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 시는 올림픽을 계기로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외국 투자를 유치하여 도시 환경을 개선하는 것 등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많은 수의 크고 작은 인프라스트럭처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었으며, 올림픽 빌리지는 장기적으로 아테네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였다.
올림픽 빌리지는 1차적으로는 2004년 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 참가자들에게 우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올림픽 이후에는 아테네 지역 주거 문제를 해소하고 재정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올림픽 기간 동안 이 올림픽 빌리지에는 17,500명의 일반 올림픽 참가자들과 4,500명의 장애인 올림픽 참가자들이 숙박하였다. 올림픽 빌리지는 우호적인 분위기와 매끄러운 운영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획득하였다. 현대적인 주거지 개발 방식과 환경에 대한 배려가 조화를 이룬 올림픽 빌리지는, 올림픽 행사가 성공적으로 치러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위치 및 지역 소개
아테네는 발칸 반도 남단, 그리스의 아티카 평원에 위치하고 있다. 서유럽 문명의 요람지이자 광역인구가 3,200,000명에 달하는, 그리스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현재도 서유럽과 발칸을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도시로, 비단 역사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도 서유럽과 발칸지역의 무역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올림픽 빌리지는 아테네 시의 북서쪽 지역에 건설되었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경소 특별한 지역인데, 로마시대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 건설된, 그리스 도시들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가 있던 지역이다.
오랜 세기 동안 하드리아누스도 수로는 아테네의 활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기원 후 12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시작된 이 수로는 기원후 140년에 완공되었다. 터키가 지배하던 시기에는 사용되지 못했지만, 1856년 이후 이 수로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체계적인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00년대 초에는 총 15km의 수로가 깨끗하게 정리되었고, 다시 아테네의 수로로 기능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성격을 기념하기 위하여, 올림픽 빌리지의 공공 영역에 수로의 흔적들을 복원하기로 하였다.
3) 개요
* 개장 : 2004년 7월 30일
* 면적 : 약 310 acre
* 계획인구 : 10,000명 이상
* 계획가구 : 약 2,300가구
* 시행자 : OEK (The Workers Housing Organization)
* 계획인구 : 7,000명/현재 6.000명
* 시행자 : Groth + Graalfs Berlin
* 사업예산 : 220억 드라크마
* 도시설계 : Rob Krier, Christoph Kohl
* 비고 : 올림픽 빌리지의 디자인, 건설, 관리운영을 수행하기 위하여 올림픽 빌리지 2004 S.A.라는 기업이 설립되었다. 이 기업은 그리스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민간 조직으로부터 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2001년 1사분기에 올림픽 빌리지 내 주거지역에 대한 제안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2. 추진배경
1) 교통
아테네는 올림픽을 위한 행사 장소들을 가능한 한 분산하여 배치하였다. 의도적으로 도시 내외부의 사용되지 않거나 개선이 필요한 곳들을 선택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동시에 이러한 장소들이 새로 건설되거나 업그레이드 될 인프라스트럭처 가까이에 건설되도록 하였다. 덕분에 올림픽 빌리지는 도심과 공항으로부터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100km에 달하는 새 도로망
90km의 도로 구간 업그레이드
새로운 항구의 건설 및 기존 항구 내외부의 인프라스트럭처 향상
민관 협력에 의한 공항 건설
다른 모든 올림픽 행사 장소와의 연결
2) 토지이용계획
올림픽 빌리지에서 주거 용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에 불과하다. 나머지 공간은 스포츠 시설, 외부 공간, 쇼핑센터, 병원, 그리고 아테네 국립 정원의 세배에 달하는 크기의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올림픽 빌리지는 레지던셜 존과 인터내셔널 존이라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지던셜 존은 새로 지어진 아파트, 식음 시설, 레크리에이션 센터, 회의장, 종교시설, 병의원, 교통시설등이 들어서 있다. 인터내셔널 존은 올림픽 빌리지의 공식 입구, 쇼핑 센터, 올림픽 박물관, 노천 극장등으로 구성된다.
3) 디자인
올림픽 빌리지의 디자인은 인간중심적으로, 이동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도 최대한의 접근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그형스의 문화적 유산을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특히, 특수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면서 건축적인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랜14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주거가 제안되었다.
올림픽 빌리지의 단지 계획은 IOC에 의해 검토되고 승인되었다. 더불어, 보다 넓은 범위의 환경 향상을 위하여, 올림픽 빌리지를 포함하는 Acharnes 지역 전체에 대한 새로운 도시계획이 만들어졌다.
3. 사업개요
1) 인프라스트럭처
올림픽 빌리지의 건설 과정에는 이 단지가 온전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거주민들에게 높은 수준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인프라스트럭처가 같이 건설되었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211,229m2의 공공 공간, 화재의 확산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나무와 덤불과 같은 지역 식생을 살린 녹지대
24,944m2의 보행가로
260,175m2의 도로망
모든 아파트에 독립적으로 연결된 천연 가스 네트워크
상하수도 및 홍수 방지 네트워크
올림픽 빌리지 사이트 내에 만들어진 우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관개 로트워크
전자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광섬유 전화망의 지하 네트워크
합리적인 신호와 표지 체계를 갖춘 내부 도로망
도로와 주변부 조명을 위한 지하 네트워크
지하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
2) 주거지역
아테네 올림픽 빌리지는 2,292채의 아파트를 수용하고 있으며, 그중 879채는 올림픽 이후에 다소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지상 연면적 254,000제곱미터, 지하 연면적 86,000제곱미터의 규모로 총 366개의 아파트 컴플렉스가 건설되었다.
모든 아파트에는 84제곱미터에서 115제곱미터의 면적을 가지고 있고, 두세개의 침실, 두개의 욕실, 넓은 거실과 베란다, 지하의 창고와 한 대를 위한 주차공간이 있다.
3) 레저 및 부대시설
올림픽 규격의 수영장, 조깅 트랙, 네 개의 테니스 코트, 최신식 피트니스클럽등이 포함된 5,000m2의 스포츠 시설
노천 영화관
라이브 공연이 가능한 댄스클럽들
오락공간
인터넷 카페 등
4) 생태학적 고려(계획사항)
생태학적으로 계획된 냉방 시스템
아테네의 평균적인 기온보다 3도 아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생태학적 건설 재료의 사용
4. 시사점
이러한 계획에도 불구하고 아테네 올림픽 빌리지의 가장 큰 문제는 올림픽이 끝난 뒤에 제대로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2006년 4월 현재, 겨우 400가구만이 올림픽 빌리지로 이주하였는데, 그들은 여러 가지 실질적인 문제들에 부딪히고 있다. 빌리지 안에 상점들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수단의 운영도 원활하지 못하고, 심지어 지역정부와 주민들간에 쓰레기 수거를 둘러싼 마찰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입주는 더욱 더 지연되고 이것이 재정적인 부담을 만들어내는 등의 추가적인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초기의 계획과는 달리 올림픽 빌리지의 환경친화적인 계획 중 많은 수가 재정적인 이유로 포기되었다. 올림픽 후보지 선정용 계획안에서 제시되었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건축적인 기술들, 혹은 폐기물 관련 시설들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그 전 올림픽인 시드니 올림픽에 절반에 해당하는 환경 등급을 아테네에 부여하였다.
* 참고문헌
1. Reaching Beyond the Gold : The Impact of Global Events of Urban Deevelopment, Tim van Vrijaldenhoven 외, 2007
2. The Globalized City, Frank Moulaert외, 2003
3. The Housing Impact of the 2004 Olympic Games in Athens, COHRE,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