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이 갖추어야 할 조건
* 분수의 생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통기성이 나쁘면 뿌리의 발육이 나빠지게 되어 나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다공질로서 입자가 고와야 한다.
* 분의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야 한다. 대형분으로 갈수록 무게가 많이 나가는데 여기에 분토와 분수의 무게까지 합치면 매우 무거워져 웬만한 사람은 들지도 못하게 된다.
* 물빠짐을 고려해야 한다. 즉 물빠짐이 잘 될 수 있는 형상인가를 고려해야 하는데 어떤 분은 물빠짐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생산된 것들도 많으며, 동일한 공장에서 생산된 같은 제품일지라도 분의 아래 물구멍의 형상이 같은 것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잘 살펴보아야 한다.
* 분은 겨울철 동파와 균열에 견디는 힘이 강해야 한다. 우리 나라는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대기의 온도가 한여름에는 35도를 넘을 때도 있고 한겨울에는 영하 20도 가까이 내려가기도 한다. 따라서 분은 이러한 기온의 변하에 잘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여름보다도 겨울에 주의해야 하는데 보호실에 넣지 않는
* 미적으로 완성도가 높아야 한다. 분수에 어울리는 예술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예술적 가치가 높은 분은 오히려 분수보다도 더 값이 나가는 경우도 있으며 골동품적 가치를 지닌 분도 상당히 많다.
* 식재할 분수가 자연의 생태와 어울려야 한다. 즉 분의 형태와 색상에서 풍기는 느낌이 자연을 연출해야 하는 것이다. 높은 사각분은 절벽의 느낌을, 얕고 넓은 분은 평지를 연상시키는 것처럼 분이 연출하는 이미지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가격이다. 비싸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므로 분수의 가치와 견주어 볼 때 균형이 맞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전혀 예술적 가치가 없는 분수를 고가의 고급분에 심는다고 해서 그 가치가 나아지는 것이 아님과 같다.
분의 종류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분은 국산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중국분이 점차 많아지고 있고 더러는 일본분도 사용한다. 드물게는 베트남분도 보이고 있으나 우리의 정서에 맞지 않고 겨울엔 모두 동파되므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제조 방법에 따라 토분, 도기분, 자기분 등이 있으며 용도상 재배분과 감상분이 있다.
생산지에 따른 종류
* 국산분 : 아직까지 품위나 우아함이 약간 떨어지는 듯 하나 우리의 정서에 잘 맞고 점차 품질도 향상되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생산 공장이 영세하여 작품성과 다양성이 떨어진다. 도기분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양산, 동래, 연암, 석양 등에서 생산하고 있고 이 중에서 동래분이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다.
* 일본분 : 분재의 보급률이 높은 만큼 대중요에서 고급분까지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많이 수입되고 있다. 특히 고급분은 골동품적인 성격까지 갖추고 있어서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다.
* 중국분 : 간혹 청나라 때의 분을 소장하고 있는 사람도 있는데 이것들은 가히 예술품이라 할 수 있지만 요즈음 생산된 중국분은 품질면에서 국산이나 일본산에 비해 별로 나을 것이 없다. 다만 가격이 저렴하여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제조 방법에 따른 종류
* 토분 : 일반 점토를 재료로 500-600도에서 구운 것으로 보수, 흡수, 통기성이 좋아 재배용으로 아주 좋으나 모양과 질감에서 품위가 없으며 쉽게 깨지고 겨울에는 쉽게 동파된다.
* 도기분 : 점토를 정제해서 700-1100도에서 구운 것으로 보수, 흡수, 통기성이 좋고 식물의 성장에 좋아서 많이 사용된다. 모양과 질감도 우수한 편으로 널리 사용된다.
* 유약분 : 점토에 규석, 납석을 혼합하여 900도 이상으로 구운 다음 유약을 발라 다시 구운 것으로 주로 소품분으로 쓰이고 있고, 여러 가지 색상이 있는데 통기성이 나쁘다.
* 자기분 : 백자분과 청자분을 일컫는 것으로 모양도 좋고 견고한 것이 장점이나 통기성이 나쁘다.
* 프라스틱분 : 값이 싸고 가벼우며 취급하기가 편하나 감상용으로는 적합하지 않고 재배용으로만 사용한다.
분의 형태
. 장방형 분 : 분의 운두가 높은 것, 낮은 것, 모서리가 각이 진 것, 둥근 것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직간(幹), 연근, 취(聚)류 등에 잘 어울린다. 조금 얕은 분은 쌍간, 줄기가 가는 직간과 사간에 어울린다.
. 타원 분 : 주립(株立), 기식 등 풍요로운 숲을 연상케 하며 운두가 낮은 것은 분경에 적합하다.
. 원형 분 : 얕은 분은 줄기가 가는 문인목, 총생간에 어울리고 소품 분재나 상과분재 또는 문인목 등 수목 자체가 풍기는 경쾌하고 산뜻한 느낌에 잘 어울린다.
. 다각 분 : 육각, 팔각 등 각 분으로 자연 사실의 표현보다는 다방면으로 수목의 종류를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초본류에 잘 어울린다.
. 정장방 분 : 운두가 높은 분은 현애에 어울리고 조금 높은 분은 반현애에 적합하다.
. 매화 분 : 매화의 꽃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 상화류에 적합하며 상과류에도 어울린다.
. 평평한 분 : 옆으로 길고 얇게 만들어진 분 (군식이나 연근에 어울림)
. 둥그스름한 분 : 부드러움이 강조됨(상화분재, 초목분재 등에 어울림)
. 테두리가 있는 분 : -안쪽으로 향한 것(수줍고 정돈된 느낌), -밖으로 향한 것(우쭐하고 활동적인 느낌)
분의 부분적 명칭
절립 : 분 둘레가 직각으로 서고 변죽이 직각인 분
내연 : 분 둘레가 직각으로 서다가 변죽에서 밖으로 벌어진 분
외연 : 분 둘레가 약간의 둔각을 이루다가 변죽에서 밖으로 벌어진 분
무각 : 분 둘레가 곧게 섰으나 모서리의 각이 둥글게 진 분
태고 : 분 둘레가 북의 모서리 같이 위아래로 굽어진 분
동유 : 분 둘레 중앙에 밧줄을 엮은 형태의 돌출무늬 띠가 둘려져 있는 분
액입 : 면인 분 둘레에 액자 모양으로 네 모서리를 돌출 시킨 분
수종과 분의 색상
* 송백류 : 중후함과 강인함이 드러나야 하므로 적갈색, 적흑색, 갈색분이 적합하다.
* 상화류 : 꽃의 색과 어울려야 한다.
. 백화 계통(매화, 명자 등) : 담황색 혹은 청색분이 적합하다.
. 홍화 계통(매화, 복숭아, 해당, 석류 등) : 청색분이 적합하다.
. 황색 계통(개나리, 개나리, 황매) : 녹색이 적합하다.
. 상록상화류 계통(사쓰기, 동백, 만병초 등) : 짙은 회색, 흑색, 검붉은 색이 적합하다.
* 홍, 황엽류 : 단풍나무 등은 엽색을 맞출 수 없으므로 연한 남청색이 어울린다.
* 상과류 : 과일이 선명한 색조를 띄므로 검은 빛이 도는 자색이나 청색분이 적합하다.
분과 수목과의 조화
* 수고와 분의 관계
. 수목의 키보다 좁으면 좁을수록 생동감이 느껴진다.
. 가지가 잘 발달된 노수거목의 느낌을 표현하려면 약간 폭이 넓은 분을 사용한다.
*수폭과 분의 관계
. 안일한 느낌을 주어서는 안 되므로 수폭보다 좁아야 한다.
. 광활한 느낌을 강조하는 군식이나 분경에서는 분폭이 수폭보다 넓은 것이 좋다.
* 수목의 형태와 분의 형태
. 송백류 : 사각의 진한 색 분
. 화목류 : 타원형분이나 원형분
. 잡목류 : 타원 유약분
. 상과류 : 원형분
* 밑둥치와의 조화
. 둥치가 곧고 아름다운 경우 : 운두가 낮은 분
. 둥치가 굵고 내력이 담긴 경우 : 운두가 깊은 분
** 어떠한 분재수이든지 분에 심을 때는 뿌리를 분 위로 약간 노출되게 심는다. 그래야 뿌리가 공기에 노출되어 굵어지고 뿌리 뻗음이 좋아지는 한편 미적 가치가 돋보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