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읍 과 성문의 형태
청주에도 城이 있었습니다. 현존하는 충남海美읍성, 전라도 高昌읍성, 洛安읍성보다 견고했던 청주읍성있었습니다
그 청주읍성을 일본*들이 헐었습니다.
명목은 청주읍성안에 12개 혹은 13개의 우물이 있었는데 배수가 잘 안되어 맑은물이 아니었답니다. 그래서 청주시가지를 다시 조성한다는 市區改正사업을 1910년대초에 실시하면서 성벽을 모두 헐어 성밖 해자(하수구)에 축대를 쌓았답니다. (이때 남문이 있던 청주약국에서 북문이 있던 장글제과까지 직선도로도 개설했고요)
그실은 임진왜란때 해전에서는 충무공의 전승이 있었지만 陸戰에서는 조선군이 연패를 했었지만 청주읍성을 승병 영규대사와 중봉 조헌장군 그리고 강서사람인 박춘무장군에 의하여 탈환하였습니다.
왜놈쪽에서 보면 망신중에 대망신을 청주에서 당하였던것입니다.
그 분풀이를 몇백년 지난 후에 청주성을 헐어버렸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청주읍의 정황을 살펴보면 南門을 기점으로 石橋에 이르기까지 큰 통로가 소위 상업의 거리로 되어 있었고 新市場 및 여기를 통한 市街는 開市日에만 복잡하였다.
성안에는 2~3개소의 일본인 店鋪가 있을 뿐이며 그곳을 둘러싸고 있는 한국인 가옥들이 가로를 횡단하거나 혹은 뒤에 붙어 있어 생각해보면 모두가 나란히 건립되어져 있어 北門근처를 제외한 그 밖의 지역은 한산했으며 마치 지렁이와 같이 이리 저리 굽어져 얽혀진 곳에서 생활하였다.
西門으로 통하는 도로는 지금(1923)의 지사관저 앞에서 작은 구릉(小丘)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그 한쪽에는 5~6천 평정도의 汚水溜가 있어 봄. 여름에는 개구리의 울음소리가 종일토록 어우러져 극에 달하고 있었다.
城壁은 중첩하여 쌓았던 돌담만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지만 흙벽은 반 이상이 붕괴되어 있었다.
남문은 청남문이라 불려 지고 있었으며 견고하게 지어진 樓臺가 있었다. 그러나 이곳은 한국인 어린이들의 놀이장소가 되고 짐꾼의 낮잠 자는 장소가 되었다.
서문은 남문에 비하여 규모도 작고 누대의 구조도 거의 형태만 남아 있었다.
북문에는 石門만 서 있고 누대는 무너져버려 잔해만 남아 있었다.
옛 기록에 의하면 읍성은 석축으로 둘레가 1,350步이고 높이는 8尺이며 성안에 우물이 12군데 있으며 서. 남. 북 3門은 모두 아치형이며 또한 누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동문은 누각도 없고 아치도 없었다.
觀察道(지금의 중앙공원입니다)의 정문은 지금(1923)의 實業銀行支店에서 서쪽으로 향하여 통로가 나있고 그 도로가 마주친 장소에 웅대한 누문이 세워져 있으며 양쪽에는 營舍 수십 동이 동일하게 나란히 건설되어져 있다.
구내(지금의 중앙공원입니다.)에는 勤政殿, 統軍樓, 淸寧閣 기타 크고 작은 4~5개의 건물이 있으며 중앙에는 1000년이 지난 公孫樹가 하늘을 찌를 듯한 모양을 하고 있다.
청주읍성의 위치를 알아보자2)
청주읍성의 모양은 대체로 남북으로 긴 장방형이었다. 다행히도 당시의 城壁 자리의 흔적이 지금도 뚜렷하게 남아 있다. 성벽이 있었던 자리를 보면 현재 청주약국을 기점으로 동쪽으로 가다가 BYC, 옥금정, 월드상사 사이의 굽은 사잇길에 파리빠켓트, 새천년약국, 철당간버스정류장까지가 성벽의 곡선이고 상당로 인도를 따라 북상하여 롯떼영프라자, 東門址, 도청서문앞, 대우증권, 제주바당까지 직선구간이며 상당공원 서남쪽 지하도 입구 철당강길에서 서쪽 인터스포츠건물까지 곡선으로의 사잇길을 지난다.
성안길 북쪽 입구에서 중앙공원길입구를 지나 서쪽으로 가다가 하나금융프라자, 은혜약국 사이 굽은 사잇길을 지나 성모피부과건물까지 곡선부분이 확연하고 西門址, 서문동 5거리를 통과하고 중앙공원 서쪽 담벽을 따라 남쪽으로 가다보면 YMCA건물을 끼고 타레, 한국조명, 옥당 사이의 굽은 길이 성벽 남서쪽 곡선부분으로 이 길을 돌아 동쪽으로 가다보면 청주약국과 연결하는 것이 청주의 성벽 터이다.
또 알아야할 부분이 있다. 청주읍성의 南門 과 北門이 있던 곳에 南北門址가 세워져 있는데 그곳에서 동서쪽의 건물을 보면 (북쪽 인터스포츠 건물쪽에서 서쪽 공원부동산 건물을 보거나 남쪽 벹엘혼수 건물쪽에서 동쪽 국민은행 건물을 보면) 어긋나 있습니다. 瓮城의 모습인가 봅니다.
1)청주연혁지(1923년도 발간, 大熊春奉, 1999년 편역자, 정삼철p 45)
2)청주근세60년사화(1985년도 발행 청주근세60년사화편찬위원회)
첫댓글 아직도 청주 읍성에 관해 잘 모르는 친구들이 많아요
청주자랑거리인데요
복원한 것을 보면 좀 쑥스럽더러고요
위정자들은 딴생각이 있었나보지요
고등학교를 다닐 때 보고 전역전102학군단 근무시(87년도)
옛모습만 머릿속에 남아있네요
어렴푸시 알고있던 청주 읍성 이야기, 청주의 자존심인데
상세 설명 감사합니다.
...
일제 역사속으로 사라졌군요...
낙가산님
몰랐던것 알려주셔서 감사 우리는 옛날사람이라 현재위치를 잘모름
그림으로 설명좀(서울사람)
빠른 시일에 1950년대지도와 현재의 지도를 구해
표시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