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원가진단분석 < 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 < 부문별 원가진단
종합 분석
㈜OOOO의 성공적인 원가 관리를 위한 종합 분석 평점은 3.42점인 “보통”으로
평가 되었으며, 이중 ‘생산 관리 팀’이 2.67점인 “낮음”으로 평가 되어 관리가 필요한
팀으로 분석 되어짐
Implication
• 자재 관리 팀 (평점 3.25점)
- 원자재 입고 시 불량자재 여부 검수 및 수불부의 계속 기록법에 따른 기록 여부는 5점인
“매우 우수”로 분석됨
- 구매처 별 구매가격 평가여부는 4점인 “우수”로 분석됨
- 장·단기 계획수립, 생산 수율과 실제 소비량 일치 여부, 적정주문량·주문시기·재고유지 여부
등은 3점인 “보통”으로 분석됨
- 적정인력 보유수준과 재고 일치 여부는 각각 “낮음”인 2점과 “매우 낮음”인 1점으로 분석 됨
• 생산 관리 팀 (평점 2.67점)
- 생산관리 전산화 시스템 여부는 4점인 “우수”로 분석됨
- 생산·원가관리의 인원 적정성, 생산관리 양식의 활용 정도는 3점인 “보통”으로 분석됨
- 생산관리의 계획수립 여부, 사전원가 계산을 통한 예산설정, 제품별·공정 별 원가계산 여부는
2점으로 “낮음”으로 분석됨
• 생산 팀 (평점 4.33점)
- 작업지시서에 의한 생산시스템 부유여부, 효율적인 공장관리 여부, 공정상 문제발생에 따른
해결능력 여부는 5점인 “매우 우수”로 분석됨
- 품질·원가·납기 준수, 충분한 인력확보는 4점인 “우수”로 분석됨
- 생산작업일지 작성 여부는 3점인 “보통”으로 분석됨
2. 원가진단분석 < 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 < 자재 관리 팀
원가진단 종합 분석
㈜OOOO의 성공적인 원가 관리를 위한 자재 관리 팀 인터뷰 분석 평점은 3.25점인
“보통”으로 평가 되었으며, 이중 ‘적정 인력 보유 수준’과 ‘재고 일치 여부’ 부분서
“낮음”으로 평가 되었음
Implication
• 적정 인력 보유 수준(2점)
- 구매·자재업무를 위한 현재 인력은 충분하지 않은 상태임
• 장·단기 계획 수립 여부 (3점)
- 자재 구매 前 3개월 이내의 단기 계획을 주로 세워 비교적 안정적이지 못한
구매가격으로 구매하고 있음
• 구매처 별 구매가격 평가 여부 (4점)
- 일부 주요 자재에 대해서만 정기적인 비교 평가 분석을 하는 편임
• 불량 자재 검수 여부 (5점)
- 원자재 입고 시 전수 검수 및 품질 검사를 철저히 하고 있음
• 수불부 기록 여부 (5점)
- 매월 계속 기록 법에 의한 수량과 평가방법을 적용한 단가를 기록 하고 있음
• 재고 일치 여부 (1점)
- 정기적인 재고 실사를 전혀 하고 있지 않음
• 생산 수율 과 실제 소비량 일치 여부 (3점)
- 자재 출고 지시에 따른 출고 관리만을 하고 있음
• 적정 주문량, 적정 주문시기, 적정 재고 유지 여부 (3점)
- 적정 주문량·주문시기·재고 수준 등을 파악하고 있지만, 주로 상황에 따라 구매 주문 함
3. 원가진단분석 < 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 < 생산 관리 팀 원가진단
종합 분석
㈜OOOO의 성공적인 원가 관리를 위한 생산 관리 팀 인터뷰 분석 평점은 2.50점인
“낮음”으로 평가 되었으며, 이중 ‘생산 관리의 계획 수립 여부’, ‘사전 원가 계산을
통한 예산 설정’ , ‘제품별·공정별 원가 계산 여부’는 “낮음”으로 평가 되었음
Implication
• 생산·원가관리의 인원 적정성 여부 (3점)
- 현재 소수의 인력만으로 자재·생산·원가관리의 일반적인 업무만을 하고 있음
• 생산 관리의 계획 수립 여부 (2점)
- 체계적인 생산관리 보다는 비정기적인 계획을 주로 세우고 있음
• 생산관리 전산화 시스템 여부 (4점)
- 생산관리 및 원가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산화된 업무를 주로 하고 있으며, 일부
수기작업도 병행하고 있음
• 생산 관리 양식의 활용 정도 (3점)
- 생산관리에 필요한 각종 양식 등을 일부만 정하여 놓고 사용 하지만, 현재 개선이 필요한 상태임
• 사전 원가 계산을 통한 예산 설정 (2점)
- 대략적인 감으로 생산비용 지출의 한도를 정하여 지출하고 있음
• 제품별·공정 별 원가 계산 여부 (2점)
- 간단한 정도의 제품별·공정별 작업원가표를 비정기적으로 작성 하고 있음
4. 원가진단분석 < 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 < 생산 팀 원가진단 종합 분석
㈜OOOO의 성공적인 원가 관리를 위한 생산 팀의 인터뷰 분석 평점은 4.33점인 “우수”
로 평가 되었으며, 이중 ‘생산 작업 일지 작성 여부’가 3점인 “보통”으로 평가 되었음
Implication
• 품질·원가·납기 준수 여부 (4점)
- 품질·원가절감·납기일 준수에 기반을 둔 관리를 항상 철저히 하고 있음
• 충분한 인력의 확보 여부 (4점)
- 생산규모에 맞는 충분한 생산인력이 있지만 기능공 인력이 항상 부족한 상태임
• 작업 지시서에 의한 생산 시스템 보유 여부 (5점)
- 작업지시서에 의한 제품 생산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음
• 효율적인 공정관리 여부 (5점)
- 모든 공정부문의 관리가 항상 잘 되어져 있으며, 이로 인한 생산 효율성이
증대되어지고 있음
• 공정상 문제 발생에 따른 해결 능력 여부 (5점)
- 공정상 문제 발생 시 문제점 기술·원인규명·대책수립·문제해결 ·표준화 실행에 따른
사후관리까지 완벽히 하고 있음
• 생산 작업 일지 작성 여부 (3점)
- 생산작업일지의 작성은 매일하고 있으나, 생산량·노무시간· 원자재 투입량의 기재는
부정확한 상태 임
5. 원가진단분석 < 손익계산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1)
㈜OOOO의 재무제표 중 3개연도 손익계산서의 알고리즘 분석 결과 노선번호는
9번으로 진단 되었으며 전기 대비 상승한 비율은 제품매출 원가이며 전기 대비
하락한 비율은 제품매출액, 매출 총이익, 영업이익임
6. 원가진단분석 < 손익계산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2)
㈜OOOO의 2018년 현재 2017년 대비 증감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액
7.72% 감소, 매출원가 26.29% 증가, 매출총이익 131.67% 감소, 영업이익
149.03% 감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중 영업이익 감소율이 가장 큰 것으로 진단됨
Implication
손익계산서 분석에 대한 사항
1) 전기대비 매출원가 비율의 상승 이유 분석
① 전기대비 기초제품재고액 비율의 상승 원인 확인(전기기말 제품 재고액의 상승원인 확인)
② 전기대비 당기제품제조원가 비율의 상승 원인 확인
③ 전기대비 기말제품재고액 비율의 하락 원인 확인
☞기말제품재고액 하락의 원인분석
》 저가 정책에 다른 판매량 증가여부 확인
》 탈세를 목적으로 임의적 기말재고액 축소 여부 확인
》 선입선출법 평가시 디플레이션 현상에 따른 가격 반영 여부 확인
》 후입선출법 평가시 인플레이션 현상에 따른 가격 반영 여부 확인
(후입선출법의 경우 K-IFRS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경우 확인 생략)
2) 전기대비 매출총이익 하락 이유 분석
》 전기대비 비교적 대량생산을 통한 저마진 제품 위주의 판매가 이루어 지고 있는지 확인
3) 전기대비 영업이익 비율의 하락 이유 분석
7. 원가진단분석 <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1)
㈜OOOO의 3개연도 제조원가명세서의 알고리즘 분석 결과 노선번호는 2번으로
진단되었으며 전기 대비 상승한 비율은 재료비, 노무비, 경비, 기말재공품이며 전기
대비 하락한 비율은 기초재공품임.
8. 원가진단분석 <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2)
㈜OOOO의 2018년 현재 2017년 대비 증감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제품제조
원가 0.48% 감소, 재료비 6.86% 증가, 노무비 6.6% 증가, 경비5.04% 증가를 나타
내고 있으며, 이중 재료비 증가율이 가장 큰 것으로 진단됨
제조원가명세서 분석에 대한 사항
1) 전기대비 재료비 증가 원인 분석
① 이월되는 재료재고액의 과다 평가 계상 여부 확인
② 당기 생산량 증가로 인한 재료비 증가 여부 확인
③ 재료비 소비 비중이 높은 제품위주의 생산 형태인지 여부 확인
④ 고품질. 고가의 재료 매입에 따른 재료비 증가 인지 여부 확인
⑤ 인플레이션 현상에 의한 재료비 증가인지 여부 확인
⑥ 기말재료재고액의 평가방법에 따른 영향인지 여부 확인
⑦ 세금을 줄이기 위한 기말재료재고애그이 과소 계상인지 여부 확인
2) 전기대비 노무비 증가 원인 분석
① 노동력 증가에 따른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② 당기 생산량 증가로 인한 변동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③ 정기적인 임금 인상 또는 노동자 파업에 따른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④ 고임금 경력사원의 증가로 인한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⑤ 산업특성상 노동집약도가 높은 특성에 따른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3) 전기대비 제조경비 증가 분석 원인
① 당기 생산량 증가에 따른 변동경비 증가에 의한 여부 확인
② 당기 노동력 증가에 따른 복리후생비 보험료 교육훈련비 등의 증가에 의한 여부
③ 건물 생산설비등의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에 의한 여부 확인
④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경비를 가장 오류로 인한 제조경비 기록 여부 확인
⑤ 가공경비 계상 여부 확인
4) 전기대비 기초재공품 원가 증가 원인분석
① 전기말 재고품의 과대평가로 인한 기초재공품의 증가 여부 확인
② 전기말 완성제품의 생산진척을 하락에 따른 이월재공품의 증가 여부 확인
③ 전기말 생산 주문 증가에 따른 이월재공품 증가 여부 확인
5) 전기대비 기말재공품 원가 감소 원인 분석
① 당기 주문량 감소에 따른 기말 재공품의 감소 여부 확인
② 당기 생산 진척율이 높아짐에 따라 기말재공품의 감소 여부 확인
③ 당기말 주문량 감소에 따른 생산 축소에 의한 기말재공품 감소 여부 확인
④ 기말재공품 평가방법에 의한 기말재공품 감소 여부 확인
⑤ 세금을 줄이기 위한 기말재공품의 과소 계상인지 여부 확인
9. 원가진단 분석 < 냉장고 제품의 CVP 및 MATRIX분석
냉장고 제품의 CVP분석 결과 손익분기점 비율 37.4%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M ATRI X분석에서는 ‘목표 설정이 가능한 이익 극대화 형’ 에
위치함에 따라 적정 판매가격 및 적정 원가가 반영되어진 것으로 진단 됨
손익분기점 분석에 따른 진단내용
■ 냉장고 제품의 손익분기점 분석
- 총 출고가액 대비 변동비율은 44.53%이며, 고정비율은 20.77%로 고정비
보다 변동비가 높은 편임
- 공헌이익은 78.25억원이며, 공헌이익율은 55.47%로 보통임
-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52.81억원 이며, 손익분기점비율은 37.4%로 양호함
- 경영안전율은 62.6%로 매우안정적임
■ 냉장고 제품의 손익분기점 개선사항
-적정 출고가액 및 적정 원가로 되어 있으며 특별히 개선할 사항은 없는 것으로 진단됨
BEP 매트릭스 분석현황 및 결과
■ 목표 설정이 가능한 이익 극대화 형
- 소량 생산 및 소량 판매를 하더라도 기업이 목표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진단 됨
10.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1)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에 의한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 결과 가장 낮은
생산량(430개)을 보인 월은 1월이며, 변동 직접재료비는 4. 2억원임.
가장 높은 생산량(712개)을 보인 월은 4월이며 변동 직접재료비는 4.8억원임.
2018 Max & Min Calculate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단위당 평균 원가 계산
[489,100,000(MAX)-423,500,000(MIN)]/[712(MAX)-430(MIN)]=@232,624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추가 허용 가감원가 계산
423,500,000(MIN)-[430(MIN)X@232,624]=323,471,680
11.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2)
냉장고 제품의 1월부터 6월까지의 상반기 평균 생산량은 576개이며, 평균 변동
직접재료비는 4.2억원임. 7월부터 12월까지의 하반기 평균 생산량은 711개이며,
평균 변동 직접재료비는 3.85억원이며 고 ∙ 저점법에 따른 표준재료비와 전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진단 됨
2018 First Half Actual Cost Diagnosis
■ 1월~6월 생산량 분석 (평균 생산량: 576개)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월은 4월 712개이며 가장 낮은 월은 1월 430개임
■ 1월~6월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 (평균 변동 직접재료비 4.2억원)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4월의 변동 직접재료비는 4.89억원이며 가장
낮은 1월의 변동 직접재료비는 4.2억원으로 계상됨
- 실제 생산량과 변동직접재료비가 일치되는 월은 2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발생 변동 직접재료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월은
1월, 3월, 4월, 5월, 6월임
- 실제 생산량보다 변동 직접재료비가 더 많이 발생한 월은 1월임
2018 Second Half Max & Min Diagnosis
■ 7월~12월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
- 실제생산량과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재료비는 전반적
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실제 발생 변동 직접재료비와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재
료비는 전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8월의 경우 실제 생산량과 실제 변동 직접재료비가 거의 일치 하는
것으로 나타남
12.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1)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에 의한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 결과 가장 낮은
생산량(430개)을 보인 월은 1월이며, 변동 직접노무비는 16(백만원)임.
2018 Max & Min Calculate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단위당 평균 원가 계산
[18,325,300(MAX)-16,345,000(MIN)]/[712(MAX)-430(MIN)]=@7,022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추가 허용 가감원가 계산
16,345,000(MIN)-[430(MIN)X@7,022]=13,325,540
13.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2)
냉장고 제품의 1월부터 6월까지의 상반기 평균 생산량은 576개이며, 평균
변동 직접노무비는 16(백만원)임. 7월부터 12월까지의 하반기 평균 생산량은
711개이며, 평균 변동 직접노무비는 20(백만원)이며 고 ∙ 저점법에 따른
표준노무비와 일치되는 월은 8월임
2018 First Half Actual Cost Diagnosis
■ 1월~6월 생산량 분석 (평균 생산량: 576개)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월은 4월 712개이며 가장 낮은 월은 1월 430개임
■ 1월~6월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 (평균 변동 직접노무비 16백만원)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4월의 변동 직접노무비는 18(백만원)이며 가장
낮은 1월의 변동 직접노무비는 16(백만원)으로 계상됨
- 실제 생산량과 변동직접노무비가 일치되는 월은 4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발생 변동 직접재료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월은
1월, 2월, 3월, 5월, 6월임
- 생산량보다 변동 직접노무비가 더 많이 발생한 월은 1월, 3월, 5월, 6월임
2018 Second Half Max & Min Diagnosis
■ 7월~12월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
- 실제생산량과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노무비가 일치하는 월은 8월임
- 실제 발생 변동 직접노무비와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노무비가 일치하는
월은 8월, 9월임
- 직접노무비는 8월과 9월을 제외한 7월, 10월, 11월, 12월에서 실제 발생금액이
표준 금액을 초과하여 발생함
14.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직접경비 분석(1)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에 의한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 결과 가장 낮은
생산량(430개)을 보인 월은 1월이며, 변동 직접재료비는 4. 2억원임.
가장 높은 생산량(712개)을 보인 월은 4월이며 변동 직접재료비는 4.8억원임.
2018 Max & Min Calculate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단위당 평균 원가 계산
[36,321,000(MAX)-88,321,300(MIN)]/[712(MAX)-430(MIN)]=@-184,398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추가 허용 가감원가 계산
88,321,300(MIN)-[430(MIN)X@-184,398]=167,612,440
15.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직접경비 분석(2)
냉장고 제품의 1월부터 6월까지의 상반기 평균 생산량은 576개이며, 평균 변동 직접경비는
56(벡만원)임. 7월부터 12월까지의 하반기 평균 생산량은 711개이며, 평균 변동 직접경비는
83(백만원)이며 고 ∙ 저점법에 따른 표준경비와 일치하는 월은 12월인것으로 진단 됨
2018 First Half Actual Cost Diagnosis
■ 1월~6월 생산량 분석 (평균 생산량: 576개)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월은 4월 712개이며 가장 낮은 월은 1월 430개임
■ 1월~6월 변동 직접경비 분석 (평균 변동 직접경비 56백만원)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4월의 변동 직접경비는 36(백만원)이며 가장
낮은 1월의 변동 직접경비는 88(백만원)으로 계상됨
- 실제 생산량과 변동직접경비가 일치되는 월은 3월, 6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발생 변동 직접경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월은
1월, 2월, 4월, 5월, 6월임
- 실제 생산량보다 변동 직접경비가 더 많이 발생한 월은 1월임
2018 Second Half Max & Min Diagnosis
■ 7월~12월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경비 분석
- 실제생산량과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경비가 일치하는 월은 7월, 11월임
- 하반기 실제 발생 변동 직접경비와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직접경비가 일치하는 월은 12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변동 직접재료비가 일치하는 월은 없는 것으로 나타남
16.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간접노무비 분석(1)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에 의한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 결과 가장 낮은
생산량(430개)을 보인 월은 1월이며, 변동 간접노무비는 6.4(백만원)임.
가장 높은 생산량(712개)을 보인 월은 4월이며 변동 간접노무비는 4.6(백만원)임.
2018 Max & Min Calculate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단위당 평균 원가 계산
[4,650,000(MAX)-6,400,000(MIN)]/[712(MAX)-430(MIN)]=@-6,205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추가 허용 가감원가 계산
6,400,000(MIN)-[430(MIN)X@-6,205]=9,068,150
17.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간접노무비 분석(2)
냉장고 제품의 1월부터 6월까지의 상반기 평균 생산량은 576개이며, 평균
변동 간접노무비는 4.7(백만원)임. 7월부터 12월까지의 하반기 평균 생산량은
711개이며, 평균 변동 간접노무비는 5.9(백만원)이며 고 ∙ 저점법에 따른 표준
간접노무비와 전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진단 됨.
2018 First Half Actual Cost Diagnosis
■ 1월~6월 생산량 분석 (평균 생산량: 576개)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월은 4월 712개이며 가장 낮은 월은 1월 430개임
■ 1월~6월 변동 간접노무비 분석 (평균 변동 간접노무비 4.7백만원)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4월의 변동 간접노무비는 4.65(백만원)이며 가장
낮은 1월의 변동 간접노무비는 6.4(백만원)으로 계상됨
- 실제 생산량과 변동간접노무비가 일치되는 월은 3월, 5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발생 변동 간접노무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월은
1월, 2월, 4월, 6월임
- 실제 생산량보다 변동 간접노무비가 더 많이 발생한 월은 1월임
2018 Second Half Max & Min Diagnosis
■ 7월~12월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간접노무비 분석
- 실제생산량과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간접노무비가 일치하는 월은 10월임
- 실제 발생 변동 간접노무비와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간접노무비는 전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변동 간접노무비가 일치 하는 월은 8월임
18.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간접경비 분석(1)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에 의한 변동 간접경비 분석 결과 가장 낮은
생산량(430개)을 보인월은 1월이며, 변동 간접경비는 19(백만원)임.
가장 높은 생산량(712개)을 보인 월은 4월이며 변동 간접경비는 19(백만원)임.
2018 Max & Min Calculate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단위당 평균 원가 계산
[19,321,000(MAX)-19,321,000(MIN)]/[712(MAX)-430(MIN)]=@0
■ 1월~6월 고·저점법에 의한 추가 허용 가감원가 계산
19,321,000(MIN)-[430(MIN)X@0]=19,321,000
19. 원가진단분석 / 냉장고 제품의 고∙저점법 분석 < 변동
간접경비 분석(2)
냉장고 제품의 1월부터 6월까지의 상반기 평균 생산량은 576개이며, 평균
변동 간접경비는 2.1(백만원)임. 7월부터 12월까지의 하반기 평균 생산량은 711개이며,
평균 변동 간접경비는 22(백만원)이며 고 ∙ 저점법에 따른 표준 간접경비와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월은 11월임
2018 First Half Actual Cost Diagnosis
■ 1월~6월 생산량 분석 (평균 생산량: 576개)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월은 4월 712개이며 가장 낮은 월은 1월 430개임
■ 1월~6월 변동 간접경비 분석 (평균 변동 간접경비 2.1백만원)
- 생산량 기준 가장 높은 4월의 변동 간접경비는 19(백만원)이며 가장
낮은 1월의 변동 간접경비는 19(백만원)으로 계상됨
- 실제 생산량과 변동 간접경비가 일치되는 월은 1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발생 변동 간접경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월은
2월, 3월, 4월, 5월, 6월임
- 실제 생산량보다 변동 간접경비가 더 많이 발생한 월은 3월임
2018 Second Half Max & Min Diagnosis
■ 7월~12월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간접경비 분석
- 실제생산량과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간접경비가 일치하는 월 은
7월, 11월임
- 실제 발생 변동 간접경비와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변동 간접경비 가 일치하는
월은 11월임
- 실제 생산량과 실제 변동 간접경비가 일치 하는 월은 7월, 9월, 11월임
20. 원가진단분석 < Z유형 분석 < 냉장고 제품 변동 직접재료비
기준 분석
냉장고 제품의 변동 직접재료비를 기준으로 Z유형을 분석해 보면 전반적으로
고른 Z유형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매월 큰 변동 없는 일정한 변동원가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진단 됨
냉장고 제품의 변동 직접재료비 기준 Z유형 진단 결과
• 당월 변동 직접재료비 발생 부분
- 증감을 보이는 월은 2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 12월로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함에 따라
수평 하지 못하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 제품 생산량에 따른 적정 재료비의 투입 여부, 적정 수율
여부, 품질 불량에 따른 재료 감모 수량 여부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음
• 당월 변동 직접재료비 누계 부분
-당월 변동 직접재료비는 일정하게 누계되어 발생하고 있어 당월 누계선도 대각선의 수평을 이루고 있음
• 이동 월 변동 직접재료비 합계 부분
- 증감을 보이는 월은 2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 12월로서 당월 변동 직접재료비선과 마찬가지로
수평 하지 못함
21. 원가진단분석 < Z유형 분석 < 냉장고 제품 생산량 기준 분석
냉장고 제품의 생산량을 기준으로 Z유형을 분석해 보면 당월 선과 이동 월 합계
선이 약간 고르지 못한 Z유형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생산량의 증감 변화에
따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진단 됨
냉장고 제품의 생산량 기준 Z유형 진단 결과
• 당월 생산량 발생 부분
- 증감을 보이는 월은 3월, 5월, 7월, 10월, 11월, 12월로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함에 따라 수평
하지 못하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 생산 Lead Time의 적정 여부, 주문량의 증감 여부, 불량률의
증감 여부, 생산 수율의 적정성 여부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음
• 당월 생산량 누계 부분
- 당월 생산량 누계선은 당월 생산량의 증감 폭이 크지 않음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누계됨으로
대각선의 수평을 이루고 있음
• 이동 월 생산량 합계 부분
- 증감을 보이는 월은 3월, 5월, 7월, 10월, 11월, 12월로서 당월 생산량선과 마찬가지로 수평 하지 못함
22. 원가진단분석 < Z유형 분석 < 냉장고 제품 출고액 기준 분석
냉장고 제품의 생산량에 따른 출고가액을 기준으로 Z유형을 분석해 보면
당월 선과 이동 월 합계 선이 약간 고르지 못한 Z유형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출고가액의 증감 변화에 따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진단 됨.
냉장고 제품의 생산량에 따른 출고가액 기준 Z유형 진단 결과
• 당월 출고가액 부분
- 증감을 보이는 월은 5월, 6월, 8월, 11월, 12월로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함에 따라
수평 하지 못하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 생산량에 따른 판매단가 적정성 여부,
고가 제품 및 저가 제품의 생산 여부, 반제품의 생산 여부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음
• 당월 출고가액 누계 부분
- 당월 출고가액 누계선은 당월 출고가액의 증감 폭이 크지 않음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누계됨으로 대각선의 수평을 이루고 있음
• 이동 월 출고가액 합계 부분
- 증감을 보이는 월은 5월, 6월, 8월, 11월, 12월로서 당월 출고가액선과 마찬가지로
수평 하지 못함
23. 원가진단분석 < 생산량에 따른 산포도 선형분석
< 변동직접재료비·변동직접노무비·변동직접경비 선형분석
냉장고 제품의 산포도 선형분석은 생산량 대비 변동 직접재료비 선형분석은 미흡,
생산량 대비 변동 직접노무비 선형분석은 양호, 생산량 대비 변동 직접경비는
보통의 수준으로 각각 진단됨
생산량 대비 변동원가 선형분석 (단위:개∙백만원)
○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재료비 산포도 선형분석
-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재료비에 대한 연평균 추세선은 643 ∙ 525임
- 연평균 산포도 추세선 중앙에 위치한 월은 2월 550 ∙412,
7월 640 ∙ 378, 5월 620 ∙ 405임
- 연평균 추세선 상단에 위치한 월은 1월 430 ∙ 424, 2월 550 ∙ 412, 3월 500 ∙ 421,
6월 644 ∙ 428, 4월 712 ∙ 489, 9월 958 ∙ 420임
- 연평균 추세선 하단에 위치한 월은 12월 508개 ∙ 309, 7월 640 ∙ 378,
8월 800 ∙ 369임
- 생산량대비 변동직접재료비의 발생은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미흡한 상태이며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 것으로 진단됨
○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경비 산포도 선형분석
-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경비에 대한 연평균 추세선은 평균 생산량 643 ∙ 70임
- 연평균 산포도 추세선 중앙에 위치한 월은 2월 550 ∙ 11, 3월 500 ∙ 16,
4월 712 ∙ 18, 5월 620 ∙ 17, 6월 644 ∙ 18, 7월 640 ∙ 22, 8월 800 ∙ 19,
9월 958 ∙ 20, 12월 508 ∙ 19임
- 연평균 추세선 상단에 위치한 월은 1월 430 ∙ 88, 10월 702 ∙ 92, 11월 656 ∙ 86임
- 생산량대비 변동직접경비의 발생은 전반적으로 일정하나 평균 변동직접경비와 다른
월이 부분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이에 따른 관리가 필요하며 보통으로 진단 됨
○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노무비 산포도 선형분석
-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노무비에 대한 연평균 추세선은평균 생산량 643 ∙ 19임
- 연평균 산포도 추세선 중앙에 위치한 월은 1월~12월로서 추세선은 평행을 유지하며
변동직접노무비는 평균적으로 일정하게 지출되고 있음
- 생산량대비 변동직접노무비의 발생은 일정하므로 매우 양호한 상태로 진단 됨
①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재료비 산포도 분석
②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경비 산포도 분석
③ 생산량 대비 변동직접노무비 산포도 분석
문의처 : (주)한국경영회계연구원
(공공기관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제조기업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종합병원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032-240-6335
대표원장 조현석 ☎ 010-2246-3953
#원가관리, #제조기업, #재고자산, #조현석, #원가회계, #제조원가명세서, #원가계산, #원가분석, #원가진단, #원가진단사,#제품별 원가계산,
#공정별 원가계산, #표준원가, #원가컨설팅, #CAMS, #원가관리사, #전산원가사, #공공기관 원가계산,#제조기업 원가계산, #종합병원 원가계산,
#제품별 손익분기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