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四章
도道는 (유위有爲를) 텅 비우는데, 따라서 (도道는 무위無爲가 가득 차지 않은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 그것을 일삼는다. 옛날 책에는 (충冲이) 충盅으로 쓰여 있다. 그릇의 가운데, 텅 빈 자리를 가리킨다. (따라서 도道는)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가득 차 있지 않다. (무위無爲가) 가득 차 있지 않은 때가 없다. 따라서 (도道는 무위無爲가) 늘 그러하다. (따라서 도道는) 연못인 듯하다. 만물의 근원(宗; 性·命)을 닮았다. (따라서 도道는) 그 (유위有爲가) 날카로운 바를 꺾어버리고, 그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바를 풀어헤친다. (따라서 도道는) 그 (무위無爲가) 빛나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지고, 그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흙먼지와 (더불어) 아우러진다. (따라서) 양기陽氣는 (무위無爲가) 날카로운 바를 일삼게 되는데, 이른바, (양기陽氣는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빛나는 바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음기陰氣는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를 일삼게 되는데, 이른바 (음기陰氣는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흙먼지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도道에게) 빠져들어야 한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도道를) 닮아가야 하고, (따라서) 늘 그러하게 (도道에게) 머물러야 한다. (이른바) 나는 알아차리지 못하겠다. (도道가) 누구의 아들인지. 아마도 상제上帝의 앞인 듯하다.
道, 冲而用之. “冲”, 古本, 作“盅.” 器中, 虛處. 或不盈. 不期不盈, 故或之. 淵兮, 似萬物之宗.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陽, 用銳, 而體光. 陰, 用紛, 而體塵. 湛兮, 似或存. 吾, 不知誰之子, 象帝之先.
용用은 (무위無爲가) 가득 차지 않은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는 말이다. (도道) 그것은 이른바 “(유위有爲가) 텅 빈 바이고, 따라서 (무위無爲가 가득 차지 않은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 그것을 일삼는 바이며, (따라서)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가 가득 찬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아니다!” 용지用之는 (다음의) 것들을 일삼는다는 말이다.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바”와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흙먼지”에서 나오는 바, (무위無爲가) 날카로운 바와 (무위無爲가) 빛나는 바에게 들어가는 바. (유위有爲가) 날카로운 바와 (유위有爲가) 빛나는 바에서 나오는 바,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와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흙먼지에게 들어가는 바.
用者, 無不盈也. 其, 惟「沖, 而用之, 或不盈」乎! 用之, 為數, 出乎“紛”“塵”, 入乎“銳”“光.” 出乎“銳”“光”, 入乎“紛”“塵.”
(도道는) 오로지 (유위有爲를) 텅 비운다. (따라서 도道는 무위無爲가) 날카로운 바가 되고, (무위無爲가) 빛나는 바가 되며,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가 되고,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흙먼지가 된다. (따라서 도道는 유위有爲가 날카로운 바, 유위有爲가 빛나는 바,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바,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흙먼지, 이) 네 가지 것들이 돌아가는 바와 (유위有爲가 날카로운 바, 유위有爲가 빛나는 바,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바, 유위有爲가 어지러운 흙먼지, 저) 네 가지 것들이 머물지 않는 바를 (기쁘게) 받아들인다.
唯冲也. 可銳, 可光, 可紛, 可塵. 受四數之歸而四數不留.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자신의 몸이 음陰과 양陽의) 기氣를 가득 채우고, (무위無爲에게) 나아가며, (유위有爲와 더불어) 다투게 해야 한다. 따라서 마음이 (유위有爲를) 차갑게 대하고, (유위有爲에서) 물러나며, (무위無爲에서) 머물게 해야 한다. (따라서) 비록 (무위無爲에게) 맞서는 아들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될지라도, 그 (아들이 만물의) 근원(宗; 自然·道·性)을 등지기를 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록 (유위有爲가) 큰 임금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될지라도, (그 임금이 만물의 근원無爲·德·命을) 어긋난 채,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찍이 (아주 먼 옛날,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컸던) 저 임금은 제기祭器에 (사람이 아닌 콩과 같은) 제물祭物을 올려 (음陰과 양陽의 기氣가) 기쁘게 받아들이게 했고, 저 임금은 (도道에게) 나아가고 달려가기를 다툰 것이 아니겠는가?
故盛氣來爭. 而寒心退處. 雖有亢子, 不能背其宗. 雖有泰帝, 不能軼事. 豈嘗歆彼之俎豆, 競彼之步趨哉?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일찍이, 아주 먼 옛날, 무위無爲가 컸던 임금이 저 도道에게 나아가고 달려갔던 바) 그것을 닮고 본떠야 하며, (따라서 저) 만물이 거스를 수 없는 바(인 도道)를 말미암아야 하며, 따라서 (저 무위無爲) 그것을 일삼는 임금으로 이름 지어 불려야 한다.
似而像之, 因物之不能違, 以為之名也.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