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1월1일
임인년 신년 산행으로 영월 지맥 4구간 전재에서 곧은재 구간 산행을 하며
과거를 반성과 정리할건 정리하고 신년 계획도 세울겸 전재에서 매화산을
향해 산거름을 옵긴다,천지봉을 거쳐 비로봉 찍고 곧은재까지 갈 계획이다.
경로는 전재,,600봉,,881봉H,,매화산1.085,,수래너미재H,,1.002봉,,어령재,,
천지봉1.081,,1.109봉,,새림재,,배넘이재,,1.220봉,,치악산 비로봉1.288,,
쥐넘이재,,원통재,,곧은재,15.6km
전재(국도42호선) 현제는 터널이 뚤려 자동차는 터널로 다니고 전재 정상은
지역 주민과 등산객 루지 체험자들많이 올라온다.
국 도 42호선
국도 제42호선 (인천 ~ 동해선, 國道第四十二號 仁川東海線)은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사거리에서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교차로까지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이 중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서창동에서
수원역까지 구간은 수인로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인천 ~ 동해선
국도 제42호선
총연장
336.1 km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주요 경유지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여주시
강원도 원주시
강원도 횡성군
강원도 평창군
강원도 정선군
강원도 강릉시
강원도 동해시
종점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주요 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연 혁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2호선 인천 ~
북평선이 됨.
1972년 9월 19일 : 도로 노선 개량으로 인해 용인군 기흥면 구갈리 ~ 용인면
삼가리 5.66 km 구간을 4.56 km 로 도로구역 변경
1976년 10월 30일 : 정선군 북면 나전리 ~ 여량리 13.13 km 구간 개통,
기존 12.04 km 구간 폐지
1976년 12월 30일 : 수인산업도로 (인천시 간석동 ~ 수원시 서둔동) 46.7 km
구간 개통
1980년 2월 22일 : 정선군 북면 여량리 ~ 유천리 1.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84 km 구간 폐지, 정선군 북면 나전리 ~ 여량리 13.13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2.04 km 구간 폐지
1981년 3월 14일 : 종점을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변경함.
이에 따라 '인천 ~ 북평선'에서 '인천 ~ 동해선'이 됨.
1986년 5월 13일 : 시점을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
1994년 3월 16일 : 멧둔재터널(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 미탄면 창리) 10.0 km
구간 개통
1994년 7월 15일 : 정선군 북면 유천리 ~ 임계면 임계리 21.5 km 구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 동해시 신흥동 23 km 구간 개통
1995년 1월 12일 : 원주 ~ 안흥간 도로(원주시 태장1동 ~ 횡성군 안흥면 상안리)
36 km 구간 개통
1995년 2월 11일 : 용인군 용인읍 김량장리 ~
마평리 2 km 구간 및 용인군 기흥읍 신갈리 ~ 구갈리 720m 구간 개통
1996년 7월 1일 : 시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함.
1997년 6월 13일 : 여주군 여주읍 교리 ~ 강천면 부평리 10.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1997년 12월 27일 : 용인 ~ 내사간 도로(용인시 마평동 ~ 이천시 마장면 이치리)
14.4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59 km 구간 폐지
1998년 5월 1일 : 이천 ~ 여주간 도로(이천시 부발읍 신하리 ~ 여주군 여주읍 교리)
17.3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65 km 구간 폐지
1999년 7월 19일 : 원주시 문막읍 문막리 ~ 단계동 12.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65 km 구간 폐지
1999년 8월 31일 : 반월 ~ 수원시계간 도로(안산시 팔곡동 ~ 수원시 구운동) 9.74 km
구간 확장 개통
1999년 12월 28일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9.42 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1999년 12월 31일 : 여주 ~ 강천간 도로(여주군 여주읍 교리 ~ 강천면 부평리)
10.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여주군 북내면 천송리 ~ 강천면 부평리 강원도계
15.4 km 구간 폐지
2000년 1월 1일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8.1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035 km 구간 폐지
2000년 12월 23일 :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840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00m
구간 폐지
2001년 4월 10일 :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 서곡리 11.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2년 1월 7일 : 원주시 봉산동 ~ 소초면 장양리 7.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4]
2003년 9월 30일 :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상안리 640m 구간 개통
2004년 12월 31일 : 이천시 마장면 회억리 ~ 표교리 3.3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8 km 구간 폐지,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 ~ 부발읍 신하리 3.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3 km 구간 폐
2007년 7월 13일 : 여주우회도로(여주군 여주읍 홍문리 ~ 능서면 왕대리) 3 km
구간 확장 개통
2007년 11월 9일 : 1993년 원주 ~ 안흥간 도로 개수공사로 인해 발생한 구 국도
구간 120m 폐지
2007년 12월 16일 : 여주우회도로 개통으로 기존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 여주읍
홍문리 2.54 km 구간 폐지
2008년 12월 31일 : 원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광터 교차로 ~ 관설 교차로)
구간 12.327 km 개통
2009년 10월 13일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처인구 남동 12.4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13년 11월 1일 : 전재고개(횡성군 우천면 백달리 ~ 안흥면 안흥리) 9.11 km 구간
신설·개량 개통, 기존 10.11 km 구간 폐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 소초면 흥양리) 13.25km 구간 폐지
2015년 11월 30일 : 평창 ~ 정선간 도로 1,2공구(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14.94 km 구간 확장 개통
2017년 12월 31일 : 정선북면우회도로(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 유천리) 3.5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61 km 구간 폐지
2018년 2월 5일 : 평창 ~ 정선간 도로 3공구(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 덕송리)
1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0 km 구간 폐지
2018년 11월 30일 : 용인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처인구
이동면 천리) 12.54km 구간 확장 개통
2018년 12월 31일 : 영월 ~ 방림간 도로 1공구(평창군 평창읍 후평리 ~ 방림면
방림리 6.2km 구간과 평창군 방림면 방림리 500m 구간) 총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1km 구간 폐지
2020년 12월 29일 : 궁촌교차로(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개통
전재(국도42호선): 새해 첯산행을 맘속으로 올 한해 건강과 안전 산행을 기원하고 대밖을바라며 전재에서 시작합니다.
등에서 땀이 날쯤에 농장끝에서 전재를 넘어 풍취산을 뒤돌라 본다.
농장에 들러가지 말라고 나무로 장에물을 설치했다.
개인소유 땅이라고 경계표시로 나무에 철사를 밖아노은게 세월이지나며 나무가 크니까 철사가 나무속으로 파고 드러가 흉직하게보이고 토지 소유주는 나무의 고통을 아는지 이또한 자연훼손 아닌가.
881봉 혤기장에서 매화산을 미리 올려다 보자.
매화산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오원리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오원리.
매홥산에서 나무사이로 비로봉을 훔쳐보며 급한마음에 사진으로 남겨본다.
2022년1월1일 임인년 새해 일출은 날씨를 보니 아주 좋아을 겉으로 보인다.날씨가 너무나 청명하고 맑다.
빨간 우체통(느린 우체통)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강림리2434번지.
구룡사 용8마리가 천지봉으로 도망 왔다는대.
천지봉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강림리
조망 바위에서 원주 시내를 넘어 여주까지 날씨많 도와주면 보일듵 싶다.
새해 첯 발작욱을 남기고 감니다.
철쭉 나무인대 엄청나게 큰나무이다.
동물 발작욱이 산객을 안내한다.발작욱이 초식동물은 않인듵싶다.
요 대크만 올라가면 비로봉인대.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비로봉은 치악산의 최고봉1.288m이다.
.비로봉은 금강산의 최고봉1.639m이다.
.비로봉은 소백산의 최고봉1.439.5m이다.
.비로봉은 팔공산의 최고봉1.193m이다.
.비로봉은 오대산의 최고봉1.563m이다.
.비로봉은 묘향산에 속하는 산봉우리1.909m이다.
.비로봉은 속리산에 속하는 산봉우리1.057m이다.
.비로봉은 영동군 천태산 양산팔경으로 불리는 비로봉이 있다.
비로봉은 불교에서(비로자나불)을 뜻한담니다.
비로자나:빛나는 것(태양의 빛) 큰 광명을 내비치어 중생을 제도하는 부처를 말한담니다.
비로봉은 유명하고 큰 산의 최고봉우리 이름이다.
비로봉 정상에서 남대봉 쪽을 본다.
치악산 비로봉만을 등산 계획이 있다면 입석사에서 출발해 구룡사쪽으로 하산하는게 좋을듣십다.입석사 쪽에서 오르면 등산로가 완만하고 구룡사 쪽은 급경사고 험하기 때문에 하산길로 권합니다.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쥐너미재에서 원주 시내를 보는대 미세먼지 때문에 보이질 않내.오전에는 좀 멀리 보였는대 오후 되며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 진다.
석양은 지고 갈길은 멀고 마음이 급해진다.
곧은재 겨울 계곡.
영월지맥4구간을 마무리한다.전재에서 매화산 천지봉 비로봉구간이 산 오르내림이 심해 체력소모가 맣아 힘든 구간이였다.
비로봉을 지나 곧은재 탐방지원센터 까지는 내리막 길이라 편안한 등로이다.새해 첮 산행을 사고없이 맛쳣다는게 말할수 업이 기뿌다.
5구간을 약속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