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극문〔太極問〕
○ 내가 굴원(屈原)이 지은 〈천문(天問)〉을 모방하여 태극(太極)에 대한 물음을 만들어 놓고는 후학들이 어떻게 답하는가를 보았다. 그 뒤에 답하는 자들이 대부분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것을 보고는 걱정하여 대략 답설(答說)을 만들어서 보기에 편하게 하였다.
○ 이치(理致)는 하나일 뿐이다. 태극에 대한 문답은 변전(變轉)하는 것이 비록 다르기는 하지만 결국 한 이치로 귀결된다. 또한 내가 사사로이 논한 것이 아니라 모두 주자(朱子)가 한 말뜻이다. 다만 일문일답하여 쉽게 깨우쳐서 쉽게 알게 하였다. 이에 감히 기록해 두고서 스스로 살핀다.
01. 〔문〕 노자(老子)의 없는 데서 나와 있는 데로 들어감과 장자(莊子)의 없는 데로부터 있는 데로 나아감과 불씨(佛氏)의 공(空)에 대한 설은 각각 같지 않다. 그런데도 선유(先儒)들이 똑같이 옳지 않다고 하였다. 이것은 어째서인가? 유자(柳子)의 무극지극(無極之極)과 소 선생(邵先生)의 무극지전(無極之前)과 주 부자(周夫子)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은 서로 다른 바가 없는 것 같은데도 또 같지 않다고 하였다. 이것은 어째서인가?
〔답〕 소자(邵子)는 기(氣)를 말하고, 주자(周子)는 이(理)를 말하고, 노자와 장자와 불씨와 유자도 기를 말하였다. 다만 소자는 이를 알고서 기를 말하였다.
02. 〔문〕 노자가 유무(有無)를 말한 것은 유(有)와 무(無)를 둘로 나누어 본 것이다. 주자(周子)가 유무를 말한 것은 유와 무를 하나로 본 것이다. 그런데 주자(朱子)는 말하기를 “무극이태극은 단지 형체가 없으면서 이치는 있는 것을 말한 것이다.[無極而太極 只是說無形而有理]”라고 하였다. 주자가 또 유와 무로 나누어서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또 주자(朱子)가 이미 “유 자를 태(太) 자로 해석할 수 없다.[將有字訓太字不得]”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제 도리어 유리(有理)로써 태극을 해석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답〕 형체가 없으면서 이치는 있는 것이라고 말한 것이 이른바 유와 무를 하나로 본 것이다. 또 유리(有理)의 유(有)는 태극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이(理)가 태극인 것이다.
03. 〔문〕 공자(孔子)는 말하기를 “역에 태극이 있다.[易有太極]”라고 하고, 주자(周子)는 말하기를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다.”라고 하였으니, 이(理)는 하나일 뿐이다. 그런데 역에서는 유(有)라 하고, 태극에서는 무(無)라 하였다. 공자와 주자의 설이 서로 다른 것은 무엇 때문인가?
〔답〕 태극을 위주로 말한다면 유(有)라고 할 수가 없고, 역을 위주로 말한다면 무(無)라고 할 수가 없다. 이것이 바로 주자(朱子)가 “이로써 말하면 유라고 할 수가 없고, 물로써 말하면 무라고 할 수가 없다.[以理言之 則不可謂之有 以物言之 則不可謂之無]”라고 한 것이다.
04. 〔문〕 도와 태극이 이름이 둘인 것은 무엇 때문인가? 풀 하나 나무 하나가 나누어져서 가지가 되고 줄기가 되며 또 나누어져서 꽃을 생(生)하고 잎을 생하여, 생하고 생함이 끝이 없어서 각자가 모두 열매를 이루고 천 열매 만 열매가 또 스스로 생(生)하고 생하는 것이 이른바 무한태극(無限太極)이다. 이것은 유행(流行)하는 곳을 가리켜서 말한 것인데 도리어 그것을 태극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공자가 말하기를 “나의 도(道)는 하나로써 꿰뚫는다.”라고 하고, 맹자는 말하기를 “도는 대로(大路)와 같다.”라고 하였다. 모두 지극한 곳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 그런데 또 그것을 도라고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주자(朱子)가 “도체(道體)의 지극한 것으로 말하면 태극이라고 하고, 태극이 유행하는 것으로 말하면 도라고 한다.[語至極 則謂之太極 語流行 則謂之道]”라고 한 것은 이 설이 옳은가, 그른가? 어찌하여 이와 같이 서로 상반되는가?
〔답〕 유행하는 곳이 참으로 도(道)이긴 하나 태극이라고 할 수가 없다고 한다면 이 태극은 살아 있는 물건이 아니며, 지극한 곳이 참으로 태극이긴 하나 도라고 할 수가 없다고 한다면 이 도는 한쪽으로 치우친 물건이다. 더구나 입언(立言)한 것이 각각 가리키는 바가 있는 경우이겠는가.
05. 〔문〕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의 이 이(而) 자가 중요한가, 사소한가? 아니면 점층의 뜻인가? 이미 ‘무(無)’라고 했는데 또 ‘태(太)’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무극과 태극은 어느 것이 먼저이고 어느 것이 나중인가? 또한 방위(方位)가 있는가?
〔답〕 무(無)와 태(太)는 더하거나 덜 수 없다. 이(而) 자는 사소하며, 점층의 뜻이 없다. 그리고 선후(先後)도 방위(方位)도 없다. 이(而) 자가 사소한 것임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육씨(陸氏)의 의론이 생겨난 것이다.
06. 〔문〕 극(極)은 무엇을 이르는가? 다른 것을 취하여 비유한 것인가, 아니면 이(理)를 일명 극이라고 한 것인가? 남극, 북극, 옥극(屋極), 민극(民極), 이극(爾極), 황극(皇極), 상읍사방지극(商邑四方之極)에서의 극이 태극이라고 할 때의 극과 동일한 물(物)인가?
〔답〕 물(物)이 궁극에까지 이르러 능히 더함이 있을 수 없는 것을 이름하여 극(極)이라 한다. 옛날에 극이라고 칭한 것은 각각 가리키는 바가 있다.
07. 〔문〕 한 사물의 이치를 가리켜 태극이라 하는가, 천지만물의 이치를 가리켜 태극이라고 하는가?
〔답〕 천지만물의 이치를 총괄하여 태극이라고 한다. 그러나 한 사물 가운데에도 역시 하나의 태극이 있다. 그러므로 천하가 함께 공유하는 이치가 있고, 하나의 사물에 갖추어진 바의 이치가 있다. 이것은 동일한 이치이다.
08. 〔문〕 무릇 사물은 그 형체가 있으면 그 이름이 있다. 높고 푸른 것은 하늘이 되고 넓고 두꺼운 것은 땅이 되며, 높은 것은 산이 되고 깊은 것은 바다가 된다. 태극은 그 형체가 어떠하기에 이런 이름이 있는가? 둥근가, 네모난가? 높은가, 낮은가? 큰가, 작은가? 기울었는가, 똑바른가?
〔답〕 사물이 그 형체가 있고 그 이름이 있는 것은 기(氣)가 그 형체를 이루어서이다. 사물이 그 형체가 없이 그 이름만 있는 것은 이(理)이다. 태극은 이를 높여서 부르는 호칭이다. 형체가 없으니 어찌 네모지고 둥글고 크고 작음이 있겠는가.
09. 〔문〕 상천(上天)의 일[載]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 그런데도 태극이라고 말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이른바 상천이 태극인가? 아니면 일이 태극인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는 것을 일러 태극이라고 할 수가 있으며, 또한 그것을 일러 무극(無極)이라고 할 수 있는가? 무성(無聲)과 무취(無臭)의 무(無) 자와 무극의 무 자는 같은가, 다른가?
〔답〕 태극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으며 무극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음의 오묘함이다.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는 것은 그중에서 없음을 말한 것이고,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라는 것은 그중에서 있음을 말한 것으로, 있음을 말하고 없음을 말하는 것은 양쪽 다 구애되는 바가 없다. 높고 푸른 것은 상천이며 ‘일’이 바로 태극이다.
○ 이상은 다 주자(朱子)의 말뜻이다. 북계 진씨(北溪陳氏)가 오로지 무성무취(無聲無臭)로써 무극을 해석하고자 한 것은 아마도 옳지 않은 듯하다.
10. 〔문〕 하늘과 땅 사이에는 동(動)과 정(靜) 양단(兩端)이 있을 뿐이다. 태극은 동인가, 정인가? 아니면 동과 정의 사이에 있는가, 아니면 동과 정의 밖에 있는가? 아니면 동과 정이 태극(太極)인가, 동과 정이 있게 하는 것이 태극인가?
〔답〕 동하지도 않고 정하지도 않으면서 동과 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태극이다. 동과 정의 양단이 순환하여 그치지 않는 것은 기(氣)이다. 대개 동하고 정하는 것은 기이고, 동하게 하고 정하게 하는 것은 태극이다.
11. 〔문〕 동과 정이 있기 이전에 먼저 태극이 있는 것인가, 이미 동과 정이 있은 이후에 이어서 태극이 있는 것인가? 동할 때에는 태극이 어느 곳에 붙어 있으며, 정할 때에는 태극이 어느 곳에 붙어 있는가? 동과 정은 음(陰)과 양(陽)이다. 그런데 음양과 태극은 그 이름이 두 가지로 서로 다르다. 이것은 두 가지 물건인가, 아니면 한 가지 물건이면서 그 이름을 두 가지로 달리한 것인가?
〔답〕 이(理)와 기(氣)는 상대가 아니면 내가 없고, 내가 아니면 상대가 취할 바가 없다. 그러니 이른바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이다. 상대의 동정(動靜)은 나의 동정이다. 어느 한쪽이 동하면 상대 쪽도 동하고, 어느 한쪽이 정하면 상대 쪽도 정하다. 어찌 조금이라도 떨어진 적이 있겠는가.
12. 〔문〕 태극은 형이상자(形而上者)이고, 음양(陰陽)은 형이하자(形而下者)이다. 형이하도 태극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 형이상도 음양이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음양과 태극은 마침내 선후(先後)로 말할 만한 것이 없는가?
〔답〕 이(理)와 기(氣)는 이미 서로 떨어질 수 없으니 참으로 선후를 나눌 수가 없다. 그러나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형이상과 형이하로 말한다면 어찌 선후가 없겠는가.[自形而上下者言 豈無先後]”라고 하였다. 그러니 반드시 선후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면 그 선후를 또한 상상해 알 수가 있다. 태극은 이(理)이며 음양은 기(氣)이다. 형이상(形而上)에 어찌 기가 있겠는가. 기에는 이가 있지 않은 적이 없었으나, 이에는 혹 기가 일찍이 작용하지 않은 곳이 있다.
13. 〔문〕 태극과 음양에 대해 한 몸에서 비유를 취해 보면 성(性)과 심(心)이다. 그렇다면 심이 태극인가, 성이 태극인가? 아니면 어떤 것이 음이 되고 양이 되는가? 성과 심의 관계에서 성이 하나의 물건이고 심도 하나의 물건이어서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는 것인가? 아니면 한 가지 물건이면서 그 이름이 두 가지로 된 것인가? 맹자는 하나의 성만을 말한 데 반해 이천(伊川)은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어서 두 가지 성을 말하였다. 이것은 어째서인가? 위로는 성현(聖賢)에서부터 아래로는 토석이나 곤충에 이르기까지가 모두 하나의 성을 얻었다. 그런데 지금 사람이 품부받은 것에 대해 말하면서는 별도로 두 가지 성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어째서인가?
〔답〕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성은 태극과 같고 심은 음양과 같다. 음양과 태극은 다른 물건이 아니다.[性猶太極也 心猶陰陽也 陰陽之與太極 非二物也]”라고 하였다. 모두 하나의 성(性)을 얻은 것은 이(理)로써 말한 것이고, 기질(氣質)이 천만(千萬)인 것은 기(氣)로써 말한 것이다. 기질지성과 본연지성은 하나의 성이다. 물(物)은 기가 막힌 것을 품부받았으므로 변화하는 이가 없다. 사람은 기가 통한 것을 품부받았으므로 탁한 것이 맑은 것으로 될 수 있고, 어리석은 것이 지혜로운 것으로 될 수 있다. 이것이 《대학》과 《소학》의 가르침을 베푼 까닭이다. 맹자와 정자가 어찌 그 설을 달리하였겠는가. 주자가 말하기를 “맹자는 추려 내어 성의 본연을 말하였고, 정이천은 기질을 겸하여 말하였다. 요체는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孟子剔出言性之本 伊川兼氣質而言 要之 不可離也]”라고 하였다.
14. 〔문〕 남헌 장씨(南軒張氏)가 말하기를 “태극의 본체는 지극히 정하다.[太極之體至靜]”라고 하였는데, 과연 정(靜)한가? 지극히 정하다고 한 것을 이발(已發)의 용(用)을 가리켜서 말한다면 어떠하며, 미발(未發)의 체(體)를 가리켜서 말한다면 어떠하며, 미발과 이발을 통틀어서 말한다면 또한 어떠한가?
〔답〕 태극은 동정(動靜)의 이(理)이다. “지극히 정하다.”라고 말하는 것은 체(體)에 대해서나 용(用)에 대해서나 미발과 이발을 통틀어서나 모두 옳지 않다.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이와 같다면 정당하지 않아 뾰족하고 기울어진 태극이 될 것이다.[如此 却成一不正當尖斜太極]”라고 하였다. 그러니 태극의 체는 동(動)과 정(靜)을 포함한다고 하면 주자의 뜻에 합치될 듯하다.
15. 〔문〕 태극이 동(動)하여 양(陽)을 낳고 정(靜)하여 음(陰)을 낳으니, 태극이 스스로 능히 동하고 정하는가? 태극은 이(理)이며 이는 형체가 없다. 형체가 있는 것은 능히 동하고 정하지만, 형체가 없는 것도 능히 동하고 정할 수 있는 것은 어째서인가?
〔답〕 먼저 태극이 있은 후에야 능히 동하고 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동하고 정하는 것에 나아가서야 태극을 알게 되는 것이다.
16. 〔문〕 이미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된다.[一陰一陽]”라고 말하였으니, 마치 두 가지의 기(氣)가 있는 듯하다. 그리고 또 “음은 양을 뿌리로 하고 양은 음을 뿌리로 한다.[陰根陽 陽根陰]”라고 하였으니, 마치 하나의 기인 듯하다. 어찌하여 이처럼 입론(立論)이 일정하지 않은가? 이른바 음과 양이라고 하는 것은 하나로 보아서 말한 것인가, 두 개로 보아서 말한 것인가?
〔답〕 주자가 “음(陰)이 흘러 행하는 것이 양(陽)이 되고, 양이 엉겨 모이는 것이 음이다.”라고 설명한 것은, 참으로 두 가지 물체를 서로 대립시켜 말한 것이 아니다. 단지 입론할 적에 각각 주(主)가 되는 바가 있어서 상대하여 말하거나 합하여서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주자가 말하기를 “음과 양은 한 개로 보아도 괜찮고 두 개로 보아도 괜찮다.”라고 하였다.
17. 〔문〕 진(眞)은 이(理)이고 정(精)은 기(氣)이다. 그런데 이와 기가 합쳐 뭉친 곳에서는 무극(無極)만을 말하고 태극은 말하지 않았다. 어째서인가?
〔답〕 이른바 무극의 진(眞)이 바로 태극이다.
18. 〔문〕 땅에 있으면 형체(形體)를 이룬다. 그렇다면 물[水]과 불[火]은 땅에 있는데도 흘러 움직이고 번쩍이면서 타서 형체를 이루지 못함은 어째서인가? 물은 음물(陰物)인데도 그 가운데에는 도리어 밝음이 있고, 불은 양물(陽物)인데도 그 가운데에는 도리어 어둠이 있다. 이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물을 가리켜 양(陽)이라고 하고 불을 가리켜 음(陰)이라고 하여, 서로 바꾸어서 말하기도 하여 일정함이 없다. 이것은 또한 뜻이 있는 것인가? 물에는 따뜻한 물이 있으나 불에는 차가운 불이 없다. 이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오행(五行)으로 시절(時節)이 이루어지는데, 사시(四時)가 넷뿐인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하늘과 땅이 만물을 만들어 낼 때는 먼저 가볍고 맑게 하였다. 물과 불은 그 형체가 아직 허(虛)하여 기(氣)에서 떠나지 않은 것이다. 물은 바탕은 음이나 그 성질은 양이며, 불은 바탕은 양이나 그 성질은 음이다. 장횡거(張橫渠)가 말한 “음과 양의 정(精)이 서로 상대방의 안에 내재되어 있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물에는 따뜻한 물이 있어도 불에는 차가운 불이 없는 것은, 음은 변할 수 있으나 양은 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토(土)는 수(水)와 화(火)와 목(木)과 금(金)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목과 화와 금과 수가 각각 한 계절을 이루고, 토가 사시에 붙여져 왕성하게 되는 것이다.
19. 〔문〕 오행(五行) 가운데 오직 수(水)와 화(火)만이 동(動)할 줄 알고 목(木)과 금(金)과 토(土)는 동할 줄 모르는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천지(天地)와 인물(人物)을 합쳐서 동(動)과 정(靜)의 입장에서 총론하면, 동하기만 하고 정이 없고 정하기만 하고 동이 없는 것은 어떤 사물이며, 무슨 기(氣)를 타고났기에 그런 것인가? 동하면서도 동이 없고 정하면서도 정이 없는 것은 또한 어떤 사물인가? 동하면서 그 동하는 이(理)를 얻지 못하고 정하면서도 그 정하는 이를 얻지 못하며, 정해야 되는데도 동하고 동해야 되는데도 정하는 것은 또한 어떤 사물인가? 동해야 할 때에 동하고 정해야 할 때에 정하며, 정하여서 그 정함을 잃지 않고 동하여서 그 동함을 잃지 않아서, 한 번 동하고 한 번 정하는 것이 저절로 그 중도에 맞는 것은 또한 누구를 이르는가?
〔답〕 물(物)로서 하늘에 속하는 것은 동(動)하고, 땅에 속하는 것은 정(靜)한다. 수(水)와 화(火)와 목(木)과 금(金)은 땅에 속한 것이다. 이것은 마땅히 정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수와 화가 혹 동할 수가 있는 것은 기(氣)에서 분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릇 동하기만 하고 정함이 없는 것은 하늘이며, 정하기만 하고 동함이 없는 것은 땅이다. 동하기도 하고 정하기도 하는 것은 기이며, 동하기도 하고 정하기도 하면서 동하고 정함이 없는 것은 이(理)이다. 동하고 정함이 그 이를 위반한 자는 걸왕(桀王)과 도척(盜蹠)이고, 동하고 정함이 그 중도에 맞게 한 자는 요(堯) 임금과 순(舜) 임금이다.
20. 〔문〕 예쁘고 추하며 아름답고 미우며 높고 낮으며 깊고 얕은 것을 능히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은 어떤 사물인가? 천 가지 모습과 백 가지 형태를 하나로 꿰뚫는 것은 또한 어떤 사물인가? 이미 예쁘고 미우며 귀하고 천함의 차이가 없을 수 없으니, 이것이 사물의 정(情)이다. 그런데 성인(聖人)이 반드시 어리석고 불초한 자도 다 같이 마음을 바르게 하고 뜻을 성실하게 하는 경지에 이르게 하여 그 덕을 똑같게 하려고 한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그 모습이 천 가지 백 가지로 서로 다른 것은 기(氣)이고, 하나로 꿰뚫는 것은 이(理)이다. 치우치고 막힌 기를 타고난 것은 사물이고, 바르고 통한 기를 타고난 것은 사람이다. 그 통하고 바른 중에도 또 맑고 탁한 차이가 없을 수 없으나, 인의예지의 이를 다 같이 타고났다. 그러므로 성인이 가르침을 베풀어서 그 이를 돌아오게 하고자 한 것이다.
21. 〔문〕 사람은 오행(五行)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사물은 한 가지만을 타고 났는가? 사물도 오행을 갖추고 있는가? 사물이 사람과 다른 것은 어째서인가? 이미 말하기를 “사람은 오행의 바른 기(氣)를 타고났다.”라고 하였는데 사람 가운데에도 성인과 광인의 차이가 있는 것은 어째서인가? 이른바 명덕(明德)은 성인과 광인의 구분이 없이 다 같이 타고났다. 그렇다면 명덕은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인의예지는 사람과 사물에 고루 부여되었다. 그런데도 명덕이 사물에 없는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사물 또한 오행을 갖추었으나 치우치게 타고난 것이 사물이다. 사람 가운데 바른 것을 받고 맑은 것을 타고난 자는 성인이다. 명덕이 성인과 광인을 구분하지 않는 것은, 다 같이 바름을 타고난 것이다. 인의예지가 사람과 사물에 고루 부여된 것은, 다 같이 이(理)를 얻은 것이다. 그런데 인의예지는 전적으로 이만을 가리켜 말한 것이고, 명덕은 이와 기(氣)를 아울러 말한 것이다.
22. 〔문〕 무릇 사람이 생길 때에는 먼저 양(陽)이 있은 다음에 음(陰)이 있게 되며, 양은 안에 있고 음은 밖을 싸고 있다. 그런데 이제 말하기를 “형체가 생겨나니 정신이 지각을 발한다.[形旣生矣 神發知矣]”라고 하였다. 형체는 음이 모인 것이고 정신은 양이 열린 것이다. 그렇다면 음이 양보다 먼저인가? 어찌하여 선후의 순서가 없는가?
〔답〕 형체가 이루어지는 것과 형체가 생기는 것에는 음과 양의 선후가 참으로 각각 다르다.
23. 〔문〕 길흉은 선악이며 음양이다. 음과 양은 어느 한쪽만을 치우치게 없앨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성인이 길흉과 선악에 대하여 항상 악을 변화시켜 선으로 만들고, 흉함은 버리고 길함을 따르고자 하였다. 이것은 어째서인가? 요순 시대에는 사람들이 모두 착해서 집집마다 표창할 만했다고 하였다. 이것은 오직 양만 있고 음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오직 양만 있고 음이 없는, 천하에 이런 이치는 없다. 그런데도 우리 유가(儒家)에서는 항상 음을 억제하고 양을 부추기고 있다. 이것은 어째서인가?
〔답〕 주자가 《주역》 〈곤괘(坤卦) 초육(初六)〉의 《본의(本義)》에서 말하기를 “음양은 조화(造化)의 근본으로 소장(消長)할 때 일정한 이치가 있어 사람이 줄이거나 보탤 수가 없다. 그러나 착하고 간특한 구분은 있다. 그러므로 성인이 《주역》을 지으면서 착하고 간특한 성품이 서로 없을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건순(健順)과 인의(仁義)의 등속으로 이를 밝혀서 양(陽)만 따로 떼어서 주장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소장의 즈음에는 일찍이 양을 부추기고 음을 억제하는 뜻을 지극히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대개 천지의 화육을 도움으로써 천지의 조화에 참여하는 것이니, 그 뜻이 깊다.”라고 하였다. 이 설을 미루어 나가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24. 〔문〕 태극이 동(動)과 정(靜)을 포함한다고도 하고 태극에 동과 정이 있다고도 하는데, 포함한다고 하는 것과 있다고 하는 것은 그 뜻이 같은가?
〔답〕 포함한다는 것은 본체로써 말한 것이고, 있다고 하는 것은 유행하는 것으로써 말한 것이다. 포함한다는 것과 있다고 하는 것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주자의 어휘 선택이 정밀한 대목이다.
25. 〔문〕 동(動)이 반드시 정(靜)하게 되는 것은 음(陰)에 근본을 둔 까닭이고, 정이 반드시 동하게 되는 것은 양(陽)에 근본을 둔 까닭이다. 이것이 이른바 “동과 정은 끝이 없고 음과 양은 시초가 없다.[動靜無端 陰陽無始]”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말하기를 “태극이 동하여 양을 낳는다.[太極動而生陽]”라고 하여, 도리어 동하여 양을 낳는 것을 시초로 삼았다. 어째서인가? 동하기 전에는 또 어떠한가?
〔답〕 아직 동하기 전은 바로 음이지만, 동하여 양을 낳는 것을 시초로 삼는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주자가 말하기를 “이제 동하여 양을 낳는다고 한 곳으로부터 살펴본 것이다.[今且自動而生陽處看去]”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동하여 양을 낳는다는 것은, 그 처음은 정한데, 정한 위에서 또 동하는 것이다.[動而生陽 其初是靜 靜之上 又須動]”라고 하였다. 대개 동과 정이 끝이 없고 음과 양이 시초가 없는 것은 천도(天道)이다. 양에서 시작하여 음에서 이루어지며 정에 근본을 두고서 동에 유행(流行)함은 인도(人道)이다.
26. 〔문〕 태극은 이미 그 동(動)하고 정(靜)하는 것을 볼 수가 없다. 그런즉 이것은 단지 텅 빈 물체일 것이다. 그런데 도리어 석씨(釋氏)가 말하는 성(性)과 같지 않다고 하였다. 어째서인가? 주자가 말하기를 “석씨가 성을 말한 것은 껍데기만 말한 것으로, 군신(君臣)과 부자(父子)를 허깨비로 만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른바 군신과 부자는 이(理)인가, 기(氣)인가?
〔답〕 태극에는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이(理)가 있으니, 이것이 빈 물질이 아니다. 만약 텅 빈 것이라면 석씨가 말한 성(性)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석씨는 인사(人事)를 내팽개쳤고 노씨(老氏)는 인사를 싫어하여 청허(淸虛)를 주장하였다. 이는 인사가 곧 천리(天理)임을 알지 못하고 모두 밑바닥의 아주 하찮은 일로 본 것이다. 이것은 정자(程子)가 “기도 도이고 도도 기이다.[器亦道 道亦器]”라고 한 것을 모르고 도리를 사물의 꼭대기에 있는 현묘한 물건으로 삼은 것이다. 이것이 텅 빈 것이 태극과 다른 점이며 마침내 군신과 부자의 이를 기(氣)라고 여긴 것이다. 처음에 이를 알지 못했기 때문에 끝내 기도 알지 못하게 된 것이다.
27. 〔문〕 남헌(南軒) 장식(張栻)이 말하기를 “무극이면서 태극은 하는 것이 없으면서 한다는 말이다.[無極而太極 言莫之爲而爲之]”라고 하였다. 과연 믿을 만한 말인가? 아니면 옳지 못한 점이 있는가?
〔답〕 하는 것이 없다는 것으로 무극을 해석하고 한다는 것으로 태극을 해석한다면, 무극과 태극을 두 가지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더구나 한다는 것은 기(氣)이다. 이(理)는 참으로 하는 것이 없으나 하게 하는 이가 그 속에 있는 것이다. 그러니 이 말은 옳지 않다.
28. 〔문〕 동(動)과 정(靜), 음(陰)과 양(陽)은 모두 형이하(形而下)이다. 이미 발(發)하였을 때에는 물론 태극이라 할 수가 없는데 발하지 않았을 때에도 태극이라 할 수가 없는가? 고요하여 동하지 않는 중(中)은 희로애락의 감정이 통하지 않는 것이다. 이 중(中)과 태극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답〕 이미 발한 것과 발하지 아니한 것은 하나는 동이며 하나는 정이다. 태극은 동과 정을 포함한 것으로 중과 같지 않다.
29. 〔문〕 “사람마다 모두 하나의 태극을 지니고 있고 사물마다 모두 하나의 태극을 지니고 있다.[人人有一太極 物物有一太極]”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걸왕(桀王)이나 도척(盜蹠)에게서도 태극을 볼 수가 있고 나무와 돌에서도 태극을 볼 수가 있는가?
〔답〕 걸왕과 도척도 이 성(性)이 있기 때문에 역시 교화할 수 있는 이치가 있다. 주자가 말하기를 “천하에 성(性) 밖의 사물은 없다.”라고 하였으며, 또 “말라 버린 사물에도 성이 있음은 당초에 이 이(理)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며, 또 “이 사물이 되는 이는 갖추어지지 않은 적이 없다.”라고 하였다.
30. 〔문〕 “이루어지는 데에 이른 것이라야 비로소 성이라고 한다.[至於成之者 方謂之性]”라고 하였다. 그런데 주자가 태극을 말하면서는 “이 성이 있으면 음양과 오행이 있다.[有是性則有陰陽五行]”라고 하였다. 이곳에서의 성(性) 자와 다른 곳에서 말한 성이 같지 않다. 어째서인가?
〔답〕 태극을 성(性)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것은 반드시 주자가 초년에 한 말일 것이다.
31. 〔문〕 한 사물이 생기기 전에 태극이 있었는가, 만물이 생긴 다음에 태극이 있는 것인가?
〔답〕 사물이 생긴 다음에 비로소 태극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당초에 태극이 없었다면 사물이 사물로 되지 못했을 것이다.
32. 〔문〕 선유(先儒)는 사람의 몸에 대해서 기(氣)는 양(陽)에 속하게 하고 혈(血)은 음(陰)에 속하게 하였다. 그렇다면 혈에는 음만 있고 양은 없으며, 기에는 양만 있고 음은 없는가? 아니면 음과 양이 같이 있는가? 아니면 서로 음도 되고 양도 되는가?
〔답〕 무릇 양 속에도 음과 양이 있고 음 속에도 음과 양이 있다. 기와 혈이 비록 음과 양으로 나누어져 소속되어 있지만, 각각 음과 양이 있고 서로 음도 되고 양도 된다. 마치 혼(魂)은 양이 되고 백(魄)은 음이 되며, 들숨은 음이 되고 날숨은 양이 되며, 혈(血)은 양이 되고 육(肉)은 음이 된다는 따위와 같음을 알 수가 있다.
33. 〔문〕 동정(動靜)은 태극이 동하고 정하는 것인가, 음양이 동하고 정하는 것인가? 동정을 논할 때는 모두 음양을 가리켰는데, 《태극도설》에서는 “태극이 동하여 양을 낳고 정하여 음을 낳는다.[太極動而生陽 靜而生陰]”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태극도 동하고 정할 수 있는 것인가?
〔답〕 태극이 동하고 정함이 있는 것은 천명(天命)이 유행(流行)하는 것이다. 대개 태극은 동하고 정하는 이(理)가 있기 때문에 음과 양이 동하고 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동하고 정하는 것은 음양이고, 동하고 정하게 하는 것은 태극이다.
34. 〔문〕 음과 양이 위치를 정하매 등수(等數)가 분명한 것이다. 그런데 이제 이에 갑자기 변화하여 가로로 보면 왼쪽이 양이고 오른쪽이 음이며, 세로로 보면 위가 양이고 아래가 음이다. 손등은 양이고 손바닥은 음이며, 앞면은 양이고 뒷면은 음이며, 북쪽이 양이면 남쪽이 음이고, 동쪽이 아래가 되면 서쪽이 위가 된다. 이와 같이 변하고 바뀌어서 사람으로 하여금 헤아릴 수 없게 한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답〕 음과 양 두 기운은 서로 당기고 밀며 때와 장소에 따라서 일정할 수가 없다. 이것은 인사(人事)의 가운데에서 일정하게 정해진 체(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음과 양이 위치를 정하면 하나로 정해져서 변화가 없다.
35. 〔문〕 《주역》에 “천지가 있은 연후에 만물이 있고, 만물이 있은 연후에 남녀가 있다.[有天地 然後有萬物 有萬物 然後有男女]”라고 하고, 《태극도설》에 “건도는 남자를 이루고 곤도는 여자를 이루며, 두 기운이 서로 교감하여 만물을 화생한다.[乾道成男 坤道成女 二氣交感 化生萬物]”라고 하였다. 이 두 설이 같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답〕 《주역》과 《태극도설》에서는 모두 천지가 있은 연후에 기화(氣化)가 있고, 기화가 있은 연후에 형화(形化)가 있음을 말하였다. 《주역》 〈계사전 하(繫辭傳下)〉에 “천지의 기운이 서로 얽히매 만물이 형성된다.[天地絪縕 萬物化醇]”라고 한 것은 기화를 말한 것이다. 그리고 “남자와 여자는 정기(精氣)를 합하여 만물을 화생한다.[男女構精 萬物化生]”라고 한 것은 형화를 말한 것이다. 《태극도설》의 양의(兩儀)는 천지가 선 것이고, 건도는 남자를 이루고 곤도는 여자를 이룬다고 한 것은 기화를 말한 것이며, 두 기운이 서로 교감하여 만물을 화생한다는 것은 형화를 말한 것이다. 같지 않은 것이 무엇인가.
36. 〔문〕 오성(五性)이 감응해 동하여서 선(善)과 악(惡)이 나누어지고, 오행(五行)이 이르는 곳에 문득 선과 악의 구분이 있게 된다. 그런데 그 이상에서의 동(動)과 정(靜)에는 선과 악이 없는가? 그리고 사람에 이르러서 문득 기질(氣質)의 성(性)을 논하는데, 하늘도 기질의 성이 있는가?
〔답〕 어떤 이가 묻기를 “음양에 문득 선과 악이 있습니까?”라고 묻자, 주자가 말하기를 “음양과 오행은 모두 선하다.[陰陽五行皆善]”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음양의 이는 모두 선하다.[陰陽之理皆善]”라고 하였다. 이것은 이는 모두 선하나 기(氣)는 선과 악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기에는 선과 악이 있기 때문에 사람과 사물, 치우침과 바름, 맑음과 탁함의 차이가 있게 된다. 사람에 이르러서도 선과 악이 나누어지는 기미가 있게 된다. 이것은 모두 이가 기 가운데에 있고 난 뒤의 말이다. 그러므로 주자가 말하기를 “이것은 뭇사람이 모두 동하고 정함의 이를 갖추고 있으나, 항상 동하는 데에서 잃어버림을 말한 것이다.[此言衆人具動靜之理 而常失於動也]”라고 하였다. 동하고 정함이 선과 악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뭇사람이 그렇게 된다. 성인(聖人)은 전체가 태극이어서 하늘과 더불어 덕(德)이 동일하다. 성인은 기질의 성이 순수하며 선하다. 하늘은 기질의 성이 없다. 그러므로 주자가 말하기를 “천지의 성이 이이다. 음양과 오행이 있는 곳에 이르면 기질의 성이 있게 되고, 어둡고 밝으며 두껍고 얇은 차이가 있게 된다.[天地之性是理也 纔到有陰陽五行處 便有氣質之性 便有昏明厚薄之殊]”라고 하였다.
37. 〔문〕 주자(周子)는 정(靜) 자를 말했고 정자(程子)는 경(敬) 자를 말하였다. 두 사람의 말이 다른 것은 어째서인가? 또 자세하게 말하고 간략하게 말함에 대해 논할 만한 점이 있는가?
〔답〕 정(靜)은 한쪽에 치우치고, 경(敬)은 동과 정을 관통한다. 그러나 반드시 정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그리하여 평소 가만히 있을 때에는 담연(湛然)하고 허정(虛靜)하게 하기를 마치 가을과 겨울이 만물을 갈무리하듯이 하고, 일에 응할 적에는 어긋나지 않게 하기를 마치 봄과 여름이 제때에 맞추어 만물을 자라나게 하는 것처럼 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사물마다 제자리를 얻게 된다.
38. 〔문〕 〈태극도(太極圖)〉에서는 하나의 태극으로부터 둘인 음양으로 되고, 둘인 음양으로부터 다섯인 오행(五行)이 되어 만물에 이른다. 《주역》에서는 하나인 태극으로부터 둘인 음양에 이르고, 둘인 음양으로부터 넷인 사상(四象)에 이르고, 넷인 사상으로부터 여덟인 팔괘(八卦)에 이르러서 다시 육십사괘(六十四卦)에 이른다. 〈서명(西銘)〉에서는 음양만을 말했고, 〈홍범(洪範)〉에서는 오행만을 말하였다. 이(理)는 하나일 뿐인데 어찌하여 논한 바가 각각 다른가?
〔답〕 이에 대해서는 주자가 이미 “도리는 애초부터 서로 맞지 않는 것이 없다. 자세하고 간략한 차이가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39. 〔문〕 태극에 대하여, 공자(孔子)가 안자(顔子)나 증자(曾子)와 더불어 말하면서 이에 대해 말하지 않은 것은 무슨 뜻인가? 주자는 “정자(程子)가 태극을 문인에게 가르쳐 주지 않은 것은 능히 이를 배울 만한 제자가 없어서일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렇다면 안자와 증자가 공자에게도 능히 배울 만한 반열에 있지 않았다는 것인가? 이와 같이 어려운 것인데도 주자가 《근사록(近思錄)》의 첫머리에 〈태극도〉를 편집한 것은 또 무슨 뜻인가?
〔답〕 공자가 안자와 증자에게 “나의 도는 하나로 꿰뚫었다.[吾道一以貫之]”라고 한 것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주자도 말하기를 “공자가 일찍이 태극에 대해서 말하지 않았다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라고 하였다. 공자는 《주역》에 대해서는 언급한 것이 드물다. 정자가 《주역》과 〈태극도〉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은 것도 이와 같은 의도이다. 《근사록》의 첫머리에 〈태극도〉를 편집해 놓은 것에 대해서는, 여동래(呂東萊)가 말하기를 “초학자들로 하여금 태극의 명칭과 개념을 알게 하여 우러르는 바가 있게 하였을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40. 〔문〕 주자가 “산에 가득한 푸르고 노랗고 파랗고 초록인 온갖 것들이 태극이 아닌 것이 없다.[滿山靑黃碧綠 無非太極]”라고 하였다. 이것은 기(氣)인데도 주자가 도리어 이(理)라고 하였다. 어째서인가?
〔답〕 기(器) 또한 도(道)이고 도(道) 또한 기(器)이니, 이(理)가 아니면 기(氣)가 없고 기(氣)가 아니면 도(道)가 없게 된다.
41. 〔문〕 정명도(程明道)가 “사람이 나서 정한 것 이상은 말로 설명하지 못한다.[人生而靜以上 不容說]”라고 하였다. 이미 말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하였는데도 주자(周子)가 무극(無極)을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소자(邵子)가 또 무극의 전(前)을 말한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선유들의 논설이 이미 세 단계의 차례가 있다면 차츰 더 높은 곳을 말하더라도 옳지 않을 것이 없을 것 같다. 그런데도 장자(莊子)가 무극의 위에서 한 단계를 더 말한 것에 대해서는 선유들이 또한 잘못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무릇 복괘(復卦)와 곤괘(坤卦)의 사이가 무극이며, 곤괘로부터 구괘(姤卦)로 돌아가는 것이 무극의 전(前)이라는 것은 소자(邵子)가 논한 것이다. ‘처음[始]’이란 것은 태극을 뜻하고 “처음에는 처음도 있지 않았다.[未始有始]”라는 것은 무극을 뜻하는데 “처음에는 ‘처음에 처음이라는 말이 아직 있지 않았다.’라는 말조차 있지 않았다.[未始有夫未始有始]”라는 말은 또 무극의 위에서 한 단계 더 높은 것을 뜻하는데, 이는 장자(莊子)가 말한 것이다. 그렇다면 주자(周子)와 정자(程子)와 장자와 소자가 말한 것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답〕 주자(朱子)가 “태극의 위에 또 다른 무극이 있는 것이 아니다.[非太極之上 別有無極也]”라고 하였으니, 무극과 태극은 차례가 없는 것이다. 소자가 무극 이전을 말한 것은 단지 기(氣)의 순환을 논한 것이고, 정자가 말한 “설명할 수 없다.[不容說]”라는 것은 말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지 말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장자가 한 허황된 얘기는 따지고 말고 할 것도 없는 것으로, 역시 전적으로 기만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42. 〔문〕 주자가 ‘태극이 동하여 양을 낳는 것[太極動而生陽]’을 가지고 ‘천지의 희로애락이 발하는 곳[天地之喜怒哀樂發處]’이라고 하였는데, 연평(延平)은 “이발(已發)로 볼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어떤 소견이 있어서 그렇게 말한 것인가? 또 어느 쪽 설이 옳은가? 지리(至理)의 근원과 대본달도처(大本達道處)에 대해서도 이발(已發)과 미발(未發)로 나누어서 말할 수 있는가?
〔답〕 연평(延平)의 뜻은 “이발과 미발은 사람의 몸의 관점에서 말한 것이며, 태극의 동정(動靜)과 합벽(闔闢)에 미루어 나가 보면 만물을 끝마치고 만물을 시작하는 것은 단지 이 이(理)가 일관(一貫)한 것이니 이발로 볼 수가 없으며, 천지의 대본(大本)과 달도(達道)에 대하여 나누어서 말하기는 곤란하다.”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대개 천지의 사이에는 실재의 이가 가득 차서 한 순간도 망녕됨이 없으니,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가 이와 같은 데 불과하다. 동(動)을 이발이라고 한다면 마땅히 정(靜)을 미발이라고 해야 한다. 이것은 필시 주자가 초년에 한 말일 것이다. 주자가 이르기를 “한 번 동하고 한 번 정하는 것이 다 천명이 유행하는 것이다.[一動一靜 皆命之行]”라고 하였고, 또 “정은 동이 쉬는 것일 뿐이다.[靜亦動之息爾]”라고 하였으니, 이 설이 옳다.
43. 〔문〕 태극이 동(動)해서 양(陽)을 낳는데 이것을 이어 가는 것은 선(善)이며, 정(靜)하여서 음(陰)을 낳는데 이것을 이루는 것은 성(性)이다. 그런데 주자는 이어 가는 것을 가지고 정의 끝과 동의 시작으로 삼았다. 그런즉 동하지도 않고 정하지도 않은 사이에 있는 듯하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그리고 인(仁)과 지(智)가 교제하는 사이에 이것을 이어 가는 것은 인에 있는 것인가, 지에 있는 것인가?
〔답〕 이미 동(動)의 시작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곧 동이다. 이것은 소자(邵子)가 말한 ‘한 양이 처음 동하는 곳이고 만물이 아직 생겨나지 않은 때’이며, 주자가 말한 ‘정(貞)과 원(元)의 사이’인 것이다. 이것을 이어 가는 것은 곧 인(仁)이다. 인은 원(元)이다. 원이 비록 사덕(四德)의 으뜸이기는 하지만, 원은 원에서 생겨나지 않고 정(貞)에서 생겨난다. 정은 지(智)이다. 지는 능히 끝을 이루고 처음을 이룰 수 있다.
44. 〔문〕 ‘이어 가는 것이 선(善)’이라는 것은 “성(性)은 선하다.”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루는 것이 성(性)’이라는 데 이른 다음에야 비로소 기질의 선악이 있는 것인가, 아니면 선악으로 나눌 수 없는 것인가?
〔답〕 성(性)이라고 이른다면 선악으로 나눌 수가 없다.
45. 〔문〕 주자가 일찍이 태극을 체(體)로 삼고 동정(動靜)을 용(用)으로 삼아 태극과 음양을 체와 용으로 나누었는데, 무슨 뜻인가? 또 말하기를 “태극은 본연의 신묘함이고, 동정은 올라타는 작용이다.[太極者 本然之妙 動靜者 所乘之機]”라고 하였다. 이 두 가지 설은 같은가, 다른가?
〔답〕 뒤에 말한 설이 옳으니, 태극과 음양을 체와 용으로 나눌 수 없다. 앞에 말한 설은 온당치 못하다.
46. 〔문〕 사물은 볼 수가 있으나 이치는 알기가 어렵다. 〈태극도(太極圖)〉는 사람들로 하여금 알기가 어려운 이치를 알게 하고자 한 것이다. 선유가 후학들을 가르친 것은 모두 이치를 밝히는 한 가지 일이다. 그런데 《대학》에서는 격물(格物)하게 하고자 하면서 도리어 궁리(窮理)를 말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답〕 형이상(形而上)은 도(道)이고, 형이하(形而下)는 기(器)이다. 기(器) 역시 도(道)이며 도 역시 기로, 도는 일찍이 기에서 떠난 적이 없다. 《대학》에서 궁리를 말하지 않은 데 대해 주자가 말하기를 “이는 단지 사람들로 하여금 실재의 곳에 나아가서 끝까지 궁구하게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47. 〔문〕 주자가 말하기를 “천지는 형이하이고, 건곤은 형이상이다.[天地 形而下者 乾坤 形而上者]”라고 하였다. 《주역》에서 말한 건곤은 곧 기(氣)이다. 주자가 도리어 ‘이(理)’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천지는 형각(形殼)이고, 건곤은 성정(性情)이다. 《주역》에서 말한 건곤은 양의(兩儀)이다. 천지와 건곤은 나누어서 말한 것이고, 양의는 합쳐서 말한 것이다. 이는 단지 하나가 둘을 낳는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둘은 곧 기(氣)이다.
48. 〔문〕 “건도(乾道)는 남자가 되고 곤도(坤道)는 여자가 되었다.”라는 것은 오로지 사람만을 가리켜 말한 것인가, 아니면 만물을 통틀어서 말한 것인가? 동물에는 남과 여가 있으나 식물에는 남과 여가 없는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만물을 통틀어서 말한 것이다. 식물에도 남과 여가 있는데 사람이 스스로 살피지 않았을 뿐이다. 주자가 말하기를 “마(麻)에도 암수가 있고 대나무에도 암수가 있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을 미루어 보면 알 수가 있다.
49. 〔문〕 주자가 말하기를 “체가 다른 만물을 살펴보면 기는 서로 비슷하나 이는 전혀 같지 않다.[觀萬物之異體 則氣猶相近 而理絶不同]”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理)도 같지 않은 것이 있는가?
〔답〕 이(理)는 전혀 같지 않다. 사물은 기(氣)의 치우침을 얻었는데, 이가 치우친 속에 있으면서 꽉 막혀 있어서 같지 않은 것이다. 기가 서로 비슷하면 춥고 따뜻한 것을 알며 배고프고 배부른 것을 깨달으며 삶을 좋아하고 죽음을 싫어하며 이로움은 따르고 해로움은 피하는 것 같은 것은 사람과 사물이 서로 비슷하다.
50. 〔문〕 《통서(通書)》에서 말한 기(幾) 자가 《태극도설》에도 있다는데, 어느 구절에 있는가?
〔답〕 《태극도설》에서 “오성이 감응해 동하여서 선과 악이 나누어진다.[五性感動而善惡分]”라고 한 것이 바로 기(幾)의 뜻이다.
51. 〔문〕 맹자가 말하기를 “정은 선할 수가 있다.[其情則可以爲善]”라고 하였고, 주자(周子)는 말하기를 “오성이 감응해 동하여서 선과 악이 나누어진다.”라고 하였다. 감응하여 동하는 것은 정(情)이다. 그런데 맹자와 주자가 다르게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맹자는 정(正)만 말했고 주자(周子)는 정(正)과 반(反)을 겸해서 말했다.”라고 하였다. 대개 정(情)은 반드시 모두 선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근본은 선할 수 있다. 오직 그 정(情)에 반하기 때문에 악이 되는 것이다.
52. 〔문〕 사람은 천지의 바른 기(氣)를 받았고 사물은 치우치고 막힌 것을 타고났다. 그런데도 닭은 새벽을 알릴 수가 있고 개는 손님에게 짖을 줄 알며 소는 무거운 짐을 질 수가 있고 말은 먼 길을 갈 수가 있어서 각각 자신의 일을 능히 한다. 그런데 사람은 도리어 사물에도 미치지 못해서 능히 자신의 생김새대로 행하지 못하여 자식은 효자가 드물고 신하는 충신이 적다. 어째서인가?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이 도리어 꽉 막힌 사물만도 못하단 말인가?
〔답〕 사물이 꽉 막혀 있어서 천성대로 하는 것은 마음이 허령(虛靈)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장자(莊子)가 말하기를 “오직 벌레만이 천성을 따를 수 있다.[惟蟲能天]”라고 하였다. 사람은 능히 기질(氣質)을 변화시켜서 불초(不肖)한 자가 성현이 되기도 하는 것도 통하기 때문이고, 남의 등창을 빨고 치질도 핥던 자가 나중에는 아버지와 임금을 죽여서 짐승도 하지 않는 짓을 행하는 것도 통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두렵지 아니한가.
53. 〔문〕 “성인이 중, 정, 인, 의로써 정(定)하였다.[聖人定之以中正仁義]”라고 할 때의 정(定) 자는 스스로 정한다는 것인가, 아니면 천하를 정한다는 것인가? 정(定)과 정(靜)과 경(敬)은 같은 뜻인가, 아니면 각각 다른 뜻이 있는가?
〔답〕 정(定)하였다고 함은 인극(人極)을 세우는 것으로, 만사(萬事)를 판정하여 인극을 세우는 것이다. 〈태극도〉에서는 동정(動靜)으로 말했기 때문에 정(靜)이라고 하였는데, 정(靜) 자는 반드시 경(敬) 자로 보아야 한다.
54. 〔문〕 《예기》 〈악기(樂記)〉에 “정으로 성을 말하는 것은 가하지만, 정으로 천지의 묘함을 형용하는 것은 불가하다.[以靜言性則可 以靜形容天地之妙則不可]”라고 하였다. 성(性)이 이(理)이거늘 천지의 묘함과는 또 어떻게 다른가?
〔답〕 성(性)과 천지의 묘함은 본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것이 아니다. 그러나 성은 바로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미발(未發)함을 일컫는 것으로 정(靜)에 속하고, 천지의 묘함은 바로 태극이 동정(動靜)의 이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니, 동정을 머금고 있으면서도 치우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중(中)과 태극이 같은 이(理)이면서도 가리키는 뜻이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실은 성과 중과 태극은 같은 이(理)인 것이다.
55. 〔문〕 정자(程子)가 말하기를 “천지만물의 이는 홀로 있는 경우는 없고 반드시 상대가 있다.[天地萬物之理無獨 必有對]”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오직 도는 상대가 없다.[惟道無對]”라고 하였다. 도는 곧 이이다. 그런데 입론이 엇갈리는 것은 어째서인가?
〔답〕 상대가 있다는 것은 음양(陰陽)과 동정(動靜)과 굴신(屈伸)과 소장(消長)으로 말하였고, 상대가 없다는 것은 태극으로 말하였다.
56. 〔문〕 공 부자(孔夫子)가 말하기를 “지자는 동하고 인자는 정한다.[智者動 仁者靜]”라고 하였는데, 주자(周子)는 도리어 지(智)를 정(靜)이라 하고 인(仁)을 동(動)이라 하였다. 어째서인가?
〔답〕 지(智)는 음(陰)에 속하여 본래 정(靜)하고, 인(仁)은 양(陽)에 속하여 본래 동(動)한다. 이는 주자(周子)가 음양을 위주로 말하였기 때문이다. 인은 안정(安靜)하고, 지는 운용(運用)하는바, 공 부자의 말은 각각 그 가리키는 뜻이 있다. 또 주자(朱子)는 인과 지에 대해서 체(體)는 모두 정하고 용(用)은 모두 동한다고 비유하였는데, 이는 혹 베껴서 전할 때에 제대로 전하지 못한 듯하다. 사덕(四德)에서는 체는 정이고 용은 동이 아닌 것이 없다.
57. 〔문〕 만물을 마무리하고 만물을 시작하는 것은 간(艮)보다 성한 것이 없다. 간은 그친다는 뜻이고, 그친다는 것은 생식(生息)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선유가 도리어 동(動)을 생식하는 것으로 본 것은 어째서인가?
〔답〕 원(元)은 원에서 나오지 않고 정(貞)에서 나오니, 비유하면 곡식의 종자가 반드시 가을과 겨울을 지나야 싹을 틔울 수 있는 것과 같다. 또 동(動)을 생식으로 본 것은 편벽된 말이니, 위의 한 구절이 통설이다.
58. 〔문〕 “이루는 것이 성이다.[成之者性]”라는 데 이른 뒤에 기질(氣質)이 각각 다르다면 선과 악의 나뉨이 마땅히 여기에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주자(周子)가 도리어 “오성이 감응하여 동하는 곳에 이르러서 선과 악으로 나누어진다.[到五性感動處 分善惡]”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성(性)은 선과 악이 없고 단지 순선(純善)할 따름이다. 정(情)이 동한 곳에 이르면 선과 악으로 나뉘어져 기질의 성이 있음을 곧 알게 된다.
59. 〔문〕 부모의 기(氣)를 받아 태(胎) 속에 있는 것이 “이어 가는 것이 선이다.[繼之者善]”라는 것이고, 이미 태어나 스스로 하나의 사물을 이룬 것이 “이루는 것이 성이다.[成之者性]”라는 것이다. 이미 그 성(性)을 이루면 또 스스로 선을 이어 가는 것이 순환되어 무궁하게 된다. 그런데도 도리어 불씨(佛氏)가 말한 순환을 이치가 없다고 한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유행(流行)하고 조화(造化)하는 것이 선(善)이고 나에게 응결되어 이루어진 것이 성(性)이다. 이는 정자(程子)가 “생생지리는 절로 그러하여 그치지 않는다.[生生之理 自然不息]”라고 한 것이니, 어찌 불씨가 말한 이미 굽은[屈] 기(氣)를 가지고 바야흐로 다시 펴지는[伸] 기로 삼아 쉼 없이 윤회(輪回)하는 것이겠는가.
60. 〔문〕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태극은 단지 하나의 실재 이이고, 〈태극도〉 한 권은 곧 하나의 그림이다.[太極只是一箇實理 太極圖一圈 便是一畫]”라고 하였으며, 또 말하기를 “태극은 음양과 오행의 이이다.[太極 二氣五行之理]”라고 하여, 하나의 실재 이(理)와 음양과 오행을 서로 더불어서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실재의 이(理)는 하나일 따름이다. 음양과 오행의 이가 바로 하나의 실재 이이다.
61. 〔문〕 태극은 사물이 숨어 있어서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이미 방향과 장소가 없고 또 형체와 소리도 없다. 그런데도 선유가 이를 추출하여 〈태극도〉를 만들어 놓고 이름을 붙인 것은 어째서인가?
〔답〕 무물(無物)이 전부터 있었으나 사물이 있은 후에 존립하지 않은 적이 없고, 음양의 밖에 있으나 음양의 가운데에 유행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드러나고 존재하고 밝혀지고 나타남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어찌 알지 못할 것이 있겠는가.
62. 〔문〕 사물로써 보면 음양 속에 태극이 있다. 그런데 〈태극도〉에서는 도리어 “태극이 음양을 낳는다.[太極生陰陽]”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그 생기고 나오는 처음을 따져 보면 태극이 음양을 낳고, 그 나타나고 존재하는 끝을 보면 음양이 태극을 포함한다. 〈태극도〉는 생기고 나오는 것을 위주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태극이 음양을 낳는다고 한 것이다.
63. 〔문〕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中)은 태극과 같이 하나의 이(理)이다. 그런데도 선유가 중으로써 극(極)을 훈석함은 그르다고 하였다. 어째서인가?
〔답〕 지칭하는 바가 각각 다르다. 중(中)은 지나치지도 않고 미치지 못하지도 않다는 뜻이고, 극(極)은 더할 것이 없는 것을 일컫는다.
64. 〔문〕 《한서(漢書)》 〈율력지(律曆志)〉에 이르기를 “태극은 삼재(三才)를 포용하여 하나로 된다.[太極函三爲一]”라고 하고, 장자(莊子)가 이르기를 “도는 태극보다 앞에 있다.[道在太極之先]”라고 하고, 노자(老子)가 이르기를 “혼성한 물건이 있나니, 천지보다 먼저 생겼다.[有物混成 先天地生]”라고 하고, 《주역》에 이르기를 “역에 태극이 있다.[易有太極]”라고 하였다. 이 네 가지 설은 주자(周子)가 말한 태극이라는 것과 같고 다름을 나눌 수가 있는가?
〔답〕 《한서》 〈율력지〉에서 말한 삼재는 형기(形氣)가 이미 갖추어진 것이니, 주자(周子)가 말한 태극과는 다르다. 장자가 “도는 태극보다 앞에 있다.”라고 한 것은 태극을 도로 삼은 것이 아니고, 도 또한 태극 위의 한 개의 텅 빈 물체일 뿐이니, 주자(周子)가 말한 태극과는 다르다. 노자가 “천지에 앞서 생겨났다.”라고 한 것은 이 이(理)를 가리키는 듯하나, 노자는 실재로 이를 알지 못한 자이다. 《주역》에서 “역(易)에 태극이 있다.”라고 한 것은 음양이 변화하는 중에 나아가 이 이가 있음을 말한 것으로, 어휘 선택이 또한 주자의 태극과 같지 않으나, 이른바 이는 한가지이다. 주자(周子)가 “무극이면서 태극이다.”라고 한 것은 음양을 섞지 않고서 말한 것이다. 대개 한지의 태극과 장자의 태극은 음양을 섞어서 말한 것이다. 노자가 말한 “혼성한 물건이 있다.”라는 것도 이를 말하면서 묘함을 얻지 못하였다.
65. 〔문〕 《주역》에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 한다.[一陰一陽之謂道]”라고 하고, 소자(邵子)가 말하기를 “도는 태극이다.[道爲太極]”라고 하고,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심은 음양과 같다.[心猶陰陽也]”라고 하였다. 그런데 소자는 또 말하기를 “심이 태극이다.[心爲太極]”라고 하였다. 소자가 다르게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도(道)는 유행(流行)하는 것이다. 소자가 도를 태극이라 한 것은 유행하는 것으로 말한 것이다. 심(心)은 통회(統會)하는 것이다. 소자가 심을 태극이라 한 것은 통회하는 것으로 말한 것이다. 《주역》에서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고 한다고 한 것은,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까닭을 도라고 이른 것이다. 주자가 심은 음양과 같다고 말한 것은 이미 성(性)은 태극과 같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만 가지 이치가 모두 하나의 근원에서 나오는 것을 통회라고 하고, 만 가지 사물이 각기 하나의 이치를 갖추는 것을 유행이라고 한다. 그러니 소 강절(邵康節)의 설이 어찌 일찍이 다름이 있겠는가. 도가 바로 태극이고, 심과 성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사물이 아니다. 그러니 다시 무엇을 의심하겠는가.
66. 〔문〕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정은 성이 서게 되는 까닭이며, 동은 명이 행하게 되는 까닭이다. 그러나 사실은 정 역시 동이 쉬는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한 번 동하고 한 번 정하는 것이 모두 명이 행하는 것이다. 동하고 정하는 데에서 행하는 것은 바로 성의 진이다. 그러므로 ‘하늘이 명하는 것을 성이라 이른다.’라고 하는 것이다.[靜者 性之所以立也 動者 命之所以行也 然其實則靜 亦動之息爾 故一動一靜 皆命之行 而行乎動靜者 乃性之眞也. 故曰天命之謂性]”라고 하였다. 동정(動靜)은 천리(天理)이다. 그런데도 주자가 동정을 모두 동(動)에 소속시켜서 도리어 정(靜) 쪽을 부족하게 한 것은 무슨 뜻인가? 정자(程子)가 “동하여도 정하고 정하여도 정하다.[動亦定 靜亦定]”라고 한 것과 주자(周子)가 정(靜)을 위주로 한 것도 역시 동(動) 쪽을 부족하게 한 것이다. 이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태극에 동정이 있음은 천명이 유행하는 것이다. 그러니 그 정(靜)도 천명이 유행하는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한 것은 천명을 위주로 하여 말한 것이다. 성인은 동정의 덕(德)에 합하는데, 항상 정(靜)에 근본을 두고서 수도(修道)를 위주로 하여 말한다.
67. 〔문〕 복희(伏羲)가 《역(易)》을 지으면서는 한 획(畫)에서부터 시작하였고, 문왕(文王)이 《역》을 펴면서는 건원(乾元)으로부터 하여 두 사람 다 태극을 말한 적이 없다. 그 뒤에 공자(孔子)가 《역》을 찬(贊)하면서부터 비로소 태극을 말하였고, 주자(周子)가 〈태극도〉를 지으면서는 또 무극(無極)을 말하였다. 말이 치밀해질수록 이치가 드러나지 않는 것은 어째서인가?
〔답〕 사람이 스스로 알지 못해서이다. 이치가 어찌 더 드러나지 않았겠는가. 사람이 알지 못하는 것은 학문이 전수되지 못해서이다.
68. 〔문〕 형이상(形而上)이 도(道)이고, 형이하(形而下)가 기(器)이니, 도는 심히 미묘하고 기는 심히 현저하다. 천지는 형이하이고 건곤(乾坤)은 형이상이다. 일월과 성신과 풍우와 상로(霜露)는 형이하이고, 그 이치는 형이상이다. 군신과 부자는 형이하이고 인(仁)과 충(忠)과 자(慈)와 효(孝)는 형이상이다. 한 몸의 형체는 형이하이지만 심성(心性)의 이치는 형이상이다. 이목(耳目)은 형이하이지만 총명의 이치는 형이상이다. 또 한 물건이나 한 기물은 형이하이지만 그 이치는 형이상이다. 등촉(燈燭)은 형이하이지만 사물을 비추는 이치는 형이상이다. 의자는 형이하이지만 앉을 수 있는 이치는 형이상이다. 굴신(屈伸)과 왕래(往來)와 소장(消長)과 영허(盈虛)와 춘추(春秋)와 한서(寒署)와 종시(終始)와 회명(晦明)과 기우(奇偶) 같은 데 이르러서도 이들은 모두 형이하이나 그 이치는 형이상이다. 무릇 형체가 있고 형상이 있어서 볼 수가 있고 들을 수가 있는 것은 기(氣)가 아닌 것이 없다. 이와 같이 광대하고 현저한데도 도리어 작다고 여긴다.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어서 들을 수도 없고 볼 수도 없는 것이 이(理)이다. 이와 같이 미묘한데도 도리어 크다고 여긴다. 어째서인가?
〔답〕 기(氣)는 한량이 있지만 이(理)는 한량이 없기 때문이다.
69. 〔문〕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태극도설》에서는 음양과 오행의 변화에 대해 말한 것이 가지런하지 않다. 두 정자가 이것을 인하여 비로소 기질의 성을 추출해 냈다.[太極圖說 陰陽五行之變不齊 二程因此始推出氣質之性]”라고 하였다. 《주역》에서 이미 음양과 오행의 변화에 대해 말했는데도 맹자가 기질의 성에 대해서 말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답〕 무릇 도리(道理)는 후대로 내려올수록 분석하여 따지는 것이 더욱더 정밀해졌다.
70. 〔문〕 천지의 이(理)는, 생하게 하는 것은 아주 미세하고 이루게 하는 것은 아주 왕성하다. 그러므로 수(水)는 양(陽)에서 나오지만 음(陰)이 되고, 화(火)는 음에서 나오지만 양이 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기(氣)는 항상 이(理)를 이긴다.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이는 미세하고 수화금목토(水火金木土)의 기는 왕성하여, 끝내는 미세한 것으로 왕성한 것을 제어할 수가 없다. 그런데도 성현의 가르침은 매번 이로써 기를 이기고자 한다. 어째서인가?
〔답〕 이(理)가 미약하지 않고 기(氣)가 왕성하지 않다면 성현이 무엇 때문에 가르침을 베풀겠는가. 이는 비록 미약하지만 더욱 드러낼 수가 있고, 기는 비록 왕성하지만 변화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성현이 하지 못할 때가 없고 교화하지 못할 사람이 없는 것이다. 천지가 제자리에 서고 만물이 화육됨에 이르러서도 기가 항상 이한테서 명령을 듣게 되는 것이다. 물음에서 “이뿐만이 아니다.”라고 한 구절 이상에서 말한 미약하고 왕성한 것은 모두 기를 말한 것이며 “이뿐만이 아니다.”라고 한 구절 이하에서 말한 미약한 것은 바로 이를 말한 것이며 왕성한 것은 바로 기를 말한 것으로, 상하의 어세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몰라서는 안 된다. 대개 생(生)하는 것은 기이고, 생하게 하는 이치는 이(理)이다.
71. 〔문〕 천지조화(天地造化)의 묘함은 천수(天數) 1이 수(水)를 낳고, 지수(地數) 2가 화(火)를 낳고, 천수 3이 목(木)을 낳고, 지수 4가 금(金)을 낳으며, 사람의 한 몸에서도 처음에 신수(腎水)가 생기고 또 심화(心火)가 생기며, 수가 또 간목(肝木)을 낳고 화와 토가 또 폐금(肺金)을 낳으니, 부모는 곧 천지이다. 곤충이나 초목이 생겨날 때도 오행(五行)의 기(氣)를 품부받지 않고 형체를 이룬 것은 없다. 이것이 공자가 “정(精)과 기(氣)가 물(物)이 된다.”라고 한 것으로, 정은 수이고 기는 화이다. 이와 같은 데 불과한데도 여기에서 문득 기화(氣化)와 형화(形化)로 나눈 것은 어째서인가? 지금 사물을 보면 기화가 있으나 사람에게는 기화가 없는 것은 또한 무슨 이치인가?
〔답〕 아직 종류가 나누어지지 않은 처음에 음양의 기(氣)가 합하여 생겨난 것을 기화(氣化)라고 하고, 이미 종류가 나누어지고 난 뒤에 암수의 형체가 짝짓기를 하여 생겨난 것을 형화(形化)라고 한다. 만물의 시초는 기화만 있을 뿐이다. 이미 형화와 기화가 서로 교체를 하면 형화가 자라나고 기화는 사라진다. 정자가 이르기를 “운석(隕石)은 종자가 없고 기린(麒麟)도 종자가 없으니, 태초에 사람도 이와 같았다.”라고 하였다. 이는 기화를 말한 것이다. 지금 사물의 기화를 볼 수 있는 것은 같은 종류의 사물이 없는 곳에서만 볼 수가 있다. 사람도 그러하다. 선유가 말하기를 “바다에 조금 큰 성이 있는데 종자가 없는 사람이 거기서 생겨나지 않을 줄 어찌 알겠는가. 만약 인류가 살고 있다면 반드시 기화한 사람이 없을 것이다. 사람이 새 옷을 입을 경우 문득 이[蟣蝨]가 옷섶 사이에서 생겨나는바, 이는 기화이다. 기가 이미 변화한 뒤에는 곧 종자로 생겨난다. 이 이치는 아주 분명하다.”라고 하였다.
72. 〔문〕 진기수(陳幾叟)의 “물속에 비친 달이 어디서나 둥글다.[月落萬川 處處皆圓]”라는 비유와 북계 진씨(北溪陳氏)의 “하나의 큰 수은 덩이가 흩어져서 만만 개의 작은 덩어리가 되었는데, 낱낱이 다 둥글다.[一大塊水銀散而爲萬萬小塊 箇箇皆圓]”라는 비유에서, 수만이 되고 하나가 되는 것 가운데 어느 것이 이(理)이고 어느 것이 기(氣)인가?
〔답〕 수만이 되고 하나가 되는 것은 기(氣)요, 수만이 되게 하고 하나가 되게 하여 둥글고 흠이 없게 하는 것이 이(理)이다. 기로부터 본다면 비록 크고 작고 떨어지고 합해지는 구별이 있으나, 이로부터 본다면 모두 손익(損益)과 영축(盈縮)의 구분이 전혀 없다.
73. 〔문〕 하늘에 있으면 상(象)을 이루고 땅에 있으면 형(形)을 이루는데, 상은 기(氣)이고, 형은 질(質)이다. 음양은 기이고, 오행은 질이며, 기는 허(虛)한 것이고 질은 실(實)한 것이다. 허한 것이 모여서 실이 이루어지는 것은 마치 사람이 숨을 내쉬어서 물기가 생기는 것과 같다. 모든 기는 하늘이 아닌 것이 없고, 모든 질은 땅이 아닌 것이 없다. 기와 질 이외에는 다시 가리킬 것도 없고 논할 것도 없다. 그런데 이제 주천(周天) 300도(度)의 아래와 대지(大地) 9주(州)의 위에 하늘도 아니고 땅도 아닌 곳이 이처럼 많은 것은 어째서인가?
〔답〕 태허(太虛)의 사이에는 기(氣)가 가득하여 없는 곳이 없다. 땅 위로는 하늘이 아닌 곳이 없다. 고시(古詩)에 “한 자의 땅을 파고들어 가면 한 자의 하늘이 생긴다.[坎得一尺地 便是一尺天]”라고 하였다. 그러니 360도만이 하늘이 아니다. 이는 일월성신(日月星辰)의 빛이 보이는 것만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육합(六合)의 안에서 질(質)이 아닌 것은 바로 기이며, 땅이 아닌 곳은 바로 하늘이다.
74. 〔문〕 〈태극도〉에 예(禮)와 지(智)를 중(中)과 정(正)으로 바꾼 것은 무슨 뜻인가? 인의예지(仁義禮智)라고 말하지 않고 도리어 예지인의(禮智仁義)라고 한 것은 또 무슨 뜻인가?
〔답〕 〈태극도〉는 《주역》에 근본을 두었다. 《주역》에서 그 덕(德)으로 말할 때에는 인의(仁義)라 하고, 그 용(用)으로 말할 때에는 중정(中正)이라 하였다. 요컨대 음(陰)과 양(陽) 두 가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중정을 더욱 중하게 여기는 것이다. 또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중정이 비교적 힘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예(禮)는 간혹 중(中)하기도 하고 부중(不中)하기도 하며, 지(智)는 간혹 정(正)하기도 하고 부정(不正)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지와 예는 수(水)와 화(火)이며, 수와 화는 오행에서 먼저 온다. 〈태극도〉에서는 생성되어 나오는 순서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지와 예를 먼저 말한 것이다.
75. 〔문〕 태극이 한번 동(動)하면 음양과 오행과 만물이 되는 데까지 조금의 차질도 없다. 그런데 사람의 경우에는 동하자마자 차질이 있게 된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오직 성인만이 차질이 없다는 것은 성인이 하늘과 덕이 같음을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하늘도 때로는 차질이 없지 않다. 예컨대 겨울에 덥고 여름에 춥다던가, 안연(顔淵)은 일찍 죽고 도척(盜蹠)은 오래 살았다던가, 공자는 길을 가다가 곤욕을 당하고 여후(女后)는 천자가 되었다던가, 탕(湯) 임금 시대에는 가뭄이 들고 노 선공(魯宣公) 때에는 풍년이 들었다던가 하는 것들은, 하늘이 도리어 성인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현인은 성인을 본받기를 바라고, 성인은 하늘을 본받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성인이 도리어 성인만도 못한 하늘을 본받기를 바란다는 것인가?
〔답〕 범인(凡人)은 동하면 차질이 생기니 기(氣)가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성인이 차질이 없는 것은 맑은 기를 얻었기 때문이며, 하늘이 가끔 차질이 없지 않은 것도 기가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대개 성인은 순일하게 맑은 기를 얻었고, 범인은 맑음과 탁함이 고르지 못하며, 천지의 기운도 고르지 못하다. 그러므로 주자가 이르기를 “천지의 성은 이이다. 음양과 오행에 이르러서야 문득 기질이 어둡거나 밝고, 두껍거나 얇음이 있게 된다.[天地之性 理也 到陰陽五行處 便有氣質之昏明厚薄]”라고 하였다. 대개 정상적인 것에서 벗어나면 변고가 되는데, 변고에 대처하는 것이 권도(權道)이다. 성인은 변고에 대처하는 권도가 있지만 하늘은 그러한 것이 없다. 하늘은 모든 만물에 대해 두루 미치기는 하지만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명도(明道) 선생이 이르기를 “성인은 정이 없고 하늘은 마음이 없다.[聖人無情 天無心]”라고 하였다.
○ 성인의 기(氣)는 천지의 기에 비해 더욱 정밀하다. 천지의 기는 성인의 기에 비하여 오히려 잡박하다. 그러므로 품부받을 때 사람과 사물에 따라 다름이 있고, 시서(時序)에서도 정상과 변고가 있는 것이다. 다만 천지의 성(性)은 대본(大本)이고 달도(達道)라서 유행하고 발육할 때 안도 없고 밖도 없으며 치우치지도 않고 나누어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점 때문에 성인이 하늘을 본받기를 바라는 것이며, 문왕(文王)이 순수하여 그치지 않았던 것이다.
76. 〔문〕 동정(動靜)과 음양(陰陽)은 마치 하나로 이어진 고리와 같아서 연속되어 중단되는 곳이 없다. 이 고리가 멈추는 곳은 어디인가?
〔답〕 동정과 음양이 멈추는 곳은 동정과 음양이다. 이 고리가 멈추는 곳은 이 고리이다.
77. 〔문〕 〈태극도〉를 보면 양의(兩儀) 속에 이미 지(地)가 있는데, 오행 속에 또 토(土)가 있다. 토와 지는 같은 물건인데 어찌해서 두 가지 물건으로 나뉘었는가?
〔답〕 지(地)는 천(天)에 대응해서 말한 것이다. 기(氣)가 있는 것은 모두 천이며, 질(質)을 이루는 것은 모두 지이다. 토는 오행 가운데 형체를 이룬 하나의 물건이다. 소옹(邵雍)이 말하기를 “네모난 것은 땅이다. 우 임금이 이를 이용하여 구주(九州)를 획정하였다.[方者土也 禹因畫州]”라고 하였고, 한유(韓愈)가 말하기를 “초목과 산천이 모두 지이다.[草木山川皆地也]”라고 하였고, 주자(朱子)는 말하기를 “지는 대강을 들어 말한 것이다.[地言其大槪]”라고 하였다.
78. 〔문〕 원형이정(元亨利貞)이 태극이다. 원(元)과 형(亨)은 양(陽)이고, 이(利)와 정(貞)은 음(陰)이다. 원은 목(木)이고 형은 화(火)이며 이는 금(金)이고 정은 수(水)이다. 합하여 말하면 이러한 데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각기 그 이름을 달리하여 학자들로 하여금 사물의 명칭에 현혹되게 한 것은 어째서인가?
〔답〕 태극은 천지만물의 이치를 총괄해서 말한 것이다. 이(理)가 하늘에 있으면 원형이정이라 하고, 이가 사람에게 있으면 인의예지(仁義禮智)라고 한다. 음양은 기(氣)를 가지고 말한 것이고, 금목수화(金木水火)는 물(物)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비록 그 이름을 둘로 구분하지 않고자 하더라도 어찌 그럴 수 있겠는가.
79. 〔문〕 “오행이 생겨날 때는 각각 그 성을 하나씩 간직하였다.[五行之生也 各一其性]”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의 성(性) 자는 이(理)의 본원인가, 아니면 기질이 다른 것인가? 장남헌(張南軒)이 이것을 가리켜 본원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주자는 이를 가리켜 기질이라고 하기도 하고 본원이라고 하기도 하여 그 논리가 일정하지 않았다. 이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답〕 “각각 그 성(性)을 하나씩 간직하였다.”라고 할 때의 성은 기질의 성이다. 다만 기질의 성은 실로 본원의 성과 동일한 성이다. 어떤 이가 주자에게 “학자들이 어떤 것을 따라야 할지를 모를까 걱정된다.”라고 하자, 주자가 말하기를 “음양과 오행의 성은 각기 하나의 기(氣)를 받았지만 성(性)인 것은 똑같다.”라고 하였다. 또 묻기를 “두 성 자가 같은 것인가?”라고 하자, “같다.”라고 하고 또 “같은 것은 이(理)이고 다른 것은 기이다.”라고 하였다.
80. 〔문〕 “동하여 양을 낳고, 정하여 음을 낳는다.[動而生陽 靜而生陰]”라고 하였는데, 이는 양의(兩儀)가 처음 나뉠 때인가? “동이 극에 달하면 다시 정하고, 정이 극에 달하면 다시 동한다.[動極復靜 靜極復動]”라고 하였는데, 이 천지(天地)만을 들어서 말한 것인가, 아니면 전천지(前天地)와 후천지(後天地)를 아울러 들어서 말한 것인가?
〔답〕 음으로 나누어지고 양으로 나누어져서 양의가 성립된다. 그러나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태극에 동정이 있는 것은 천명이 유행하는 것이다.[太極之有動靜 是天命之流行也]”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이제 ‘동하여 양을 낳는다.[動而生陽]’라고 한 곳부터 살펴보라.”라고 하였다.
○ 전후의 천지에 대해서는 말할 것이 없다. 오직 소옹(邵雍)의 〈선천도(先天圖)〉에만 “무극 이전에는 음이 양을 포함한다.[無極之前 陰含陽]”라고 하였다.
81. 〔문〕 음(陰)과 양(陽)이 천(天)이라는 것은 기(氣)로써 말한 것이고, 강(剛)과 유(柔)가 지(地)라는 것은 질(質)로써 말한 것이며, 인(仁)과 의(義)가 인(人)이라는 것은 덕(德)으로써 말한 것이다. 하늘의 도는 음과 양에서 벗어나지 않으니, 추위와 더위가 오고 가는 것이 그것이다. 땅의 도는 강과 유에서 벗어나지 않으니, 산이 높고 물이 흐르는 것이 그것이다. 사람의 도는 인과 의에서 벗어나지 않으니, 어버이를 섬기고 형을 따르는 것이 그것이다. 하늘과 땅은 그 크기가 저토록 큰데, 사람은 아주 작은 하나의 몸이면서도 그 중간에 붙어 있으면서 하늘이나 땅과 더불어 삼재(三才)가 되었다. 이에 한 생각을 선하게 가지면 상서로운 별과 구름이 나타나고 한 생각을 악하게 가지면 사나운 바람과 거센 비가 내려 천지와 더불어 혼연히 간극이 없게 되었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답〕 양(陽) 중의 음양(陰陽)은 음양이며 천도(天道)이다. 음(陰) 중의 음양은 강유(剛柔)이며 지도(地道)이다. 음과 양은 기(氣)를 합하고 강과 유는 질(質)을 이룬다. 이러한 이(理)가 처음 인도(人道)의 극(極)이 되는 것이 인의이다. 그러나 실제는 모두 하나의 이이다. 위에 붙어서는 하늘이 되고, 아래에 붙어서는 땅이 되고, 가운데에 붙어서는 사람이 된다. 비록 이는 같지만 기질을 가지고 말하면 사람에 있는 것이 조금은 더 정밀하고 갖추어져 있다. 나의 마음이 하늘과 땅의 마음이다. 그러므로 감응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주1] 태극문(太極問) : 구봉의 저술 가운데 중요하게 손꼽히는 것이다. 성리학(性理學)의 근본이 되는 이기(理氣)에 관한 문제를 주희(朱熹)의 어의(語意) 범주 내에서 일문일답식으로 꾸민 것으로, 노장(老莊)과 불가(佛家)의 설을 등장시켜 유가(儒家)에서 말하는 이기와 비교함으로써 태극(太極), 음양(陰陽), 길흉(吉凶), 동정(動靜), 오행(五行), 사시(四時) 등 다방면의 문제를 이기와 결부하여 설명하고 있다. 모두 81개의 문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각 조목에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 〈태극문〉에 대하여 송시열(宋時烈)은 “이것은 형이상적인 것을 탐구해 가는 큰 근원으로 공자부터 주자에 이르기까지 논설이 매우 잘 갖추어져 있어 부족함이 없다. 더구나 이 편에서 말한 것은 처음에는 비록 발명(發明)한 것이 없었으나 그런대로 틀린 것도 없었다. 그러나 중반 이후의 부분은 이치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그 문리(文理)가 역시 막히고 불분명하여 차마 입에 올릴 수조차 없는 곳이 있다. 그러니 정밀하게 살피고 잘 선택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2] 천문(天問) : 굴원이 지은 《초사(楚辭)》의 편명이다. 굴원이 초(楚)나라 조정에서 쫓겨난 뒤 근심 걱정 속에 산택(山澤)을 방황하면서 하늘을 쳐다보고 탄식하며, 우주의 모든 사실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여 하늘에 묻는 형식으로 지은 글이다. 《楚辭 卷3 天問》
[주3] 유자(柳子)의 무극지극(無極之極) : 유종원(柳宗元)의 〈천대(天對)〉에 “무극의 극은 넓고 넓어서 끝이 없다.[無極之極, 漭瀰非垠.]”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말한 무극의 극은 궁극(窮極)을 의미한다. 《柳河東集 卷40》
[주4] 소 선생(邵先生)의 무극지전(無極之前) : 소옹(邵雍)의 〈선천도설(先天圖說)〉에 “무극의 전에는 음이 양을 포함한다. 유극의 후에는 양이 음과 나눠진다.[無極之前, 陰含陽也; 有極之後, 陽分陰也.]”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주희는 “복괘(復卦)와 곤괘(坤卦) 사이가 무극이고, 곤괘로부터 거꾸로 구괘(姤卦)까지가 무극의 전이다.”라고 하였으며, 이이(李珥)는 “소옹이 ‘무극의 전에는 음이 양을 포함하였다.’라고 한 말은, 일양(一陽)이 동하기 이전을 끊어서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주5] 주 부자(周夫子)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 :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태극권(太極圈)을 설명한 말로, 무극이면서 태극이라는 뜻이다.
[주6] 주자(朱子)는 …… 하였다 : 주희가 이르기를 “무극이태극은 단지 형체가 없으면서 이치는 있는 것이다. 주자(周子)가, 사람들이 태극의 밖에서 다시 태극을 찾을까 걱정되었으므로 무극으로 말한 것이다. 이미 무극이라고 하였으니 유(有)의 도리를 억지로 찾아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7] 주자(朱子)가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유(有) 자를 태(太) 자로 해석할 수 없다. 태극은 단지 이(理)이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8] 공자(孔子)는 …… 하고 : 《주역》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역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를 낳고, 양의가 사상을 낳고, 사상이 팔괘를 낳는다.[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라고 하였다.
[주9] 공자가 …… 하고 : 공자가 일찍이 증자(曾子)를 불러 이르기를 “삼(參)아, 내 도는 한 가지 이치가 수많은 일을 꿰뚫고 있다.”라고 하니, 증자가 즉시 “예, 옳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論語 里仁》
[주10] 맹자는 …… 하였다 : 맹자가 이르기를 “무릇 도는 큰길과 같으니 어찌 알기 어렵겠는가. 사람이 구하지 않음을 병통으로 여기나니, 그대가 돌아가서 구하면 스승이 있을 것이다.[夫道, 若大路然, 豈難知哉. 人病不求耳. 子歸而求之, 有餘師.]”라고 하였다. 《孟子 告子上》
[주11] 무(無)와 …… 것이다 : 육씨는 송나라의 학자 육구소(陸九韶)와 육구연(陸九淵) 형제를 가리킨다. 주돈이가 《태극도설》을 지어 태극의 원리를 설명하였는데, 그 첫 도입부가 ‘무극이태극’이라는 말로 시작한다. 여기에 대해 육씨 형제와 주희가 서로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이에 대한 논의를 펼쳤는데, 육구연은 “태극 앞에 무극이란 말을 붙이는 것은 도가(道家) 내지는 불가(佛家)의 논리이다.”라고 비판하고 “무극이란 말은 필요 없다.”라는 논리를 제기하였다. 이에 반해 주희는 “무극이면서 동시에 태극이다.”라고 해석하였는데, 그러면서도 “태극 외에 무극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여 무극을 빼놓고 태극만을 논한다면, 태극이 마치 하나의 물체처럼 되어서 조화의 근원이 될 수 없다. 반대로 태극을 빼놓고 무극만을 논한다면 공허(空虛)가 되어 역시 조화의 근원이 될 수 없다.”라고 하였다. 그러고는 이를 바탕으로 “천지도 하나의 태극이요, 만물 하나하나가 모두 태극이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주12] 이극(爾極) : 《시경》 〈주송(周頌) 사문(思文)〉에 “우리 백성을 먹여 살리시니, 당신의 지극한 덕 아님이 없다.[立我烝民, 莫匪爾極.]”라고 하였다.
[주13] 상읍사방지극(商邑四方之極) : 《시경》 〈상송(商頌) 은무(殷武)〉에 “상나라 도읍이 잘 정돈되어 있으니, 사방의 표준이로다.[商邑翼翼, 四方之極.]”라고 하였다.
[주14] 상천(上天)의 …… 없다 : 《시경》 〈대아(大雅) 문왕(文王)〉에 “상천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 문왕을 본받으면 만방이 진작하여 믿으리라.[上天之載, 無聲無臭. 儀刑文王, 萬邦作孚.]”라고 하였다.
[주15] 북계 진씨(北溪陳氏)가 …… 것 : 북계 진씨는 송(宋)나라 학자인 진순(陳淳)으로, 호는 북계이다. 주희의 문인이다. 그가 말하기를 “태극은 글자의 뜻이 분명치가 않은데, 주돈이가 만든 〈태극도(太極圖)〉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말이 명백해졌다. 이른바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라고 한 곳에서의 이(而) 자는 가벼이 이어 주는 것이다. 그러니 이 구절에 대해서 중간을 나누어 두 가지로 보아서는 안 된다. 무극은 바로 무궁한 극이다. 이것은 단지 이(理)가 형상(形狀)이나 방체(方體)가 없음을 말한 것으로, 바로 무성(無聲)과 무취(無臭)를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北溪字義 卷下 太極》
[주16] 주자(朱子)가 …… 하였다 : 어떤 사람이 “먼저 이(理)가 있는 것인가, 아니면 먼저 기(氣)가 있는 것인가?”라고 묻자, 주자가 답하기를 “이는 일찍이 기에서 떨어진 적이 없다. 그러나 이는 형이상자이고 기는 형이하자이다. 형이상과 형이하로 말을 한다면 어찌 선후가 없겠는가.”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1 理氣上 太極天地上》
[주17] 맹자는 …… 말하였다 : 맹자는 본연지성에 대해 말하면서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고, 정이(程頤)는 인간의 본성을 순선무악(純善無惡)의 본연지성과 유선유악(有善有惡)의 기질지성으로 나누어 말하였다.
[주18] 주자(朱子)가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성(性)은 태극과 같고, 심(心)은 음양과 같다. 태극은 단지 음양의 속에 있어서 능히 음양을 떠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지극하게 논해 본다면 태극은 절로 태극이고, 음양은 절로 음양이다. 성과 심도 그렇다.[性猶太極也, 心猶陰陽也. 太極只在陰陽之中, 非能離陰陽也. 然至論太極自是太極, 陰陽自是陰陽. 惟性與心亦然.]”라고 하였다. 이른바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라고 하는 것이다. 《朱子語類 卷5 性理2 性情心意等名義》
[주19] 주자가 …… 하였다 : 어떤 사람이 주희에게 “맹자가 말한 성(性)과 이천이 말한 성은 어떻습니까?”라고 물으니, 주희가 말하기를 “같지 않다. 맹자는 추려 내서 성의 본연에 대해서 말하였고, 이천은 기질을 겸하여서 말하였는데, 요체는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자는 ‘성을 논하면서 기를 논하지 않으면 갖추어지지 않고, 기를 논하면서 성을 논하지 않으면 분명치가 않게 된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내가 〈태극해(太極解)〉에서 ‘이른바 태극이라는 것은 음양에서 떨어뜨려서 말한 것이 아니고, 역시 음양에 뒤섞어서 말한 것도 아니다.’라고 하였다.” 하였다. 《朱子語類 卷4 性理1 人物之性氣質之性》
[주20] 남헌 …… 어떠한가 : 남헌 장씨는 남송 때의 학자 장식(張栻)을 말한다. 남헌은 그의 호이다. 장식의 이 물음에 대해서 송시열(宋時烈)은 “이 물음은 매우 의심스럽다. 이것은 소자(邵子)의 말과 같이 마음을 태극이라고 한 연후에 이발과 미발을 논한다면 옳지만, 이제 태극을 가지고 곧장 이발과 미발을 논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21] 이미 …… 말하였으니 : 《주역》 〈계사전 상〉에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 한다. 이를 이어 가는 것은 선이고 이루는 것은 성이다.[一陰一陽之爲道. 繼之者, 善也; 成之者, 性也.]”라고 하였다.
[주22] 음은 …… 한다 : 주희가 말하기를 “양이 음에 근원하고 음이 양에 근원하여 서로 내재되어 있다.[陽根陰, 陰根陽, 互藏其宅.]”라고 하였으며, 왕수인(王守仁)은 “진음의 정은 진양의 기의 어머니이고, 진양의 기는 진음의 정의 아버지이다. 음은 양을 뿌리로 하고 양은 음을 뿌리로 하니, 역시 두 가지가 있는 것이 아니다.[眞陰之精, 即眞陽之氣之母; 眞陽之氣, 即眞陰之精之父. 陰根陽, 陽根陰, 亦非有二也.]”라고 하였다. 《性理群書句解 卷12 正蒙 參兩篇2》 《傳習錄 卷中 答陸原靜書》
[주23] 주자가 말하기를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음과 양은 한 개로 보아도 괜찮고 두 개로 보아도 괜찮다. 두 개로 보는 것은 ‘음이 나누어지고 양이 나누어져서 양의(兩儀)가 선다.’라는 것이며, 한 개로 보는 것은 단지 한 개가 소장(消長)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65 易1 綱領上 陰陽》
[주24] 진(眞)은 …… 기(氣)이다 : 진은 무극(無極)의 참된 이치를 말하고, 정(精)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깨끗한 기운을 말한다. 주돈이의 《태극도설》에 “무극의 진과 이오의 정이 묘하게 합하고 엉겨서, 건도는 남자를 이루고 곤도는 여자를 이룬다.[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 坤道成女.]”라고 하였다.
[주25] 땅에 …… 이룬다 : 《주역》 〈계사전 상〉에 “하늘은 높고 땅은 낮으니 건(乾)과 곤(坤)이 정해지고, 낮은 것과 높은 것이 진열되니 귀(貴)와 천(賤)이 자리를 잡고, 동(動)과 정(靜)이 일정함이 있으니 강(剛)과 유(柔)가 판별되고, 방(方)은 유(類)로써 모이고 물건은 무리로써 나누어지니 길(吉)과 흉(凶)이 생기고, 하늘에 있으면 상(象)을 이루고 땅에 있으면 형(形)을 이루니 변(變)과 화(化)가 나타난다.”라고 하였다.
[주26] 장횡거(張橫渠)가 …… 것 : 장횡거는 송나라 신종(神宗), 철종(哲宗) 때의 학자 장재(張載)를 말한다. 횡거는 그의 호이다. 장재가 말하기를 “음과 양의 정(精)이 서로 상대방의 안에 내재되어 있으면 각각 그 편안한 바를 얻는다. 그러므로 해와 달의 형체는 만고토록 변하지 않는다.[陰陽之精, 互藏其宅, 則各得其所安. 故日月之形, 萬古不變.]”라고 하였다. 《張子全書 正蒙1 參兩篇 第2》
[주27] 토가 …… 것이다 : 오행의 토기(土氣)가 목(木)과 화(火)와 금(金)과 수(水)의 사행(四行)처럼 계속해서 72일간 왕성하지 못하고, 봄에는 목왕(木旺)의 뒤에 붙어서 18일 동안 왕성하고, 여름에는 화왕(火旺)의 뒤에서 18일, 가을에는 금왕(金旺)의 뒤에서 18일, 겨울에는 수왕(水旺)의 뒤에 붙어서 18일간 왕성한 것을 말한다.
[주28] 말하기를 …… 하였다 : 주돈이의 《태극도설》에 “오직 사람은 그 빼어난 기운을 얻어 가장 영특하니, 형체가 생겨나니 정신이 지각을 발한다. 그리하여 오성이 감응해 동하여서 선과 악이 나뉘고 만사가 나온다.[惟人也, 得其秀而最靈. 形旣生矣, 神發知矣. 五性感動, 而善惡分, 萬事出矣.]”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주자(朱子)는 “형체는 음에서 나오고, 정신은 양에서 나온다.[形生於陰, 神發於陽.]”라고 하였다. 《周子全書 卷1 太極圖說》
[주29] 건순(健順) : 건(健)은 건(乾)의 성(性)으로 양(陽)을, 순(順)은 곤(坤)의 성으로 음(陰)을 말한다. 《周易 說卦傳》
[주30] 이른바 …… 것이다 : 정이(程頤)가 음양(陰陽)과 동정(動靜)에 대해 논하면서 “동정은 끝이 없고 음양은 시작이 없나니, 도를 아는 자가 아니라면 누가 이런 이치를 제대로 알겠는가.[動靜無端, 陰陽無始. 非知道者, 孰能識之?]”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1 道體》
[주31] 말하기를 …… 하여 : 주돈이의 《태극도설》에 “무극이면서 태극이니, 태극이 동하여 양을 낳고 동이 극에 달하면 정해지며, 정하여 음을 낳고 정이 극에 달하면 다시 동한다.[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라고 하였다.
[주32] 주자가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태극이 동하여 양을 낳고 정하여 음을 낳는다는 것은 동한 뒤에야 비로소 양을 낳는 것이 아니다. 이는 동하자마자 양에 속하고 정하자마자 음에 속하는 것이다. 동하여 양을 낳는다는 것은, 그 처음은 본디 정한데, 정한 위에서 또 동하는 것이다. ‘동하고 정함이 끝이 없다.’라는 것은, 이제 동하여 양을 낳는다고 한 곳으로부터 살펴본 것이다.[太極動而生陽, 靜而生陰, 不是動後方生陽. 蓋纔動便屬陽, 靜便屬陰. 動而生陽, 其初本是靜, 靜之上, 又須動矣. 所謂動靜無端, 今且自動而生陽處看去.]”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33] 정자(程子)가 …… 것 : 정호(程顥)가 말하기를 “형이상을 도라 하고, 형이하를 기라 한다. 모름지기 이와 같이 말해야 하나, 기 또한 도이고 도 또한 기이다.[形而上爲道, 形而下爲器. 須著如此說, 器亦道, 道亦器.]”라고 하였다. 《二程遺書 卷1 端伯傅師說》 이는 정호가 제시한 도기관(道器觀)의 명제이다. 도(道)는 무형의 법칙을 말하고, 기(器)는 유형의 기물(器物)을 말한다. 《주역》 〈계사전 상〉에 “형이상자를 도라고 하고, 형이하자를 기라고 한다.[形而上者謂之道, 形而下者謂之器.]”라고 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도는 형체가 없는 것이므로 형이상으로 칭하고, 기는 형체가 있는 것이므로 형이하로 칭하게 되었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형이상과 형이하를 가지고 도와 기를 구분하였다.
[주34] 사람마다 …… 하였다 : 송대(宋代) 성리학의 이일분수(理一分殊) 사상과 직결되는 이른바 일태극설(一太極說)을 말한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35] 이루어지는 …… 하였다 : 어떤 사람이 묻기를 “선생께서 태극을 말하면서는 ‘이 성(性)이 있으면 음양과 오행이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성을 말한 것은 어떻습니까?”라고 하자, 주희가 답하기를 “생각건대 이것은 내가 예전에 말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다시 생각해 보니 그렇지가 않다. 이곳에서의 성(性) 자는 하늘에서 품부받은 것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만약 태극에 대해 말할 경우에는 이(理)만 말하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36] 주역과 …… 말하였다 : 주희의 설명에 의하면, 기화는 애당초 사람이 아무런 종자 없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며, 형화는 사람이 있은 뒤에 낳고 낳아 생겨나는 것이다. 주희는 《태극도설》에서 “만물을 변화시켜 생성한다.[化生萬物]”라는 구절을 설명하면서 “사람과 사물이 처음에는 기화하여 생겨나며 기가 모여 형체를 이루면 형체가 교접하고 기가 감응하여 마침내 형화하는데, 사람과 사물이 낳고 낳아 변화가 무궁하다.”라고 하였다. 《性理大全 卷1 太極圖》
[주37] 서명(西銘) : 송나라 학자 장재(張載)가 〈동명(東銘)〉과 함께 좌우명으로 삼아 쓴 글이다. 송대 성리학 사상을 심오하게 담고 있어 후대 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되었다.
[주38] 홍범(洪範) : 《서경》의 편명으로, 유가(儒家)의 세계관에 의거한 정치 철학을 말한 글이다. 구주(九疇) 또는 홍범구주(洪範九疇)라고도 한다. 정치는 천(天)의 상도(常道)인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紀),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오복(五福) 등 구주(九疇)에 의해 인식되고 실현된다는 것이 그 주요 내용이다.
[주39] 주자가 …… 하였다 : 어떤 사람이 이에 대해서 묻자, 주희가 답하기를 “이(理)는 하나일 뿐인데, 사람들이 본 바에 자세하고 간략한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도리는 역시 애초부터 서로 맞지 않는 것이 없다.[理一也, 人所見有詳略耳. 然道理亦未始不相値也.]”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40] 정명도(程明道)가 …… 하였다 : 정명도는 정호(程顥)를 가리킨다. 정호가 말하기를 “‘인생이정(人生而靜)’ 이상(以上)에 대해서는 말로 설명할 수가 없으며, 성(性)을 말하는 순간 이미 성이 아니다. 모든 사람이 성을 말할 때는 〈계사전〉에 나오는 ‘계지자선야(繼之者善也)’를 말할 뿐이니, 맹자가 성선(性善)이라고 말한 것이 이에 해당된다. 이른바 ‘계지자선야’는 마치 물이 아래로 흘러가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인생이정(人生而靜)’은 《예기》 〈악기(樂記)〉에 나오는 말로, 〈악기〉에 “사람이 태어나서 정(靜)한 상태는 하늘의 성(性)이요, 사물에 감동되어 동(動)하는 것은 성의 욕(欲)이다.[人生而靜, 天之性也; 感於物而動, 性之欲也.]”라고 하였다.
[주41] 구괘(姤卦) : 대본에는 ‘垢’로 되어 있다. 문맥에 근거하여 ‘姤’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주42] 복괘(復卦)와 …… 것이다 : 소옹(邵雍)이 말하기를 “무극의 전에는 음이 양을 포함하였고, 상(象)이 있은 뒤에는 양이 음을 나누었다. 음은 양의 어머니이고, 양은 음의 아버지이다. 그러므로 어머니가 장남을 잉태하여 복괘가 되었고, 아버지가 장녀를 낳아 구괘가 되었다, 이 때문에 양은 복괘에서 일어나고, 음은 구괘에서 일어나는 것이다.[無極之前, 陰含陽也; 有象之後, 陽分陰也. 陰爲陽之母, 陽爲陰之父. 故母孕長男而爲復, 父生長女而爲姤. 是以陽起於復而陰起於姤也.]”라고 하였다. 《周易 卷首 方位》 주희는 소옹의 이 말에 대해 “복괘와 곤괘 사이가 무극이고, 곤괘로부터 거꾸로 구괘까지가 무극의 전이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65 易1 綱領上 陰陽》
[주43] 처음에는 …… 것이다 : 장자가 말하기를 “‘처음’이란 말이 있으며 ‘처음에 처음이라는 말이 아직 있지 않았다.’라는 말이 있으며 ‘처음에, 처음에 처음이라는 말이 아직 있지 않았다는 말도 아직 있지 않았다.’라는 말이 있다. ‘유(有)’라는 말이 있으며, ‘무(無)’라는 말이 있으며 ‘처음에 무라는 말이 아직 있지 않았다.’라는 말이 있으며 ‘처음에는 처음에 아직 무라는 말이 있지 않았다.’라는 말이 있다. 이처럼 언어가 생기자 이윽고 무가 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아직도 유와 무 가운데 어떤 것이 과연 있고 어떤 것이 과연 없는지를 모르겠다.[有始也者, 有未始有始也者, 有未始有夫未始有始也者. 有有也者, 有無也者, 有未始有無也者, 有未始有夫未始有無也者. 俄而有無矣, 而未知有無之果孰有孰無也.]”라고 하였다. 《莊子 齊物論》
[주44] 주자(朱子)가 …… 하였으니 : 주희가 말하기를 “주자(周子)가 무극이면서 태극이라고 한 것은 태극의 위에 별도로 무극이 있는 것이 아니다. 단지 태극이 어떤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님을 말한 것일 뿐이다.[周子所謂無極而太極, 非謂太極之上別有無極也, 但言太極非有物耳.]”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45] 주자가 …… 하였다 : 연평(延平)은 송나라 학자 이동(李侗)으로, 연평은 호이고 자는 원중(願中),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이정(二程)의 학문이 주희에게 이어지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주희가 연평에게 묻기를 “‘태극이 동하여서 양을 낳는다.’라고 한 데 대하여 선생께서 일찍이 ‘이것은 단지 이(理)이니 이발(已發)로 볼 수가 없다.’라고 하셨는데, 저로서는 의심스럽습니다. 이미 ‘동하여서 양을 낳는다.’라고 하였으니, 복괘(復卦)의 한 양이 생겨나는 데에서 천지의 마음을 볼 수가 있다는 것과 무엇이 다릅니까? 제 생각으로는 아마도 ‘동하여서 양을 낳는다.’라고 한 것은 천지의 희로애락이 발하는 곳으로, 여기에서 천지의 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두 기운이 서로 교감하여 만물을 화생한다.’라고 한 것은 사람과 사물의 희로애락이 발한 곳으로, 여기에서 사람과 사물의 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두 구절로 나누어서 보는 것이 옳지 않겠습니까?[太極動而生陽, 先生嘗曰: “此只是理, 做已發看不得.” 熹疑旣言“動而生陽”, 即與復卦一陽生而見天地之心何異. 竊恐“動而生陽”, 即天地之喜怒哀樂發處, 于此即見天地之心. “二氣交感, 化生萬物”, 即人物之喜怒哀樂發處, 于此即見人物之心. 如此做兩節看, 不知得否?]”라고 하자, 연평 선생 이동이 말하기를 “‘태극이 동하여 양을 낳는다.’라고 한 것은 지극한 이(理)의 근원으로 단지 동정(動靜)이 개합(開闔)하는 것이며, 만물을 끝내고 만물을 시작하는 데에 이르러서도 단지 이 이가 일관한다.[太極動而生陽, 至理之源, 只是動靜闔闢, 至于終萬物、始萬物, 亦只是此理一貫也.]”라고 하였다. 《宋元學案 卷39 豫章學案 延平答問》
[주46] 주자가 이르기를 …… 하였으니 : 주희가 말하기를 “정은 성이 서게 되는 까닭이며, 동은 천명이 행하게 되는 까닭이다. 그러나 사실 정은 동이 쉬는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한 번 동하고 한 번 정하는 것이 모두 천명이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하고 정하는 데에서 행하는 것은 곧 성의 진이다. 그러므로 ‘하늘이 명하는 것을 성이라 이른다.’라고 하는 것이다. 성이 미발한 것은 성이다. 이것은 이에 이른바 중이며, 천하의 대본이다. 성이 이발한 것은 정이다. 그것이 모두 절도에 맞으면 이른바 화라는 것이며, 천하의 달도이다. 이것은 모두 천리로 볼 때 자연스러운 것이다. 성과 정의 덕을 묘하게 하는 것은 심이다. 중화에 이르게 하고 대본을 세워서 달도를 행하게 하는 것은 천리가 주재하는 것이다.[靜者, 性之所以立也; 動者, 命之所以行也. 然其實則靜亦動之息爾. 故一動一靜, 皆命之行, 而行乎動靜者, 乃性之眞也. 故曰“天命之謂性”. 性之未發者, 性也. 是乃所謂中也, 天下之大本也. 性之已發者, 情也. 其皆中節, 則所謂和也, 天下之達道也. 皆天理之自然也. 妙性情之德者, 心也. 所以致中和、立大本而行達道者也, 天理之主宰也.]”라고 하였다. 《晦庵集 卷67 太極說》
[주47] 태극이 …… 성(性)이다 : 《주역》 〈계사전 상〉에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 하니, 이를 이어 가는 것은 선이고 이루는 것은 성이다.[一陰一陽之爲道. 繼之者, 善也; 成之者, 性也.]”라고 하였다. 이에 대한 주희의 《본의(本義)》에 “도는 음에 갖추어져 있고 양에 행해진다. 이어 가는 것은 그 발(發)함을 말한 것이요, 선(善)은 화육(化育)의 공(功)을 말하니, 이는 양의 일이다. 이루는 것은 갖춤을 말한 것이요, 성(性)은 물건이 받은 것을 말하니, 물건이 나면 성을 간직하고 있어 각각 이 도를 갖춤을 말한 것이다. 이는 음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주48] 성(性)이라고 …… 없다 : 이 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성(性)이라고 이른다면 선악을 나눌 수가 없다.’라고 한 것은 의심스럽다. 공자가 ‘성은 서로 가깝다.[性相近]’라고 하였고, 정자는 ‘악한 것도 성이라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하였으니, 이 말은 다 무엇을 말한 것인가. 맹자는 오로지 선의 일변(一邊)만을 말하였기 때문에 주자가, 그 정밀함이 오히려 정자만 못하다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49] 또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태극은 본연의 신묘함이고 동정은 올라타는 작용이다. 태극은 형이상의 도(道)이고 음양은 형이하의 기(器)이다. 형이하로부터 보면 동정은 때를 같이하지 않고 음양은 자리를 같이하지 않으나 태극은 있지 않은 곳이 없다. 형이상으로부터 보면 충막무짐(沖漠無朕)하지만 동정과 음양의 이치가 그 가운데 이미 다 갖추어져 있다.[太極者, 本然之妙也; 動靜者, 所乘之機也. 太極, 形而上之道也; 陰陽, 形而下之器也. 自形而下者觀之, 則動靜不同時, 陰陽不同位, 而太極無不在焉. 自形而上者觀之, 則沖漠無朕, 而動靜陰陽之理, 已悉具于其中矣.]”라고 하였다. 《宋元學案 卷67 九峯學案》
[주50] 건도(乾道)는 …… 것 : 주돈이의 《태극도설》에 “무극의 진과 이오의 정이 묘하게 합하고 엉겨서, 건도는 남자를 이루고 곤도는 여자를 이룬다.[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 坤道成女.]”라고 하였다.
[주51] 주자가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만물의 근원이 하나라는 점에서 논하면 이(理)는 같고 기(氣)는 다르다. 그러나 체(體)가 다른 만물을 살펴보면 기는 서로 비슷하지만 이는 판연히 다르다.[萬物之一原, 則理同而氣異. 觀萬物之異體, 則氣猶相近, 而理絶不同.]”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4 性理1 人物之性氣質之性》
[주52] 통서(通書) : 주돈이가 지은 책으로, 그의 《태극도설》과 짝이 된다. 《태극도설》이 이론 위주의 글이라면, 《통서》는 응용을 위주로 한 저술이다. 처음에는 《주역》의 도와 통한다고 해서 《역통(易通)》이라고 했다가 나중에 《통서》로 이름을 바꿨다.
[주53] 맹자가 …… 하였고 : 맹자가 말하기를 “정(情)으로 말하면 선할 수 있으니, 바로 이른바 선이다.[乃若其情, 則可以爲善矣, 乃所謂善也.]”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주희는 “정은 성(性)이 동한 것이다. 사람의 정은 본디 선할 수만 있고 악할 수는 없으니, 성이 본디 선함을 알 수 있다.[情者, 性之動也. 人之情, 本但可以爲善而不可以爲惡, 則性之本善可知矣.]”라고 하였다. 《孟子集註 告子上》
[주54] 사람은 …… 아니한가 : 이 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이 대답은 더욱 이해할 수 없다. 이런 것들로 본다면 결코 율곡 선생의 저작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다만 우계(牛溪) 성혼(成渾)이 인용한 선생의 〈벌레 소리에 대한 설[蟲聲說]〉을 살펴보면 그 쇄락하고 통투한 것이 이것과는 같지 않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55] 성인이 …… 정(定)하였다 : 《태극도설》에 “성인이 중, 정, 인, 의로써 정하되 정을 주장함으로써 인극을 세운다.[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靜, 立人極.]”라고 하였다.
[주56] 인극(人極) : 사람이 행해야 할 지고한 도덕의 표준으로, 중(中), 정(正), 인(仁), 의(義)의 도리를 이른다.
[주57] 정(定)하였다고 …… 한다 : 이 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이것은 주자가 남헌(南軒)에게 보낸 ‘여러 설에 대하여 으레 허여를 받았다.[諸說例蒙印可]’라는 말로 시작된 답서에서 논한 것으로 본다면, 거기에서 논한 경(敬)과 정(靜)의 차이는 대단히 월등하다. 그런데 율곡 노선생이 혹 주자의 그 편지를 보지 못하여 이렇게 말한 것인가.”라고 하였다.
[주58] 예기 …… 하였다 : 《예기》 〈악기〉에는 이 말이 직접 나오지는 않고, 단지 “사람이 나면서 고요한 것은 하늘의 성(性)이다. 사물에 감응하여서 동하는 것은 성의 욕(慾)이다.[人生而靜, 天之性也; 感於物而動, 性之欲也.]”라고만 하였다. 이에 대해서 주희는 “성(性)을 나누어서 정(靜)에 속하게 하더라도 그것이 온축되면 동정(動靜)을 갖추어서 치우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악기〉에서와 같이 정으로 성을 말하는 것은 가하지만, 광중(廣仲)과 같이 정(靜) 자로 천성의 묘함을 형용하는 것은 불가하다.”라고 하였다. 《晦庵集 卷75 記論性答稿後》
[주59] 예기 …… 다른가 : 이 물음에 대하여 송시열은 “〈악기〉에서는 다만 ‘사람이 나서 정(靜)한 것은 하늘의 성(性)이다.’라고 하였는데, 이제 정으로 성을 말한 것[以靜言性]을 가지고 곧장 〈악기〉의 말이라 한 것은 그 실상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60] 정자(程子)가 …… 하였다 : 정호(程顥)가 말하기를 “천지만물의 이(理)는 홀로 있는 경우는 없고 반드시 상대가 있다. 이것은 모두 저절로 그러한 것이요, 안배한 것이 아니다.[天地萬物之理無獨, 必有對. 皆自然而然, 非有安排也.]”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주희가 말하기를 “음은 양과 상대가 되고 동은 정과 상대가 되니, 굴신과 소장, 좌우와 상하에 이르기까지가 혹 같은 유(類)끼리 상대가 되고 혹은 반대인 것과 상대가 된다. 반복하여 미루어 보면 홀로 있으면서 상대가 없어 외로이 있는 것은 없다. 정자는 ‘오직 도만은 상대가 없다.’라고 하였으나 형이상과 형이하로 보면 상대가 없었던 적이 없다.[陰與陽對, 動與靜對. 以至屈信消長、左右上下, 或以類而對, 或以反而對. 反覆推之, 未有兀然無對而孤立者. 程子謂惟道無對. 然以形而上下論之, 亦未嘗不有對也.]”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1 道體》
[주61] 공 …… 하였는데 : 공자가 말하기를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동하고 어진 자는 고요하며,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어진 자는 장수한다.[智者樂水, 仁者樂山. 智者動, 仁者靜; 智者樂, 仁者壽.]”라고 하였다. 《論語 雍也》
[주62] 주자(周子)는 …… 하였다 : 주돈이가 직접 말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이 주희에게 말하기를 “사덕을 가지고 말해 보면 인은 도리어 동이고, 지는 도리어 정입니다.”라고 하자, 주희가 말하기를 “주자(周子)의 《태극도설》에서 그와 같이 말하였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6 性理3 仁義禮智等四名義》
[주63] 사덕(四德) : 사람의 본성에 간직되어 있는 네 가지 덕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를 가리킨다. 사람은 원래 천도(天道)의 원(元), 형(亨), 이(利), 정(貞)을 받아서 이 네 가지 본성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주64] 지(智)는 …… 없다 : 이 대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사덕을 총괄하여 말한다면 인(仁)과 예(禮)는 양에 속하여 용(用)이 되고, 의(義)와 지(智)는 음에 속하여 체(體)가 되며, 이를 나누어 말한다면 인, 의, 예, 지가 각각 제 스스로 체와 용이 있으니, 상세한 것은 주자의 〈옥산강의(玉山講義)〉에 나타나 있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65] 만물을 마무리하고 …… 없다 : 《주역》 〈설괘전(說卦傳)〉에 “만물을 마무리하고 만물을 시작하는 것은 간보다 성한 것이 없다.[終萬物、始萬物者, 莫盛乎艮.]”라고 하였다.
[주66] 성(性)은 …… 된다 : 이 대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하늘이 명해서 부여해 준 시초를 논한다면 기질의 선악이 있고, 심성(心性)이 발용(發用)하는 시초를 논한다면 정의(情意)의 선악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합해서 논한 것은 선유(先儒)의 뜻을 잃은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67] 이어 …… 것 : 《주역》 〈계사전 상〉에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 하니, 이를 이어 가는 것은 선이고 이를 갖추어 놓은 것은 성이다.[一陰一陽之爲道. 繼之者, 善也; 成之者, 性也.]”라고 하였다. 이에 대한 주희의 《본의(本義)》에 “도(道)는 음(陰)에 갖추어져 있고 양(陽)에 행해진다. 계(繼)는 그 발(發)함을 말한 것이요, 선(善)은 화육(化育)의 공(功)을 말하니, 이는 양(陽)의 일이다. 성(成)은 갖춤을 말한 것이요, 성(性)은 물건이 받은 것을 말하니, 물건이 나면 성(性)을 간직하고 있어 각각 이 도(道)를 갖춤을 말한 것이다. 이는 음(陰)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주68] 부모의 …… 뜻인가 : 이 물음에 대하여 송시열은 “부모의 기운을 받아서 태 속에 있으면 그것은 성(性)을 이루는 곳인데, 어찌해서 ‘이어 가는 것이 선이다.[繼之者善]’라는 말에 해당한다고 이르는가. 이어 간다는 것은 오로지 음양이 묘합(妙合)하여 유행하는 곳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69] 정자(程子)가 …… 것 : 정이(程頤)가 “굴신하고 왕래하는 것은 단지 이(理)일 뿐이니, 이미 굽은[屈] 기를 가지고 다시 펴지는 기로 삼을 필요가 없다. 생생지리(生生之理)는 절로 그러하여 그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二程遺書 卷15 入關語錄》
[주70] 또 …… 하여 : 주희가 “무극이면서 태극이라는 것은 단지 형체가 없으면서 이치는 있는 것을 말한 것일 뿐이다. 이른바 태극은 단지 음양과 오행의 이(理)이지 태극이라는 별도의 다른 물건이 있는 것은 아니다.[無極而太極, 只是說無形而有理. 所謂太極者, 只二氣五行之理, 非別有物爲太極也.]”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71] 지칭하는 …… 일컫는다 : 이 대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이 대답은 전혀 설문(設問)한 뜻을 잃은 것이다. 대개 극(極)을 중(中)이라 한 것은 범범하게 말한 것으로, 극이라는 것은 항상 그 물건 가운데 있는 것이다. 즉 옥극(屋極)의 극은 옥(屋)의 가운데에 있고 북극(北極)의 극은 하늘의 가운데에 있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그렇게 말한 것이요, 중을 극이라고 읽은 것은 아니다. ‘선유가 중을 극이라고 읽는 것을 그르다고 했다.’라는 것은 바로 그것을 말하니, 상세한 것은 주자가 육구연에게 답한 편지와 〈황극변(皇極辨)〉에 매우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72] 장자(莊子)가 …… 하고 : 《장자》 〈대종사(大宗師)〉에 “대저 도에는 정이 있고 미쁨이 있으나 행위도 없고 형상도 없다. 그래서 마음으로 전할 수는 있으나 받을 수는 없고, 체득할 수는 있으나 볼 수는 없다. 스스로 뿌리를 내려서 천지가 생겨나기 이전의 옛날부터 본래 존재하여 귀신을 신령하게 하고 상제를 신령하게 하며 하늘을 만들어 내고 땅을 만들어 냈다. 태극의 앞에 있어도 높지 않고, 육극의 아래에 있어도 깊지 않으며, 천지보다 앞서 생겨났어도 오래지 않고, 상고 이전부터 존재했어도 늙지 않는다.[夫道, 有情有信, 無爲無形, 可傳而不可受, 可得而不可見. 自本自根, 未有天地, 自古而固存, 神鬼神帝, 生天生地. 在太極之先而不爲高, 在六極之下而不爲深, 先天地生而不爲久, 長於上古而不爲老.]”라고 하였다.
[주73] 노자(老子)가 …… 하고 : 《도덕경(道德經)》 25장에 “혼성한 물건이 있나니, 천지보다 먼저 생겼다.[有物混成, 先天地生.]”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를 왕필(王弼)이 해설하기를 “혼연일체가 되어 알 수가 없지만,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이루어졌기 때문에, 혼성이라고 한 것이다.[混然不可得而知, 而萬物由之以成, 故曰混成也.]”라고 하였다.
[주74] 소자(邵子)가 …… 하고 : 소옹(邵雍)이 말하기를 “도가 태극이다. 형체는 나눌 수가 있으나 정신은 나눌 수가 없다.[道爲太極. 形可分, 神不可分.]”라고 하였다. 《宋元學案 卷9 百源上》
[주75] 소자는 …… 하였다 : 소옹이 말하기를 “심은 성이고 담은 정이며, 성은 신이고 정은 귀이며, 심은 태극이다.[心性而膽情, 性神而情鬼, 心爲太極.]”라고 하였다. 《宋元學案 卷9 百源上》
[주76] 정자(程子)가 …… 것 : 정호(程顥)가 정성(定性)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를 “이른바 정은 동하여도 정하고 정하여도 정하여 보내고 맞이함이 없고 내외가 없다.[所謂定者, 動亦定, 靜亦定, 無將迎, 無內外.]”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2 爲學》
[주77] 태극에 …… 말한다 : 이 대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주자(朱子)가 동정(動靜)을 다 동(動)에 소속시켰다는 것을 가리켜서 말한 것인가. 그것은 잘못된 말이다. 정자가 이미 ‘동하는 것도 정(定)이요, 정한 것도 정(定)이다.’라고 하였다면 어찌해서 동을 뺐다고 말하는가. ‘주자(周子)가 정(靜)을 주장했다.’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리고 주자(朱子)는 정의(正義)를 정(靜)에 소속시키고 중인(中仁)을 동에 소속시키고서 정을 동의 근본으로 삼았는데, 어찌해서 동을 뺐다고 말하는가. 대강만 문리를 아는 자라도 반드시 그런 질문은 하지 않을 것인데, 참으로 괴이하다. ‘수도(修道)를 위주로 하여 말한 것이다.’라는 말은 매우 불분명하여 밝히기 어렵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78] 기(氣)는 …… 때문이다 : 이 물음과 대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이(理)와 기(氣)는 한 번도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니 작으면 함께 작고 크면 함께 크다. 이 작고 크다는 글자는 어디에서 온 것인가? 천지가 이미 한량이 없는데, 또 ‘대기(大氣)로 말하면 기도 어찌 한량이 있겠는가.’ 하였으나, 기가 한량없는 것은 역시 이가 한량없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79] 주자(朱子)가 …… 하였다 : 주희가 말하기를 “대개 주돈이의 《태극도설》에서는 음양과 오행에 대해 말한 것이 확실하지 않은 곳이 있었다. 그런데 두 정자가 그 설을 인하여 기질의 성을 추출해 냈다. 정자가 주자(周子) 이전에 태어났다면 반드시 발명한 것이 이 경지에는 이를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59 孟子9 告子上 性無善無不善章》
[주80] 천지조화(天地造化)의 …… 낳으며 : 천수는 양(陽)으로 1, 3, 5, 7, 9이고 지수는 음(陰)으로 2, 4, 6, 8, 10인데 1과 6이 합쳐져서 수(水)가 되고 2와 7이 합쳐져서 화(火)가 되는 등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의 순서대로 음양에서 오행이 생성된다고 한다. 《주역》 〈계사전 상〉과 《근사록》 권1 〈도체(道體)〉의 주(註)에 대략적인 내용이 나와 있다.
[주81] 사람의 …… 천지이다 : 이 구절에 대하여 송시열은 “사람이 생(生)을 받을 때 수의 기(氣)는 신(腎)이 되고, 화의 기는 심(心)이 되고, 목의 기는 간(肝)이 되고, 금의 기는 폐(肺)가 되고, 토의 기는 위(胃)가 된다. 그런데 지금 말하기를 ‘수가 또 간목(肝木)을 낳고 화와 토가 또 폐금(肺金)을 낳는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옳지 않은 말이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82] 공자가 …… 것 : 《주역》 〈계사전 상〉에 “정과 기가 물이 되고 유와 혼이 변이 되니, 이 때문에 귀와 신의 정상을 안다.[精、氣爲物, 游、魂爲變. 是故知鬼神之情狀.]”라고 하였다.
[주83] 선유가 …… 하였다 : 선유는 정이(程頤)를 가리킨다. 어떤 사람이 정이에게 묻기를 “선생의 어록 가운데 ‘바다 섬에 기화(氣化)한 사람이 없을 줄을 어찌 알겠는가.’라고 하였는데, 이 말이 어떻습니까?”라고 하자, 정이가 말하기를 “맞는 말이다. 사람이 사는 곳과 가까운 곳에는 본래 없고 반드시 아주 먼 곳에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도 알 수 없다.”라고 하였다. 또 묻기를 “지금 천하에는 부모가 없는 사람은 없습니다. 옛날에는 기화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는 것은 어째서입니까?”라고 하자, 정이가 말하기를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완전히 기화로 인하여 생겨나는 것이 있으니,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생겨나는 것이 그것이다. 이것은 이미 기화한 것으로, 기화할 때가 되어서 저절로 기화한 것이다. 그리고 기화로 인하여 생겨난 이후에 종자(種子)로 생겨나는 것이 있다. 사람이 몸 위에 새 옷을 입었을 경우 며칠이 지나면 문득 이가 그 사이에서 생겨난다. 이것은 기화이다. 기(氣)가 이미 변화한 뒤에는 다시는 변화하지 않고 곧 종자로 생겨난다. 이 이치는 아주 분명하다.”라고 하였다. 《二程遺書 卷18 劉元承手編》
[주84] 진기수(陳幾叟) : 송나라 학자 진연(陳淵)으로, 기수는 자이다. 처음에는 이정(二程)을 따라 배우다가 뒤에 양시(楊時)에게 배웠다. 저서로 《묵당집(墨堂集)》이 있다.
[주85] 수만이 되고 …… 없다 : 이 대답에 대하여 송시열은 “달이 수많은 내를 비추는 것과 수은이 흩어져 만만 개가 되는 것은 바로 한 근본이 만 가지로 갈라지는 이(理)를 비유한 것으로 일종의 가설인데, 이제 대답한 말은 참으로 기(氣)가 달과 수은이 된 것이라 하고 그렇게 되도록 한 것이 이라고 하였으니, 본설(本說)의 뜻과는 크게 어긋난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86] 태허(太虛) : 고대 철학의 기초 개념의 하나이다. 우주 만물의 원시적 형태로서 기(氣)의 본체인 태극(太極)을 가리킨다.
[주87] 태극도에 …… 뜻인가 : 이 물음에 대하여 송시열은 “〈태극도〉에는 수화(水火)라고만 하였는데, 지금 예지(禮智)라고 말하여 참으로 예지라는 글자가 있는 것같이 하였으니 온당치 못한 것 같다.”라고 하였다. 《宋子大全 卷130 栗谷別集訂誤》
[주88] 태극도는 …… 것이다 : 주희의 제자인 과재(果齋) 이방자(李方子)가 “〈태극도〉의 말뜻은 모두 《주역》에서 나왔다. 《주역》은 음양에 근본을 두고서 인사(人事)에 미루어 나간 것이다. 그 덕(德)으로 말할 때에는 인의라 하고, 그 용(用)으로 말할 때에는 중정이라 한다. 요컨대 음과 양 두 가지를 벗어나지 않는다. 인의를 하면서 중정이 아니면 인은 고식적인 것이 되고, 의는 잔인한 것이 된다. 그러므로 《주역》에서는 중정을 더욱 소중히 여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1 道體》
[주89] 주자(朱子)가 …… 하였는데 : 어떤 제자가 주희에게 묻기를 “〈태극도〉에서는 어찌하여 예지(禮智)를 말하지 않고 중정을 말하였습니까? 이 〈태극도〉는 본디 《역》의 도를 밝히기 위한 것이므로 중정만을 말한 것은 아닙니까?”라고 하자, 주희가 답하기를 “왜 그렇게 했는지 모르겠다. 다만 중정이라는 글자가 비교적 힘이 있다.”라고 하였다. 《朱子語類 卷94 太極圖》
[주90] 안연(顔淵)은 …… 살았다던가 : 안연은 공자의 제자로, 아성(亞聖)으로 일컬어졌지만 32세에 요절하였다. 도척은 춘추 시대 말기의 유명한 도적으로 중국 전역을 누비며 포악한 짓을 했는데도 천수(天壽)를 누렸다고 한다.
[주91] 공자는 …… 되었다던가 : 공자가 일찍이 채(蔡)나라에서 3년 동안 거주하고 초(楚)나라의 초빙을 받아 가던 중 진(陳)나라 대부와 채나라 대부가 보낸 수하인들에게 포위되어 7일 동안 굶주리며 고초를 겪었던 일이 있다. 여후는 당(唐)나라의 측천무후(則天武后)를 말한다. 측천무후는 본디 당 태종(唐太宗)의 재인(才人)이었는데, 뒤에 고종(高宗)의 황후가 되어 정권을 전횡하였다. 고종이 죽고 중종(中宗)이 서자, 중종을 폐하고 동생인 예종(睿宗)을 세웠고, 다시 예종을 폐하고 스스로 황제에 나아가 측천무후라 칭하고 나라 이름을 주(周)라 하고는 16년 동안이나 재위하였다. 뒤에 중종이 측천무후를 폐하고 복위하였다.
[주92] 탕(湯) …… 들었다던가 : 탕 임금은 상(商)나라의 훌륭한 임금인데도 7년 동안이나 연속해서 가뭄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렸다. 이에 상림(桑林)의 들에서 기도하면서 여섯 가지 일로 자책(自責)하자 곧바로 비가 왔다고 한다. 노 선공은 선왕을 시해하고 등극한 임금인데도 재위 16년째에는 크게 풍년이 들었다고 한다.
[주93] 현인은 …… 바란다 : 북송의 주돈이가 말하기를 “성인은 하늘을 본받기를 바라고, 현인은 성인을 본받기를 바라고, 선비는 현인을 본받기를 바란다.[聖希天, 賢希聖, 士希賢.]”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2 爲學》
[주94] 문왕(文王)이 …… 것이다 : 《중용장구》 제26장에 “《시경》에 이르기를 ‘……아, 뚜렷하지 않은가, 문왕의 덕의 순수함이여.’라고 했다. 이는 문왕이 문(文)이 된 소이(所以)가 순수함이 또한 그치지 않았음을 말한 것이다.[《詩》云: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 蓋曰文王之所以爲文也, 純亦不已.]”라고 하였다.
[주95] 소옹(邵雍)이 …… 하였고 : 소옹이 말하기를 “둥근 것은 별이다. 역기(曆紀)의 수는 여기에서 시작된 것인가. 네모난 것은 땅이다. 구주를 구획하고 땅을 네모나게 나누는 법은 이것을 모방한 것인가.[圓者, 星也. 曆紀之數, 其肇於此乎? 方者, 土也. 畫州并土之法, 其仿於此乎?]”라고 하였다. 《皇極經世書 卷13 觀物外篇上》
[주96] 원형이정(元亨利貞) : 《주역》에서 말하는 건(乾)의 네 가지 원리로, 곧 사물의 근본 원리이다. 원은 만물의 시(始)로 춘(春)에 속하고 인(仁)이며, 형은 만물의 장(長)으로 하(夏)에 속하고 예(禮)이며, 이는 만물의 수(遂)로 추(秋)에 속하고 의(義)이며, 정은 만물의 성(成)으로 동(冬)에 속하고 지(智)이다.
[주97] 주자(朱子)가 …… 하였고 : 주희가 말하기를 “태극에 동정이 있는 것은 천명이 유행하는 것으로 ‘일음 일양을 도라고 한다.’라는 말과 같다.[太極之有動靜, 是天命之流行也. 所謂一陰一陽之謂道.]”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1 道體》
[주98] 음(陰)과 …… 것이다 : 《주역》 〈설괘전(說卦傳)〉에 “옛날에 성인이 《역》을 지음은 장차 성명의 이치를 순히 하려고 해서였다. 이 때문에 하늘의 도를 세움은 음과 양이고, 땅의 도를 세움은 유와 강이고, 사람의 도를 세움은 인과 의이다. 삼재를 합쳐서 둘로 하였기 때문에 《역》의 괘가 육획으로 이루어졌고, 음으로 나뉘고 양으로 나뉘며 유와 강을 차례로 쓰기 때문에 《역》이 여섯 자리로 문장을 이룬 것이다.[昔者聖人之作《易》也, 將以順性命之理. 是以立天之道曰陰與陽, 立地之道曰柔與剛, 立人之道曰仁與義. 兼三才而兩之, 故《易》六畫而成卦; 分陰分陽, 迭用柔剛, 故《易》六位而成章.]”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