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 국문학개론 대체, 기말, 계절기출문제 [8] | 능소니(국문졸) | 16.07.15 | 386 |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국문학개론 계절 기출문제
(2013년에 교재가 개편되었습니다. 이전 기출문제는 참고만 하세요.)
2011년 계절시험
1. 한글로 표기된 작품만이 국문학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주장을 한 사람은?
① 이광수 ② 조윤제 ③ 고정옥 ④ 양주동
☞ 교재 p5 : 이러한 견해는 이광수로부터 시작하여 김태준에 와서 큰 목소리로 발전한다.
2. 조동일의 네 갈래 장르설 중 ‘서정’에 해당되는 것은?
①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
②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이 이루어지는 세계의 자아화
③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④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 교재 p7~8 :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교술),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이 이루어지는 세계의 자아화(서정),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서사),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희곡)
3. 우리 설화의 대칭어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① 講唱 ② 話本 ③ 民間故事 ④ 昔話
☞ 교재 p55~56 : 일본인은 우리의 설화의 대칭어로, ‘昔話’, ‘傳說’, ‘神話’ 등을 각각 사용하거나, 최근에는 이들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民話’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강창, 화본, 민간고사는 모두 중국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4. 설화의 기원을 억압되어 있는 성적인 무의식에서 찾으려고 한 학자는?
① 매컬로크 ② 뮐러 ③ 프로이트 ④ 빈클러
☞ 교재 p62 : 설화의 기원을 인간의 심리적인 현상에서 찾으려는 학파는 심리학파로,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프로이트(S. Freud)와 분트(W. Wundt)가 있다.
5.『미개사회의 성과 억압』의 저자는?
① 래디클리프-브라운 ② 린턴 ③ 말리노프스키 ④ 프레이저
☞ 교재 p64. 개편교재에서는 책의 제목은 빠짐
6. 전설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역사성 ② 평범성 ③ 설명성 ④ 비극성
☞ 교재 p70 : 전설의 특징은 진실성, 역사성, 단순성, 설명성, 비극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7. 올릭의『설화의 서사법칙』에서 ‘똑같은 종류의 상황은 될 수 있는 한 거의 똑같이 묘사되고 변화를 생기게 하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는 법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쌍둥이 법칙 ② 단선화 ③ 이물과 고물의 법칙 ④ 형식화
☞ 교재 p78~80 : 쌍둥이 법칙-두 사람이 똑같은 역할을 나타낼 경우 그 두 사람은 작고 약한 존재이다. 이때 두 사람은 쌍둥이인 경우가 많다. / 단선화-줄거리는 늘 단순하며 직선적이다. / 이물과 고물의 법칙-주인공은 3형제 중 가장 젊고, 가장 작고, 가장 약하다. 하지만 최후에 행복하게 되는 것은 주인공이다.
※ (8∼10)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교재 p256
( 가 )에 의하면 인식은 ‘지각 → 기억 → ( 나 ) → 테크네 → 학문’의 순서로 여러 단계를 거쳐 높아지는 것이고, 테크네는 ( 나 )과 학문의 중간에 있으면서 그 양쪽에 걸쳐 있다. 그는 테크네를 둘로 나누었다. 그 하나는 ‘생활상의 필요에 의한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기분전환과 쾌락을 위한 기술’이다. |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8. 위의 글 ( 가 )에 들어갈 말은?
① 플라톤 ② 아리스토텔레스 ③ 헤겔 ④ 칸트
9. 위의 인용문에서 ‘기분전환과 쾌락을 위한 기술’에 해당되는 장르는?
① 스포츠 ② 요리술 ③ 의술 ④ 예술
10. 위의 ( 나 )에 들어갈 말은?
① 청각영상 ② 경험 ③ 회상 ④ 추억
※ (11∼12)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小說家 合殘叢小語 近取( 가 ) 以作短書 治身理家 有可觀之事. ☞ 교재 p261 |
11. 소설의 개념정의에 대한 위의 주장을 한 사람은?
① 莊子 ② 孟子 ③ 桓譚 ④ 班固
12. 위의 인용문에서 ( 가 )에 들어갈 용어는?
① 비유 ② 풍류 ③ 해학 ④ 풍자
13. 고소설의 ‘형태상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단순구성을 바탕으로 하여 복합구성의 형태를 가미한 절충적인 형태
② 산문체와 율문체를 병행
③ 문장의 공식성
④ 현재형의 종결어미를 많이 사용함
☞ 교재 p276~279 : 고소설은 단일한 플롯에 의해 사건이 전개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고소설의 구성법은 단순구성을 바탕으로 하여 독자들의 흥미를 더하기 위해 복합구성의 형태를 가미한 절충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다. 또 고소설은 표현에 있어서 율문체와 산문체를 병행하여 쓰고, 산문체의 경우 서술적인 문체를 주로 사용한다. 또 고소설의 형태상의 특징의 하나로 문장의 공식성을 들 수 있다.
14. 다음 중 매월당의 세계관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一氣槖籥論 ② 重陰下爻說 ③ 精氣已散說 ④ 圓而無物論
☞ 교재 p294 : 매월당의 세계관은 일기탁약론, 정기이산설, 원이무물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15. 교산이 언급한 ‘원민’이란 누구를 말하는가?
① 항상 눈앞의 일들에 얽매이는 사람들
② 줄곧 법이나 지키면서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는 사람들
③ 모질게 빼앗겨서 살이 벗겨지고 뼈골이 부서지는 사람들
④ 혹 시대적 변고가 있다면 자기의 소원을 실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
☞ 교재 p297 : 허균은 민중계층에 ‘항민, 원민, 호민’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항민이란 항상 눈앞의 일들에 얽매이고, 변함없이 줄곧 법이나 지키면서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는 사람들이라고 하였고, 원민이란 모질게 빼앗겨서 살이 벗겨지고 뼈골이 부서지며 집안의 수입과 땅의 소출을 다 바쳐서 한없는 요구에 제공하느라 시름하고 탄식하면서 그들의 윗사람을 탓하는 사람들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또한 호민의 등장을 희망하면서, 호민이란 자취를 푸줏간 속에 숨기고 몰래 딴 마음을 품고서 천지간을 흘겨보다가 혹시 시대적인 변고라도 있다면 자기의 소원을 실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라고 규정짓고 있다.
16. 김만중이 송강의『관동별곡』을 예로 들면서 중국말의 모방보다는 우리말로 쓰여진 시가를 높이 평가한 책은?
①『동파지림』 ②『열하일기』 ③『성소부부고』 ④『서포만필』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 교재 p300 : 김만중의 호는 서포이고 그의 책은 「서포만필」 / 「동파지림」은 중국 북송 때의 인물인 소식의 문집이다. / 「열하일기」는 박지원의 기행문이다. / 「성소부부고」는 허균의 시문집이다.
17. 다음의 연암의 작품 중 『熱河日記』 <玉匣夜話>에 실려 있는 작품은?
① 「虎叱」 ② 「許生傳」 ③ 「兩班傳」 ④ 「馬駔傳」
☞ 교재 p303 : 「虎叱」은 관내정사에 실려 있다. 「兩班傳」은 열하일기에 실리지 않은 별개의 작품, 「馬駔傳」은 전기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18. 판소리 장단 중에서 흥취를 돋구고 우아한 맛을 주는 장단은?
① 단모리 ② 중머리 ③ 중중머리 ④ 자진모리
☞ 교재 p315 : ‘중머리’는 태연한 맛과 안정감을 주고, ‘중중머리’는 흥취를 돋우고 우아한 맛을 준다. ‘자진모리’는 섬세하면서도 명랑하고 차분하면서 상쾌하며, ‘휘모리’는 흥분과 긴박감을 주는 장단이라고 할 수 있다.
※ (19∼21)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교재 p316
경기․충청 지역의 염계달, 모흥갑제에서 ( 가 )가 이루어졌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삼제는 표현기법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질에 따라서 ‘통성’, ‘수리성’, ‘천구성’이니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게다가 발성법에 따라 ‘푸는 목’, ‘감는 목’, ‘방울 목’, ‘엮는 목’ 등을 비롯하여 약 40종 가까운 목 성음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게다가 ( 나 )(이)라고 하여 과거 명창 대가가 개발한 특정한 대목을 익혀야 했다. |
19. 위의 ( 가 )에 들어갈 말은?
① 중고제 ② 강산제 ③ 석화제 ④ 협률제
20. ‘수리성’이란 어떤 목소리를 말하는가?
① 강약의 변화없이 마구 내지르는 소리 ② 명암의 변화 없이 마구 내지르는 소리
③ 튀어나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명창의 소리 ④ 쉰목소리처럼 컬컬한 소리
☞ 교재 p316 : 음질에 따라서 ‘통성’(강약이나 명암의 변화 없이 마구 지르는 소리), ‘수리성’(쉰 목소리처럼 컬컬한 목소리), ‘천구성’(튀어나는 목소리, 즉 선천적으로 타고난 명창의 성음)이니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21. 위의 ( 나 )에 들어갈 말은?
① 지화자 ② 발림 ③ 더늠 ④ 아니리
☞ 교재 p316 : ‘아니리’라는 것은 창으로 하지 않는 대사의 전달을 의미한다. ‘발림’은 몸짓에 의한 표현을 뜻한다. ‘추임새’는 고수와 청중이 한데 어울려 ‘판’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관객의 입장에서 질탕하게 예술의 흥취를 맛보는 현장의 수용미학적 행위와 외침을 말한다. ‘지화자’는 추임새에 쓰이는 어구 중의 하나이다.
22. <새타령>이 장기인 명창으로, 그의 소리에 탄복한 대원군이 “네가 제일강산이다.”라고 찬사를 보낸 조선 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은?
① 모흥갑 ② 염계달 ③ 고수관 ④ 박유전
☞ 교재 p330~334 : 모흥갑-<적벽가>가 특징이며 평양감사의 초청을 받아 통영갓을 쓰고 연관정에서 가창했다. / 염계달-헌종의 총애를 입어 누차 어전에서 소리를 하였고 同知의 직계를 제수받기도 했다. / 고수관-8명창 중 문장력이 뛰어난 가객으로, <춘향가>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인 사랑가를 작곡하여 지금도 ‘고수관제’로 전승되고 있다.
23. 고전산문 중 현대적인 장르개념으로 볼 때, ‘서사문’에 해당되는 것은?
① 증서류 ② 서설류 ③ 논변류 ④ 전장류
☞ 교재 p343 : 현대적인 개념에 맞추어 볼 때, 논변류는 논설문에, 서설류는 서간문에, 증서류와 잡기류는 서사문 혹은 기록문에, 전장류는 전기문에 해당한다.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24. 고전산문 ‘論辨類’ 중에서 ‘議’란 어떤 장르를 말하는가?
① 시비를 가리고 진위를 결정하는 글 ② 논리적 질서를 세워 직설적으로 논하는 글
③ 정도를 들어서 이치를 분석하는 글 ④ 본원적인 사실을 추론하는 글
☞ 교재 p350 : 시비를 가리고 진위를 결정하는 글은 辨, 논리적 질서를 세워 직설적으로 논하는 글은 論, 正道를 들어서 이치를 분석하는 글은 議, 본원적인 사실을 추론하는 글은 原이다.
25. 상인들의 후원 아래 행해졌던 가면극으로 대보름, 초파일, 단오, 추석 등에 공연되었고 총 12과장으로 구성된 탈춤은? ☞ 교재 p388
① 송파산대놀이 ② 양주별산대놀이 ③ 하회별신굿 ④ 강릉 관노가면극
26. 반구대암각화 같은 그림 자료와 기타 다른 기록들을 근거로 할 때 우리의 고대가요에서 최초의 노래들은 무엇과 무엇의 결합물이라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① 집단적 노동과 예언적 행위 ② 개인적 노동과 주술적 행위
③ 개인적 노동과 예언적 행위 ④ 집단적 노동과 주술적 행위
☞ 교재 p101~102 : 최초의 노래들은 집단적 노동과 주술적 행위의 결합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27. 다음 중에서 公無渡河歌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무엇인가?
① 海東繹史 ② 白首狂夫 ③ 酒神과 樂神 ④ 海歌詞
☞ 교재 p109~111 : 公無渡河歌는 중국 문헌에 있던 기록을 한치윤이 「海東繹史」에 옮겨 적어 놓았다. 이 노래는 머리를 풀어 헤친 채 술병을 들고 물속으로 들어가는 白首狂夫와 그 부인의 이야기이다. 여기에서 백수광부는 酒神이고 그의 아내는 樂神이다.
28. 고대가요인 황조가는 짝을 찾는 청춘남녀들의 다음 노래와 흡사하다. 이 노래를 싣고 있는 중국의 문헌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꾸룩꾸룩 저 물새/물가에서 운다//아리따운 아가씨/군자의 좋은 짝이라네 |
① 楚辭 ② 詩經 ③ 樂府 ④ 唐詩
☞ p18 : 이 노래는 시경의 첫머리에 나온다. 개편교재에서는 빠진 내용
29. 삼국의 노래 중에서 남녀의 혼인과 관련을 가지는 노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延陽 ② 井邑 ③ 溟州 ④ 木州
☞ 교재 p119~120 : 연양-연향현에 살던 한 사람에 관한 노래로 신세한탄을 노래하고 있는 고구려의 노래. / 명주-강릉지방에 전하는 노래이다. 외지에서 공부하러 온 여자가 양가의 딸이 서로 사랑하여 과거시험을 보러 간 남자를 기다리는 내용의 고구려 노래. / 정읍-행상을 나가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의 노래로 백제가요. / 목주-천안시 목천에 사는 어느 효녀의 이야기로 신라의 노래이다.
30. 신라 유리왕 때에 왕이 국내를 순행하다가 굶주리고 얼어 죽어가는 노파를 보고 자신의 잘못이라 하여 백성을 구제하는 방법을 세우라고 하였더니 이웃나라 백성들까지 모여들었다. 이때에 민속이 환강하여 노래를 지었는데, 가악의 시초였다는 설명과 가장 깊은 관련이 있는 작품은 무엇인가?
① 長漢城 ② 會蘇曲 ③ 詞腦歌 ④ 兜率歌
☞ 교재 p111~112 : 「三國遺事」에는 이 노래를 지은 연대와 창작동기가 설득력 있게 제시되어 있다.
31. 현존 향가는 삼국유사에 14편이 실려 전한다. 이 기록으로 볼 때, 가장 오래된 작품은 무엇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① 薯童謠 ② 風謠 ③ 處容歌 ④ 彗星歌
☞ 교재 p133 표 :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는 진평왕대의 서동요와 혜성가가 전한다. 서동요는 진평왕 22년, 혜성가는 진평왕 16년이다.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32. 다음 중에서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잘못 짝지어 놓은 것은 무엇인가?
① 融天-彗星歌 ② 希明-禱千手大悲歌
③ 月明師-祭亡妹歌 ④ 忠談師-慕竹旨郞歌
☞ 교재 p133 표 : 충담사는 「찬가피랑가」, 「모죽지랑가」는 득오가 지었다.
33. 향가 處容歌에 등장하는 처용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었다. 그것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무엇인가?
① 巫夫 ② 元曉 ③ 지방호족 ④ 이슬람 상인
☞ 교재 p153 : 처용이 과연 무엇인가 하는데 대해서는 벽사의 가면을 인격화한 것, 반중앙적 지방호족의 아들로서 인질, 불교적 호국룡, 무격 또는 무격의 몸주, 미륵신앙을 갖고 있는 화랑 등등의 설이 있고, 처용 가면의 생김새로 미루어 이슬람 상인일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34. 향가인 獻花歌와 관련이 깊은 존재로 가장 합당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① 농부 ② 해룡 ③ 거북이 ④ 노옹
☞ 교재 p151 : 「獻花歌」는 견우노옹이 수로부인을 보고 절벽의 꽃을 따다 주었다는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다.
35. 제망매가에서 작자와 누이의 관계는 무엇으로 상징화되어 있는가?
① 가을 ② 바람 ③ 나뭇잎 ④ 가지
☞ 교재 p159 : 보편성의 확보 위에서 작자와 누이의 관계가 한 가지의 나뭇잎으로 심상화되었다.
36. 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악신을 쫓기 위해 궁중에서 베풀던 의식의 하나인 儺禮와 깊은 관련을 가진 노래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蜴蜥歌 ② 鄭石歌 ③ 兜率歌 ④ 處容歌
☞ 교재 p179 : 이 노래 자체에는 주술적 성격이 드러나 있지 않다. 그러나 이 노래로 인해 역신이 물러갔으므로 呪歌의 역할을 했다. 뒷날 가사가 덧붙여져서 고려ㆍ조선 시대의 儺禮(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악신을 쫓기 위해 베풀던 의식) 때 불렸다. / 개편교재에서는 섣달그믐날 밤의 벽사진경의식이라고만 하고 ‘나례’라는 이름이 빠짐
37. 고려시대에는 어수선한 정치현실을 풍자적으로 노래하거나 예언하는 讖謠가 발달하였다. 무신란이 일어날 것을 미리 노래한 작품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長巖 ② 普賢刹 ③ 墨冊 ④ 水精寺
☞ 교재 p195 : 보현찰-1170년 의종이 보현사에 행차하였을 때 정중부, 이의방 등이 난을 일으켜 문신들을 죽이고 왕을 몰아냈다. 이러한 피비린내 나는 싸움에 대한 백성들의 증오심이 나타난 있다. / 묵책-뇌물을 받고 관리를 자주 이동시켜 관리 명부인 도목책이 먹투성이로 낡았음을 비꼬아 풍간한 노래이다. / 수정사-당시 부패한 관리들과 승려들의 방탕한 생활을 늙은 기녀의 말을 통하여 폭로한 것이다.
38. 다음 중에서 나머지 셋과 그 성격이 다른 노래 하나는 무엇인가? ☞ 개편교재에서 빠진 부분
① 大國 ② 九天 ③ 普賢十願歌 ④ 삼성대왕
39. 현재까지 전하는 속요 중에서 삶의 비애와 고뇌를 주제로 하는 작품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歸乎曲 ② 靑山別曲 ③ 西京別曲 ④ 鄭瓜亭曲
☞ 교재 p179 : 靑山別曲은 고려시대 지어진 노래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면서 남녀 간의 애정을 주로 다루던 속요와 달리 삶의 비애와 고뇌를 주제로 한다.
40. 다음 중에서 작품이 지어진 왕조의 시대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① 竹溪別曲 ② 華山別曲 ③ 獨樂八曲 ④ 不憂軒曲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 교재 p184, 187~188 : 「죽계별곡」은 고려 말 안축의 작품이다. 「화산별곡」은 변계량의 작품, 「독락팔곡」은 권호문의 작품, 「불우헌곡」은 정극인의 작품으로 모두 조선시대의 작품이다.
41. 다음 중에서 작품이 지어진 왕조의 시대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① 嘆老歌 ② 丹心歌 ③ 多情歌 ④ 聾巖歌
☞ 교재 p220 : 「탄로가」는 우탁의 시조, 「단심가」는 정몽주의 시조, 「다정가」는 이조년의 시조로서 고려 말의 작품이다. 「농암가」는 이현보의 시조로서 조선시대의 작품이다.
42. 시조라는 용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어느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① 關西樂府 ② 靑丘永言 ③ 海東樂府 ④ 甁窩歌曲集
☞ 교재 p212 : 조선 후기가 되면서 시조의 주 담당층이 중인층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시조 문학과 관련하여 이 과정에서 주동적인 역할을 한 것이 바로 平民歌客이다. 이때로부터 ‘시조’라는 말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영조 때 신광수가 「관서악부」에서 “일반으로 시조의 장단을 배열한 것은 장안에서 온 이세춘이다.”라고 한 것이 시조라는 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43. 가사는 고려말에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데, 사대부가사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그 시작을 알리는 작품은 무엇인가?
① 俛仰亭歌 ② 賞春曲 ③ 思美人曲 ④ 關東別曲
☞ 교재 p235, 244 : 조선시대 사대부가사의 첫 작품은 강호생활을 읊은 정극인의 「상춘곡」이다.
44. 다음 사대부의 가사 중에서 유배가사로 보기 어려운 작품은 무엇인가?
① 龍蛇吟 ② 北遷歌 ③ 續美人曲 ④ 北闕曲
☞ 교재 p246~247 : 유배가사의 예로는 조위의 「만분가」, 송주석의 「북관곡」, 이방익의 「홍리가」, 안조환의 「만언사」, 김진형의 「북천가」 등이 있다. 「속미인곡」은 정철이 지은 유배가사이다. / 「용사음」은 최현의 작품으로 교훈가사에 속한다.
45. 다음 중에서 박인로의 작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陋巷詞 ② 南征歌 ③ 太平詞 ④ 船上嘆
☞ 교재 p224 : 「남정가」는 양사준의 작품이다. / 누항사는 전쟁 때의 곤궁한 처지를 표현한 작품이고, 태평사와 선상탄은 전쟁가사로서 전쟁의 비애를 딛고 태평성대를 누리고픈 마음과 우국충정의 마음, 왜구에 대한 적개심 등이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46. 내방가사 중에서 시집살이와 생활규범을 유교적 규범에 맞추어 노래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생활가사류 ② 자탄가류 ③ 도덕가류 ④ 계녀가류
☞ 교재 p246 : 규방가사는 ‘內房歌辭’라고도 한다. 계녀가류와 도덕가류의 ‘교훈가사’와 여러 가지 내용의 ‘생활가사’로 나눌 수 있다. ‘계녀가류’는 시집살이의 생활규범을 유교적 규범에 맞추어 주로 13개 항목으로 전형화하는 내용이다. ‘도덕가류’는 부녀자들의 婦德을 강조하는 「도덕가」, 「오륜가」, 「나부가」등으로 이들은 보통 함께 붙어 있다.
47. 다음 중에서 노동요에 넣기 어려운 작품은 무엇인가?
① 새쫓는 소리 ② 뗏목노래 ③ 아이어르는 소리 ④ 싸시랭이 노래
☞ 교재 p427 : 새쫓는 소리는 농업노동요에 해당하고, 뗏목노래는 어업노동요에 해당한다. 아이 어르는 소리는 가사노동요에 해당한다. / 싸시랭이 노래는 유흥요로서 내기놀이에 해당한다.
48. 모내기 소리와 같은 민요를 부르는 방식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先後唱 ② 交換唱 ③ 獨唱 ④ 齊唱
☞ 교재 p428 : 모내기 소리와 같은 것은 일하는 사람들이 두 패로 나누어져 의미 있는 사설을 한 줄씩 바꿔 부르는 ‘交換唱’이다.
49. 다음 중에는 당나라에 유학하여 賓貢科에 급제하지 않은 한시 작가가 하나 있다. 그는 누구인가?
① 朴寅亮 ② 朴仁範 ③ 崔承祐 ④ 崔匡裕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 교재 p447 : 최치원을 비롯하여 최광유, 최승우, 박인범 등 신라인으로 빈공과에 합격한 사람들이다. / 박인량은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문장이 아담하고 화려하다는 평가를 받아 중국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주로 담당했다.
50. ‘桐花夜烟落 海樹春雲空 芳草一杯別 相逢京洛中’과 가장 깊은 관련을 가지는 항목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後四家 ② 穆陵盛世 ③ 詞章派 ④ 海東江西派
☞ 교재 p453 : 문제에 나온 작품은 손곡 이달의 시다. 조선을 전ㆍ후기로 가르는 분수령은 임ㆍ병 양란으로, 이 시기는 국가적으로는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였으나 문학으로 본다면 전성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흔히 ‘穆陵盛世’라고 하는데, ‘목릉’은 宣祖의 陵號이므로 곧 선조조~인조조의 盛世를 뜻한다. 이 시기의 대표적 시인은 삼당파로 일컬어지는 백광훈, 최경창, 이달이다.
☞ 후사가(p455~456) : 영·정조 시대의 문화융성기의 시인들을 말한다.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 등. 전대의 산문의 명수인 ‘사가(四家)’와 구별하기 위해 지은 이름.
☞ 사장파(p452) : 서거정이 이끌던 학파로, 아름답게 글을 다듬어 교묘하게 엮어내는 재주를 능사로 하는 문학관을 지녔다.
☞ 해동강서파(p453) : 본시 ‘강서파’란 송나라 강서 출신의 문인들을 일컬었다. 그들은 옛 전고를 많이 사용하고 개성적 표현을 중시하여 기발한 시를 지은 것으로 유명함. 우리나라 ‘해동’에서도 그런 유파를 이끈 인물들이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인물로 이행, 정사룡, 노수신, 황정욱 등이 있다.
답안 : 12433 24242 31423 42314 34131 44234 44243 42321 41212 44212
2013년 계절시험
1. 국문학의 네 갈래설에서 ‘서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이 이루어지는 세계의 자아화
②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
③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④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 교재 p7~8 : ①번은 서정, ②번은 교술, ③번은 서사, ④번은 희곡에 해당하는 설명
2. 다음 중 ‘교술’에 해당되는 국문학 장르는?
① 향가 ② 경기체가 ③ 판소리 ④ 가면극
☞ 교재 p8 : 향가는 서정, 경기체가는 교술, 판소리는 서사, 가면극은 희곡에 해당한다.
3. 발화과정에서 화자는 왜 설화를 전파하게 되는가?
① 과시욕 ② 호기심 ③ 성적 욕구 ④ 자기 만족 욕구
☞ 교재 p55 : 말하는 자는 자신이 아는 것을 듣는 자에게 전해줌으로써 쾌감을 느끼게 된다. 즉, 일종의 과시욕 때문에 화자는 청자를 상대로 이야기를 전파하는 것이다.
4. 중국에서 우리나라의 ‘설화’에 대칭될 수 있는 용어는?
① 講唱文學 ② 話本 ③ 民間故事 ④ 民話
☞ 교재 p55 : 중국의 경우 우리의 설화에 어느 정도 대칭될 수 있는 용어는 오히려 ‘민간고사’이다. 民話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5. 다음 중 설화의 특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구전성 ② 민중성 ③ 세계성 ④ 진실성
☞ 교재 p56~58 : 설화의 특징은 구전성, 산문성, 민중성, 허구성, 세계성이다.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6. 설화의 발생설 중에서 바람, 기후, 하늘의 색채를 신화의 본질로 파악했던 ‘기상학파’에 속한 학자는?
① 뮐러 ② 프로베니우스 ③ 에렌라이히 ④ 빈클러
☞ 교재 p60 : 프로베니우스는 태양학파, 에렌라이히와 빈클러는 달학파이다.
7. ‘국토창조설화’로서 제주도의 한라산의 기원과 연관되는 이야기는?
① 연오랑세오녀설화 ② 나중미부설화 ③ 설문네(데) 할망 설화 ④ 미궤설화
☞ 교재 p67 : 국토창조설화의 대표적인 신화로는 제주도의 巨話 ‘설문네 할망의 이야기’가 있다. 설문네 할망은 치마로 흙을 퍼다가 제주도를 만든 창조신인데, 이 때 마지막 부은 것이 한라산이고, 조금 흘린 것이 작은 山들이라는 것이다.
8. 다음 중 민담의 특성과 관련성이 없는 것은?
① 민담은 민중의 꿈이 응결되어 있는 이야기이다.
② 민담에는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가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③ 민담이 끝날 때는 ‘~란다’ 또는 ‘~다고 한다’라는 표현이 많다.
④ 민담의 주인공은 스스로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 교재 p71~ :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가 나오는 것은 전설의 특징이다.
9. 올릭의 『설화의 서사법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시작과 종말의 법칙 ② 이물과 고물의 법칙
③ 숫자 4의 법칙 ④ 한 장면에 둘의 법칙
☞ 교재 p78~80 : 올릭의 서사법칙은 (1) 시작과 종말의 법칙, (2) 반복의 법칙, (3) 숫자 3의 법칙, (4) 이물과 고물의 법칙, (5) 한 장면에 둘의 법칙, (6) 대조의 법칙, (7) 쌍둥이 법칙, (8) 단선화, (9) 형식화, (10) 플롯의 일관성 등이 있다.
10. 프로프가 『민담의 형태학』에서 사용한 ‘설화의 구조’에 대한 용어는? ☞ 교재 p83
① 기능요소 ② 모티프 ③ 화소 ④ 서술명제
11.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인식에 도달하는 단계’로 맞는 것은? ☞ 교재 p256
① 지각 - 기억 - 경험 - 학문 - 테크네 ② 기억 - 경험 - 지각 - 테크네 - 학문
③ 기억 - 지각 - 경험 - 테크네 - 학문 ④ 지각 - 기억 - 경험 - 테크네 - 학문
12. 몰튼이 제시한 근대소설에 대한 용어는?
① 운명의 서사시 ② 성장의 서사시 ③ 예술적 서사시 ④ 인생의 서사시
☞ 교재 p257 : 몰튼은 허드슨이 제시한 ‘성장의 서사시’와 ‘예술적 서사시’ 이외에 ‘인생의 서사시’를 언급하였는데, 이것은 바로 근대소설에 대한 지칭이다.
13. 로버트 숄츠가 장르구분으로 언급한 역사적 서사 중에서 ‘모방적 양식’에 해당되는 것은?
① 전기문학 ② 자서전 ③ 로망스 ④ 우화, 풍자
☞ 교재 p260 : 전기문학은 역사적 양식, 자서전은 모방적 양식, 로망스는 낭만적 양식, 우화나 풍자는 교훈적 양식에 해당한다.
14.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인 의미에서 포괄적으로 ‘소설’이란 명칭을 최초로 사용한 것은?
① 『漢書』「藝文志」 ② 『太平閑話』 ③ 『白雲小說』 ④ 『稗官雜記』
☞ 교재 p262 : 우리나라에서 소설이란 명칭은 고려 때 이규보의 <백운소설>에서 처음 쓰여졌으나, 이규보의 백운소설은 오히려 수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어숙권이 지은 <패관잡기>에서는 동국소설이란 명칭으로 여러 가지 작품들을 넣었는데, 설화집, 야담집, 수필집 등이, 소설이란 용어를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조선조 사대부들의 소설관 중에서 ‘소설옹호론’을 주장한 학자는?
① 曺偉 ② 李植 ③ 安鼎福 ④ 柳夢寅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 교재 p274 : 조위, 이식, 유몽인은 모두 소설배격론을 주장한 사람들이고, 김시습, 박지원, 이수광, 안정복 등이 있다. 박지원은 소설에 대한 자신의 견해는 직접 밝히지 않았지만 작품을 통해서 소설옹호론을 폈고, 이수광과 안정복은 소설을 창작하지는 않았지만 독자로서 소설의 효용적 가치를 인정하였다.
16. 『소설의 양상』에서 소설의 인물을 평면적 인물과 입체적 인물로 구분한 사람은? ☞ 교재 p282
① 톰프슨 ② 츠베탕 토도로프 ③ 토마체프스키 ④ E. M. 포스터
17. 김시습의 세계관으로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몸뚱이는 땅으로 내려가 근본으로 돌아간다”고 한 이론은?
① 精氣已散說 ② 一氣槖籥論 ③ 神鬼說 ④ 圓而無物論
☞ 교재 p294 : 일기탁약론-천지 사이에는 오직 하나의 기가 풀무질할 따름이라는 입장, 정기이산설-사람이 죽으면 정신과 기운은 흩어지고 영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몸뚱이는 땅으로 내려가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원이무물론-그 형태가 둥글되 물체는 없다는 것
18. 蛟山 許筠이 주장한 ‘豪民論’에서 ‘豪民’의 성격은?
① 영웅호걸형의 백성으로 불의를 보면 타이르는 유형
② 자취를 푸줏간 속에 감추고 있다가 시대적 변고가 발생하면 소원을 실현하려는 유형
③ 땅의 소출을 한없는 요구에 다 바쳐서 시름하고 탄식하면서 웃사람들을 탓하는 유형
④ 변함없이 줄곧 법이나 지키면서 웃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는 사람들
☞ 교재 p297 : 허균은 민중계층에는 ‘항민, 원민, 호민’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②번은 호민, ③번은 怨民, ④번은 恒民으로 규정하였다.
19. 다음의 燕巖 朴趾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北學派의 대표적인 사상가 ② 法古刱新의 문학관
③ 寫實 위주의 문장론 ④ 通俗世態小說의 大衆性에 대한 긍정적 태도
☞ 교재 p302~303 : 통속세태소설의 대중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김만중에 대한 설명이다.
20. 판소리의 ‘소리’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주관적인 대상에 직접적인 감흥을 유도하는 주관적인 예술
② 삶의 다양하고 질적인 고양을 꾀할 수 있는 내용
③ 상대방의 감정을 움직여야 하므로 변화무쌍한 가락을 지님
④ 인간의 음성만이 아니라 다채로운 소재를 음악으로 표현함
☞ 교재 p313 : 흔히 ‘소리’는 남을 즐겁게 하거나 감화를 주기 위한 객관적인 예술이고, ‘노래’는 자기 스스로가 자기 소감을 겉으로 나타내는 주관적인 예술이라고 구별한다.
21. 唱樂의 중요 장단에서 ‘중머리’에 해당하는 장단은?
① 애연조가 깃들어 있는 서정적인 장단 ② 태연한 맛과 안정감을 주는 장단
③ 흥취를 돋구고 우아한 맛을 주는 장단 ④ 흥분과 긴박감을 주는 장단
☞ 교재 p315 : ①번은 진양조, ②번은 중머리, ③번은 중중머리, ④번은 휘모리에 대한 설명이다.
22. 論辨類 散文에서 ‘議’란 어떤 종류의 산문인가?
① 시비를 가리고 진위를 결정할 목적으로 쓰여지는 산문
② 이치에 맞지 않을 때 의리를 세워 논란하는 산문
③ 정도를 들어서 이치를 분석하는 산문
④ 의혹을 풀고 착각을 바로잡는 산문
☞ 교재 p350 : ①번은 辨, ②번은 難, ③번은 議, ④번은 解
23. 서사문 중에서 일기작품 중 李廷馣이 집필한 것은?
① 『陰崖日記』 ② 『西征日記』 ③ 『黙齋日記』 ④ 『亂中日記』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 교재 p362 : <음애일기>는 이자, <묵재일기>는 이문건, <난중일기>는 이순신의 작품
24. 본모습이 그대로 전하지는 않지만 애오개, 녹번, 구파발 등에 전승된 가면극은? ☞ 교재 p387
① 봉산탈춤 ② 산대가면극 ③ 수영야류 ④ 서낭신제가면극
25. 가면극 중에서 특이하게 ‘사자춤’이 나오는 것은?
① 강령탈춤 ② 고성오광대 ③ 강릉관노가면극 ④ 송파산대놀이
☞ 교재 p389 : 강령탈춤에는 제1과장에 사자춤이 나온다.
26. 다음 내용 중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성격을 가지는 내용은 무엇인가?
① 백수광부 ② 海東繹史 ③ 곽리자고 ④ 神人誕降
☞ 교재 p109~111 : 백수광부, 해동역사, 곽리자고는 모두 <공무도하가>와 관련된 내용이다.
27. ‘三國遺事, 禊浴日, 구간, 땅을 파고 춤을 춤, 거북, 가락국기’라는 설명과 가장 잘 부합하는 작품은 무엇인가? ☞ 교재 p102~105
① 龜旨歌 ② 黃鳥歌 ③ 兜率歌 ④ 海歌詞
28. 가사는 전하지 않지만 강릉지방에 내려오는 설화를 통해 전해지는 것으로 혼인과 관련을 가지는 노래는 무엇인가? ☞ 교재 p119~120
① 木州 ② 鮮雲山 ③ 溟洲 ④ 延陽
29. 행상을 나가서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의 심정을 표현한 백제의 노래로 고려사 악지에는 유래가 실려 있고, 악학궤범에는 노래의 내용이 전하는 작품은 무엇인가?
① 來遠城 ② 井邑 ③ 方等山 ④ 都彌
☞ 교재 p121~122
30.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신라 때 여인들의 노동과 관련을 가지는 노래로 추정되는 작품은 무엇인가? ☞ 교재 p146
① 思母曲 ② 물계자 노래 ③ 우식곡 ④ 회소곡
31. 다음 중에서 향가인 願往生歌의 작가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물은 누구인가?
① 이슬람 상인 ② 巫夫 ③ 禪僧 ④ 원효
☞ 교재 p157 : 이슬람 상인, 무부, 선승은 모두 처용가의 작가로 추정되는 인물들이다. 원왕생가의 작가로는 광덕, 광덕의 아내, 원효, 작가미상 등 여러 설이 있다.
32. 문학적 형식으로 볼 때 나머지 셋과 다른 성격을 지니는 작품은 무엇인가?
① 薯童謠 ② 祭亡妹歌 ③ 獻花歌 ④ 風謠
☞ 교재 p133 표 : 문학적 형식으로는 일반적으로 4구체, 8구체, 10구체로 3분한다. 서동요, 헌화가, 풍요는 모두 4구체 작품이다. 제망매가는 10구체이다.
33. ‘신라 제49대 헌강왕, 개운포, 疫神, 동해용, 지방호족의 아들, 망해사, 儺禮’와 가장 깊은 관련을 가지는 작품은 무엇인가? ☞ 교재 p153
① 혜성가 ② 해가사 ③ 서동요 ④ 처용가
34. ‘忠臣戀主之詞, 3진작, 鄭敍, 樂學軌範, 향가의 잔존형태, 毅宗’ 등의 설명에 가장 잘 부합하는 작품은 무엇인가? ☞ 교재 p180
① 墨冊 ② 悼二將歌 ③ 정과정곡 ④ 장암
35. 고려 때 있었던 무신란과 관련을 가지는 노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水精寺 ② 月精花 ③ 沙里花 ④ 普賢刹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 교재 p195 : <보현찰>은 의종 때 무신 정중부ㆍ이의방 등이 문신 대소신료들을 살해한 무신의 난이 있기 전에 이미 퍼진 동요이다.
36. ‘詞俚不載, 男女相悅之詞, 궁중으로 수용된 민요, 樂學軌範, 樂章歌詞, 時用鄕樂譜’ 등과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가장 합당한 명칭은 무엇인가? ☞ 교재 p171~174
① 경기체가 ② 시조 ③ 악장 ④ 속요
37. 작품의 명칭과 내용적 특성을 연결한 것 중에서 올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① 가족 간의 유대 - 상저가 ② 임금을 향한 눈물의 호소 - 정과정
③ 무한 향락의 욕망 - 동동 ④ 변치 않는 마음의 의연한 역설 - 정석가
☞ 교재 p177~178 : 동동은 이별과 기다림에서 나올 수 있는 온갖 정서를 망라한 작품이다. / ①번 상저가는 p178, ②번 정과정은 p180, ④번 정석가는 p177
38. 다음 중에서 경기체가의 첫 작품인 한림별곡에서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① 서적 ② 글씨 ③ 음악 ④ 역사
☞ 교재 p185 : 한림별곡의 1장에는 당시 과거시험의 고시관이었던 금의가 배출한 많은 제자 사류들의 자랑, 2장에 서적, 3장에 글씨, 4장에 술, 5장에 꽃, 6장에 음악, 7장에 경치, 8장에서는 여럿이 그네를 타며 즐겁게 노는 정경을 노래했다.
39. 다음 작품 중에서 불교와 관련된 내용으로 되어 있는 악장은 무엇인가?
① 祝聖壽 ② 應天曲 ③ 月印千江之曲 ④ 龍飛御天歌
☞ 교재 p206~207 : 월인천강지곡은 세종 자신이 지은 불교 서사시이다.
40. 시조기원설 중의 하나인 속요기원설의 근거가 되는 작품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이상곡 ② 청산별곡 ③ 서경별곡 ④ 만전춘
☞ 교재 p213 : 고려속요 기원설은 <만전춘>의 제2연과 제5연이 시조의 형식과 닮았다는 데서 연유된 것이다.
41. 시조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문헌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교재 p212
① 關西樂府 ② 靑丘永言 ③ 海東歌謠 ④ 時用鄕樂譜
42. 가사의 첫 작품으로 알려진 僧元歌의 작가로 가장 합당한 사람은 누구인가? ☞ 교재 p244
① 丁克仁 ② 翰林諸儒 ③ 申光洙 ④ 나옹화상 혜근
43. 홍만종은 “제갈공명의 출사표에 비길 만하다”고 했고, 김만중은 “우리나라의 참된 문장은 이 세 편뿐이다”고, 극찬한 작품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은 무엇인가? ☞ 개편교재에서 빠진 부분
① 관동별곡 ② 사미인곡 ③ 속미인곡 ④ 성산별곡
44. 임ㆍ병양란 뒤에 지어진 가사 중에서 박인로의 작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太平詞 ② 南征歌 ③ 船上嘆 ④ 陋巷詞
☞ 교재 p224 : 南征歌는 양사준의 작품이다.
45. 다음 중에서 시집살이의 생활규범을 유교적 규범에 맞추어 13개 항목으로 전형화하는 내용으로 된 가사는 무엇인가? ☞ 교재 p246
① 애정가류 ② 생활가류 ③ 도덕가류 ④ 계녀가류
46. 다음 민요 중에서 노동요에 넣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① 갈 꺾는 소리 ② 뗏목 노래 ③ 마당밟이 소리 ④ 새 쫓는 소리
☞ 교재 p427 : 마당밟이 소리는 의식요에 해당한다.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47. 모내기 소리와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두 패로 나누어져 의미 있는 사설을 한 줄씩 바꾸어 부르는 민요의 창법은 무엇인가? ☞ 교재 p428
① 諸唱 ② 先后唱 ③ 獨唱 ④ 交換唱
48. 다음 한문학의 갈래 중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성격을 가지는 하나는 무엇인가?
① 詩經 ② 樂府 ③ 序記類 ④ 哀祭
☞ 교재 p443 : 시경, 악부, 애제는 모두 詩에 해당하고, 序記類는 散文에 해당한다.
49. ‘12세기에 唐나라 유학, 東國文宗, 討黃巢檄, 賓貢科, 신라 3최’ 등의 내용에 가장 잘 부합하는 작가가 지은 작품은 어느 것인가?
① 與隋將于仲文詩 ② 秋夜雨中 ③ 送人 ④ 別李禮長
☞ 교재 p447 : 문제에서 제시한 인물은 최치원이다. 최치원의 작품은 <秋夜雨中>이다. <여수장우중문시>는 을지문덕, <送人>은 정지상, <별이예장>은 이달의 작품
50. 다음 중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성격을 지닌 작품은 무엇인가?
① 破閑集 ② 白雲小說 ③ 補閑集 ④ 麴醇傳
☞ 교재에는 자세히 실려 있지 않지만, 파한집, 백운소설, 보한집은 모두 비평서로 볼 수 있는 작품들이다. 국순전은 가전작품이다.
답안 : 32134 13231 44233 41241 23221 41324 42434 43434 14424 34324
2015년 계절시험
1. 조선 후기에 이르러 우리말 노래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며, “학사대부의 詩賦보다 나무하는 아이와 물 긷는 아낙네의 노래가 더욱 진실되다.”고 한 사람은?
① 홍만종 ② 김만중 ③ 허균 ④ 박지원
☞ 교재 4쪽 : 김만중이 학사나 대부의 시부보다도 나무하는 아이와 물 긷는 아낙네의 노래가 더욱 진실되다고 한 파격적인 발언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2. 국문학의 네 갈래설(조동일)에서 ‘교술’에 대한 설명은? ☞ 교재 7~8쪽
①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
②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이 이루어지는 세계의 자아화
③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④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이 없이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3. 신비평가 중에서 ‘긴장(tention)’을 비평의 도구로 활용한 비평가는?
① 리차즈 ② 랜섬 ③ 브룩스 ④ 테이트
☞ 교재 18쪽 : 리차즈는 ‘아이러니’, 랜섬은 ‘결’, 브룩스는 ‘파라독스’, 테이트는 ‘긴장’
4. 프라이가 ‘가을의 뮈토스(mythos)’로 본 장르는?
① 아이러니와 풍자 ② 비극 ③ 로만스 ④ 희극
☞ 교재 25쪽 : 아이러니와 풍자는 겨울, 비극은 가을, 로만스는 여름, 희극은 봄이다.
5. 설화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口傳性 ② 世界性 ③ 寫實性 ④ 散文性
☞ 교재 56~58쪽 : 설화의 특성은 구전성, 산문성, 민중성, 허구성, 세계성이다.
6. 설화의 발생설 중 ‘기능주의’파에 속하는 학자는?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① 래디클리프 브라운 ② 생띠브 ③ 막스 뮐러 ④ 폰 데어 라이엔
☞ 교재 59~64쪽 : 기능주의 학파는 래디클리프 브라운, 린튼, 말리노프스키 등이 있다. 생띠브는 제의학파, 막스 뮐러는 자연신화학파, 폰 데어 라이엔은 인류학파이다.
7. 다음의 ‘민담’을 설명한 것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민담은 흥미유발을 위해 이야기 된다.
② 민담은 민중의 꿈이 응결되어 있는 이야기이다.
③ 민담에는 ‘뚜렷한 시간과 공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④ 민담에는 ‘비범하고 특수한 인물’이 주인공으로 나온다.
☞ 교재 71~77쪽 : 민담의 주인공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인물’이 나온다.
8. 『러시아민담집』에 나오는 마법담을 대상으로 민담의 구조를 논한 학자는? ☞ 교재 83쪽
① 베셀로프스키 ② 아아네 ③ 프로프 ④ 츠베탕 토도로프
9. 다음 중 ‘신화’의 주기능은? ☞ 교재 87쪽
① 애향심을 고취하는 기능 ② 집단 구성원 간의 결속을 다지게 하는 역할
③ 逐鬼靈能의 기능 ④ 흥미를 유발시켜 정서환기를 시키는 기능
10.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인식의 단계에서 적절한 것은? ☞ 교재 256쪽
① 지각 – 기억 – 경험 – 테크네 – 학문 ② 지각 – 경험 – 기억 – 학문 – 테크네
③ 지각 – 기억 – 테크네 – 경험 – 학문 ④ 지각 – 경험 – 기억 – 테크네 – 학문
※ (11~13)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교재 259~260쪽
( 가 )은(는) 역사적 서사와 허구적 서사로 구분하여 허구와 진실의 관계를 분석했다. 역사적 서사는 경험적 서사로 바꾸어 설명되기도 한다. 고전주의 시대의 문학은 신화를 지향하는 서사시에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험적 서사와 허구적 서사의 두 갈래로 분화한다. 경험적 서사는 리얼리티, 즉 진실의 문제에 충실한 성향을 띤 것으로, 역사적 양식과 모방적 양식의 두 갈래로 다시 나뉜다. 역사적 양식은 전기문학처럼 과거의 사건, 시공간 인과관계 등의 진실성을 추구한다. 모방적 양식은 ( 나 )처럼 당대의 감각ㆍ환경ㆍ행동의 심리 등의 진실성을 추구한다. 허구적 서사는 미나 선처럼 이상적인 문제에 충실한 성향을 띠는데 이는 다시 낭만적 양식과 교훈적 양식의 두 갈래로 나뉜다. 낭만적 양식은 사랑ㆍ감정ㆍ수사 등의 이상적인 세계를 추구한다. 교훈적 양식은 지적, 윤리적 충격을 다룬다. 우화ㆍ풍자ㆍ버질이나 단테 등의 ( 다 )이(가) 그 예이다. |
11. 위의 문학 장르에 대한 글에서 (가)에 들어갈 학자는?
① 티모훼예프 ② 폴 헤르나디 ③ 로버트 숄즈 ④ R. G. 몰튼
☞ 교재 259쪽 : 역사적 서사와 허구적 서사로 구분하여 허구와 진실의 관계를 분석한 숄즈의 설명에서 생각의 단서를 얻을 수 있다.
12. (나)에 들어갈 모방적 양식에 속하는 대표 장르의 이름은? ☞ 교재 260쪽
① 신화 ② 서사시 ③ 자서전 ④ 희곡
13. 교훈적 양식에 속하는 (다)에 들어갈 장르는? ☞ 교재 260쪽
① 유머 ② 새타이어 ③ 아이러니 ④ 알레고리
14. ‘소설 배격론’을 주장한 학자로 許筠의 홍길동전이 수호전을 본딴 것으로 민중들을 오도할 수 있다고 하여 소설의 민중적 영향설을 우려한 사람은? ☞ 교재 268쪽
① 이이명 ② 이식 ③ 조위 ④ 유몽인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15. 소설옹호론의 입장에서 “문학의 사실성을 중시하여 당대 사회의 인정세태를 절실하게 묘사한 작품을 좋은 패관언서로 평가한” 학자는? ☞ 교재 272쪽 하단
① 徐有英 ② 朴趾源 ③ 李晬光 ④ 安鼎福
※ (16~17)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교재 291쪽
중세에 있어서 예술은 모두가 후원자들을 위해서 창조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중세의 예술은 대개가 ( 가 )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 가 )(이)란 우리의 ( 나 )과 유사한 예술창조 및 향유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의 경우 대개 ( 가 )은(는) 공작ㆍ후작ㆍ백작 등 귀족이나 왕족을 위한 휴식처의 의미를 지니는 공간으로써 이곳에서 시인ㆍ소설가 등의 작가와 화가ㆍ음악가ㆍ풍류를 즐기려는 정치가 등이 모여 담소를 나누고 여가를 즐기며, 예술을 창조하는 휴식처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16. 위의 (가)에 들어갈 용어는?
① 테라스 ② 살롱 ③ 빌딩스퀘어 ④ 콜로세움
17. 위의 (나)에 들어갈 말은?
① 별당채 ② 행랑채 ③ 사궁 ④ 사랑방(채)
18. 다음 중 金時習과 관련성이 없는 것은?
① 梅月堂, 東峰, 淸寒子 등 다양한 호를 사용했다.
② 법호로 ‘贅世翁’을 썼다.
③ 방대한 불교적 사상서와 『四遊錄』이라는 기행적 창작시를 썼다.
④ 민족주체성과 확고한 역사의식을 보여주는 『金鰲新話』를 집필했다.
☞ 교재 292~295쪽 : ‘췌세옹’은 ‘청한자’, ‘벽사청은’과 함께 도교의 호라고 할 수 있다.
19. 燕巖이 작품에서 “엄행수의 하는 일은 인분을 지어 나르므로 불결하지만 그 방법은 지극히 향기로우며, 그가 처한 곳은 더러우나 의를 지킴은 꿋꿋하니 엄행수를 보고 부끄러워하지 않을 사람이 몇이나 되랴. 이에 감히 그 이름을 부르지 못하였다.”고 한 한문단편소설 작품은?
① 「虎叱」 ② 「廣文者傳」 ③ 「穢德先生傳」 ④ 「金神仙傳」
☞ 연암의 소설 중 똥장수 엄행수의 이야기가 나오는 작품은 ‘예덕선생전’이다.
20. 판소리의 장단 중 태연한 맛과 안정감을 주는 것은? ☞ 교재 315쪽
① 중머리 ② 중중머리 ③ 자진모리 ④ 휘모리
21. 판소리의 특성 중 ‘억제된 본능의 연희적 해소를 통해 자유스런 인간성의 희구를 모색하려는’ 것은?
① 유동적 성격 ② 에로티시즘 ③ 부분적인 변이 ④ ‘발림’의 몸짓
☞ 교재 319쪽
22. 조선 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으로 충북 괴산사람으로 판소리 더늠에서 현대적 감각을 풍부하게 지닌 석화제를 작곡했는데, 오늘날 판소리에서보다 가야금병창에서 더 각광을 받고 있는 석화제를 만들어낸 명창은? ☞ 교재 333쪽
① 송흥록 ② 권삼득 ③ 박유전 ④ 김계철
23. 청나라 때 姚鼐의 『古文辭類纂』의 장르분류 중 ‘箴銘’이란?
① 임금에게 아뢰어 의논함 ② 천자(天子)의 명령
③ 삶의 지침이 되는 교훈적인 글 ④ 사리의 옳고 그름을 밝히어 말함
☞ 교재 342쪽 : 교재에는 자세히 나와 있지 않다. ①번은 奏議, ②번은 詔令, 詔令은 ‘왕실에서 내려지는 글’을 말한다. ③번은 箴銘, 箴銘은 ‘경계하여 새긴다’는 뜻이다. ④번은 論辯이다.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24. 조선조의 기행문 중 明나라를 사행한 기록은?
① 燕行錄 ② 海遊錄 ③ 東槎錄 ④ 朝天錄
☞ 교재 371쪽 : 중국을 사행한 경우는 명나라와 청나라를 구별하여, 대체로 明나라에 사행한 경우를 ‘朝天錄’, 청나라에 사행한 경우를 ‘燕行錄’이라고 했다.
25. 황해도 일원에서 전승되어 온 가면극인 海西假面劇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가산탈춤 ② 강령탈춤 ③ 봉산탈춤 ④ 은율탈춤
☞ 교재 389쪽 : 해서가면극에는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등이 속한다. 가산탈춤은 오광대가면극에 해당하는 것이다.
26. ‘국문학의 발생과정에서 볼 때, 이 시대에는 농경사회로의 이행이 시작되면서 농사와 관련을 가지는 노동요 같은 것과 우주에 대한 생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신화 등이 성립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에서 이 시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구석기 시대 ② 신석기 시대 ③ 청동기 시대 ④ 초기 철기 시대
☞ 농사가 처음 시작된 것이 신석기 시대이다.
27. 美的慾求를 원동력으로 하는 예술적 창조행위에서 꾸밈의 대상으로 삼았던 첫 대상은 무엇인가?
① 하늘 ② 자연 ③ 태양 ④ 달
☞ 교재 96쪽 : 사람이 예술적 창조행위인 꾸밈의 대상으로 삼았던 첫 대상은, 가장 화려하면서도 빠른 변화를 보여 주는 하늘이었다.
28. 민요가 지니고 있는 핵심적인 성격을 가장 올바르게 짝지어 놓은 것은 무엇인가? ☞ 420쪽
① 회화적 성격, 문학적 성격 ② 문학적 성격, 무용적 성격
③ 무용적 성격, 음악적 성격 ④ 문학적 성격, 음악적 성격
29. 가락국신화에 들어 있는 龜旨歌는 아주 강력한 주술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주술적 성격을 보이는 노래가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는 구조로 합당하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 교재 102~105쪽
① 호칭 ② 명령 ③ 가정 ④ 애원
30. 대륙 북반부에서 불린 노래와 현존하는 우리 민족의 상대시가는 四言四句로 된 작품이 대부분이다. 이것은 하나의 句에 네 글자가 규칙적으로 들어가며, 그러한 구절이 네 개가 모여 한 편의 작품을 이루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교재 108쪽
① 楚辭體 ② 詞賦體 ③ 詩經體 ④ 樂府體
31. 다음 중에서 公無渡河歌와 관련을 가지는 내용으로 합당하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① 배경설화에는 백수광부와 그 부인이 등장한다.
② 霍里子高의 아내 麗玉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③ 우리나라 문헌으로는 車天輅가 쓴 五山說林草藁에 처음 등장한다.
④ 蔡邕이 지은 古今注에는 노래의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 교재 109쪽 : 『고금주』는 최표가 지은 것이고, 여기에는 공무도하가와 관련된 배경설화가 실려 전한다. 채옹이 지은 것은 『금조』로, 여기에 노래의 전문이 수록되어 전한다.
32. 고구려의 시가로 남녀 사이의 혼인과 관련을 가지는 노래는 무엇인가? ☞ 교재 119~120쪽
① 延陽 ② 溟洲 ③ 禪雲山 ④ 東京
33. ‘신라 때의 노래로 부모에 대한 효성을 강조한 민족 최초의 작품이다. 고려시대의 사모곡 같은 노래로 이어졌으며,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전통을 가지면서 현재의 유행가로 지금까지 살아남은 작품으로 볼 수 있다.’라는 설명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은 무엇인가?☞ 124~125쪽
① 利見臺 ② 井邑 ③ 木州 ④ 余那山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34. 한반도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던 작은 나라인 신라가 두 단계의 통합과정을 거쳐 가야와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반도의 주인이 된다. 이 과정에서 향가가 유행하며 민족통합을 한층 공고히 했던 사실을 볼 수 있다. 향가의 발생을 주도한 사람들의 조직은 무엇인가? ☞ 145~146쪽
① 花郞徒 ② 原花 ③ 僧侶 ④ 國仙之道
35. ‘이 시기에 들어오면 신라사회가 풍요로움을 마음껏 누리게 되는데, 향가는 민족 전체로 향유층을 확대하게 되고, 작가층도 두터워지면서 노래의 사설 또한 그 폭을 훨씬 넓히게 된다.’에서 이 시기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 교재 149쪽
① 7세기 초 ② 7세기 중반 ③ 8세기 ④ 9세기
36. 향가를 민요계향가와 사뇌가계향가로 구분할 때,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① 薯童謠 ② 處容歌 ③ 獻花歌 ④ 彗星歌
☞ 서동요, 처용가, 헌화가는 모두 민요계 향가이다. 혜성가는 사뇌가계 향가이다.
37. 사뇌가계 향가 중 임금을 아버지로, 신하를 어머니로, 백성을 어리석은 아이로 비유하여 노래한 작품으로 정치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교재 159쪽
① 怨歌 ② 遇賊歌 ③ 願往生歌 ④ 安民歌
38. 다음 중에서 三句六名의 시형식을 갖춘 노래에 들어가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① 上代詩歌 ② 鄕歌 ③ 俗謠 ④ 景幾體歌
☞ 교재 163쪽 : 신라시대의 향가부터 고려시대의 시가인 속요, 경기체가에 이르기까지는 삼구육명이라는 형식의 시가가 중심을 이루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서면 사구팔명 형식의 시가가 중심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39. 다음 중에서 고려시가에 넣기 어려운 작품은 무엇인가?
① 賞春曲 ② 小樂府 ③ 東明王篇 ④ 翰林別曲
☞ ‘상춘곡’은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첫 작품이라고 일컬어지는 작품이다. 소악부는 악부시 작품집이며, 동명왕편은 서사시, 한림별곡은 경기체가이다. 모두 고려시대 작품이다.
40. 다음 중에서 俗謠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① 忠臣戀君 ② 陰陽五行 ③ 男女相悅 ④ 哀而不悲
☞ 교재 174쪽 : 대부분의 속요는 남녀상열지사라고 결론을 내렸는데, 이것 이상으로 속요의 본질을 드러내는 표현이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41. ‘임의 不在를 시간의 변화에 대응시켜 화자의 외로움과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으로 일 년이라는 시간을 월별로 쪼개어 노래한 것이 특징이다’는 설명에 가장 잘 부합하는 작품은 무엇인가?
① 滿殿春別詞 ② 西京別曲 ③ 鄭石歌 ④ 動動
☞ 교재 177~178쪽
42. 주제를 중심으로 경기체가를 나눌 때, 풍류생활을 노래한 작품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宴兄弟曲 ② 翰林別曲 ③ 불우헌곡 ④ 기우목동가
☞ 교재 188~189쪽
43. 고려 후기는 정치가 어지러워지면서 讖謠가 많이 발생했다. 정치의 타락상에 대해 비유적인 표현을 써가면서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는 작품은 무엇인가? ☞ 교재 194쪽
① 普賢刹 ② 鷄林謠 ③ 萬壽山 ④ 墨冊謠
44. 조선 초기 악장 중에는 정도전이 지은 것으로 한양이라는 곳이 도읍지로서 매우 훌륭하다는 것을 노래한 작품이 있다. 그것은 무엇인가? ☞ 교재 207쪽
① 靖東方曲 ② 儒林歌 ③ 新都歌 ④ 道東曲
국문학개론 계절기출(2011, 2013, 2015) + 해설 / by 능소니(김선미)
45. 시조는 고려시대에 발생해서 조선 시대에 꽃을 피운 국문시가다. 시조라는 명칭이 사용된 첫 문헌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 교재 212쪽
① 洛下生稿 ② 靑丘永言 ③ 海東歌謠 ④ 關西樂府
46. ‘ᄀᆞᆫ밤에 부던 바람 눈서리 치ᄃᆞᆫ 말가 낙락장송이 다 기울어 ᄀᆞ노라 ᄒᆞ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ᄉᆞᆷ하리오’는 세조의 왕위 찬탈에 항거하여 목숨을 버린 사육신의 한 사람이 지은 작품이다. 그는 누구인가?
① 왕방연 ② 성삼문 ③ 유응부 ④ 이개
☞ 교재 222쪽 : 사육신 중 유일한 무신이었던 유응부의 작품이다.
47. 다음 중에서 가사의 형식적 특성을 말한 내용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① 전대절과 후소절의 분단을 통해 추상과 개괄의 구조를 지닌다.
② 循環的 시간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③ 對句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
④ 三段構成과 結辭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 교재 241~243쪽 : 전대절과 후소절은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성이다.
48. 다음 중에서 민요의 성격을 말한 것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자연의 藝術的 反影物이다. ② 唱者와 聽者가 분리되는 문학이다.
③ 향토성이 매우 약하게 나타난다. ④ 積層의 文學이다.
☞ 교재 418~423쪽 : 민요는 민중의 예술이다. 민요는 창자와 청자가 분리되지 않는다. 민요에는 향토성이 매우 짙게 나타난다.
49. ‘빠른 장단으로 부르는 잡가인데, 工匠이와 같은 반직업적인 소리패들이 사설시조를 주로 차용하여 확장한 형태로 불렀다’는 말은 무엇에 대한 설명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 438쪽
① 12잡가 ② 휘몰이잡가 ③ 선소리 ④ 경, 서도잡가
50. 한시에는 古體詩, 樂府詩, 近體詩 등을 대표적인 갈래로 들 수 있다. 다음 중에서 근체시에 넣을 수 있는 것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 교재 444~445쪽
① 詩經 ② 楚辭 ③ 歌行 ④ 絶句
답안 : 21423 14321 33421 24231 24341 21443 42343 44113 42434 3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