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행장소 ; 구봉산(465m),석술암산(413m)(용인)
2. 산행일시 ; 2025.01.11(토) ; 맑으나 강추위
3. 산행시간 ; 4시간 29분
4. 산행거리 ; 12km
5. 산행친구 ; 홀로
6. 산행위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7. 특이사항 ; 원점회귀, 경기100명산. 경기옛길, 영남길, 산너울3길
09:01 ; 두창저수지 제방옆에 주차하고 산행 준비후 출발
한국농어촌공사 두창저수지 사통조작실 도로 건너편이 들머리임.
우측 능선이 끝나는 지점에서 우측으로 들어가야함. 공사중이라 이정표나 표지기같은게 없슴.
앞에 보이는 능선으로 올라가서 좌측으로 조금만 가면 등로가 보임.
올라가다가 뒤돌아본 두창저수지.
09:07 ; 뚜렷하게 보이는 등로.
09:22 ; 이정표(두창리/(우)문수봉8.7km/(좌)매봉재(두창리)0.1km ; 좌측 매봉재로
09:26 ; 매봉재에 있는 정자.
09:31 ; 이정표(매봉재250m/(우)두창저수지1km/(직)구봉산정상2.3km) ; 직진
09:42 ; 북쪽사면이거나 그늘이진곳은 아직도 눈길이네.
09:44 ; 이정표 ; 좌측으로
뜬금없는 삼각점.
09:56 ; 갈림길(두창리/(좌)두창저수지/(직)구봉산) ; 직진
09:59 ; 이산속에 운동기구가 필요한가????
10:03 ; 이길이 영남길,경기옛길,산너울3길이라고 하네.
10:05 ; 이정표가 서있는 이상한 구조물인데 용도를 모르겠슴.
10:18 ; 경대(색경)바위 이정표(매봉제2.3km/(좌)골안마을두창저수지1.9km/(직)구봉산0.7km) ; 직진
경대바위라는데 ?????
10:26 ; 계단의 시작
10:33 ; 계단끝에 있는 이정표로 여기서 우측으로가면 구봉산이고 좌측으로가면 석술암산이니 일단 우측으로갔다가 다시 여기로 와서 좌측 석술암산으로 갈계획이다.
10:45 ; 정상으로가는 마지막 오름길
10:52 ; 우측 계단위가 정상이네(석술암산1.5km/(직)조비산5.0km)
10:53~11:08 ; 구봉산 정상
정상에서 맛보는 따듯한 커피한잔의 여유. 그러나 바람불고 엄청춥네. 점심은 포기다. 얼른 하산해서 차에서 먹어야 겠다.
11:08 ; 구봉산아 잘있거라 나는 석술암산으로 간다.
11:23 ; 다시 돌아온 갈림길에서 석술암산 방향으로 직진한다.
멀리 석술암산이 보이네.
누군가 나보다 먼저 석술암산으로 간사람이 있네.
지난 습설에 나무가 부러진상태로 있네. 오늘 군데 군데서 습설피해를 본 나무들이 꽤 있었다.
11:44 ; 갈림길(구봉산1.5km/(좌)골안1.7km/(직)용운사3.2km ; 아까 구봉산정상에서도 석술암산이 1.5km 남았다고 했는데 여기까지 쎄빠지게 왔는데 아직도 1.5km가 남았단다. 에고 날도 추운데 힘내서 가자.
11:52 ; 부서지는 의자와 관리가 안되는 운동기구들. 세금이 아깝다.
오토바이에 유실되는 등로.
12:01 ; 갈림길(구봉산2.0km/(좌)용운사2.7km) ; 직진해서 석술암산에 갔다가 다시 여기로 돌아와서 용운사 방면으로 하산할 예정.
12:03 ; 석술암산정상에 도착했으나 옆에 보이는 봉우리가 더 높아 보여서 옆봉우리를 다녀옴.
12:17 ; 다시돌아온 갈림길에서 용운사 방면인 우측으로.
12:19 ; 등로가 없어질까봐 걱정했는데 두무재까지 등로는 뚜렸해서 등로를 헷갈릴 염려는 없음.
12:31 ; 이정표(석술암산0.7km/(직)용운사2.0km) ; 직진
13:03 ; 두무재에 도착하여 좌측으로
두무재에있는 생태통로
13:23 ; 여기서 좌측 두창저수지 방향으로
13:30 ; 차량에 도착하여 산행을 마치고 차안에서 집에서 준비해온 떡과 남아있던 커피로 점심을 먹는다. 집으로 간다. 오늘 하루도 춥기는 했지만 행복한 하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