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多文化主義,multiculturalism)
"사회적 소수집단의 정체성과 문화적 이해를 공공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인정하려는 일련의 흐름"(김남국, 2005). 문화적 다양성을 장려하는 생각이나 정책을 말한다.
서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하며 사회 내에서 조화로운 통합을 이루어나가게 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다민족, 다인종 국가에서 사회적 규범의 기준이 되는 핵심 가치이다.
다문화주의는 1970년대 캐나다에서 처음 대두되었고 미국과 호주 등 이민자의 나라에서 활발히 논의되면서 세계적인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다. 세계화가 확산되면서 한 사회 내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일이 빈번해졌고 이때 각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자는 개념으로 쓰이고 있다. 보다 넓게 해석하면 20세기동안 주류 문화로 군림해온 서구 문화와 백인 문화 중심에서 벗어나 비서구, 소수 인종 문화도 동등하게 존중하며 공존할 것을 주창하는 입장이다.
1. 용광로 이론(鎔鑛爐理論. melting pot theory)
인종 문화 등 다양한 문화의 여러 요소가 하나로 융화될 수 있으리라 보는 관점.사회를 거대한 용광로로 보고, 수많은 이민자를 철광석에 비유하여 그들이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기존 문화에 용해된다는 이론이다. 중국은 수많은 소수 민족이 있지만 국민의 대다수인 한족 중심 정책을 쓰면서 소수민족 문화를 전체에 융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용광로 이론에 입각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
2. 샐러드볼 이론(salad bowl theory)
서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하며 사회 내에서 조화로운 통합을 이루어나가게 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문화 상대주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다민족, 다인종 국가에서 사회적 규범의 기준이 되는 핵심 가치이다.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자는 이론으로 모자이크 이론이라고도 불린다. 샐러드볼(salad bowl)은 비유적인 의미로 지어진 단어인데, 국가라는 큰 그릇 안에서 다양한 문화들이 각자의 고유한 맛을 가지고 샐러드처럼 함께 어울리는 맛을 만들어나가는 것을 뜻한다.
문화 모자이크(la mosaïque culturelle)는 사회 내에서 공존하는 소수 민족, 언어 및 문화의 혼합이다.
샐러드볼 이론은 이민자들을 기존 문화에 통합 및 흡수시키려는 용광로 이론과 달리, 다양한 문화들의 독립성과 공존을 중시한다.미국과 호주 등 이민자가 많은 나라에서 1970년대에 등장해 활발히 논의되면서 세계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샐러드볼과 같은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다양한 문화들을 존중하는 문화 상대주의와 관용을 지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