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
1.. 금강경金剛經이란?
-. 금강같이 절단하여 지혜를 완성
: 바즈라 체디카 프라즈냐 파라미타 수트라 /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
-. vajra : 金剛 (번개, 금강저. 다이아몬드?) : 단번에 자른다, 견고하다
: 금강저에서 벼락이 나옴
-. 벼락경 : 자신의 정수리에 벼락이 친다 / 바깥의 존재가 아닌 자신의 아집
-. 능단 : 능히 번뇌를 끊는다.
-. vajra cchedika : 번개, 다이아몬드처럼 절단하는
-. prajna (반야般若) :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통찰하는 지혜
: 일반적인 지혜와 다르므로 반야지혜라고 쓰기도 함
-. paramita : 강江은 탐진치등 번뇌 / 건너는 배는 三學, 육바라밀
/ 범부의 경계는 차안 / 성인의 경계는 피안 / 도피안度彼岸으로 해석하기엔?
-. prajna-paramita : 지혜의 완성
-. sutra : 경經 / 율律, 론論,
-. 서양에서 diamond sutra로 번역
-. 3가지 반야
1) 문자반야 : 문자나 언어를 통해 얻은 반야
2) 관조반야 : 문자반야를 통해 얻은 지혜에 의지해서 진리를 관찰한 지혜
3) 실상반야 : 보시, 선정 등을 통해서 제법의 실상을 깨달았을 때의 지혜
2. 금강경의 특징
-. 대승 반야부 경전
-. 일체 종교성, 철학을 초월하는 가르침
: 동시에 일체의 종교성, 철학을 포함하는 위대한 수트라
-. 일체현성 개이무위법 이유차별
: 공의 바탕에서 차별 유 / 진공에서 묘유로
/ 도의 깊이는 시대, 지역, 전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짐.
3. 금강경의 내용은 부처님과 수보리의 대화
-. 주인공은 부처님, 주연급 조연은 수보리
-. 제자들의 주특기 중 수보리의 주특기는? : 중국 해공제일 (공성, 무아)
: 인도 금강경에는 무쟁제일無諍第一, 응공제일
(수부띠 2개 부분 으뜸) : 앙굿따라 니까야 으뜸품
-. 초기불교 80대제자 : 비구47, 비구니13, 우바새10, 우바이10
-. 평화롭게 머무르는 자(아란나행) , 공양 받을만한 자 중 으뜸
-. 자비명상을 통해 깨닫고, 자애명상에 통달
.-. 초기 인도불교에서 무아, 반야, 공, 반야 지혜는 모든 아라한 有
-. 지혜와 자비 합일은 수보리 - 금강경
-. 사리푸트라와 수부티는 브라만 출신.
-. 지혜제일 사리불 : 부처님 설법 후, 초심자에게 붓다 대신 설법
4. 금강경을 학문적으로 접근?
-. 이론서 이면서 실천적 수행 교과서
-. 쉬운 것 같으면서 어려운 이유? : 중생을 위한 경이 아닌 보살의 경지
-. 위발대승자설, 위발최상승자설 : 有에 집착된 중생이 아닌 보살위位
-. 공空, 무아無我, 무상無相, 무자성無自性의 차원
-. 무색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 유有의 차원이 아님 / 공空
-. 허무주의, 부정적이 아니라 모든 생명, 존재의 본질이 공空함을 뜻함.
-. ‘나’라는 것이 본래 없음을 깨달으면 잘못된 아상我相(에고)에서 벗어남.
: 과학이 발달해서 증명
-. 부처님 탐구 : 무아無我, 공空, 무자성無自性
: 현대과학 물리(쿼크), 생물학적(염기서열 다른 종으로) 똑같네!, 현대우주학
-. 도道, 불佛 하면 떠오르는 것? ; 금빛 불상? : 상相이 있어서
-. 잠들기 전에 계속 염송 : 감응력 대단, 기묘한 불가사의 공덕
/ 四相이 사라지고(無明), 자신이 홀연히 사라짐
/ 알팔파와 엔도모르핀계, 좌뇌를 쉬고 우뇌의 활성화
-. 연혁법 : 서론에 전체 뜻과 결론까지 포함 : 오온개공 도일체고액
-. 정각을 이루시고 “참으로 희한한 일이다. 모든 중생을 두루 살펴보니
여래의 지혜와 덕성을 갖추고 있건만
단지 망상과 집착 때문에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구나”
-. 반야, 깨달음란 ‘어떤 것 하나’에 억지로 이름을 붙인 것.
-. 반야는 지智慧
: 지智는 어리석은 마음을 일으키지 않음, 혜慧는 방편을 갖는 것.
-. 바라밀은 도피안 : 생멸을 떠남.
-. 모든 중생이 각覺이라 하지 않는 이유? : 념념상속念念相續
: 생각 생각이 끊임없이 이어져 한 번도 생각을 떠난 적이 없기에.
-. 혜능선사
“금강경은 무상無相을 종지, 무주無住를 바탕으로 묘유妙有는 작용으로 삼음”
-. 妙有 : 공空을 근거로 이원적인 대립을 떠나서 존재하는 현상.
-. 세상 사람들은 몸 밖에서 부처를 찾고 밖을 향해 경經을 구하느라고
-. 알기만하고 닦지 않으면 : 이름만 있고 내용은 없다 / 철학
-. 뜻을 알고 닦으면 : 이름과 내용이 함께 갖추어짐
/ 믿음 없는 이해는 철학, 이해 없는 믿음은 맹신.
(혜능스님과 금강경)
-. 신주新州 (광둥성) / 나뭇꾼 / 응무소주이생기심
: 24세 기주 황매산(후베이성) 홍인스님
: “어디에서 왔는가?” “新州 (광둥성)”
“남쪽 오랑캐가 어찌 불법을 배우러?”
“사람에게는, 불성佛性에도 남북이?” (이미 불성에 살고 있다)
: 마음은 머무름없이 념념상속 육도를 오르내린다 - 원숭이 나뭇가지
: 소주韶州 조계曹溪의 보림사, 대범사에서 법을 펼침
: 청원행사, 남악회양, 하택신회, 석두희천, 영가현각 등 걸출한 제자
-. 남종선(돈오돈수), 북종선(신수스님, 돈우점수)
-. 금강반야바라밀경 : 핵심은 반야(지혜)
/ 금강경 성립 당시 반야가 아니라 보리심(반야와 자비)
/ 표면적으로 자비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음
-. 법보시가 재보시 보다 우월하다고 했지 재보시 공덕도 크다고 했다.
: 법보시만 하고 재보시를 하지 말라는 뜻이 아닌데도 지금은?
: 자비심은 기본으로 깔려 있고, 반야를 수행해야 보리심을 증득
-. 보살승 운동의 두 갈래 방향 : 대승으로 발전
상구보리 : 반야바라밀 완성 (부처님의 일체지) 을 추구하는 전문 수행자 집단
하화중생 : 자비서원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포교사
상구보리(반야) 금강경은 공부를 많이 하는데 하화중생(자비)을 위해 금강경을?
-. 누가 금강경 공부를? :
선남자선여인(경제적, 마음적 여유) + 발아뇩다라삼막삼보리 = 초발심
-. 앞다리가 쏘옥~~뒷다리가 쏘옥 : 기도하면 다리가 절단된 사람이 재생?
-. 다리가 절단된 사람이 선택지
1) 신세한탄을 하며 과거를 후회하고 미래를 근심 : 우연, 숙명론
2) 신앙심, 다리 재생을 기도 : 믿음, 기도부족 / 신의론
: 안되는 줄 알면서 왜그랬을까? / 미련, 어리석음
3) 현실 수용, 감사, 재활에 신경 : 현명, 지혜 / 연기론
/ 수처작주 입처개진
-. 금강경의 목적은 편안한 마음과 성불成佛, 수행법은 무주상보시
3) 무엇이든 성취하려면 - 住 修 斷
-. 구마라집 : 응운하주應云何住 운하항복기심云何降伏其心
: 주住(응여시주) 단斷(여시항복기심)
-. 현장스님: 응운하주應云何住 운하수행云何修行 운하섭복기심云何懾伏其心
: 住(응여시주) 修(여시수행) 斷(여시항복기심)
: 머무르고 끊는 것이 수행이므로 구마라집 본에서는 수행修行생략
(보리심은 참자유, 참행복인데 왜 의심하고 거부할까?)
-. 해탈 열반 : 괴로움이 없고 자유로운 상태
-. 지금까지 교육, 종교는 오욕락 추구가 행복!
교육 : 정글의 법칙, 치킨게임, 적자생존, 일등만 기억
종교 : 천국, 극락은 오욕락이 기본
(메슬로우의 욕구5단계)
생존 : 의식주 / 식욕, 성욕, 수면욕
안전 : 목숨 지키기
소속과 애정 : 재물욕
존중과 인정 : 명예욕
자아완성, 실현 : 理想 실현
-. 4단계의 쾌감과 행복은 경험해 본 것들 : 강렬, 짧은데 왜?
/ 달도 차면 기운다 / 음과 양
-. homeostasis / 자율신경 / 엔도르핀, 아드레날린 / 인슐린, 글루카곤,
-. 5단계 행복은 경험이 적음 : 오래 지속
-. 보리심일 때? 如如 : 자연계에 있을 수 없는 현상.
-. 인간은 왜 행복추구 존재일까?
: 대뇌생리현상과 분비 호르몬 / 전에는 과학적 근거 없음, 지금은?
(머무르고(주住), 끊고(단斷), 닦아라!(수修))
-. 수보리가 질문하고 부처님이 답? : 스스로 수보리가 될 것.
-. 住 : 일체중생을 품고, 가장 좋은 것을 주려고 노력
-. 斷 : 보리심을 강하게 하여 저항하는 마음을 끊고 -
/ 생색, 인정욕구 등을 반야바라밀의 힘으로 저항을 끊고
-. 修 : 지혜는 바로 깨닫지만, 습관은? 바로 안되니 공덕 닦는 수행
/ 공덕 쌓기
(금강경은 약간 다르게 반복하는 구조, 뺑뺑이)
-. 1품 ~ 3품까지 : 최상근기용 / 주수단
-. 4품 ~ 14품까지 : 상, 중, 하근기용
1. 법회인유분 : 언어도단 무언설법
2. 선현기청분, 3. 대승정종분 : 언어적 설법
4. 묘행무주분 : 무주의 핵심
5. 여리실견분 : 무상의 핵심
6. 정신희유분 : 보시의 핵심
1) 무상無相하다고 하니, 없는 줄 아는 무병無病이 걸리고
2) 無病 치료를 위해 자비보시해라, 실천하면 공덕이 있다고 하니 유병有病에
3) 有病 치료를 위해 무상無相하다고 다시 반복 됨.
-. 뺑뺑이: '있다' 하면 '없다'로, '없다' 하면 '있다'로, 또 ‘있다’하면 ‘없다’로.
: 있다하는 유병有病이면 무상반야의 약으로
: 없다하는 무병無病이면 자비의 약으로 치료
: 무, 유에 사로잡히지 않는 무주
-. 한량없는 공덕이 있다에서 무득무설 : 자비와 반야의 교차
-. 하근기 : 하열하다는 뜻 아니고 반복해야 받아들임 : 무주상보시를 반복
-. 알아 듣지 못해도 반복하면? : 무의식으로 저장
-. 15품 ~ 32품에서는 계속 반복
: 하근기는 의심이 많아서 선뜻 믿지 못하지만, 깨달으면 확고함.
-. 자신이 수보리가 되어 절실하게 성불을 향하여!!
(중요 포인트)
*** 무주상 : 모든 생활에 적용하자*** : Only doing
-. 지향점 : 구하는 바가 없으면 마음이 편해짐, 곧 부처님의 마음.
-. 성불하려면 일체중생을 제도해야 하는데 구하는 바 때문에 번뇌?
: 한 중생도 제도한 바가 없다 / 사상四相이 있으면 괴롭다.
-. 수행의 핵심 : 무주상보시
5. 십대제자
1) 지혜제일 사리불 : 브라만, 산자야(Sanjaya)의 제자, 목건련과 도반
2) 신통제일 목건련 : 브라만, 우란분절
산자야 / 회의론
3) 두타제일 마하가섭 ; 12세에 망부모, 염화시중의 미소, 교단의 수장
4) 천안제일 아나율 : 석가족, 부귀한 가정, 失明
5) 다문제일 아난다 : 줄여서 '아난', 사촌동생 / 출가이유
붓다 귀향시 아나율 등과 함께 출가 / 20여 년간 시자(侍者)
6) 지계제일 바리노예 이발사 출신
7) 설법제일 부루나 : 전법제일, 고향에서 전법 / 비난, 폭행, 죽이지 않음
/ 자살, 목숨을 끊어주었으면 하는 이도 있는데 / 그들이 베풀어 준다고
/ 고난도 인욕하며 견디고, 목숨까지 버릴 각오.
8) 해공제일 수보리 ? : 브라만, 어려서는 성질이 사나웠음. 無諍第一
9) 논의제일 가전연
10) 밀행제일 라후라 : 15세에 출가 / 거짓말
/ 발을 씻고 남은 물 - 출가 수행자도 이러해서 하찮은 것에 불과.
-. 無住 : 헤로도투스 / 부부싸움후 말 안하기(有住)와 칼로 물베기(無住)
-. 문수 무상지無相智 체득, 보현 무주행無住行 실천 : 진공眞空 묘유妙有
-. 금강반야 : 고정, 독립된 相이 없음을 아는 것 / 無相 (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