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단지인 우리아파트가
각종커뮤니티시설의설치 운용 및
하이엔드 아파트의 품격과 명성을 유지해야 함 에 따른 고가 관리비용이 투입되어야 할 듯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스템화 나 기타 절감방안을 사전에 도출 적용하여 적정한 관리비로 주거할수있는 고급단지로 선망이될수 있게 했음합니다
관리비 항목 및 시스템화
1)관리비항목 및 내용
<공용관리비(관리비의 비목별 항목)>
-일반관리비:
인건비 - 급여, 제수당, 상여금, 퇴직금,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료 및 식대 등 복리후생비
제사무비 - 일반 사무용품비, 도서인쇄비, 교통통신비 등 관리사무에 직접 소요되는 비용
제세공과금 - 관리기구가 사용한 전기료, 통신료, 우편료 및 관리기구에 부과되는 세금 등
피복비
교육훈련비
차량 유지비 - 연료비, 수리비, 보험료 등 차량 유지에 직접 소요되는 비용
그 밖의 부대비용 : 관리용품 구입비, 회계감사비 그 밖에 관리업무에 소요되는 비용
-청소비
-경비비
-소독비
-급탕비(욕실이나 주방 따위에서 필요한 뜨거운 물을 공급하는 데에 드는 비용.): 급탕용 유류대 및 급탕용수비
-수선유지비:
장기수선계획에서 제외되는 공동주택의 공용 부분의 수선ㆍ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보수 용역 시에는 용역 금액, 직영 시에는 자재 및 인건비
냉난방시설의 청소비, 소화기충약비 등 공동으로 이용하는 시설의 보수유지비 및 제반 검사비
건축물의 안전점검비용
재난 및 재해 등의 예방에 따른 비용
-위탁관리 수수료: 주택관리업자에게 위탁하여 관리하는 경우로서 입주자 대표회의와 주택관리업자 간의 계약으로 정한 월간 비용
<관리비와 구분하여 징수하여야 하는 비용>
-장기수선 충당금: 공동주택 주요 시설의 교체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으로서 소유자가 부담.
-안전진단 실비 비용: 건물 안전진단에 소요되는 비용으로서 입주자 등이 부담
<개별 관리비(입주자 등이 납부하는 사용료)>
-전기료
-수도료
-가스사용료
-지역난방방식의 난방비
-지역난방방식의 급탕비
-정화조 오물수수료
-생활폐기물 수수료
-건물 전체 대상 보험료: 입주자 등이 납부해야 하는 사용료(승강기 안전보험료, 어린이놀이터 보험료, 건물 화재보험료 등)
-입주자 대표회의 운영비: 입주자 등이 납부해야 하는 입주자 대표회의 운영 경비
-선거관리위원회 운영경비: 동별 대표자 및 입주자 대표회의 임원 선거에 소요되는 비용으로서 입주자 및 사용자가 납부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피트니스센터를 비롯해 골프연습장, 수영장, GX룸, 독서실, 도서관, 북카페 등이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으며,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를 중심으로 ‘복합시설’ 느낌이 강하고 규모도 큽니다. 규모가 클수록 관리도 쉽지 않을텐데요. 회원관리, 출입통제, 과금, 정산, 결제, 시설관리 등 신경써야할 부분이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단순히 회원관리만 하는 프로그램은 많이 있지만, 출입통제와 IOT 제어까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하는 것은 쉽지 않은 기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사고 관리비절감(관리인력)을 위해서는 시스템화 구축은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