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대경선(大慶線)타GO 구미(龜尾)나들이 - 2025.02.15
대경선 개통 2달이 되어 구미에 사시는 정일성 동기를 만나러 대경선을 타고 하루 나들이를 하였습니다.
이날 참여자는 이훈보, 윤학용, 채상수 3명이 동대구에서 출발하여 구미역을 왕복하였고, 구미에서 김무호 동기도 합류하였습니다.
대경선에 대해 소개드리 겠습니다.
대경선은 2025년 12월 14일 개통되었습니다.
대경선의 시간표, 요금 체계, 환승 할인 혜택, 그리고 주요 역 간 소요 시간 등 모든 정보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구와 경북 지역 주민들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줄 대경선, 지금 바로 알아볼까요?
대경선 노선 및 주요 정차역
대경선은 경북 구미에서 출발하여 대구를 거쳐 경북 경산까지 이어지는 총 61.85km의 노선입니다.
이 노선은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철도로, 대구와 경북 지역의 교통 혁신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경선(大慶線) 주요 정차역
대경선은 다음과 같은 8개의 주요 역을 경유합니다.
구미↔사곡역↔북삼역↔왜관역↔서대구역↔대구역↔동대구역↔경산역
이 중 북삼역은 2024년 말 이후 개통 예정이며, 나머지 역들은 이미 운영 중입니다.
특히 서대구역, 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 도시철도와의 환승이 가능해 더욱 편리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대경선 요금 체계 및 환승 할인
대경선의 요금 체계는 기본요금에 거리비례 요금을 더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할인 혜택을 통해 이용객들의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기본 요금 체계
기본 요금 : 1,500원 (10km까지)
추가 요금 : 5km마다 100원씩 추가
권역간 이동시 : 200원 추가
예를 들어, 구미에서 경산까지의 최대 요금은 2,800원입니다.
환승 할인 혜택
대경선은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광역환승제도에 포함되어 있어, 다른 대중교통과의 환승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버스나 도시철도와 환승 시 : 기본요금의 50% 할인
환승 가능 시간 : 하차 후 30분 이내 (경북 시군은 1시간 이내)
최대 환승 횟수 : 2회까지
이러한 환승 할인 제도는 대구, 경산, 영천을 포함한 총 9개 시군으로 확대되어 더 많은 이용객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별 할인 제도
정기권 : 통근, 통학객을 위한 할인 정기권 제공
경로/ 장애인/ 국가유공자 : 관련 증빙 서류 제시 시 운임 할인
이러한 다양한 할인 제도를 통해 대경선은 이용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경선 시간표 및 운행 정보
대경선은 하루종일 빈번하게 운행되어 이용객들의 편의를 최대한 보장합니다.
평일과 주말, 그리고 시간대별로 다른 운행 간격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운행 시간
첫차 시간
구미 → 경산 : 오전 5시 25분
경산 → 구미 : 오전 5시 35분
막차 시간
구미 → 경산 : 오후 11시 50분
경산 → 구미 : 자정 10분
운행 간격
출퇴근 시간대(평일) : 약 15분 간격
일반 시간대 : 약 20~25분 간격
운행 횟수
평일 : 하루 총 100회
주말 및 공휴일 : 하루 총 96회
이렇게 빈번한 운행으로 인해 대경선은 이용객들에게 높은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의 15분 간격 운행은 직장인과 학생들의 이동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구간별 소요 시간
대경선은 빠른 속도와 효율적인 노선 설계로 주요 도시 간 이동 시간을 크게 단축시켰습니다.
다음은 주요 구간별 예상 소요 시간입니다.
구미 → 서대구 : 약 37분
구미 → 대구 : 약 40분
구미 → 경산 : 약 48분
대구 → 경산 : 약 16분
동대구 → 경산 : 약 11분
이러한 빠른 이동 시간은 대구와 경북 지역의 생활권을 더욱 넓히고, 지역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구미에서 대구까지 40분대, 대구에서 경산까지 11분이라는 짧은 이동 시간은 통근, 통학, 그리고 여가 활동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구미(龜尾) 금오산(金烏山))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산33
금오산은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과 김천시 남면 오봉리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금오산은 높이 약 976.5m로 김천시 동부 및 구미시 서부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금오산 일대는 풍화 및 침식에 강한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 산지와는 비교될 정도로 규모가 크고 경사가 급한 산을 이루고 있다. 금오산 정상의 서사면 바로 아래에는 경사가 완만하고 기복이 낮은 상대적으로 넓은 곡지를 이루고 있으며, 이곳에 금오산성(金烏山城)이 자리잡고 있다.
금오산은 도립공원으로서, 금오산 저수지 부근에는 각종 관광 및 위락 시설이 자리잡고 있다.
구미(龜尾) 금오저수지(金烏貯水池)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414-180
금오산저수지는 금오산도립공원 내에 있는 1종 저수지로, 금오산 정상 부근에 형성된 고위 평탄면에서 내린 빗물 등이 북쪽 계곡을 따라 모이고, 명금폭포를 지난 물이 계류를 이루어 흐르다가 모이는 곳이다.
주변 둘레 길이는 약 4㎞이며, 여기서 시작된 금오천이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구미시민의 선유장으로 유명하며, 낚시는 금지되어 있다.
구미(龜尾) 백운공원(白雲公園)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구암 김취문 묘소와 백운재가 위치하고 선산김씨 문간공파의 지소 예로부터 백운계곡 이라고 불리어온 지명에따라 이곳을 백운공원이라 명명했다한다.
백운재와 북천재에 클라우드 카페가 있다.
구미(龜尾)성리학역사관(性理學歷史館)
소재지 :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28-7
구미성리학역사관은 2020년 10월23일 개관한 구미시 최초의 제1종 공립전문박물관이다.
조선 인재의 반이 영남에 있었고 영남 인재의 반은 구미에 있었음을 확인하고자 건립되었으며, 금오산 저수지 옆에 자리하고 있어 다채롭게 변화하는 금오산의 사계절을 한눈에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구미의 역사적 의미와 역할에 대해 전시한 구미역사관, 조선 성리학의 학문 경향과 계보에 대해 전시한 성리학전시관,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담은 기획전시관 등 3개 동의 전시실과 성리학 관련 도서를 열람하고 목판 탁본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사랑방,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교육관까지 여러 개의 개별동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