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를 꿰뚫다
제1장 초기불교의 수행론
제1부 초기•부파 불교의 수행론
13.삽십칠조도품 17
깨달음을 도와주는 37가지 요소[37조도품,37보리분법]의 7가지인 사념처,사정근,오근,오력,칠각지,팔정도를 간단명료하게 정리해보세요
⁕ 사정근은 정정진(正精進)의 다른 이름이고, 사념처는 정념(正念)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이다. 칠각지는 사념처를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는 일곱 가지 단계이고, 사여의족은 정정(正定)을 성취하는 방법론이다. 이와 같이 본다면 오근과 오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팔정도에 포함될 수 있다.
오근과 오력은 팔정도 수행을 바르게 잘 하는지, 모자라거나 지나침은 없는지 관찰하는 수단이다. 이를 테면 오근은 믿음. 노력. 정념. 삼매. 지혜의 다섯 가지이다. 여기서 믿음이 지나치면 지혜가 부족해서 맹신에 떨어지기 쉽고, 지혜가 지나치면 믿음이 부족하기 쉽다. 또한 노력이 지나치면 들뜸이 오기 쉽고, 삼매가 지나치면 게으르기 쉽다.
따라서 정념의 기능 중 하나는 이들을 알아차려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오력은 오근의 반대되는 것을 다스리는 능력이다. 믿음으로 불신을 다스리고, 노력으로 게으름을 다스리고, 정념으로 부주의함을 다스리고, 삼매로 들뜸을 다스리고, 지혜로 어리석음을 다스린다. 그래서 다섯 가지 힘이라 한 것이다.
또한 오근은 중생의 근기로, 신심형과 지혜형, 노력형과 무심형, 그리고 좀처럼 삶에 감정 이입이 안 되는 알아차림형 등 다섯 가지가 있다. 이 다섯 가지 근기를 다 아는 것은 오직 부처님만이 가진 능력이다.
----------------------------------------------------------------
마음챙김의 확립[念處념처] 경(S43:5)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사념처]이다...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바른 노력 경[正勤정근] 경(S43:6)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사정근]이다...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성취수단[如意足여의족] 경(S43:7)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사여의족]이다...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기능[根근] 경(S43:8)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다섯 가지 기능[五根오근]이다...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힘[力력] 경(S43:9)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다섯 가지 힘[五力오력]이다...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깨달음의 구성요소[覺支각지] 경(S43:10)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칠각지]이다...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팔정도 경(S43:11)
2.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무위와 무위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35:23 §3>...
3.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인가? 비구들이여, 탐욕의 멸진, 성냄의 멸진, 어리석음의 멸진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八支聖道팔지성도]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라 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는 그대들에게 무위와 무위에 이르는 길을 설하였다.”
4. “비구들이여, 항상 제자들의 이익을 기원하며 제자들을 연민하는 스승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이제 나는 연민으로 그대들에게 하였다.
비구들이여, 여기 나무 밑이 있다. 여기 빈집들이 있다. 참선을 하라.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이상 『상윳따 니까야』 「무위 상윳따」
---------------------------------------------------------------
삼십칠조도품은 모두 팔정도 안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저자의 의견대로 교재를 중심으로 정리해보세요
⁕ 한국불교의 깨달음에 해당하는 가장 근접한 단어를 초기불교에서 찾아보면 견도(見道)나 무학위(無學位)보다는 (覺†요소,分)에 가깝다. ‘ 覺†요소,分’의 뜻은 ‘깨달음의 요소’이고,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이 바로 깨달음을 도와주는 37가지 요소이다. 즉, 사념처(四念處), 사정근(四正勤). 사여의족(四如意足). 오근(五根). 오력(五力). 칠각지(七覺支). 팔정도(八正道)의 7가지 종류이다. 이것을 삼십칠보리분법(三十七菩提分法)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수행 방법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근 가운데 신근은 불보,법보,승보인 삼보에 대한 신뢰에서 출발합니다.그 가운데 부처님에 대한 신뢰인 불보의 이해는 참으로 중요합니다.
부처님은 어떤 분인지 교재를 중심으로 정리해보세요
⓵ 중생들의 다섯 가지 근기를 아는 신통지
⓶ 중생들의 잠재적 번뇌를 아는 신통지
⓷ 물과 불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는 신통지
⓸ 삼계의 온 중생에게 일으키는 대연민심의 신통지
⓹ 일체를 아는 신통지
⓺ 걸림없는 신통지
-----------------------------------------------------------
불행한 곳 경1(S55:14)
3.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성스러운 제자는 모든 불행한 곳에 대한 두려움을 건넌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이런[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응공]이시며, ... 세존이시다.’라고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닌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 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고 법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닌다.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 세상의 위없는 복밭[복전]이시다.’라고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닌다. 성자들이 좋아하며...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지닌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성스러운 제자는 모든 불행한 곳에 대한 두려움을 건넌다.”
불행한 곳 경2(S55:15)
3.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성스러운 제자는 모든 불행한 곳과 파멸처에 대한 두려움을 건넌다. 무엇이 넷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이런[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응공]이시며, ... 세존이시다.’라고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닌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 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고
법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닌다.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 세상의 위없는 복밭[복전]이시다.’라고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닌다. 성자들이 좋아하며 ...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지닌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법을 구족한 성스러운 제자는 모든 불행한 곳과 파멸처에 대한 두려움을 건넌다.”
신들을 방문함 경1(S55:18)
2. 그때 마하목갈라나 존자는 마치 힘센 사람이 구부렸던 팔을 펴고 폈던 팔을 구부리는 것처럼 제따 숲에서 사라져서 삼십삼천의 신들 앞에 나타났다.
그때 많은 삼십삼천의 신들이 마하목갈라나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마하목갈라나 존자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선 삼십삼천의 신들에게 마하목갈라나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3. “도반들이여,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응공]이시며, ... 세존이시다.’라고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선처], 천상에 태어납니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 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 라고 법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법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선처], 천상에 태어납니다.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 세상의 위없는 복밭[복전]이시다.’라고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은 원인으로 해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선처], 천상에 태어납니다.
성자들이 좋아하며 ...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를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선처], 천상에 태어납니다.”
4. “목갈라나 존자여,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응공]이시며, ... 세존이시다.’라고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목갈라나 존자여, 여기 어떤 중생은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선처], 천상에 태어납니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
성자들이 좋아하며 ...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목갈라나여, 여기 어떤 어떤 중생은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를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선처], 천상에 태어납니다.”
신들을 방문함 경2(S55:19)
<본경은 ‘천상에 태어납니다.’ 대신에 천상에 태어났습니다.‘로 과거 시제가 나타나는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앞의 「신들을 방문함경」1(S55:18)과 꼭 같다.>
신들을 방문함 경3(S55:20)
2. 그때 세존께서는 마치 힘센 사람이 구부렸던 팔을 펴고 폈던 팔을 구부리는 것처럼 제따 숲에서 사라져서 삼십삼천의 신들 앞에 나타났다.
그때 많은 삼십삼천의 신들이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선 삼십삼천의 신들에게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3. “도반들이여,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게서는 아라한[응공]이시며, ... 세존이시다.’라고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이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흐름에 든 자[예류자]가 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지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간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 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고 법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이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법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흐름에 든 자[예류자]가 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지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간다.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 세상의 위없는 복밭[복전]이시다.’라고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이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흐름에 든 자[예류자]가 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지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간다.
성자들이 좋아하며 ...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지니는 것은 좋은 것이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중생은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를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흐름에 든 자{예류자}가 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지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자이다.”
4. “세존이시여,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응공]이시며, ... 세존이시다.’라고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좋은 것이다.
세존이시여, 여기 어떤 중생은 부처님께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흐름에든 자[예류자]가 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지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갑니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
성자들이 좋아하며 ...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지니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여기 어떤 중생은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를 구족한 것을 원인으로 해서 흐름에 든 자[예류자]가 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지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갑니다.”
---『상윳따 니까야』 「예류 상윳따」
---------------------------------------------------------------
부처님과 성문의 제자와 다른점을 교재를 중심으로 정리해보세요
⓵ 아라한이시다. 번뇌들을 멀리 여의어 버렸기 때문에, 탐욕 등으로 불리는 모든 적들을 지혜의 칼로 모두 없애 버렸기 때문에, 윤회의 바퀴를 부수었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 필수품과 존중을 수용할 만하기 때문에 아라한[應供응공]이시고, 악업에 대해 비밀이 없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
⓶ 고통과 고통의 발생처, 소멸과 소멸의 방법을 완전히 깨달으신 분[正等覺者
정등각자]이시다.
⓷ 세 가지 지혜[三明삼명]와 열다섯 가지 실천을 갖춘 분[明行足명행족]이시다.
⓸ [열반에] 잘 도달하신 분[善逝선서]이시다.
⓹ 중생계, 세계, 유위의 세계라는 세 가지 세간을 아는 분[世間解세간해]이시다.
⓺ [계. 정. 혜. 해탈. 해탈지견의 덕이] 위없는 스승[無上士무상사]이시다.
⓻ [인간. 천인. 축생들을 해탈의 길로] 잘 길들이는 분[調御丈夫조어장부]이시다.
⓼ 범천을 비롯한 모든 위대한 천신들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천인사]이시다.
⓽ 알아야 할 모든 것을 깨달으신 분[佛불]이시다.
⓾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世尊세존]이시다.
개인발표 주제 1
초과 즉 성자의 흐름에 든 [입류]수다원과에 대하여 정리하고 수단원향의 조건에 대하여 발표해보세요
⁕ 수다원(입류入流)향向의 준비, 실천사항
(1) 세상의 열가지 선을 실천한다.(십선의 실천) 오계 상응
(2) 세상의 팔정도를 실천한다.(세간 팔정도)
⁕ 세 가지의 선한 근본 셋 [선근과 신근의 상응]
⓵ 선과 악을 잘 분별 선행을 한다.
⓶ 악을 행하면 부끄러움을 알고 반성하고 선으로 전환한다.
⓷ 선인은 선을 부지런히 실천 공덕을 쌓는다.
견도(見道): 진리를 봄, 진리의 체험, 진리의 안목(法眼淨)
네 가지의 예류 (초과로 향하는)의 조건을 갖 [4예류지]
⓵ 진리의 안목을 갖춘 선지식을 가까이하고 모심.(친근선사)
⓶ 안목을 갖춘 선지식에게 올바른 진리를 듣고 배우고 듣기를 청함.(청문정법)
⓷ 내면으로 진리에 입각해 바르게 사유한다.(내정사유)
⓸ 진리의 순서대로 여법하게 진리를 향해 정진한다.(법차법향)
(3) 선량한 사람은 믿음의 뿌리[신근]과 상응한다.
(4) 네 가지의 무너지지 않는 청정한 믿음을 갖춘다.(사불괴정)
⓵ 불보 ⓶ 법보 ⓷ 승보 ⓸ 계학
수도(修道): 계학, 정학, 혜학에 의하여 오분법신 갖춤(다섯의 진리의 몸)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⓵ 수신행(신행자): 신근증상
⓶ 수법행(법행자): 혜근증상
⓷ 신해탈: 신,혜근 증상
증도(證道): 배울 것 없음(무학) 아라한구해탈
아라한과: ⓵ 수신행(신행자) 신근증상 + 수법행(법행자) 혜근증상 = 신해탈: 신,혜근증상
(5) 향상 → 정학(심학:법보) → 혜학 → 해탈 → 해탈지견(완전한 열반, 현실에서 증득이 가능)
(6) 수다원향 → 수다원과 -----아라한과
---------------------------------------------------------------
수다원과(須陀洹果): 예류과(豫流果)와 같음. 처음으로 성자의 계위에 들어가는 것. 성문(聲聞)의 수행단계인 4과(四果)중의 초과(初果)를 말함. 영원한 평안에의 흐름을 탄 자.
수다원향(須陀洹向): 4향(四向)의 제 1. 삼계의 견혹을 끊고 수다원과(須陀洹果)를 향한 인위(因位)를 말함.
---<불교대사전에서 발췌>
개인에 따른 분석
1. 예류자(수다원)
예류도를 닦아 사견과 의심을 버림으로써 예류자가 된다. 그는 악처에 태어남을 버리고 최대로 일곱 번 태어난다.
예류(預流, 흐름에 참예한 자)라 한역하였으며 수다원(須陀洹)이라고 음역하기도 하였다.
2. 일래자(사다함)
일래도를 닦아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일래자가 된다. 그는 단 한 번만 더 이 세상에 돌아온다.
현장스님은 일래자(一來者)로 한역했으며 구마라집 스님은 사다함(斯陀含)으로 음역하였다.
3. 불환자(아나함)
불환도를 닦아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망과 악의를 남김없이 버리고 불환자가 된다. 그는 이 욕계로 돌아오지 않는다.
현장 스님은 불환자(不還者)로 한역하였고 구마라집 스님은 아나함(阿那含)으로 음역하였다.
4. 아라한
아라한 도를 닦아 오염원을 남김없이 버리고 아라한이 된다. 그는 번뇌 다한 자이며 세상에서 최상의 공양을 받을 만하다.
아라한의 문자적인 의미는 대접과 존경을 받을만한 분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응공(應供)으로 옮겼다.
오염원의 도표(순위)
⓵어리석음[癡]
⓶양심 없음[不慚불참]
⓷수치심 없음[不愧불괴]
⓸들뜸
⓹-⓵탐욕(감각적 쾌락) ⓹-⓶탐욕(그 외)
⓺사견
⓻자만
⓼성냄
⓽질투
⓾인색
⓫후회
⑫해태
⑬혼침
⑭의심
도에 의한 오염원들의 제거
예류자: ⓺사견 ⓽질투 ⓾인색 ⑭의심 (4)
일래자: 0
불환자: ⓹탐욕(감각적 쾌락) ⓼성냄 ⓫후회 (3)
아라한: ⓵어리석음[癡] ⓶양심 없음[不慚] ⓷수치심 없음[不愧] ⓸들뜸 ⓹탐욕(그 외) ⓻자만 ⑫해태 ⑬혼침 (8)
--대림스님, 각묵스님의 <아비담마 길라잡이2> 제9장 명상주제의 길라잡이에서 발췌
----------------------------------------------------------------
개인발표 주제 2
37조도품 가운데 팔정도가 핵심인 이유를 사유해 보고 사유 가운데 경험한 팔정도의 한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해보고 발표 해 보세요
2567.3.28 혜연 무구행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