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중(g) |
5℃ |
10℃ |
15℃ |
20℃ |
9 |
0.6 |
1.2 |
1.5 |
2.0 |
3. 수질
물에는 가스와 고형물이 있고 여기에는 유익한 것으로는 산소, 질소, 인산, 석회등이며 유
해한 것은 유화수소, 유산질소, 화합물 등이다. 또한 PH는 6-7이 알맞다 고형물로는 무기물
(동, 철, 중금속류)및 유기물의 염류가 있다.
Ⅲ. 양어지의 시설
양어지는 자재 구조상으로 흙벽 못, 판자못, 돌벽못, 콘크리트못 등이 있다. 경비와 지반사정에 따라서 결정할 문제이며 추운 지방에서는 콘크리트보다 돌로 축조하는 것이 좋은 때도 있다
1. 양어지의 규모
송어 양식에 있어서는 면적이 넓은 못을 몇 개 가지는 것보다 20-50평 정도의 것을 많이 가지는 것이 편리하고 능률적이다.
○ 신설 양어지의 규모 (1인)
어 종 |
사육수량 |
평당 |
소요수량 |
1개못면적 |
못의개수 |
친 어 |
1,500kg |
11.25kg |
130 평 |
45 평 |
3 개 |
친어후 보 |
750kg |
18.75kg |
40 |
25 |
2 개 |
식 용 어 |
11.250kg |
28.13kg |
400 |
40 |
10 개 |
치 어 |
60 만미 |
1 만미 |
60 |
6 |
10 개 |
계 |
|
|
630 |
|
25 개 |
2. 간선수로
3. 취수재방과 모래침입
4. 못의 배치 : 연쇄형, 병렬형
5. 부속건물 : 부화실, 사료창고 및 조리실, 감시초소 등
Ⅳ. 사육 기술
1. 부화
가. 란의 수용 : 채란한 알은 부화조의 부화분에 수용한다. 부화분은 30㎠의 나무틀에다
2-3mm의 철망을 붙인 것인데 1장에는 3,000-4,000립의 알을 수용할 수 있다.
나. 부화용수 : 부화용수는 청수라야 한다. 부화용수와 수용 란수와의 관계는 용존산소량과
수온에 따라서 상이하며 대개25ℓ/mm의 용수가 있으면 약10 만립의 알을 부
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5-6만립이 표준이다. 그리고 부화적 수온은
7-11℃ 정도가 좋다.
다. 부화중의 관리
① 용존산소가 많은 부화용수 적량주입
② 검란실시(사란제거)
③ 소독(0.5% 호르마린 용액)
○ 송어의 부화일수와 수온과의 관계
수온 ℃ |
감송어(Brook trout) |
무지개송어(Rainoow trout) |
부라운 송어(Brown trout) |
1.9 |
143 일 |
- |
148 |
④ 창에 흑색 커텐 설치(직사광선 방지)
⑤ 부화조 구획 (2-3mm) 철망
라. 부상치어의 관리
① 부화후 20-40일에 제낭의 흡수가 끝나고 부상된다.
② 부상후 3-4일경부터 먹이를 구하는 운동시작 이때에 급이 시작
③ 급이는 하루에 8-10회로 하고 재료는 소, 말 등의 간을 분쇄하여 급여한다.
④ 분량은 체중의 30-40%
⑤ 쥐의 침입방지
○ 수온에 따른 건조사료급여 비율
체중(g) |
0.18 이하 |
1.5 - 5.0 |
12 - 23 |
40 - 60 |
90 - 130 |
180 g 이상 |
전장(cm) | ||||||
수온(℃) | ||||||
1 - 2.5 |
5 - 7 |
10 - 12.5 |
15 - 17.5 |
20 22.5 |
25.0 이상 | |
2 |
2.6 % |
1.7 |
1.0 |
0.7 |
0.5 |
0.4 |
2. 치어 및 식용어 사육
치어는 급이 개시 후 20일이 지나면 성장이 빠르므로 사육조 안에서는 사육밀도가 높아서수용밀도를 적게 하기 위하여 수심 28 - 30 cm정도의 옥외 치어지로 옮긴다. 치어지에는 발을 쳐서 직사광선을 피하게 해준다. 1개월까지는 간에다 1-2%의 식염을 넣어 전분으로 개서 급이하고 1개월 이후는 배합사료에 의한다. 3개월 이상된 치어는 양성지로 옮겨서 사육한다.
○ 사료 품명별 배합비율
기간비육 (%) |
2 - 3 개월 |
4 - 5 |
6 - 7 |
8 - 9 | |
품 명 | |||||
동 사 |
간 장 |
15 |
|
|
|
식 |
미 강 |
20 |
15 |
10 |
|
○ 송어치어의 사료제조와 투이방법
전 장(cm) |
10,000미에 대한 먹이량 |
사료의 조제법과 투이법 |
3 |
150 - 190 g / 일 |
간을 갈고 물을 가하여 수면에 흘려준다. |
3 - 4 |
190 - 260 |
위와 같이 제조하여 반죽하고 손가락으로 수면에 흘려준다. |
4 - 5 |
380 - 570 |
간 80%, 생선20% 함께 잘게 끊어서 혼합하여도 좋다. |
5 - 6 |
750 |
위와 같이하여 투이하되 번데기를 조금 혼합하여도 좋다. |
○ 어체중에 대한 1일 사료 투이량 (체중에 대한 %)
전 장(cm) |
2.4 cm 이하 |
2.4 - 5,1 |
5.1 -7.5 |
7.5 - 10.2 |
10.2 - 15.0 |
15이상 |
수 온(℃) | ||||||
4.4 |
6.0 |
5.0 |
4.0 |
3.0 |
2.0 |
1.5 |
○ 송어알 10,000개에 대한 주수량
알의 상태 |
수정란 |
발안란 |
부화자어 |
부상자어 |
적기시작후 1개월 |
1초당O2 소비량(㎖) |
0.0006 |
0.0008 |
0.0022 |
0.018 |
0.05 |
Ⅴ. 질병 예방대책
1. Columnartig (구폐병)
가. 원인 : Chondrococus Columnaris 균에 의해 발병되고 수온 13℃이상시 치어에서 식용 어까지 발병됨
나. 증상
① 몸, 머리, 지느러미, 아가미에 회백색의 얼룩점이 생김
② 이차적으로 수생균에 감염되여 털로 덮인 것 같이 된다.
다. 치료
① 유산동액 약욕 시킨다.(1/2,000용액에 1 - 2분간 처리)
② 썰파메다진을 체중 100kg당 22g을 5 - 10일간 경구 투여한다.
2. Furunculosis (철창병)
가. 원인 : Aeromonas Salmonicida에 의하여 발병되고 양어장이나 천연수역에서도 다량의 폐사율을 보인다.
나. 증상
① 농양상의 환부가 나타난다. (패혈증)
② 혈관에 출혈이 있음
③ 지느러미의 살이 없어진다.
다. 치료
○ 썰파제를 투여한다
투 여 기 간 |
약 품 명 |
고기 100kg당 투여량 |
처음 3일간 |
썰파 메다진 |
27g |
3. Trichodina (섬모충증)
가 원인 : 섬모충이 아가미에 기생하여 발병됨
나. 증상 : 지느러미가 파손되고 피부에 충혈부분이 나타난다.
다. 치료
약 품 명 |
농 도 |
욕 액 시 간 |
빙 초 산 |
1 : 500 |
잠 시 동 안 |
4. 수생균 (Saprolegnia parasitica)
가. 원인 : Sapralegnia가 외상이나 외부기생충에 의한 손상부위에 기생하여 발병됨
나. 증상 : 피부표면 또는 아가미에 수생균이 부착하여 회백색의 연한 털모양을 하여 이차 적인 미생물의 전염원이 되어 복합적인 병을 유발시킴
다. 치료 : 1/1,500의 Malachite Green용액에 10 - 30초 담구어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