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도로로 나와 택시를 호출하여 칠보산 약수터로 간다.(택시로7km거리)
▲칠보산 입구 갈림길.. 수원과 화성시경계 지점
▲칠보산 약수터: 칠보산 등산로 입구에는 각종 표지판과 초소, 녹지지대, 약수터 등 각종 시설물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 칠보 약수터 시설은 최첨단으로 되어있다.
▲저 앞에 보이는 택시를 돌려보내고 지맥길을 이어간다.
▲본격적인 칠보산 등산이 시작된다. 칠보산 정상까지,4.11km 이정표가 있다.
▲이곳부터 칠보산까지4.11km 지나 수도권 제2고속도로(수원-광명, 과천-봉담, 봉담-동탄)으로 이어지는 생태이동통로를 지날 때까지 칠보산구간6.3km의 긴 구간을 지나야
한다.
▲잘 조성된 칠보산까지의 등로를 지나게 된다.
▲산불감시초소(148.9m봉) 앞으로 직진해서 올라간다.
▲ 칠보산 등산로에는 운동시설이 간간이 보인다.
▲맨발로 걷는길. 맨발로 걷는 사람이 꽤 많이
보인다.
▲(약160m봉) 칠보산 제1전망대. 팔각정자, 운동기구와 보물을 가진바위.
▲눈을 지긋이 감고 엎드린 댕댕이 같기도 하고, 스핑크스를 닮은 듯도 하고.
▲제1전망대 팔각정 옆에 있는 보물을 가진 바위
▲제1전망대 팔각정 옆에 있는 보물을 가진 바위의 유래
▲무학사 갈림길: 좌측 금곡동쪽 300m정도 내려가면 무학사가 있고 우측으론 매송면 어천리가 있다. 어천리(漁川里)는 화성시 매송면에 있는 법정리로서 어랑천가에 있으며 어천 저수 지가 있는 마을로 어랑천가가 되므로 어랑내, 어량내 또는 어랑천, 어량천, 어천이라 한데서 어천(漁川)이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자연마을로는 내촌, 외촌 등이 있다. 내촌은 어천리 안쪽 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며 외촌은 어천리 바깥쪽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경기도 유 형 문화재로 우성진이 쓴 일기인 계갑일록이 있다. 이것은 국왕과 동, 서인물의 정치상황에 대한 관찰기록이다.
▲구멍난 바위(해골바위)
▲개심사 갈림길위치번호1-8. 운동기구. 칠보산해설판. 쉼터의자. 칠보산2.1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