塔洞里(上塔洞, 下塔洞)
위치와 환경
장평면소재지에서 다시 장동면쪽으로 거슬러 500m 지점에 위치한 해발 약 160m의 평야마을이다. 서쪽으로 용강리와 접해 있으며 동남으로 장평면 북교리와 경계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웅치에서 흐르는 보성강 지류를 끼고 넓은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풍수지리설과 주요지명위치 및 환경
풍수지리설
용두산에서 내려 뻗은 산맥이 지네가 하늘로 나는 형국이다 하여 飛天蜈蚣이라 하고 吉地라 일컬어져 있다.
주요지명
용강-리(장택, 창몰, 사창, 이사동, 고사리, 용강): 본래 장택현(長澤縣)의 지역으로서 장택이라 하였는데 고려 때 장흥부에 편입되고 조선조 때 장서면에 편입되어 사창(社倉)이 있으므로 창몰 또는 사창, 이사동이라 하고 사창이 폐지된 후에 고사리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평촌리, 탑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뒷산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용강리라 해서 장평면에 편입됨
고사-리: 용강리
고산-사: 고산사터 옆에 있는 절
고산사-터: 고산절골에 있는 고산사의 터, 미륵이 남아 있음
고산절-골: 웃탑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고산사가 있었음
광대-보: 창몰 앞, 곧 용강리와 등촌리 경계에 있는 큰 보
농-바우(용바우, 용암): 웃탑동 서북쪽에 있던 바위, 농처럼 생겼는데 냇뚝을 쌓는 데에 깨뜨려 썼음
도내기-시암: 용강 동북쪽에 있는 우물
멍에-배미: 용강 동남쪽에 있는 논, 멍에처럼 생겼음
무시랭잇-보: 살푸젱잇보 아래에 있는 보
비석-거리: 용강 남쪽에 있는 길, 신정비가 줄지어 섰었음
비석-배미: 비석거리에 있는 논
사창:→용강리
사창-터: 창몰에 있는 사창의 터, 현재 장평 면사무소가 되었음
살부-정이:→ 살부젱이
살부-정이:→살푸젱이
살푸-젱이(살푸정이, 살부정어): 용강리와 등
촌리에 걸쳐 있는 들
살푸젱잇-보: 살푸젱이에 있는 보
상-탑동: →웃탑동
새-테: 용강 서쪽에 있는 새로 된 마을
새텟-시암: 새테에 있는 샘
석곗-골: 아랫탑동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섬-배미: 창몰 옆에 있는 논 가운데에 돌무더기가 있었음
성족-골: 고산절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솔대-배미: 용강 동북쪽에 있는 논, 솔대(솟대)가 섰었음
쉰둥이-모팅이(주마산모팅이):아래탑동 남쪽, 곧 용강리와
장동면 북교리 경계에 있는 모롱이, 쉰도이를 낳은 부인이
살았다 함, 주마산(군 산천)밑이 됨
아구-논: 용강 남쪽에 있는 논
아랫-탑동(하탑동): 탑동의 아래쪽 마을
열락-재: 용강 서쪽 등성이에 있는 관산 임씨의 재실
열락지-모팅이: 열락재가 있는 모롱이
역-바대: 아랫탑동과 웃탑동에 걸쳐 있는 들, 장택현(長澤縣)때 역마을이 있었다 함
오목냇-계: 오목내(군 산천)가에 있는 들
옥-배미: 용강 동쪽에 있는 논, 장택현의 옥이 있었다 함
용강:→용강리
용-바우:→농바우
용안-등: 용강 뒤에 있는 등성이, 용의 머리처럼 되었는데
양쪽에 샘이 있어서 용의 두 눈과 같다 함
용안-재:→작은재
용-암:→농바우
웃-탑동(상탑동):탑동의 위쪽 마을
이사-동:→용강리
자작-골: 용강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택 고씨들이 많이
살았다 함
작은-재(용안재): 용안동 위에 있는 작은 고개
장안-들: 용강리와 등촌리에 걸쳐 있는 들, 장택고을터 앞이 됨
장안-보: 장안들에 있는 보
장택:→용강리
장택고을-터(장택현터): 용강 서북쪽에 있던 장택현(폐현
참고)의 터, 현재 살림집이 됨
장택현-터: 장택고을터
주마산-모팅이: 쉰둥이모팅이
창-몰:→용강리
천둥-배미: 용강 동북쪽에 있는 논
탑-거리: 웃탑동 앞에 있는 들, 탑이 있었음
탑-동(탑골, 탑동리): 용강 동남쪽에 있는 마을, 탑이 있었음
탑동-리:→탑동
통-시암: 용강 서북쪽에 있는 샘, 통처럼 되어 있음
펜-논: 옥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 흉년에 편(떡)과 바꿨다
함
평-촌(평촌리): 용강 북쪽 평지에 있는 마을
평촌-리:→평촌
하-탑동:→아랫탑동
마을의 연혁
신라말에서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 高山寺터가
있고 塔의 터가 마을 곳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무렵에
마을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확실하지는 않다. 1500년경 강원도 감찰사 宜寧南氏 南洽이 전남 진도에서 유배생활 중 풀려나 현재의 光平里로 돌아와 사망함에 따라 그
후손 南相參이 남흡을 사모하는 마음에 侍墓奉祀를 하기
위해 탑동으로 이주, 정착하였고 그 후손이 퍼져 동족마을을 이루었다.
하탑동 역시 光平에서 南允祐가 이주하였고 아들 秋煥씨의
자손이 마을을 이루었다.
탑이 많이 있다하여 탑골 또는 塔洞이라 부르게 되었다.
마을의 주요사건과 자랑
옛날에는 60여호가 살면서 동규를 엄정히 하여 과실을 엄격히 다스리고 선업을 권장하여 모범마을로 일컬어져 있다. 6·25를 전후해서도 마을에 불행한 일이 없었다.
마을의 조직
행정조직
리개발위원회: 마을의 현안 사항을 협의하고 리장의 자문역할을 하기 위하여 조직되었으며 위원은 6명으로 동계에서 선출한다.
부녀회: 생활개선과 경노효친을 통해 마을 발전을 기하기
위하여 조직된 부녀자들이 모임으로 회장은 총회에서 선출한다.
민간조직
동계: 마을의 제반사를 의논하여 마을 재정에 관한 협의는
물론 동규의 실천 등을 논의한다. 수계일은 음력 11월15일을 전후해서 날짜를 받아 한다.
상포계: 마을에서 상고가 발생하면 상사 일체를 관장하여
처리하고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협조한다. 마을에 입주하면
3일내에 계원이 되어야 한다.
마을총회: 양력 2월경 마을총회를 갖고 3년 임기의 리장을
선출한다.
협동
마을총회: 년중 10회 정도 마을총회를 갖고 그때그때 마을
일을 협의한다.
공동작업: 매호당 1명씩 참여하여 마을의 환경정리를 한다.
품앗이: 옛날에는 마을의 농사작업을 품앗이로 하였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지고 없다.
마을개발
도로: 탑동촌전 도로는 고산사까지 약 450m 마을 자체 개발
버스운행: 1938년 1일 1회 운영, 현재는 면소재지까지 직행 및 군내버스 약 30회 운행
생활변천
전기: 1970년 마을 전체가 전기가설
전화: 1932년 우체국 개설로 우체국 전화 이용, 일반 가정에 전화가 널리 보급된 것은 1975년도 이며 현재는 전 가구 전화 보유
지붕개량: 1968년 새마을 사업으로 지붕개량
식수: 자동펌프를 설치하여 자가 식수개발
사용
시장: 장평시장을 주로 이용하며 생활용품은 농협연쇄점
이용
연료: 20여호가 기름보일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11호는 연탄, 3호가 화목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학교
일제 때는 장평 공립 보통학교, 해방후 장평초등학교, 장평중학교에서 수학, 상급 학교는 장흥고를 비롯한 타지로 가서 수학한다.
마을의 산업
농업
경작규모: 3단보 미만 8호, 3∼5단보 3호, 5∼1헥타 4호, 1∼2헥타 3호, 2∼3헥타 7호
주요작물 생산량: 벼-345, 4단보에서 약 800석, 보리-10단보에서 170석
특산물: 마늘-1단보에서 250접, 고추-13단보에서 3500근
경지정리: 약 49헥타 경지정리(90%)
수리시설: 구시방죽 소류지를 이용하고 보성가을 양수하여
사용
품삸: 남자 1일 25,000원, 여자 1일 15,000원
농기구 임차료: 900평당 콤바인-10,000원, 트렉터-48,000원, 이앙기-70,000원, 경운기-40,000원
문화유적·유물
용강리 비석거리 塔材 : 1920(庚申), 宜寧南氏 八忠碑 崔永祚씨가 짓고 鄭達玄이 書
용강리 任泰三씨 집 탑재
高山寺 石佛立像(불교 유적편 참조)
龍華寺 入口石塔
高山寺址:용강리 산 29(불교유적 참조)
龍罔里 塔洞寺址(불교유적 참조)
風詠亭:탑동 초당 등에 南秉龍씨가 세웠으나 지금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