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수원, 이천, 안성, 광주, 화성, 성남, 병점, 동탄 옥상방수공사, 에폭시, 칼라에폭시, 징크판넬, 인테리어, 리모델링, 도배, 전기조명, 페인트, 빈티지, 징크지붕, 도장공사, 투명에폭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45E485E5F2E8220)
하 겐 시 방 서
고탄성 아크릴 고무계 마감재
1. 일반사항
하겐은 건축물의 벽면 보호기능과 미관기능을 겸비한 고탄성 아크릴 고무계의 벽면방수 도장재입니다.
1.1 하겐의 특징
1.1.1 벽면의 균열(크랙)을 막아 줍니다.
* 하겐의 도막은 고무처럼 유연하므로 벽면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도막은 갈라지지 않으므 로 누수를 완전히 차단하여 구체를 보호하여 줍니다.
1.1.2 중성화 억제 효과가 뛰어납니다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은 알칼리성의 상태에서는 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콘크리트의 중성화는 공기중의 탄산가스 작용에 의해 표층부로부터 서서히 알칼리성을 잃 어버리게 됩니다.
* 철근 주위의 콘크리트가 중성화되면 산소, 수분 등의 작용에 따라 철근에 녹이 생깁니다.
* 기밀성이 뛰어난 하겐은 공기나 탄산가스를 거의 투과하지 않으므로 녹이 발생하는 요인을 극단적으로 감소시킵니다.
1.1.3 염해, 동해, 풍해 등 자연 재해로부터 건물을 보호합니다.
* 염해란 콘크리트 내부에 염분이 침입하면 그 염분이 물에 녹아서 염소이온이 되어 철의 피 막을 파괴합니다. 피막이 파괴되면서 산소와 수분이 철근에 닿아 부식되는 현상을 말합니 다. 하겐의 높은 기밀성은 발청 원인을 제거합니다.
* 동해란 겨울철의 눈, 비 등이 콘크리트 면에 침입하여 콘크리트의 수분이 동결융해를 반복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조직이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하겐의 도막은 수분의 침입을 차단하여 동해를 막아줍니다.
* 풍해란 모래바람에 의한 물리적인 마모, 손상을 말합니다. 하겐의 도막은 탄성이 뛰어나서 반발기능이 생기므로 모래바람으로 인한 손상을 막아줍니다.
1.1.4 접착성이 뛰어나서 어떤 소재와도 잘 접착됩니다.
* 콘크리트, 모르타르, 합판, 석고보드, MDF, GRC판,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바탕면에 는 접착이 잘 되며, 특수한 바탕처리를 하면 타일, 도자기류, 금속류, 아크릴도료, 에폭시 계, 우레탄, 본타일, 수성페인트 등의 위에도 도포가 가능합니다.
1.1.5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관리가 용이합니다.
* 초내구성 : 아크릴,우레탄보다 뛰어난 내구성을 가진 TOP COAT이며 광택저하가 없습니다.
* 내약품성 : 내산,내알칼리성이 뛰어나 산성비로부터 건물을 보호합니다.
* 내오염성 : 때가 잘 타지 않도록 개발된 TOP COAT입니다.
* 투 습 성 : 내투수성과 함께 뛰어난 투습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1.2 적용범위
1.2.1 학교, 병원, 공장, 호텔, 오피스텔, 펜션 및 빌딩 내․외부 천정 마감
1.2.2 콘크리트, 시멘트몰탈, PC판,ALC판, 석고보드, 강판 등의 내․외부 벽체용
1.3 공법의 종류
1.3.1 H-R 공법 : 하겐 전용 패턴 로울러로 다양한 무늬를 표출하는 공법
1.3.2 H-F 공법 : 스프레이 건으로 표면을 평활하게 마감하는 공법
1.3.3 H-T 공법 : 스프레이 건으로 표면을 구슬모양으로 마감하는 공법
1.3.4 H-S 공법 : 주로 천정용으로 SILICA SAND와 하겐을 혼합하여 퍼라이트 모양을 표출 하는 공법
1.3.5 H-K 공법 : 체육관, 아파트등 지붕재 시공시 마감하는 공법
1.4 적용재료
1.4.1 하도
(1) 염화고무계 용재타입의 투명녹색으로 강한 접착성과 방수, 방습 효과가 강한재료임.
(2) 붓, 로울러, 스프레이 건 등으로 시공한다.
1.4.2 중도
(1) 아크릴계 고무에멀죤, 소포제, 분산제, 점증제, 충진제, 안료등의 구성성분으로 구성되어는 고탄성 재료임.
(2) 하겐 중도 마감은 중하도 작업과 중상도 작업으로 2회 작업하며 공법에 따라 차이를 갖는다.
(3) JIS규정(JISA 6021 실내용 도막 방수재)
1.4.2 상도
(1) 아크릴계 고무 에멀전 수지와 수용성 우레탄계의 혼합도료로써 알칼리와 자외선에 저항이
강한 재료이다.
(2) 붓, 로울러, 에어리스건등으로 시공한다.
(3) JIS 규정 (JISA 6910 방수형도료.E)
1.5 시공조건
1.5.1 하겐은 0℃이상의 따뜻한 상태에서 시공한다.
1.5.2 여름철 고온의 상태에서는 하겐을 4~5배의 물로 희석한 후 예비 도포를하여 급격한 건 조를 막아야 한다.
1.5.3 겨울철 저온의 상태에서 시공도중 기온이 내려갈 때는 낮 중에 빨리 시공을 끝내야 한 다.
1.5.4 비가 올때나 오려고 할 때는 시공을 해서는 안된다.
도막이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가올 것 같으면 비닐시트로 덮어야 한다.
1.6 시공
1.6.1 준비작업
(1) 하지조정작업
① 시공할 면을 면밀히 조사하여 평활하고 깨끗하게 한다.
② 이물질을 제거하고 결손부위는 PUTTY로 보완한다.
③ 크랙은 그 크기에 따라 적절히 처리한다.
④ 철물, 못 등은 방청도료를 칠하여야 한다.
⑤ JOINT의 처리는 면테이프를 바르고 전용PUTTY로 처리한다.
(2) 양생작업
① 대상물의 주변에 도장재가 묻지 않도록 신문지, VINYL 등으로 테이핑 작업을 한다.
② 바닥에 천막지나 비닐 등을 깔아주고 정원수도 덮어준다.
(3) 하지상태
① 하지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시공해야 한다.
1.6.2 하도작업
(1) 하겐 씨라Z를 도장면에 빠짐없이 바른다.
(2) 하겐 씨라Z는 다른 용재와 혼용할 수 없다.
1.6.3 중하도작업
(1) 하겐ZF는 방수층의 형성과 탄성도막 강화를 위해 평활하게 벽면을 빠짐없이 바른다.
(2) 스프레이 작업시의 콤프레셔 압력은 3kg/㎠, 스프레이 구경은 4~6이 적당하다.
1.6.4 중상도작업
(1) 중상도작업은 탄성도막 강화와 패턴형성을 위해 공법에 따라 시공도구를 정한다.
(2) 스프레이 작업시의 코프레셔 압력을 3kg/㎠, 스프레이 구경은 5~7이 적당하다.
1.6.5 상도작업
(1) 상도작업은 하겐 칼라톱으로 도장면을 빠짐없이 바른다.
(2) 도막이 완전 건조될 때까지 때가 묻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1.6.6 정리작업
(1) 시공도구를 정리하고 주변을 깨끗이 청소한다.
1.7 공정의 FLOW CH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