(선조(宣祖)1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수광(晬光)(선조(宣祖)1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유록(綏祿)(선조(宣祖)1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세온(世溫)(선조(宣祖)2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갱(鏗)(선조(宣祖)2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파(坡)(선조(宣祖)2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육(堉)(선조(宣祖)21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진빈(軫賓)(선조(宣祖)22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우익(友益)(선조(宣祖)2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빈(馪)(선조(宣祖)2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의영(宜永)(선조(宣祖)2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춘영(春英)(선조(宣祖)2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춘상(春祥)(선조(宣祖)24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성록(成祿)(선조(宣祖)24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천(蕆)(선조(宣祖)24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심(심)(선조(宣祖)2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덕온(德溫)(선조(宣祖)2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람(覽)(선조(宣祖)2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심(愖)(선조(宣祖)26년 전주별시(全州別試) 병과(丙科)) 진선(振先)(선조(宣祖)26년 전주별시(全州別試) 병과(丙科)) 형욱(馨郁)(선조(宣祖)2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홍주(弘冑)(선조(宣祖)2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성경(晟慶)(선조(宣祖)29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유홍(惟弘)(선조(宣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성(惺)(선조(宣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충양(忠養)(선조(宣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구징(久澄)(선조(宣祖)30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호의(好義)(선조(宣祖)30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여하(汝賀)(선조(宣祖)30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유연(幼淵)(선조(宣祖)30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유(綏)(선조(宣祖)3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순경(順慶)(선조(宣祖)3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충(沖)(선조(宣祖)3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극신(克信)(선조(宣祖)3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호신(好信)(선조(宣祖)36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식립(植立)(선조(宣祖)38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진(瑱)(선조(宣祖)3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현(俔)(선조(宣祖)3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은로(殷老)(선조(宣祖)38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천추(天樞)(선조(宣祖)38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창정(昌廷)(선조(宣祖)3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명(溟)(선조(宣祖)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경직(景稷)(선조(宣祖)3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성구(聖求)(광해즉위년(光海卽位年) 별시(別試) 을과(乙科)) 경여(敬輿)(광해(光海)1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숙(숙)(광해(光海)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창후(昌後)(광해(光海)2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사맹(師孟)(광해(光海)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목(楘)(광해(光海)4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목(莯)(광해(光海)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민구(敏求)(광해(光海)4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유달(惟達)(광해(光海)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진영(晉英)(광해(光海)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중길(重吉)(광해(光海)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상항(尙恒)(광해(光海)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영식(永式)(광해(光海)7년 식년?式年試) 을과(乙科)) 중계(重繼)(광해(光海)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일(惟一)(광해(光海)7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유성(惟聖)(광해(光海)8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명운(溟運)(광해(光海)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필달(必達)(광해(光海)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광유(光裕)(광해(光海)8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원여(元輿)(광해(光海)8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민수(敏樹)(광해(光海)1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규(규)(광해(光海)13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진철(晉哲)(광해(光海)13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경석(景奭)(인조(仁祖)1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성신(省身)(인조(仁祖)1년 개시(改試) 갑과(甲科)) 시민(時敏)(인조(仁祖)1년 개시(改試) 을과(乙科)) 구원(久源)(인조(仁祖)1년 개시(改試) 병과(丙科)) 화(華)(인조(仁祖)2년 공주정시(公州庭試) 을과(乙科)) 석달(碩達)(인조(仁祖)2년 공주정시(公州庭試) 을과(乙科)) 후양(後陽)(인조(仁祖)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대순(大純)(인조(仁祖)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이(薾)(인조(仁祖)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유길(惟吉)(인조(仁祖)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상형(尙馨)(인조(仁祖)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탁(晫)(인조(仁祖)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명웅(命雄)(인조(仁祖)4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경석(景奭)(인조(仁祖)4년 중시(重試) 갑과(甲科)) 정규(廷圭)(인조(仁祖)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척연(惕然)(인조(仁祖)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유달(惟達)(인조(仁祖)6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만(曼)(인조(仁祖)6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상질(尙質)(인조(仁祖)7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시매(時楳)(인조(仁祖)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시해(時楷)(인조(仁祖)8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시만(時萬)(인조(仁祖)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응시(應蓍)(인조(仁祖)1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시우(時雨)(인조(仁祖)1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태방(太芳)(인조(仁祖)1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창형(昌馨)(인조(仁祖)1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지항(之恒)(인조(仁祖)1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사우(士瑀)(인조(仁祖)1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온(有溫)(인조(仁祖)1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석(晳)(인조(仁祖)12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만영(晩榮)(인조(仁祖)13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삼준(三俊)(인조(仁祖)13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재(梓)(인조(仁祖)13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순형(純馨)(인조(仁祖)13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태운(泰運)(인조(仁祖)1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후원(厚源)(인조(仁祖)1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양복(陽復)(인조(仁祖)1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정영(正英)(인조(仁祖)1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비현(丕顯)(인조(仁祖)1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이현(頤顯)(인조(仁祖)1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제형(齊衡)(인조(仁祖)17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순남(順男)(인조(仁祖)17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성항(性恒)(인조(仁祖)1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규로(奎老)(인조(仁祖)20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순암(純馣)(인조(仁祖)20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정집(廷楫)(인조(仁祖)2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후(垕)(인조(仁祖)22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주(周)(인조(仁祖)2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수성(守誠)(인조(仁祖)2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성시(聖時)(인조(仁祖)24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장형(長馨)(인조(仁祖)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만길(晩吉)(인조(仁祖)2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정(晶)(인조(仁祖)26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유명(惟明)(인조(仁祖)2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제운(齊運)(인조(, , 仁, 祖)2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형(逈)(효종(孝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시함(時함)(효종(孝宗)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익한(翊漢)(효종(孝宗)2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극태(克泰)(효종(孝宗)2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증(曾)(효종(孝宗)2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지백(知白)(효종(孝宗)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민서(敏敍)(효종(孝宗)3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무(무)(효종(孝宗)4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민징(敏徵)(효종(孝宗)4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동노(東老)(효종(孝宗)5년 춘당대(春塘臺) 을과(乙科)) 백린(伯麟)(효종(孝宗)6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민적(敏迪)(효종(孝宗)7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하(夏)(효종(孝宗) 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명빈(明彬)(효종(孝宗)8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숙달(叔達)(현종(顯宗)1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계(棨)(현종(顯宗)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순원(舜元)(현종(顯宗)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단석(端錫)(현종(顯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익노(翼老)(현종(顯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명석(明錫)(현종(顯宗)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섬(暹)(현종(顯宗)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우정(宇鼎)(현종(顯宗)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상제(尙悌)(현종(顯宗)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선(選)(현종(顯宗)5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민채(敏采)(현종(顯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헌(憲)(현종(顯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만(曼)(현종(顯宗)6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윤림(潤霖)(현종(顯宗)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이정(以挺)(현종(顯宗)7년 온양별시(溫陽別試) 을과(乙科)) 당규(堂揆)(현종(顯宗)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덕주(德周)(현종(顯宗)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유(濡)(현종(顯宗)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덕령(德齡)(현종(顯宗)10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순악(舜岳)(현종(顯宗)10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입중(立中)(현종(顯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양년(養年)(현종(顯宗)11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돈(돈)(현종(顯宗)1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륜(綸)(현종(顯宗)14년 춘당대(春塘臺) 을과(乙科)) 익(익)(현종(顯宗)14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현석(玄錫)(숙종(肅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사영(思永)(숙종(肅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명은(命殷)(숙종(肅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징귀(徵龜)(숙종(肅宗)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현기(玄紀)(숙종(肅宗)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태귀(泰龜)(숙종(肅宗)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언강(彦綱)(숙종(肅宗)4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희채(熙采)(숙종(肅宗)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증(增)(숙종(肅宗)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문흥(文興)(숙종(肅宗)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원령(元齡)(숙종(肅宗)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언강(彦綱)(숙종(肅宗)5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진(震)(숙종(肅宗)5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만근(萬根)(숙종(肅宗)5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사명(師命)(숙종(肅宗)6년 춘당대(春塘臺) 갑과(甲科)) 정린(廷麟)(숙종(肅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이명(頤命)(숙종(肅宗)6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삼석(三碩)(숙종(肅宗)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형상(衡祥)(숙종(肅宗)6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기상(箕相)(숙종(肅宗)7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태동(泰東)(숙종(肅宗)7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세무(世茂)(숙종(肅宗)7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만령(萬齡)(숙종(肅宗)7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적(的)(숙종(肅宗)7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수영(秀英)(숙종(肅宗)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덕성(德成)(숙종(肅宗)8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희창(喜昌)(숙종(肅宗)8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입조(立祚)(숙종(肅宗)8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익수(益壽)(숙종(肅宗)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중장(重章)(숙종(肅宗)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선(瑄)(숙종(肅宗)9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천과(天果)(숙종(肅宗)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우진(宇晉)(숙종(肅宗)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몽익(夢翼)(숙종(肅宗)1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민영(敏英)(숙종(肅宗)1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진식(震拭)(숙종(肅宗)1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태환(泰煥)(숙종(肅宗)10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재창(再昌)(숙종(肅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재명(再明)(숙종(肅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건명(健命)(숙종(肅宗)12년 춘당대(春塘臺) 을과(乙科)) 만흥(蔓興)(숙종(肅宗)12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기한(起漢)(숙종(肅宗)1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이명(頤命)(숙종(肅宗)1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현기(玄紀)(숙종(肅宗)1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정명(鼎命)(숙종(肅宗)13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언기(彦紀)(숙종(肅宗)13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만재(萬材)(숙종(肅宗)1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사상(師尙)(숙종(肅宗)15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우겸(宇謙)(숙종(肅宗)15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한종(漢宗)(숙종(肅宗)1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익년(翼年)(숙종(肅宗)1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언순(彦純)(숙종(肅宗)1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구령(九齡)(숙종(肅宗)1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도원(道原)(숙종(肅宗)1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규년(奎年)(숙종(肅宗)1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귀령(龜齡)(숙종(肅宗)1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무(무)(숙종(肅宗)17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언경(彦經)(숙종(肅宗)17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상열(尙說)(숙종(肅宗)17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세석(世奭)(숙종(肅宗)18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만선(萬選)(숙종(肅宗)19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진수(震壽)(숙종(肅宗)19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상림(商霖)(숙종(肅宗)1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동언(東彦)(숙종(肅宗)19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덕영(德英)(숙종(肅宗)20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조(肇)(숙종(肅宗)22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명세(命世)(숙종(肅宗)23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관명(觀命)(숙종(肅宗)24년 춘당대(春塘臺) 을과(乙科)) 대성(大成)(숙종(肅宗)2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제(濟)(숙종(肅宗)25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성휘(聖輝)(숙종(肅宗)25년 증광?增廣試) 을과(乙科)) 세정(世楨)(숙종(肅宗)2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익한(翊漢)(숙종(肅宗)26년 춘당대(春塘臺) 갑과(甲科)) 방언(邦彦)(숙종(肅宗)2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수대(遂大)(숙종(肅宗)28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준(焌)(숙종(肅宗)2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진검(眞儉)(숙종(肅宗)30년 춘당대(春塘臺) 병과(丙科)) 제(濟)(숙종(肅宗)3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진유(眞儒)(숙종(肅宗)3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사상(師尙)(숙종(肅宗)33년 중시(重試) 을과(乙科)) 광보(光普)(숙종(肅宗)33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정필(廷弼)(숙종(肅宗)3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진망(眞望)(숙종(肅宗)36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진급(眞伋)(숙종(肅宗)38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헌영(獻英)(숙종(肅宗)38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헌장(獻章)(숙종(肅宗)3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최영(㝡英)(숙종(肅宗)3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정찬(廷儏)(숙종(肅宗)3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의종(義宗)(숙종(肅宗)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기익(箕翊)(숙종(肅宗)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현장(顯章)(숙종(肅宗)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의천(倚天)(숙종(肅宗)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정숙(廷肅)(숙종(肅宗)40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인복(仁復)(숙종(肅宗)40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정작(廷綽)(숙종(肅宗)40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광보(匡輔)(숙종(肅宗)4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수명(秀蓂)(숙종(肅宗)4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정숙(廷肅)(숙종(肅宗)4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광보(匡輔)(숙종(肅宗)4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태징(台徵)(숙종(肅宗)4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봉령(鳳齡)(숙종(肅宗)4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춘제(春躋)(숙종(肅宗)4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중관(重觀)(숙종(肅宗)4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지성(知聖)(숙종(肅宗)4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광세(匡世)(숙종(肅宗)45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정석(廷錫)(경종(景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광덕(匡德)(경종(景宗)2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진순(眞淳)(경종(景宗)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현록(顯祿)(경종(景宗)2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일제(日躋)(경종(景宗)2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제담(齊聃)(경종(景宗)3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진수(眞洙)(경종(景宗)3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탁원(度遠)(경종(景宗)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장(槳)(경종(景宗)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덕부(德孚)(경종(景宗)3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창술(昌述)(경종(景宗)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사기(師夔)(경종(景宗)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중진(重震)(경종(景宗)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흡(翕)(영조(英祖)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휘진(彙晉)(영조(英祖)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도겸(道謙)(영조(英祖)1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성효(性孝)(영조(英祖)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택심(宅心)(영조(英祖)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성해(聖海)(영조(英祖)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위(瑋)(영조(英祖)3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진기(震箕)(영조(英祖)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기헌(箕獻)(영조(英祖)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중경(重庚)(영조(英祖)3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현모(顯謨)(영조(英祖)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정작(庭綽)(영조(英祖)3년 중시(重試) 갑과(甲科)) 채(埰)(영조(英祖)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하술(河述)(영조(英祖)5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현망(顯望)(영조(英祖)5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진길(晉吉)(영조(英祖)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시희(時熙)(영조(英祖)6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현량(顯良)(영조(英祖)6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중인(重寅)(영조(英祖)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춘(載春)(영조(英祖)7년 함경도(咸鏡道) 갑과(甲科)) 광제(光躋)(영조(英祖)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구령(耈齡)(영조(英祖)1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창의(昌誼)(영조(英祖)1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성중(成中)(영조(英祖)1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창유(昌儒)(영조(英祖)1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석희(錫禧)(영조(英祖)1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윤항(胤沆)(영조(英祖)1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익정(益炡)(영조(英祖)12년 ㅍ?庭試) 병과(丙科)) 현필(顯弼)(영조(英祖)1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진의(鎭儀)(영조(英祖)1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광찬(匡贊)(영조(英祖)1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경후(景垕)(영조(英祖)1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윤항(胤恒)(영조(英祖)1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훈(塤)(영조(英祖)1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창수(昌壽)(영조(英祖)16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의중(毅中)(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제암(齊嵒)(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육(堉)(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민곤(敏坤)(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기언(箕彦)(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제화(齊華)(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광의(匡誼)(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운해(運海)(영조(英祖)16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문제(文齊)(영조(英祖)17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일성(日成)(영조(英祖)17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원(垣)(영조(英祖)19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성경(星慶)(영조(英祖)1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복기(復基)(영조(英祖)20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형준(亨俊)(영조(英祖)2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관섭(觀燮)(영조(英祖)21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준휘(儁徽)(영조(英祖)2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일형(一馨)(영조(英祖)2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정중(廷重)(영조(英祖)2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득종(得宗)(영조(英祖)22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중해(重海)(영조(英祖)22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구령(耈齡)(영조(英祖)2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두운(斗運)(영조(英祖)22년 평안별시(平安別試) 을과(乙科)) 제현(齊顯)(영조(英祖)2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서문(瑞文)(영조(英祖)2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면(勉)(영조(英祖)2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수(惟秀)(영조(英祖)23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세현(世鉉)(영조(英祖)2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양천(亮天)(영조(英祖)25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윤욱(允郁)(영조(英祖)25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존중(存中)(영조(英祖)26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휘중(徽中)(영조(英祖)26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후달(厚達)(영조(英祖)2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현태(顯泰)(영조(英祖)2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정렬(廷烈)(영조(英祖)2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명준(命俊)(영조(英祖)26년 온양별시(溫陽別試) 병과(丙科)) 최중(最中)(영조(英祖)27년 춘당대(春塘臺) 을과(乙科)) 흥종(興宗)(영조(英祖)2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양오(養吾)(영조(英祖)2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명환(明煥)(영조(英祖)28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상지(商芝)(영조(英祖)2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사증(師曾)(영조(英祖)2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시항(時沆)(영조(英祖)2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현옥(鉉玉)(영조(英祖)29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성규(聖圭)(영조(英祖)29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진형(鎭衡)(영조(英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진항(鎭恒)(영조(英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제지(題祉)(영조(英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정오(正吾)(영조(英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창임(昌任)(영조(英祖)2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윤(贇)(영조(英祖)30년 경기도(京畿道) 갑과(甲科)) 방린(芳隣)(영조(英祖)30년 경기도(京畿道) 병과(丙科)) 시건(蓍建)(영조(英祖)30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면휘(冕徽)(영조(英祖)30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종명(宗明)(영조(英祖)30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항조(恒祚)(영조(英祖)30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창섭(昌燮)(영조(英祖)3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경명(擎明)(영조(英祖)31년 함경별시(咸鏡別試) 병과(丙科)) 시민(時敏)(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형규(亨逵)(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언형(彦衡)(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성수(性遂)(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시정(蓍廷)(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동태(東泰)(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진규(晉圭)(영조(英祖)3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유년(維年)(영조(英祖)3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평(枰)(영조(英祖)3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정철(廷喆)(영조(英祖)32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유철(有喆)(영조(英祖)3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제형(齊衡)(영조(英祖)3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복경(復慶)(영조(英祖)3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태정(台鼎)(영조(英祖)35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방영(邦榮)(영조(英祖)3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혜조(惠祚)(영조(英祖)3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종영(宗榮)(영조(英祖)3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익섭(益燮)(영조(英祖)3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종욱(宗煜)(영조(英祖)3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영중(永中)(영조(英祖)35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치중(致中)(영조(英祖)3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영봉(榮鳳)(영조(英祖)3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장노(長老)(영조(英祖)3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형원(亨元)(영조(英祖)3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택수(澤遂)(영조(英祖)3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익선(益先)(영조(英祖)3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계(桂)(영조(英祖)3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종령(宗齡)(영조(英祖)39년 기로정시(耆老庭試) 갑과(甲科)) 득일(得一)(영조(英祖)39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득복(得福)(영조(英祖)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진복(鎭復)(영조(英祖)3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사조(思祚)(영조(英祖)40년 강화별시(江華別試) 병과(丙科)) 양수(養遂)(영조(英祖)4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명훈(命勳)(영조(英祖)4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한경(漢慶)(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민좌(敏佐)(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복상(復祥)(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상악(商岳)(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기임(基任)(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휘지(徽之)(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병정(秉鼎)(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득신(得臣)(영조(英祖)4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시건(蓍建)(영조(英祖)4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흥종(興宗)(영조(英祖)4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휘중(徽中)(영조(英祖)43년 중시(重試) 을과(乙科)) 원(遠)(영조(英祖)4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사렴(師濂)(영조(英祖)4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복휘(福徽)(영조(英祖)4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상주(商舟)(영조(英祖)45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범제(範濟)(영조(英祖)4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상건(商建)(영조(英祖)4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양정(養鼎)(영조(英祖)46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상암(商巖)(영조(英祖)47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창급(昌伋)(영조(英祖)4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중복(重複)(영조(英祖)4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기(夔)(영조(英祖)47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연상(衍祥)(영조(英祖)47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태석(台奭)(영조(英祖)4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백(有白)(영조(英祖)4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태현(泰賢)(영조(英祖)4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동기(東夔)(영조(英祖)4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창한(昌漢)(영조(英祖)48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성오(性吾)(영조(英祖)48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회수(會遂)(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덕보(德溥)(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상봉(商鳳)(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면수(勉修)(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상준(商駿)(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우진(羽晉)(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주현(周顯)(영조(英祖)4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겸환(謙煥)(영조(英祖)49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상로(商輅)(영조(英祖)50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심전(心傳)(영조(英祖)5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득신(得臣)(영조(英祖)50년 등준시(登俊試) 갑과(甲科)) 휘중(徽中)(영조(英祖)50년 등준시(登俊試) 병과(丙科)) 동형(東馨)(영조(英祖)5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현묵(顯黙)(영조(英祖)5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석원(錫源)(영조(英祖)5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성준(星俊)(영조(英祖)5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서구(書九)(영조(英祖)5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윤복(胤複)(영조(英祖)50년 평안별시(平安別試) 병과(丙科)) 종렬(宗烈)(영조(英祖)5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양소(良素)(영조(英祖)5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상구(商球)(영조(英祖)5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긍연(兢淵)(영조(英祖)5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상진(商進)(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양원(養遠)(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심연(心淵)(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복일(復一)(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방인(邦仁)(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동양(東讓)(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동직(東稷)(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후규(厚圭)(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태량(台亮)(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태형(太亨)(영조(英祖)51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명제(明濟)(정조(正祖)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백형(百亨)(정조(正祖)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한룡(漢龍)(정조(正祖)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석기(錫麒)(정조(正祖)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양존(養存)(정조(正祖)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경행(敬行)(정조(正祖)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제형(齊亨)(정조(正祖)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만영(萬榮)(정조(正祖)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현도(顯道)(정조(正祖)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익진(翼晉)(정조(正祖)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도(燾)(정조(正祖)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면긍(勉兢)(정조(正祖)7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형달(衡達)(정조(正祖)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재휘(載徽)(정조(正祖)7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용주(龍柱)(정조(正祖)7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창주(昌冑)(정조(正祖)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석후(錫垕)(정조(正祖)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우제(遇濟)(정조(正祖)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상황(相璜)(정조(正祖)1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현수(顯秀)(정조(正祖)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석심(錫心)(정조(正祖)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의동(義銅)(정조(正祖)11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익회(益恢)(정조(正祖)1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서(垿)(정조(正祖)13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동면(東冕)(정조(正祖)13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기경(基慶)(정조(正祖)13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덕승(德升)(정조(正祖)14년 수원별시(水原別試) 갑과(甲科)) 서조(瑞朝)(정조(正祖)14년 수원별시(水原別試) 을과(乙科)) 의원(毅遠)(정조(正祖)14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안묵(安黙)(정조(正祖)1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명연(明淵)(정조(正祖)1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원팔(元八)(정조(正祖)1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윤행(允行)(정조(正祖)14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홍달(弘達)(정조(正祖)16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정현(廷顯)(정조(正祖)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상렴(尙濂)(정조(正祖)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창서(昌瑞)(정조(正祖)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명부(明孚)(정조(正祖)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남규(南圭)(정조(正祖)18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동만(東萬)(정조(正祖)18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윤겸(允謙)(정조(正祖)1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우형(宇炯)(정조(正祖)1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원(源)(정조(正祖)1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면승(冕昇)(정조(正祖)1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주석(周奭)(정조(正祖)1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유하(游夏)(정조(正祖)19년 수원별시(水原別試) 을과(乙科)) 성연(聖淵)(정조(正祖)1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경윤(卿尹)(정조(正祖)19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동환(東煥)(정조(正祖)1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홍겸(弘謙)(정조(正祖)20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동환(東煥)(정조(正祖)20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섭(燮)(정조(正祖)22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유채(惟采)(정조(正祖)2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재기(在璣)(정조(正祖)24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기헌(基憲)(정조(正祖)24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언보(彦輔)(정조(正祖)24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남익(南翼)(정조(正祖)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조(潮)(순조(純祖)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석(鉐)(순조(純祖)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회상(晦祥)(순조(純祖)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약수(若洙)(순조(純祖)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유명(惟明)(순조(純祖)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종심(宗心)(순조(純祖)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로(路)(순조(純祖)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면구(勉求)(순조(純祖)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승달(承達)(순조(純祖)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동사(東師)(순조(純祖)4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창심(昌心)(순조(純祖)4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헌(헌)(순조(純祖)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유성(游誠)(순조(純祖)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동영(東永)(순조(純祖)5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제익(濟翼)(순조(純祖)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지연(志淵)(순조(純祖)5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종목(種穆)(순조(純祖)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기연(紀淵)(순조(純祖)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지연(止淵)(순조(純祖)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원익(遠翊)(순조(純祖)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진연(晉淵)(순조(純祖)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지연(止淵)(순조(純祖)6년 중시(重試) 을과(乙科)) 중진(中鎭)(순조(純祖)6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헌기(憲琦)(순조(純祖)7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형주(衡柱)(순조(純祖)10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찬근(纘根)(순조(純祖)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욱형(郁馨)(순조(純祖)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경렬(慶烈)(순조(純祖)1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상원(相遠)(순조(純祖)1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의빈(義賓)(순조(純祖)13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면식(冕植)(순조(純祖)1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봉순(鳳純)(순조(純祖)1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시원(是遠)(순조(純祖)14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상중(相重)(순조(純祖)1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인태(寅泰)(순조(純祖)1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원묵(元黙)(순조(純祖)15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익문(益文)(순조(純祖)1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필옥(必玉)(순조(純祖)1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헌구(憲球)(순조(純祖)1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근중(根中)(순조(純祖)16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헌위(憲瑋)(순조(純祖)1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봉주(鳳柱)(순조(純祖)1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민형(敏衡)(순조(純祖)18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기준(基準)(순조(純祖)18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은용(殷容)(순조(純祖)1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일형(日瀅)(순조(純祖)2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인교(寅敎)(순조(純祖)2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기정(冀楨)(순조(純祖)2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발원(發源)(순조(純祖)2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정서(鼎敍)(순조(純祖)2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인고(寅皐)(순조(純祖)2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인필(寅弼)(순조(純祖)2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돈영(敦榮)(순조(純祖)2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정신(鼎臣)(순조(純祖)2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윤성(潤聖)(순조(純祖)2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원회(元會)(순조(純祖)2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심용(心容)(순조(純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상돈(象敦)(순조(純祖)2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의진(義晉)(순조(純祖)3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회구(繪九)(순조(純祖)3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조영(祖榮)(순조(純祖)34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창정(昌廷)(순조(純祖)34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진엽(晉燁)(순조(純祖)3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창조(昌祖)(순조(純祖)3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원달(源達)(헌종(憲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제달(濟達)(헌종(憲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정리(正履)(헌종(憲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겸수(謙洙)(헌종(憲宗)3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헌주(憲周)(헌종(憲宗)3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병식(秉植)(헌종(憲宗)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인석(寅奭)(헌종(憲宗)4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명윤(命允)(헌종(憲宗)4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인기(寅夔)(헌종(憲宗)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유겸(維謙)(헌종(憲宗)7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시하(時夏)(헌종(憲宗)9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교영(敎英)(헌종(憲宗)10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승규(承圭)(헌종(憲宗)1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승택(承澤)(헌종(憲宗)1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연경(演經)(헌종(憲宗)1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승보(承輔)(헌종(憲宗)11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회구(繪九)(헌종(憲宗)12년 중시(重試) 병과(丙科)) 승수(升洙)(헌종(憲宗)1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상엽(尙燁)(헌종(憲宗)1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종호(鍾浩)(헌종(憲宗)1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종순(鍾淳)(헌종(憲宗)1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병규(秉珪)(헌종(憲宗)1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병문(秉文)(헌종(憲宗)14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달형(達亨)(헌종(憲宗)1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륜하(崙夏)(헌종(憲宗)14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인동(仁東)(헌종(憲宗)14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국연(國淵)(헌종(憲宗)15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건필(建弼)(헌종(憲宗)15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규하(奎夏)(헌종(憲宗)1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우엽(友燁)(헌종(憲宗)15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용직(容直)(철종(哲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용직(容直)(철종(哲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석우(錫宇)(철종(哲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응인(應仁)(철종(哲宗)3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규영(珪永)(철종(哲宗)3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종학(從鶴)(철종(哲宗)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재원(載元)(철종(哲宗)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응려(應呂)(철종(哲宗)5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돈우(燉祐)(철종(哲宗)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장오(章五)(철종(哲宗)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낙중(樂重)(철종(哲宗)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경호(京鎬)(철종(哲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규형(圭亨)(철종(哲宗)6년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수증(守曾)(철종(哲宗)6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후선(後善)(철종(哲宗)7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상우(象祐)(철종(哲宗)8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붕순(鵬純)(철종(哲宗)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만용(晩用)(철종(哲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인명(寅命)(철종(哲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응하(應夏)(철종(哲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면주(冕柱)(철종(哲宗)9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응진(應辰)(철종(哲宗)10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세익(世翊)(철종(哲宗)1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익(翊)(철종(哲宗)1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종정(鍾正)(철종(哲宗)1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병연(秉淵)(고종(高宗)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면(載冕)(고종(高宗)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근수(根秀)(고종(高宗)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세기(世器)(고종(高宗)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창호(昌鎬)(고종(高宗)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명응(明應)(고종(高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건하(乾夏)(고종(高宗)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용만(容萬)(고종(高宗)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휘복(輝復)(고종(高宗)2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승수(承洙)(고종(高宗)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윤수(潤壽)(고종(高宗)2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인회(寅會)(고종(高宗)3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재봉(載鳳)(고종(高宗)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인와(寅窩)(고종(高宗)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윤응(允應)(고종(高宗)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신국(愼國)(고종(高宗)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규영(珪永)(고종(高宗)3년 중시(重試) 갑과(甲科)) 인규(麟圭)(고종(高宗)3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연수(演壽)(고종(高宗)3년 강화별시(江華別試) 갑과(甲科)) 만규(晩圭)(고종(高宗)3년 강화별시(江華別試) 병과(丙科)) 건창(建昌)(고종(高宗)3년 강화별시(江華別試) 병과(丙科)) 기조(基祚)(고종(高宗)4년 함경도(咸鏡道) 병과(丙科)) 희규(熙圭)(고종(高宗)4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찬하(纘夏)(고종(高宗)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장익(章翊)(고종(高宗)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휘규(徽圭)(고종(高宗)4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상두(商斗)(고종(高宗)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좌요(左堯)(고종(高宗)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돈하(敦夏)(고종(高宗)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몽제(蒙濟)(고종(高宗)5년 종친과정시(宗親科庭試) 갑과(甲科)) 현형(鉉亨)(고종(高宗)5년 종친과정시(宗親科庭試) 을과(乙科)) 재순(載純)(고종(高宗)5년 종친과정시(宗親科庭試) 을과(乙科)) 재룡(載龍)(고종(高宗)5년 종친과정시(宗親科庭試) 병과(丙科)) 강훈(康勳)(고종(高宗)5년 종친과정시(宗親科庭試) 병과(丙科)) 수만(秀萬)(고종(高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석홍(錫弘)(고종(高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영(載英)(고종(高宗)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덕(載德)(고종(高宗)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제필(濟弼)(고종(高宗)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헌영(憲永)(고종(高宗)7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덕(載悳)(고종(高宗)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필용(弼鎔)(고종(高宗)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윤구(允九)(고종(高宗)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윤우(允宇)(고종(高宗)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회룡(會龍)(고종(高宗)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교하(敎夏)(고종(高宗)9년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한춘(漢春)(고종(高宗)9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범조(範祖)(고종(高宗)9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창언(昌彦)(고종(高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복영(復永)(고종(高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희원(喜元)(고종(高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희춘(熙春)(고종(高宗)9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건용(建容)(고종(高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신엽(臣燁)(고종(高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준선(駿善)(고종(高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찬두(贊斗)(고종(高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재긍(載兢)(고종(高宗)1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봉규(鳳圭)(고종(高宗)11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운하(雲夏)(고종(高宗)11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몽제(蒙濟)(고종(高宗)11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용원(容元)(고종(高宗)12년 별시(別試) 갑과(甲科)) 재원(載元)(고종(高宗)12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기종(起鍾)(고종(高宗)12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공엽(公燁)(고종(高宗)13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중칠(重七)(고종(高宗)1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준연(晙淵)(고종(高宗)1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의용(儀用)(고종(高宗)13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찬식(燦植)(고종(高宗)13년 함경도(咸鏡道) 병과(丙科)) 재윤(載允)(고종(高宗)1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용호(容鎬)(고종(高宗)1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중덕(重德)(고종(高宗)1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동연(東淵)(고종(高宗)16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한응(漢應)(고종(高宗)16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범진(範晉)(고종(高宗)16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경하(敬夏)(고종(高宗)17년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종국(鍾國)(고종(高宗)17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범대(範大)(고종(高宗)17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재곤(載昆)(고종(高宗)17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기동(起東)(고종(高宗)17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기봉(紀鳳)(고종(高宗)18년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주황(周璜)(고종(高宗)1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회영(會英)(고종(高宗)19년 증광시(增廣試) 을과(乙科)) 용선(容善)(고종(高宗)1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승우(勝宇)(고종(高宗)1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용의(容儀)(고종(高宗)1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중하(重夏)(고종(高宗)19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수홍(秀弘)(고종(高宗)1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종의(鍾義)(고종(高宗)2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민식(敏植)(고종(高宗)2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기일(起鎰)(고종(高宗)22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용태(容泰)(고종(高宗)2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범승(範升)(고종(高宗)2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준용(埈鎔)(고종(高宗)23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윤재(允在)(고종(高宗)24년 함경도(咸鏡道) 을과(乙科)) 희석(羲錫)(고종(高宗)24년 함경도(咸鏡道) 병과(丙科)) 윤재(允在)(고종(高宗)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병정(丙정)(고종(高宗)24년 개성별시(開城別試) 병과(丙科)) 방섭(邦燮)(고종(高宗)24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범창(範昌)(고종(高宗)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윤종(胤鍾)(고종(高宗)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은용(垠鎔)(고종(高宗)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건(載乾)(고종(高宗)24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희일(羲一)(고종(高宗)2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희모(熙模)(고종(高宗)25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석종(奭鍾)(고종(高宗)2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범인(範仁)(고종(高宗)2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오응(五應)(고종(高宗)2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범찬(範贊)(고종(高宗)25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면상(冕相)(고종(高宗)26년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범세(範世)(고종(高宗)26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해창(海昌)(고종(高宗)26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범홍(範弘)(고종(高宗)26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정연(鼎淵)(고종(高宗)27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정래(正來)(고종(高宗)2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순하(舜夏)(고종(高宗)2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범석(範錫)(고종(高宗)2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원긍(源兢)(고종(高宗)2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민하(民夏)(고종(高宗)2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중오(重五)(고종(高宗)28년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학상(鶴相)(고종(高宗)28년 정시(庭試) 을과(乙科)) 범설(範偰)(고종(高宗)28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희문(喜文)(고종(高宗)28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길하(吉夏)(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재각(載覺)(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재현(載現)(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인창(寅昌)(고종(高宗)29년 정시(庭試) 갑과(甲科)) 세응(世應)(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범익(範翊)(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기정(基楨)(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인규(寅奎)(고종(高宗)2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수룡(秀龍)(고종(高宗)3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재극(載克)(고종(高宗)30년 정시(庭試) 병과(丙科)) 수인(守寅)(고종(高宗)31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