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kki Haley To Take On Trump In 2024 GOP Primary | The View
https://youtu.be/lw1jgcgaWqs
1. 첫번째 (0:00 ~ 1:04) -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Republican playing field for the 2024 presidential race just got a little bigger. Former South Carolina Governor Nikki Haley released a campaign ad making her pitch to the people. Take a look.
My parents reminded me and my siblings every day how blessed we were to live in America. Some look at our past as evidence that America's founding principles are bad. They say the promise of freedom is just made up. Some think our ideas are not just wrong but racist and evil.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Joe Biden's record is abysmal, but that shouldn't come as a surprise. The Washington establishment has failed us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It's time for a new generation of leadership.
You should know this about me: I don't put up with bullies. And when you kick back, it hurts them more if you're wearing heels. I'm Nikki Haley and I'm running for president. |
[Listening Tips]
playing field 경기장, 운동장. presidential race 대통령 경선, 대통령 선거. Governor 주지사. a campaign advertisement 선거 광고. make a pitch 설득력 있는 주장이나 프레젠테이션을 하다. the people 국민. remind sb of/about sth 누구에게 ~를 상기시키다, remind sb that ~ 누구에게 ~이하를 상기시키다. look at A as B A를 B로 간주하다. America's founding principles 미국의 건국 원칙(individual rights, democracy, freedom, equality, and the rule of law). made up 지어낸, 가짜의. further 더 (멀리에). abysmal 심연의, 나락의, 아주 나쁜. The Washington establishment 워싱턴 기득권층(establishment 설립, 설치, 확립, 권력기구). over and over 반복해서, 몇 번이고. a new generation of leadership 리더십의 새로운 세대→신세대 리더십. put up with 참다. bully 약자를 괴롭히는 사람. kick back 되받아 차다. heels 굽 높은 여성 구두. run for 입후보하다. 출마하다.
①원어민 발음
②구글 Text to Speech 발음
[표현 연구]
1. My parents reminded me and my siblings every day how blessed we were to live in America. 나의 부모님은 나와 내 형제들에게 우리가 미국에서 사는 것이 얼마나 축복받았는지 매일 상기시켰다.
- remind sb that ~ . 누군가에게 that 이하의 사실을 상기시키다.
- how blessed we were to live in America에서 보통은 how blessed(얼마나 축복된지) we were [우리가 (얼마나 축복된 상태로) 있었는지) to live in America(미국에 살게 되다니)로, how 감탄문이 명사절로 remind sb that ~에서 that ~ 대신 삽입된 구문으로 이해함. 평서문 we were blessed(우리는 축복받았다) to live in America(미국에 살다니)로 이해하면 쉽게 이해됨.
2.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진실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것이란 없다→어떤 것도 진실에서 더 멀리 멀어질 수는 없다→이는 사실과 무관하다.
- 먼-더 먼-가장 먼(far-further-furthest 또는 far-farther-farthest)
3. that shouldn't come as a surprise. 놀랄 일도 아니다. 놀랍지도 않다.
- should는 ~해야한다. 당연히 해야한다는 의식을 담고 있는 조동사
4. You should know this about me: I don't put up with bullies. And when you kick back, it hurts them more if you're wearing heels. I'm Nikki Haley and I'm running for president. 당신은 나에 대해 이것을 알아야 한다: 나는 괴롭히는 것을 참지 않는다. 그리고 당신이 되받아칠 때, 당신이 힐을 신으면 더 아프다. 저는 니키 헤일리이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합니다.
- put up with ~ 참다. 말 그대로 위로 올려놓는데 with ~를 지닌 상태로 올려 놓는다는 뜻. 지니고 올려 놓으면 힘들기 마련이고 내려놓고(put down) 싶은 것은 당연하므로 put up with ~는 ~를 올려 놓고 들고 있는 상태로 견디다는 의미에서 참다로 파생됨.
- run for ~. for는 집중한 목표를 바라보는 어감. 달리는데(run) ~를 향해 바라보고(for) 달리는 의미에서 run for 공직이 나오면 공직에 출마하다는 의미로 파생.
[표현 음미]
1. how blessed we were to live in America.
- how 형용사+주어+동사 감탄문으로 알고 있음.
- 다른 한편으로 표현순서대로 이해하는 원어민 시각에서 보면, 이는 2개의 문장 how blessed we were, we were to live in America가 순서대로 합쳐진 어감임. 첫 번째 how blessed we were는 (얼마나 축복이야 우리가), 두 번째는 we were to live in America(우리가 있는데, 미국에서 살려고 해→우리는 미국에서 살려고 한다)임. 특히 두 번째 문장에선 흔히 알고 있는 be to 용법의 예정표현이 쓰임. 하지만, 특별히 be to 용법이라 외우지 말고 있는 그대로 “be(있는데) to ~(~하려고)“ 기본의미에 충실하면 어려울게 없음(to는 목적지에 닿고자 향하는 게 기본의미이므로 to 자체에 일어나지 않은 것을 향하는 미래의 어감을 담고 있음). 즉, we were to live in America(우리가 있는데, 미국에서 살려고 해). 두 개 표현이 자연스레 어우러 지면 ”얼마나 축복이야(how blessed) 우리는(we are) 미국에서 살려고 하니(to live in America)“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음.
2.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이는 사실과 무관하다.
- nothing은 no+thing로 없는 것을 의미. Nothing(없는 것이야→없음) could be further(더 멀리 있을 수 있는게) from the truth(진실로부터). 즉, 진실로부터 더 멀어지는게 없으므로 앞에 언급한 내용은 절대 진실이 아니란 말임.
- could는 조동사로 주어가 하면 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함(주어가 실제로 할지, 하더라도 그게 실제 될지는 모름)
- I can do it. vs I could do it. 두 문장을 비교하면, I can do it은 나는 그것을 할 수 있다(당장이라도 하기만 하면이라는 느낌, can 강한 가능, 강한 능력). I could do it은 나는 그것을 할 수도 있다(하려고 하면 될 거 같은데, 내가 실제로 할지, 내가 하더라도 그게 실제로 될지는 모른다는 느낌, could 약한 가능, 약한 능력).
3. that shouldn't come as a surprise. 놀랄 일도 아니다. 놀랍지도 않다.
- should는 당연함이 기본의미로 마땅히 해야함을 의미. come은 자동사로 상태의 변화, 어떤 상태로 되어 가까이 다가오다의 의미. that(그건) shouldn’t come(마땅히 될 게 아니지, 당연히 되는게 아니지→당연한게 아니지) as a surprise(놀란 만한 것으로)→그건 놀랄만한 것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