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용로 기업은행장 ‘역사란 무엇인가’ [10-11-01] |
내 인생에 영향을 준 많은 책 가운데 어느 것이 좋을까 고민하다, 35년 전 읽은 ‘역사란 무엇인가’(E H Carr)가 떠올랐다. 나는 지금도 포켓판으로 된 이 책의 번역본을 고이 간직하고 있다. 카는 이 책에서 “역사란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 | |
 |
|
박종원 코리안리 사장 ‘성경’ [10-11-01] |
수십년 동안 내 인생을 지탱해 온 근본은 새로운 것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이었다. 그런데 도전을 하면 할수록 ‘끝까지 할 수 있을까’라는 불안감과 ‘과연 이 길이 맞는가’라는 어려운 결단의 순간을 겪게 됐다. 특히 경영을 맡은 이후 의사 결정이 회사와… | |
 |
|
이석채 KT회장 ‘삼국지’ [10-11-01] |
역사는 순환한다. 되풀이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역사를 알면 그 속에서 현재의 세태를 읽을 수 있고 더불어 명확한 현실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삼국지(三國志)에서 위·오·촉 삼국이 벌이는 두뇌싸움은 요즘 글로벌 경쟁을 하고 있는 기… | |
 |
|
탤런트 최불암 ‘인간의 조건’ [10-11-01] |
내 인생에서 사고의 근원을 제공해 온 책은 중학생 때 읽은 ‘인간의 조건’이다. 일본 소설가 고미카와 준페이가 쓴 이 책은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며 휴머니즘 시각에서 전쟁의 비인간성을 비판한 것이다. 당시 2권으로 돼… | |
 |
|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 ‘말테의 수기’ [10-11-01] |
내 인생에서 한 권의 책을 꼽는다면 독일의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소설 ‘말테의 수기’다. 릴케가 1910년 발표한 작품으로 덴마크 귀족 출신의 젊은 시인 말테가 파리에서 죽음과 불안에 떠는 영락한 생활을 하면서 쓴 수기 형태인데 통일된 줄거리… | |
 |
|
가수 조영남 ‘아웃사이더’ [10-11-01] |
내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책은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Outsider)’다. 40여년전 대학 시절 이후 늘 내 머리맡에 두고 시도 때도 없이 읽곤 했던 책이다. 작가는 영국계 소설가 겸 평론가다. 정규 대학을 다닌 적도 없다니, 순전히 독학으로 이 책을 … | |
 |
|
김인혜 서울대 음대교수 ‘천국의 열쇠’ [10-11-01] |
영국의 소설가이자 의사인 아치볼드 조지프 크로닌이 쓴 소설 ‘천국의 열쇠’는 내 인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책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신학교 동기생인 프랜시스 치셤과 안셀모 밀리다. 밀리는 눈치 빠르게 생활하며 주교까지 오르는 등 세속적으로 … | |
 |
|
허정무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 ‘배려’ [10-11-01] |
몇 년 전 생일에 친구가 책 한 권을 선물로 줬다. 원칙만 생각하고 한번 아니라고 느끼면 타협을 몰라 고집이 세고 강하다는 말을 들었던 내게 친구는 ‘도움이 될 만한 책’이라며 건넸다. 한상복씨가 쓴 ‘배려’의 주인공은 명문대 출신의 엘리트 사원이… | |
 |
|
윤증현 재정부 장관 ‘사기열전’ [10-11-01] |
소설가나 영화감독을 꿈꿨던 시절, 책을 읽을 때마다 주인공처럼 되고 싶어 홍역을 앓은 책 하나를 꼽자면 바로 사마천의‘사기(史記)’다. 그 중에서도 황제를 다룬‘본기(本紀)’보다는 영웅호걸을 다룬‘열전(列傳)’에 매료됐다. 열전에는 일세를 풍미… | |
 |
|
이인실 통계청장 ‘프랭클린 자서전’ [10-11-01] |
인생의 진정한 비극은 훌륭한 강점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지고 있는 강점마저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나는 ‘벤저민 프랭클린의 자서전’을 서재에 꽂아두고 그가 말한 ‘자신에게 닥친 모든 운명의 고통을 자신을 단련시키는 힘으… | |
 |
|
박준영 전남도지사 ‘도산 안창호 평전’ [10-11-01] |
나에게 책은 ‘스승이자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이다. 그 중에서도 대학교 재학 중에 읽은 ‘도산 안창호 평전’은 내 인생에 뚜렷한 목표를 정해준 북극성이었다. 지금 나의 좌우명인 ‘참배나무에 참배 열리고, 돌배나무에 돌배 열린다’를 만난 것도 그 책에… | |
 |
|
김황식 총리 ‘불씨’ [10-11-01] |
일본의 도몬 후유지가 쓴 ‘불씨’는 18세기, 260여개의 번(藩)으로 구성된 일본 에도막부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실화소설이다. 이 소설은 열일곱 살의 젊은 청년이 ‘요네자와’라는 번의 번주(藩主)가 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주인공이 개혁의… | |
표절 불감증 만연… 저작권 침해는 도둑질! [10-11-01] |
우리나라가 문화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저작권 보호 체계의 확립이다. 국내에서 저작물 표절과 불법 유통은 도를 넘어선 지 오래다. 지난 2008년과 2009년 영화와 … | |
 |
|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 ‘백범일지’ [10-11-01] |
민주주의를 향한 열정으로 정치에 처음 뛰어들었던 30년 전, 경제는 아직 후진국 수준이었고, 정치는 군부독재정권이었고, 나라의 앞길은 보이지 않았다. 과연 청년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과 절망이 교차하던 시절, ‘백범일지’에서 발견한 “우리가… | |
 |
|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 ‘옥중서신’ [10-11-01] |
나는 ‘김대중 대통령의 영원한 비서실장’이라는 말을 영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 나는 김대중 대통령을 모시면서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기여했고 헌정사상 최초의 여야 간 수평적 정권교체와 정권 재창출을 위해 벽돌 하나를 놓을 수 있었다. 김대중… | |
 |
|
진수희 복지부 장관 ‘플루’ [10-11-01] |
몇 해 전 읽은 ‘플루’는 지나 콜라타가 쓴 것으로, 1918년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일명 ‘스페인독감’에 관한 이야기를 미스터리 소설을 읽는 것처럼 박진감 있게 서술하고 있다. 플루의 원인을 밝혀내려는 의학자들의 고군분투에 짜릿함마저 느껴… | |
 |
|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 ‘반야심경’ [10-11-01] |
사회 각계의 저명인사 19인이 ‘내 인생을 바꾼 이 한 권의 책’을 꼽았다. 젊은 시절 자신의 인생과 삶의 방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던 ‘한 권의 책’을 비롯, 현재 맡고 있는 직무에 가장 필요한 시각을 제공하는 책, 나아가 평생의 반려자로 삼을만한 주옥… | |
 |
|
이주호 교과부 장관 ‘카라마조프가의…’ [10-11-01] |
내 인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책을 꼽는다면 무엇보다 러시아의 대문호 도스토옙스키가 쓴 장편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이 떠오른다. 고교 시절 읽었는데, 몇번씩이나 되풀이해서 읽은 책은 이 책밖에 없는 것 같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안에는… | |
 |
|
찰나의 포착… ‘역사 현장’ 생생히 기록 [10-11-01] |
역사의 현장을 어떤 기자들보다도 더 가까이서 지켜봐야 하는 사진기자들. 때로는 열 줄의 기사보다 더 진한 감동을 주고 몇 장의 보고서보다도 더 확실하게 현장을 보여주는 보도사진의 역할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서 더욱 그 빛을 발하고 있다. 제 | |
 |
|
김문수 경기도지사 “힘차고 예리한 ‘19년 필봉’에.. [10-11-01] |
대한민국 유일의 석간 종합일간지, 문화일보 창간 19주년을 1200만 경기도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난 19년간 힘차고 예리한 필봉(筆鋒)을 통해 오후의 담론을 주도하며 자유 민주주의의 소중한 가치를 수호하고 정론을 펼쳐 온 문화일보… | |
 |
|
원희룡 한나라 사무총장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10-11-01] |
오후의 시작을 발빠른 새 소식과 함께 맞이하기 위해 언제나 문화일보를 펼쳐듭니다. 아이폰과 노트북을 이용해서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얻고 있지만, 항상 별도로 시간을 내어 신문을 보고 있습니다. 신문은 지면구성과 편집을 통해 우리 사회 성원… | |
 |
|
나경원 한나라 최고의원 “점심때 가장 먼저 만나.. [10-11-01] |
1991년 11월1일 ‘밝은 신문’, ‘생각하는 신문’, ‘행복을 느끼는 신문’을 내걸고 출발한 문화일보가 창간 19주년을 맞았습니다. 판사 시절부터 오늘까지 문화일보는 점심 직후 가장 먼저 만나는 친구입니다. 살구빛 문화일보가 책상 위에 올려져 있지 않… | |
 |
|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 “대한민국이 가야 할 방.. [10-11-01] |
늘 독자들에게 새로운 비전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며 공정한 여론 형성에 앞장서 온 문화일보의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그날의 뉴스를 그날 바로 독자에게 전달하는 석간신문으로서의 신속성과 한눈에 들어오는 ‘살구빛’ 지면은 문… | |
 |
|
노회찬 진보신당 前대표 “청년 언론의 충실한 역.. [10-11-01] |
문화일보가 창간한 지 벌써 19주년이 돼 어엿한 청년이 되었습니다.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보통 석간신문이 조간신문보다 늦게 나온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언론보다 하루를 앞서 나오는 것이 석간신문입니다. 저는 문화일보… | |
 |
|
손학규 민주당 대표 “1社1村 성과 농촌서 직접 확.. [10-11-01] |
문화일보 창간 19주년을 애독자 여러분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정치 일선에서 물러났던 지난 2년간 저는 강원도 산골에서 문화일보를 자주 접했으며, ‘대한민국의 오후를 여는 유일 석간’이라는 문화일보, 살구빛 문화일보를 접할 때마다 반… | |
 |
|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 “세상 바로 보는 窓으로.. [10-11-01] |
살구빛 문화일보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명실공히 유일 석간 종합지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는 데 열과 성을 다해 오신 임직원 여러분, 기자 여러분께 큰 박수를 보냅니다. 여론을 이끄는 유력지는 삼박자가 잘 맞아야 합니다. 신속하… | |
 |
|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 “서민 목소리에 더 귀기.. [10-11-01] |
문화일보의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난 19년간 문화일보는 꾸준히 성장해 왔고, 지금은 권위 있는 매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사회의 다양한 소식을 담아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신문의 역할입니다. 국민의 눈을 대신… | |
 |
|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소외된 이들에 더 따뜻.. [10-11-01] |
문화일보의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광고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으로 석간을 유지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문화일보는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세계의 유력지가 되겠습니다.” 문화일보의 목표입니다. 인터넷… | |
박근혜 34.1% 로 1위… 부동층 30.0% [10-11-01] |
대선후보 지지도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강세가 계속됐다. 문화일보 창간 19주년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들의 34.1%가 박 전 대표를 꼽… | |
 |
|
“北 3대세습 실패” 55.1%…“통일 10년이상 걸릴.. [10-11-01] |
북한이 ‘9·28 노동당대표자회’에서 공식화한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의 3대 세습이 실패할 것이라는 응답이 55.1%로 절반을 넘었다. 3대 세습의 성패를 결정짓는 변수는 북한 내부 권력 투쟁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등을 꼽았다. 통일 시기… | |
 |
|
한나라 33.7%-민주 19.5%-민노 4.5% [10-11-01] |
문화일보 창간 19주년 여론조사에서 정당 지지도는 한나라당이 33.7%를 얻어 1위였다. 민주당은 19.5%의 지지율로 상당히 뒤졌다. 이 밖에 민주노동당(4.5%), 자유선진당(1.9%), 진보신당(1.2%), 국민참여당(1.0%) 순이었다. 한나라당 지지층은 지… | |
 |
|
이재오 특임장관 “1社1村은 언론의 공적역할 모.. [10-11-01] |
문화일보 임직원 여러분,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문화일보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언론의 정도를 지키며 여론과 문화를 선도하는 대표지로서 굳건하게 자리매김해왔습니다. 특히 문화일보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1사1촌운동’은 정부가… | |
 |
|
정몽준 한나라 前대표 “고품격 사회 만드는 데 앞.. [10-11-01] |
매일 문화일보를 읽고 있는 애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창간 1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문화일보는 저의 선친께서 설립하셨기에 제게는 각별하게 느껴지는 신문입니다. 선친께서는 바쁜 와중에서도 매일 두 시간씩은 신문을 읽으셨는데, “신문이… | |
 |
|
오세훈 서울시장 “문화일보 하면 ‘가능성’ 떠올라.. [10-11-01] |
문화일보는 지난 1991년 창간된 이래, 신속하고 정확한 보도와 다양한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비판, 분석 기사를 통해 우리 사회를 한 단계 성숙시키는 데 크게 기여해왔습니다. 문화일보의 지난 역사를 돌이켜보면 ‘가·능·성’이라는 세 글자가 떠오릅니… | |
 |
|
“통일 가장 바라지 않는 나라는 중국” 41.1% [10-11-01] |
문화일보 창간 19주년 여론조사에서는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중국에 대한 복잡다기한 인식이 드러났다. 중국은 남북한 통일을 가장 바라지 않을 것으로 보는 나라 1위에 꼽혔고, 앞으로 우리나라 외교가 가장 주력해야 하는 국가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 |
 |
|
한국 국가경쟁력 제고 위해 “정치개선 가장 시급.. [10-11-01] |
문화일보 창간 19주년 여론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무엇보다 정치분야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공정사회를 만드는 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집단에서도 ‘정치권’을 꼽은 응답자들이 60% 이… | |
 |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 느낀다” 77.2% [10-11-01] |
문화일보가 창간 19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대한민국의 현 주소에 대한 자화상을 그려본 결과,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경쟁력 수준도 높게 평가했다. 오는 11~12일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 |
 |
|
1사1촌·귀농 정보 가득 “상생교류 더 빨라집니다.. [10-11-01] |
“1사1촌 결연을 통해 인연을 맺은지 3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마을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의 상생을 취지로 한 1사1촌 교류를 통해 마을을 살찌우고 있는 강원 화천군 상서면 토고미 마을 주민들이 1사1촌 결연을 맺고 있는 삼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