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정의 및 구성
태양광 발전은 무한하고 공해가 없는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술로, 이러한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태양전지(Sola Cell)로 구성된 모듈(Module)과 전력변환장치(인버터)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직류전력(DC Tpye)를 발생시키는 발전방식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라고 합니다.
기본 원리로는 반도체의 PN 접합으로 구성된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하여 태양전지에 정공과 전자가 발생하게되며,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전자는 N형
반도체 방향으로 모이면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2. 태양광 발전시스템 구성도 및 용어 정리

1) 태양전지
-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반도체의 일종인 장치로 셀(Cell)을 기본 단위로 한다.
- 태양전지 하나는 약 0.5 ~ 0.6V 의 낮은 전압을 발생하기때문에 여러장을 직렬로 연결하여 모듈을
구성하여 사용한다.
2) 태양전지 모듈
-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셀(Cell)을 일정한 전압을 발생하도록 고정하여 구성된 형태로 제작된다.
- 모듈의 효율(태양광을 얼마나 전기로 변환 하는가)은 태양전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3) 태양전지 어레이
-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태양전지 셀의 집합인 모듈을 모아 구성한 태양광 판을
말하며 집합체, 배열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레이라고 불린다.
- 즉, 태양전지 어레이는 여러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여 희망하는 직류정압 발전
전력을 만드는 조합을 말합니다.

4) 인버터와 계통연계보호장치
- 인버터(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는 인버터부와 계통연계보호장치(주파수가
일정범위 밖으로 상승 하거나 낮아지는 경우의 검출, 과부족 전압의 검출, 배전선의 정전 검출 등의
안전기능 담당)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태양광 시스템의 효율이나 성능, 내구성, 수명 등의 문제와
직결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