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목건련과 거사를 위한 설법
佛告大目健連(불고대목건련)하사대 汝行詣維摩詰問疾(여행예유마힐문질)하라. -----------------------------------------------------------------
-----------------------------------------------------------------
----------------------------------------------------------------- 부처님은 대목건련에게, 그럼 그대가 유마힐에게 가서 문병하게.
目連(목련)이 白佛言(백불언)하되 世尊(세존)이시여 我不堪任詣彼問疾(아불감임예피문질)이니다. 所以者何(소이자하)오? -----------------------------------------------------------------
-----------------------------------------------------------------
-----------------------------------------------------------------
----------------------------------------------------------------- 세존이시여, 저도 그 분에게 가서 문병할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憶念(억념)하니 我昔(아석)에 入毘耶離大城(입비야리대성)하야, -----------------------------------------------------------------
----------------------------------------------------------------- 기억해보니 제가 옛날에 비야리 대성에 들어가서
於里巷中(어리항중)에 爲諸居士說法(위제거사설법)이러니, -----------------------------------------------------------------
----------------------------------------------------------------- 마을 가운데서 설법을 하고 있었습니다.
時(시)에 維摩詰(유마힐)이 來謂我言(내위아언)하되, -----------------------------------------------------------------
----------------------------------------------------------------- 그 때에 유마힐이 저에게 와서 말씀하시길, 夫說法者(부설법자)는,當如法說(당여법설)이니, -----------------------------------------------------------------
----------------------------------------------------------------- 대저 설법이라고 하는 것은, 마땅히 여법하게 설해야 된다.
法無有我(법무유아)라 離我垢故(이아구고)다. -----------------------------------------------------------------
----------------------------------------------------------------- 我 라고 하는 것이 법에는 없어. 법에 무슨 我 가 있는가? 我 라고 하는 허물과ㆍ 我 라고 하는 때와ㆍ 我 라고 하는 문제를다 떠나 있는 故 다.
法無壽命(법무수명)이라 離生死故(이생사고)다. -----------------------------------------------------------------
----------------------------------------------------------------- 법에는 수명이 없다 생사를 떠나있는 연고다.
法無有人(법무유인)이라 前後諸斷故(전후제단고)다. -----------------------------------------------------------------
----------------------------------------------------------------- 법에는 人 이라고 하는 것이 없다 전후제가 끊어진 연고다.
法常寂然(법상적연)이라. 법은 항상 寂然 하다. 滅諸相故(멸제상고)다. -----------------------------------------------------------------
----------------------------------------------------------------- 온갖 현상들을 사실은 다 초월해 있는 자리다. 겉만보면 모든 것이 차별하고, 끊임없이 變滅(변멸)하고 하지만, 그러나 거기서 조금 한 눈만 더 뜨고 들여다보면, 법에는 항상 寂然 해요. 그래서 모든相 을 떠나있다.
法離於相(법리어상)이라, 無所緣故(무소연고)다. -----------------------------------------------------------------
----------------------------------------------------------------- 법은 상을 떠났음이라 반연하는 바가 없는 연고다. 法無名字(법무명자)라 言語斷故(언어단고)다. -----------------------------------------------------------------
----------------------------------------------------------------- 법에는 名字 가 없다. 언어가 끊어진 연고다.
法無有說(법무유설)이라 離覺觀故(이각관고)다. -----------------------------------------------------------------
----------------------------------------------------------------- 법에는 설할 것이 없다. 覺觀 이 없는 연고다.
法無形相(법무형상)이라. 如虛空故(여허공고)다. -----------------------------------------------------------------
----------------------------------------------------------------- 법에는 형상이 없다. 허공과 같은 연고다.
法無戱論(법무희론)이라 畢竟空故(필경공고)다. -----------------------------------------------------------------
----------------------------------------------------------------- 법에는 戱論 이 없다, 필경에는 공한 연고다.
法無我所(법무아소)라 離我所故(이아소고)다. -----------------------------------------------------------------
----------------------------------------------------------------- 법에는 我所 가 없다. 아소를 떠난 연고다.
法無分別(법무분별)이라 離諸識故(이제식고)다. -----------------------------------------------------------------
----------------------------------------------------------------- 법에는 분별이 없다. 모든 인식을, 모든識 을 떠난 연고다.
法無有比(법무유비)라 無相待故(무상대고)다. -----------------------------------------------------------------
----------------------------------------------------------------- 법에는 비교할수가 없다. 서로 상대할 수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法不屬因(법불속인)이라 不在緣故(부재연고)다. -----------------------------------------------------------------
----------------------------------------------------------------- 법에는 因 에 속하지도 아니 하고, 緣 에 속하지도 아니한다.
法同法性(법동법성)이라. 入諸法故(입제법고)라. 法隨於如(법수어여)라. -----------------------------------------------------------------
----------------------------------------------------------------- 법은 법성과 같은 것이다.모든 법에 들어가는 연고다. 법은 隨於如 라. 如 라고 하는 것이,如如함ㆍ眞如. 이 것을 말하는 것이다. 如 를 따른다.
無所隨故(무소수고)다. 法住實際(법주실제)라. 諸邊不動故(제변부동고)다. -----------------------------------------------------------------
----------------------------------------------------------------- 따르는 바가 없어. 진여의 자리에서는 따른다고 편의상 그렇게 표현하지만, 사실은 따를 것도 없다. 법은 실제에 머문다. 모든 변두리ㆍ모든 편협된 그곳에 움직이지 않는 연고다.
法無動搖(법무동요)라 不依六塵故(불의육진고)다. -----------------------------------------------------------------
----------------------------------------------------------------- 법은 동요가 없다. 六塵 에 의지하지 않는 연고다.
法無去來(법무거래)라 常不住故(상부주고)다. -----------------------------------------------------------------
----------------------------------------------------------------- 법은 去來 거래가 없다. 항상 머물지 않는 연고다.
法順空隨無相(법순공수무상)하고 應無作(응무작)하다. -----------------------------------------------------------------
----------------------------------------------------------------- 법은 空 을 따르고 無相 을 따르고 응당히 지은바가 없다.
法離好醜(법리호추)다. 法無增損(법무증손)하다. -----------------------------------------------------------------
----------------------------------------------------------------- 법은 好醜 를 떠났다.법은增損이 없다. 증하거나 손해되는 것이없다.
法無生滅(법무생멸)하다. 法無所歸(법무소귀)하다. -----------------------------------------------------------------
----------------------------------------------------------------- 법은 生滅 이 없다. 법은 돌아가는 바가 없다.
法過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心 -----------------------------------------------------------------
----------------------------------------------------------------- (법과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심)하고, 법은 안 이 비 설 신 심을 지나가고,
法無高下(법무고하)며, 法(법)은 常住不動(상주부동)하고, 法離一切觀行(법리일체관행)이니, -----------------------------------------------------------------
-----------------------------------------------------------------
----------------------------------------------------------------- 법은 高下 가 없으며,항상주하여 동하지 않으며 법은 일체 관행을 다 떠났다.
唯大目連(유대목련)이여, 法相如是(법상여시)어늘, 豈可說乎(기가설호)아? -----------------------------------------------------------------
----------------------------------------------------------------- 여보시오 대목건련이여, 法相 이 이와 같거늘 어찌 가히 그것을 설하는가?
夫說法者(부설법자)는,無說無示(무설무시)하고, -----------------------------------------------------------------
----------------------------------------------------------------- 대저 설법하는 사람은 설함도 없고 보임도 없고
其聽法者(기청법자)는,無聞無得(무문무득)이니, 聽法者 는 -----------------------------------------------------------------
----------------------------------------------------------------- 법을 들은 사람은 들은것도 없고 얻은 것도 없음이니, 들음도 없고 얻음도 없다.
譬如幻士(비여환사)가,爲幻人說法(위환인설법)이라. -----------------------------------------------------------------
----------------------------------------------------------------- 예를 들어서 마술하는 사람이 마술로 만들어 놓은 幻人 을 위해서 설법하는 것과 같다.
當建是意(당건시의)하여, 而爲說法(이위설법)이라야,當了衆生(당요중생)의 -----------------------------------------------------------------
----------------------------------------------------------------- 마땅히 이러한 뜻을 세워서 설법을 하여야
根有利鈍(근유이둔)하며,利와鈍. 善於知見(선어지견)에,無所罣碍(무소가애)하며, -----------------------------------------------------------------
----------------------------------------------------------------- 마땅히 중생들의 근기에 영리하고 둔한것이 있음을 알게 될것이다. 지견을 잘 통달해서 걸리는 바가 없으며,
以大悲心(이대비심)으로 讚於大乘(찬어대승)하고, 念報佛恩(염보불은)하야, -----------------------------------------------------------------
----------------------------------------------------------------- 대비심으로써 대승을 찬탄하고 부처님은혜 갚을 것을 생각해서
不斷三寶然後說法(부단삼보연후설법)이라하니, -----------------------------------------------------------------
----------------------------------------------------------------- 삼보가 끊어지지 않게 한 연후에 설법해야 된다.
維摩詰(유마힐)이 說是法時(설시법시)에, 八百居士(팔백거사)가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이라. ------------------------------------------------------------------------------------------
------------------------------------------------------------------------------------------
------------------------------------------------------------------------------------------
------------------------------------------------------------------------------------------ 유마힐이 이러한 설법을 할때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했더라.
我無此辯(아무차변)일세, 是故(시고)로 不任詣彼問疾(불임예피문질)이니다. -----------------------------------------------------------------
----------------------------------------------------------------- 저는 이러한 변론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도저히 그분에게 가서 문병할 수가 없습니다.
================================================
문제에 알맞는 내용을 쓰보세요
2. 목건련 설법(目揵連 說法)
목건련 존자는 10대제자 중 무엇이 으뜸이신가?
어디에 의지하면 동요가 있게되는가?
3.法의 특징은 : 識의 특징은 :
4. 어떠할 때 고요하고 고요한가?
5.法, 空, 無相의 관계는 ?
6.법은 실제에 머무나니 ( )움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7.법은 동요가 없으니 ( )의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8.법은 오고 감이 없는 것은?
9.누가 설함도 없고 보임도 없는가?
10.누가 들음도없고 이익도 없는가?
11.어떠할 때 환인(幻人)을 위해서 설법하는 것과 같은가?
12.사람의 근기에는 어떤점이 있는가?
13.설법자가 어떤점을 헤아린뒤 설법에 임하는가?
14. 법은 돌아갈 자리가 있는가?
15.법은 의식이 살아있는 ( )을 떠났다
16.누가 지견이 훌륭하여 걸리는 바가 없어야 하며 큰 자비심으로 대승법을 찬탄하며 부처님의 은혜 갚는 것을 생각해서 불.법.승의 맥이 끊어지지 않도록 법을 설해야 하는가?
17.法을 다른 이름으로는?
18.연화는 갯벌속에서도 연꽃을 피운다. 연잎은 젓는바없이 젓지만 젓을뿐~~` 젓음은 아니다. 법성의 이치도 이와같은가?
19.아뇩다라삼먁삼보리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