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체육사 ]
* 선사.부족국가시대
. 제천행사, 성인식, 유희활동
. 체육활동 : 수렵, 궁술, 무용
* 삼국시대 교육단체
- 백제 : 박사제도
- 신라 : 국학
- 고구려 : 경당, 태학
-> 수렵도(말타고 활쏘기)
* 삼국.통일신라시대
. 유교,불교도입(불국토 사상)
. 무속신앙, 낭가사상
. 교육기관이 대두(무예교육 - 상무정신)
. 민속.오락놀이 : 각저(씨름), 격구(폴로), 위기(바둑), 추천(그네뛰기), 수박(격투기)
. 화랑 : 세속오계(사군이충,사친이효,교우이신,임전무퇴,살생유택)
* 고려시대
. 불교중심
. 교육기관설립(향교, 학당, 서당), 과거제도 시행
. 숭문천무사상 -> 무신정변 원인
. 귀족사회 : 격구, 방응(매사냥), 투호를 즐김
. 수박, 궁술 : 출세 및 인재 등용문
* 조선시대
. 유교중심, 불교배척
. 숭문천무사상, 활쏘기 중시됨
. 학교체육 : 육예중서 체육활동은 활쏘기, 마술
- 성균관 : 대사례 (활쏘기, 예와 악을 확립)
- 향교 : 향사례 (활쏘기, 예와 악을 확립을 통한 향촌 교화)
. 무예체육
- 무예도보통지 : 종합무예서(무->기예, 도보->그림, 통지->종합), 정조지시로 집필
- 편사 : 편을 나누어 활쏘기 겨루는 행사(5인이상)
. 활인심방 : 퇴계이황 필서(치심과 수양 강조)
- 신체건강법으로 8단도인법, 정신건강법으로 중화탕30미
* 개화기
. 원산학사 : 체육(체조)실시(최초 근대학교)
. 화류회 : 최초 운동회
. 서구식 스포츠 도입
. 스포츠클럽, 체육구락부 활성화
. 체육단체 : 대한체육구락부, 대동체육구락부, 황성기독교청년 운동부, 대한민국체육회
* 일제강점기
. 명칭변경 : 격검->검도, 유술->유도
. 황국신민체조 실시 : 검을 이용 무사도 정신강조
. YMCA를 통해 근대 스포츠 소개됨
. 국궁, 씨름 등 민족전통경기 부활되었으나, 체육.스포츠가 탄압받기 시작(연합운동회 탄압, 체육의 교련화, 체육단체 해산 등)
. 1936년 베를린올림픽 참가 : 동아일보 이길용기자 일장기말살사건
. 체육단체 : 조선체육회(1920), 관서체육회, 기타 청년회 체육활동
* 광복이후
. 체육학과 신설, 체육의 학문적 성장(학회지 발간 등)
. 1947 : 대한올림픽위원회 발족
. 1948 :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입, 하계/동계 올림픽 첫출전
. 1953 : 한국체육학회 창설
. 1966 : 태릉 선수촌 완공
. 1977 : 한국체육대학 설립
. 1989 : 체육공단설립
. 1991 : 국민생활체육협의회 창립
. 2005 : 대한장애인체육회 설립
. 체육부(1982) -> 문화관광부(1998) -> 문화체육관광부(2008
[출처] 스포츠지도사 2급 필기 요약정리(한국 체육사) |작성자 하늘무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