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비 서류 |
1. 시장ㆍ군수의 검토의견서 2. 관계전문가 조사의견(향토유산 조사 심의 자료 등) 3. 문화재의 연혁ㆍ특징, 지정 가치 및 근거기준에 관한 세부 설명자료 4. 문화재 도면자료(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그 밖의 필요도면 등) 5. 학술ㆍ고증자료(연구보고서, 조사보고서, 실측자료, 문헌자료, 옛 사진자료, 탁본자료 등) 6. 사진자료(항공 또는 위성사진, 원경, 근경, 전경, 세부 현황, 2,000×1,500픽셀 이상의 디지털파일 포함) 7. 문화재(보호물ㆍ보호구역 포함)의 위치도, 지적도(1:500~1:1,500), 수치도(1:5,000), 지형도(1:500~1:1,500), 이미지파일 및 캐드 또는 쉐이프(SHP)파일 8. 역사문화 환경 보존지역의 문화재 보존 영향 행위기준(안) 9. 문화재 보존 정비ㆍ활용계획(안) 10. 해당 지역의 토지이용계획 및 개발계획 현황 11. 건축물대장 등본, 건물등기부 등본, 토지(임야)대장 등본, 토지등기부 등본 등 12. 「전라남도문화재보호조례 시행규칙」 제8조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 제9조제2항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자료 준용 ※ 구비서류는 책자(컬러인쇄, 15부) 및 CD(1장)로 제출
제8조 (지정에 관한 자료) ①도지사가 도 지정 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또는 그 보호물의 보호 구역을 지정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1. 문화재의 종별, 명칭, 수량, 소재지 또는 보관 장소. 2. 문화재의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무형문화재의 보유단체 인 경우에는 명칭 및 설립 년 월일과 대표자의 성명 및 주소). 3. 문화재의 소재지 또는 보관 장소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 (보호구역 또는 보호물을 지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 구역 또는 수량과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 4. 문화재의 작자, 유래 및 전설. 5. 현장에 관한 설. 6. 문화재의 자료, 품질, 구조, 형식, 크기 및 형태(무형문화재의 경우에는 그 내 용과 특징) 7. 문화재의 사진, 도면 녹음물 및 기록물 8. 문화재의 보호, 관리에 필요한 제한 또는 금지에 관한 사항 9. 기타 지정에 필요한 사항 ②제1항의 경우 무형문화재의 지정에 관한 것인 때에는 제1항 각호의 사항 외에 다 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무형문화재의 보유자·명예보유자·보유단체의 인정에 관한 취지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개정 2002. 2. 27). 1. 보유자 또는 보유단체 대표자의 이력서 2. 보유자 또는 보유단체 대표자의 사진(최근 6월 이내에 촬영한 탈모 상반신 명 함판) 3매 3. 설립을 증명하는 자료(보유단체의 경우에 한한다) ③시장·군수가 조례 제12조 및 제18조의 규정에 의하여 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 자 료로 지정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문화재가 있을 때에는 제1항 및 제2항의 사항 을 갖추어 도지사에게 신청할 수 있다. (개정 99. 9. 27).
|
도지정문화재 등의 지정ㆍ인정 자료보고서 | ||||||||||||
문화재 구분 |
① 지정 종류 |
유형문화재(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을 지정 삭제) | ||||||||||
② 유형/종목 |
석조건축물류 /장방형 석장묘 | |||||||||||
대상 문화재 현황 |
③ 명칭 |
한글 |
의 석장묘 |
한자 |
의 石匠墓 | |||||||
영문 |
| |||||||||||
④ 시대/연대 |
고려후기 | |||||||||||
⑤ 소재지(지번주소/도로명주소) |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산33의8번지/ | |||||||||||
⑥ 구조/형식/형태 |
묘의 크기는 3m*4.6m*1m이다. 묘 양 옆에는 8m 간격으로 석인상이 서 있고 비석은 없다. 이 묘는 장방형 석장묘 형태로 보아 고려시대 후기 분묘로 추정된다. | |||||||||||
⑦ 재료/품질 |
대리석 | |||||||||||
⑧ 수량/규모/크기 |
해당 문화재 |
전라남도 문화재, 또는 국가문화재 | ||||||||||
보호구역 |
| |||||||||||
보호물 |
| |||||||||||
⑨ 현재 용도/기능 |
고총(석장묘) | |||||||||||
⑩ 소유자 (단체) |
성명(명칭) |
하동정씨대종회 |
전화번호 |
010-7700-6677 | ||||||||
주소 |
서울동대문구신설동97-8 동광베르빌703호 하동정씨 대종친회 | |||||||||||
⑪ 연혁/유래/특징 |
| |||||||||||
⑫ 관리단체(안) |
단 체 명 |
하동정씨 장령공 관련 연구회 |
대표자 |
회장 정 찬 용 | ||||||||
지정신청사유 |
본 고총은 한반도에서 보기드문 장방형 석총으로써.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크고 보존할 필요성이 있으며 역사와 문화연구는 물론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적임. | |||||||||||
⑬ 지정가치 및 근거기준 |
문화재법 제 조... | |||||||||||
위와 같이 「전라남도문화재보호조례 시행규칙」 제8조[「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제17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 준용]에 따라 도지정문화재 등의 지정에 관한 자료를 제출합니다. 2014. 년 월 일
전라남도지사 귀하 |
문화재 지정대상 및 범위 설정(안)
□ 문화재가 건축물ㆍ구조물 등인 경우 (면적: ㎡)
□ 문화재가 토지인 경우(문화재구역) (면적: ㎡)
|
보호구역 지정대상 및 범위 설정(안) (면적: ㎡)
| |||||||||||||||||||||||||||||||||||||||||||||||||||||||||||||||||||||||||||||||||||||||||||||||||||||||||||||||||||||||||||||||||||||||||||||||||||||
297㎜×210㎜[일반용지 60g/㎡(재활용품)] |
보호물 지정대상 및 범위 설정(안) (면적: ㎡)
| ||||||||||||||||||||||||||||||||||||||||||||||||||||||||||||||||||||||||||||||||||||||||||||||||||||||||||||||||||||||||||||||||||||||||||||||||||||||||||||||||||
297㎜×210㎜[일반용지 60g/㎡(재활용품)] |
문화재의 인문환경 및 현상ㆍ관리 상황
| ||||||
|
구 분 |
내 용 |
비 고 |
현재의 보존 상태 및 보호ㆍ관리상 조치가 필요한 사항
|
고려후기 문신으로 찰방을 지내며 왜적을 방어한 정지상과 담양 월산리 월산마을 뒤200미터 지점 우측임야에 순재지묘는 동일인의 묘이며, 묘의 봉분은 장방형으로 사각형의 석주를 이용하여 삼단으로 쌓은 후 봉분을 축조하였으나 오랜 세월 관리가 부실하여 석축이 뒤틀리고 1단은 묻혀서 정비를 해야 하며 그 외에도 5-6기의 하동정씨 묘(고려, 조선시대)가 인근에 다재 하고 있으나 관리상 애로가 있어 이대로 방치할 경우 크게 훼손될 염려가 매우 큼으로 역사성, 문화적, 교육적 가치를 보존하는 차원에서 조속한 보완과 관리 조치가 필요한 상황임. |
증2-1 고려사 증2-1담양군추성지 증3-1담양군 향사의 맥 1권, 3권
증2-2 현장답사
|
보수ㆍ정비 및 현상변경 이력 |
묘의 크기는 3m*4.6m*1m이다. 묘 양 옆에는 8m 간격으로 석인상이 서 있고 비석은 없다. 이 묘는 장방형 형태로 보아 고려시대 후기 분묘로 추정된다. 상석글씨는 正統七年(세종24년 1442년) 河東鄭氏順齋墓床 壬戌 三月로 되어 있고 상석과 문인석은 돌이 같으며, 묘소둘래 사각 기둥석은 틀린 것으로 보아 순치년 에 복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증3-1 담양군 향사의 맥 1권, 3권 증3-2 담양군 추성지 |
부속시설물(주변) 현황 |
본 고총 주변에 6기 정도의 평범한 고총이 있는바 이는 고려, 조선시대 하동정씨 선조들의 묘소로 추정 한다. 본 묘소10M 인근까지 최근에 2기씩이나 타 묘가 새로 생기고 문인석 1기는 언덕 쪽으로 넘어져 있어 방치할 경우 고총이 크게 훼손위험에 처해있어 매우 안타까운 실정인바 조속한 보호조치를 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증4-1 하동정씨 족보
증4-2 현장답사 |
소재지 및 주변의 지정ㆍ등록 문화재 분포 현황 |
|
|
그 밖의 사항
|
본 고총은 한반도에서 보기 드문 장방형 석총으로써. 한반도 남쪽 끝인 담양 지방에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크다고 보며 보존할 필요성이 있고 역사와 문화연구는 물론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적임과 동시에. 본 고총이 문화재적 가치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위 4분 중 어느 한분으로 추정되는 고총 30m앞에 5-6기의 고총(고려, 조선시대)역시 하동정씨 8. 9. 10세와 관련된 것으로 사료되오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
|
□. 고려사, 담양추성지 등
○. 정지상(鄭之祥)묘지. 문화유적. 출처 : 지역정보포털 향토자원 >문화
위치 : 담양군 월산면 월계리 산33-8
월산리 월산마을 에서 수로를 따라 200m 지점에 농로 우측 임야에 위치한다.
본관은 하동인 정지상(생년미상)은 고려후기 때 문신으로 전라 안겸사, 찰방등을 지내며 왜적을 방어 하였다. 정지상묘의 봉분은 장방형으로 사각형의 석주를 이용하여 삼단으로 쌓은 후 봉분을 축조하였다. 묘의 크기는 3m*4.6m*1m이다. 묘 양 옆에는 8m 간격으로 석인상이 서 있고 비석은 없다.
이 묘는 형태로 보아 고려시대 후기 분묘로 추정된다.
상석글씨는 우측부터 시작하여 正統七年(세종24년 1442년) 河東鄭氏 順齋墓床 壬戌三月 이라쓰여 있다.
○.담양군설화2002년 발간 담양향토문화연구회간행 501쪽 (이해섭 정리).
설화재목 : 석장묘(石葬墓 河東鄭氏順齋墓床).
위 치 : 월산면 월산마을 뒤산.(월산면 월계리 산33-8).
사패기지(賜牌基地) : 석장묘(石葬墓 河東鄭氏順齋墓床).
월산마을 뒤편 월계리 석장등에는 559년 된 하동정씨 순재(河東鄭氏順齋)의 석장묘(石葬墓)가 있는데 상석(床石)에 정통7년 임술3월(正統七年 河東鄭氏順齋墓床 壬戌三月)이라 새겨져 있다. 이묘는 나라에서 국예(國禮)로 장사(葬事)를 지낸 사패기지(賜牌基地)로써 수호자(守護者)가 없다. 풍수설에 따르면 주변의 수렁 골은 벼루의 물통이요. 이 묘지 등은 붓인데 붓이 물에 잠김으로써 붓끝이 풀어진 명당(明堂)이라 뒤를 이어줄 장손이 끊긴다는 묘지(墓地)로 구전(口傳)되어 왔으며 비석(碑石)은 논 수렁에 묻혀 있다고 한다. 마을 뒤편에 가덕봉(加德峰)과 옥여봉(玉女峰)이요. 동편은 오장산(五將山) 서편은 국사봉(國師峰)이 마을을 감싸주고 있고 남으로 멀리 뱀냇(中月川)이 바라보인다.
○.담양군 추성지 기록 :
담양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기록으로 256년전 1758년 영조34년 담양군 향토자원문화유적으로 등록.
冢墓 : 鄭順齊墓 在月山下 子孫無 守護者墓石只有順治禮葬鄭順齊之墓字.
총묘 : 정순제 묘 월산아래에 있다. 자손이 없어 보호해 주는 사람도 없다. 묘 석에는 순치년(1644~1661 인조22년~현종2년)370년전 17년간 나라에서 예우 차원으로 장사를 지내 주었다.
* 상석글씨는 정통7년(세종24년 1442년 하동정씨순재묘상 임술3월로 되어있어 572년 전에는 묘소를 정비한 흔적이 있다.
○.하동정씨 세적실록(1905) :
하동정씨 각 종파에서 고려말 담양에 연고가 있는 사람은 정지상과 정혼이며, 족보상으로는 鄭希周와 鄭宜仲이다
판사공 지상 103 -105쪽, 전리공 혼107쪽, 장령공 희 주129-130,
○. 掌令公 휘는 희주 이시고 성균관 생원시에 합격하여 의영고의 주부와 사헌부장령에 이르렀고 세종때에 원종공신의 칭호를 받으셨으며 1`800년 발행 경신대동보 에는 故今因以爲正 公居潭陽鄭氏先墓多在府東山幕谷面秋月山下麓云而末詳公墓. (譯文 : 옛 연고로 인하여 먼저 담양에 하동정씨 공이 살았으며, 묘는 산막곡면 마을 동쪽 추월산 끝 산자락에 이르러 공의 묘가 있다) 문헌상 확실한 근거를 담양에 두고 계신 분은 장령 공으로 볼 수 있다.
○. 고려사 : 정지상은 1324부터1365(공민왕14년)까지 공민왕 때 감찰지평, 전라도 안렴사, 호부시랑, 어사중승, 판사를 지낸바 있으며
鄭之祥의 妻가 潭陽에서 살다가 倭寇에게 殺害되었다 이에 아들 辛昌時 公爲 典理佐郞 鄭 渾이 어머니 復讐를 위해 朴葳와 함께 對馬島 정벌에 참전 왜선 300여척을 擊破하고 잡혀있던 高麗人 100명을 歸還시켰다.
□. 하동정씨 고려사 인물편
○. 鄭之祥(정지상) 내역
- 12월 鄭之祥을 감찰지평으로 임명 高麗史38世家38 恭愍王 3년 1354條
- 4월 鄭之祥을 巡軍提控으로 삼아 왕을 호위케 하였다 高麗史39世家39 恭愍王 5년 1356年
- 5월 鄭之祥을 察訪으로 임명하였다高麗史 恭愍王 7년 1358條
- 11월 호부시랑 정지상 高麗史39世家39 恭愍王 8년 1359條
- 鄭之祥을 御使中丞(어사중승) 高麗史113 열전26 安祐條
- 鄭之祥을 巡軍提控(순군제공)으로 임명하였다 정지상은 거듭 戶部侍郞, 御使中丞(어사중승)으로 전임되었다가 判事에 이르러 죽었다.
- 정지상의 처는 과부로 潭陽에서 살다가 왜적에게 살해 되었다
- 신창 때에 아들 鄭渾(초명從)은 典理佐郞으로 되었다
- 鄭之祥의 아들 鄭渾(초명從)은 왜적에 대한 복수책을 제의 召募別監이되고 군대 1백여명을 모집해 朴葳(박위) 와 對馬島를 쳤다
- 후에 鄭從을 鄭渾(정혼)으로 고쳤다 (高麗史114 열전27 鄭之祥 條)
□. 1800년 하동정씨 경신대동보(正祖 24년):
○. 10 세조 希周(장령공 희주) 하동정씨계보 제1편 15쪽 年代 確認要望
生員官義盈庫主簿司憲府掌令公世位潭陽府鄭氏墓山多在終府東山莫谷面秋月山下麓無表碣未詳公之墓 ✺경신대동는 무표갈미상고지묘가 안이고 운이말상공묘
○. 11세조 宜仲 (의중) 하동정씨계보 제1편 15쪽 7 . 8. 9. 10대조 실전
字友甫永樂戊戌生我世宗朝中司馬除 潭陽府敎授終不入官碁酒自娛鄕人敬服弘治庚戌卒享年73墓在羅州南面茅山洞北麓座之原有表石配寧海朴氏進士尊義女興公同年生同年卒墓合附公自潭陽移居茅山村以配朴氏鄕故也
(永樂16,太宗18戊戌1418生, 弘治3,成宗20年庚戌卒1490年 73歲)
○. 十 世 希周 희주 庚戌修派譜(哲宗1850年)하동정씨족보권지11 下編
生員義盈庫主簿司憲府掌令按舊家乘以公爲竹堂公復周弟而當宁庚戌修派譜時考咸陽舊草譜則公諱上有諱賢諱之仁兩代諱賢爲樞密公第二子故今因以爲正公居潭陽鄭氏先墓多在府東山幕谷面秋月山下麓云而末詳公墓 子 宜伯 宜仲 宜叔 宜季
故今因以爲正 公居潭陽鄭氏先墓多在府東山幕谷面秋月山下麓云而末詳公墓.
譯文 : 옛 연고로 인하여 먼저 담양에 하동정씨 공이 살았으며, 묘는 산막곡면 마을 동쪽 추월산 끝 산자락에 이르러 공의 묘가 있다. (정씨의 선조 묘가 먼저많이 있으며)府東 : 담양부 동쪽 이라고 함.
○. 11세조 宜仲 의중庚戌修派譜(哲宗1850年)하동정씨족보권지11 年代 確認要望
字友甫太宗戊戌生世宗祖中司馬除潭陽府敎授不赴成宗庚戌卒壽世73墓羅州非音面茅山村後熊峰下壬坐配寧海朴氏父進士燇義戊戌生庚戌卒壽73墓附子收敘,承敘
□. 연락처 및 첨부물
○.연락처 : 광주직할시, 동구, 구성로204 무등사랑
대표, 정찬용 010-9457-6688,
정 찬 규010-7700-6677, 정 찬 정 010-5285-7294
○. 첨부물 : 고총 및 주변 현황사진 3부 끝
|
첫댓글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 드립니다 교수공의 묘소가 담양에 있는데 찾지를 못하고 있다는 문중 어르신들 이야기만 듣다가 이렇게 자세한 정보 알게되여 기쁘며 꼭 찾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