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단 지맥은?
한남 정맥의 선장산350 북쪽1.7km 지점인 용인 향린동산에서 서북쪽으로 분기해서 법화산383.2,불곡산335.4,영장산414.2,
망덕산500.3,검단산542,청량산482.6,남한산522(남한산성),용마산595.5,검단산658.4을 거쳐 경안천이 한강에 합수하는 팔당댐에서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45km의 산줄기이다.
2022년6월17일
검단지맥 2구간 이배재(2차선도로)-팔당댐(45번국도 배알미동)
경로:이배재(2차선도로)-망덕산500.3-검단산534.1-청량산480-남한산성 서장대-남한산522동장대터-은고개(43번 국도)-
용마산595.7-두리봉569-검단산657-팔당댐(45번 국도)25.5km
출발:이배재,경기도 광주시 목현동 941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도착:팔당댐,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 팔당댐(45번국도)
도상거리:25.5km 성남시 공단 고가교 (쓰레기 소각장 출발 접속2.5km)+@
검단 지맥 종주는 산성 본성에서 봉암성 문을을 통과해 동쪽 동장대로 이어진다.
남한산522 정상 동장대 터에는 복원이 안되어 성벽 회손이 심하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산2-1
이 이정목에서 엄미리 은고개쪽으로 내려감면 산성에서 버서나게 된다.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산254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엄미리 254-1
엄미리 마을 중부고속도로가 보인다.
은고개 져앞에 신호등 행단보도로 건너 숲으로 드러가면 됩니다.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883-6
국 도 제43호선
국도 제43호선 (세종 ~ 고성선, 國道第四十三號 世宗高城線)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모개고가차도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이 국도는 철원군 군사분계선에서 끊어져 있다.
총연장,277.2km
기점,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종점,강원도 고성군
역사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3호선 서울 ~ 고성선이 됨.
1981년 3월 14일 : 기점을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서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현.경기도 화성시 향남읍)으로 연장, 종점을 '강원도 고성군 고성면'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서울 ~ 고성선'에서 '발안 ~ 고성선'이 됨.
1981년 4월 6일 : 국도로 승격된 화성군 향남면 발안리 (발안오거리) ~ 의정부시 의정부동
(의정부역앞) 96.2 km 구간 개통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105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
1988년 2월 22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의정부시 금오동, 자일동, 포천군 소흘면 송우리, 포천군
포천읍 신읍리 ~ 신북면 기지리 구간 폐지
1988년 2월 23일 : 기존 지정 구간인 구리시 교문동 구간 폐지
1990년 3월 31일 : 기존 지정 구간인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551m 구간,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기지리 108m 구간 폐지
1996년 1월 12일 : 학포교(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120m 구간 재가설 개통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에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연기 ~ 고성선'이 됨.
1996년 10월 21일 : 철원군 갈말읍 강포리 ~ 문혜리 6.8 km 구간 개통
1997년 6월 30일 : 포천우회도로(포천군 포천읍 신읍리 ~ 신북면 가채리) 4.19 km 구간 개통
및 기존 4.6 km 구간 폐지, 양문우회도로(포천군 영중면 양문리) 1.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
1997년 12월 14일 : 수원 ~ 수지간 도로(수원시 팔달구 이의동 ~ 용인시 수지읍 죽전리)
4.6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04 km 구간 폐지
1997년 12월 26일 : 광주 ~ 하남시계간 도로(광주군 광주읍 태전리 ~ 중부면 엄미리)
12.2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87 km 구간 폐지
1999년 11월 30일 : 포천 ~ 신철원간 도로(포천군 영북면 문안리 ~ 운천리) 3.8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2001년 3월 13일 : 수지 ~ 광주간 도로(용인시 수지읍 죽전리) 2.7 km 구간 확장 개통
, 기존 1.95 km 구간 폐지
2002년 1월 7일 : 수지 ~ 광주간 도로(용인시 죽전동 ~ 광주시 오포읍 고산리) 11.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용인시 죽전동 ~ 광주시 역동 구간 폐지
2003년 7월 31일 : 연기군 소정면 운당리 ~ 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8.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5년 8월 12일 : 문혜 ~ 지경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90m 구간 폐지
2005년 12월 19일 : 천안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11.8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6년 12월 13일 :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14.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7년 1월 19일 : 문혜 ~ 김화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 김화읍 학사리)
12.52 km 구간 신설 개통
2008년 1월 11일 :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둔포면 봉재리 5.9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
도로로 지정
2009년 10월 29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분천 ~ 송산간 도로, 화성시 안녕동) 1.0 km
일부 2차로 구간 임시 개통
2010년 4월 5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봉재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5.9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12년 4월 4일 :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양교리 11.2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
도로로 지정
2012년 6월 29일 : 퇴계원 나들목 연결도로(구리시 사노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4 km
구간 개통
2012년 9월 28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화성시 반월동 ~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2.16 km
구간 임시 개통, 단 망포지하차도 상부도로 및 연결도로는 미개통.
2012년 11월 23일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 ~ 연기면 수산리 5.22 km 구간 개통
2012년 12월 28일 : 소정 ~ 배방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8.9 km 구간 신설 개통
2012년 12월 31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화성시 안녕동 ~ 진안동) 2.7 km 구간 신설
개통, 단 진안 교차로 연결로는 미개통.
2013년 6월 20일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산울리 ~ 고운동 1.24 km 구간 개통
2013년 12월 24일 : 기점을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으로 연장.
이에 따라 '세종 ~ 고성선'이 됨.
2015년 3월 28일 : 배방 ~ 음봉간 도로(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송촌 교차로)
11.9 km 구간 신설 개통
2015년 6월 30일 : 분천 ~ 송산간 도로(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 정남면 보통리) 2.8 km
구간 신설 개통
2015년 8월 5일 : 분천 ~ 송산간 도로 중 교차로 진입로(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240m
구간 개통
2015년 10월 30일 : 분천 ~ 송산간 도로(화성시 정남면 보통리 ~ 안녕동) 4.5 km 구간
신설 개통
2016년 2월 5일 : 망포 교차로 연결로(화성시 반월동 ~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2.16 km
구간 신설 개통
2016년 5월 30일 : 광전IC ~ 의정부간 도로(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 청학리) 3.74 km
구간 확장 개통
2016년 11월 19일 : 음봉 ~ 팽성간 도로(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11.93 km 구간 신설 개통, 팽성 ~ 오성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숙성리) 11.27 km 구간 신설 개통
2017년 7월 11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화성시 ~ 수원시 구간 경유지 변경
2020년 1월 28일 : 화성향남2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화성시 향남읍 방축리 ~ 하길리
2.4 km 구간 노선 변경, 기존 화성시 향남읍 하길리 2.0 km 구간 폐지
2020년 12월 31일 : 의정부 ~ 소흘간 도로(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 송우리) 7.49km 구간
확장 개통
주요 경유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 고운동 · 산울동 · 연기면 · 장군면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 정안면) -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 아산시 (배방읍 · 탕정면 · 염치읍 · 탕정면 · 음봉면 · 둔포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 안중읍 · 오성면 · 청북읍) - 화성시 (양감면 · 향남읍 · 팔탄면 · 봉담읍 ·
정남면 · 봉담읍 · 정남면 · 봉담읍 · 안녕동 · 병점동 · 진안동 · 기산동 · 반월동) -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 영통동)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 팔달구
(인계동 · 우만동) - 장안구 연무동 - 영통구 이의동) -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성복동 ·
풍덕천동 · 죽전동) - 처인구 모현읍) - 광주시 (오포읍 · 태전동 · 장지동 · 탄벌동 ·
송정동 · 남한산성면) - 하남시 (상산곡동 · 하산곡동 · 천현동 · 신장동 · 덕풍동 · 풍산동)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경기도
하남시 초이동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 성내동 · 천호동) - 송파구 풍납동 - 강동구 천호동 - 천호대교 - 광진구 광장동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 교문동 · 인창동 · 사노동) - 남양주시 (진건읍 · 진접읍 · 별내면) - 의정부시
(산곡동 · 고산동 · 용현동 · 신곡동 · 금오동 · 자일동) - 포천시 (소흘읍 · 동교동 · 설운동 ·
선단동 · 자작동 · 어룡동 · 신읍동 · 군내면 · 신북면 · 영중면 · 영북면)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 김화읍 · 근동면)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강원도 금성군 창도면 - 회양군 안풍면 - 고성군 고성읍
DMZ이후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강원도
김화군[47] - 회양군 - 고성군
도로명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모개고가차도 ~ 공주시 정안면 정안IC 교차로 : 정안세종로
공주시 정안면 정안IC 교차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 교차로 : 차령로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 교차로 ~ 소정면 운당 교차로 : 세종로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운당 교차로 ~ 아산시 둔포면 둔포천교 : 세종평택로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둔포천교 ~ 오성면 오성 나들목 : 세종평택로
화성시 양감면 신왕삼거리 ~ 향남읍 향남 교차로 : 은행나무로
화성시 향남읍 향남 교차로 ~ 향남2지구 : 발안양감로
화성시 향남읍 향남2지구 ~ 방축리 : 향남로
화성시 향남읍 방축리 ~ 향남2교 서단 : 행정남로
화성시 향남읍 향남2교 서단 ~ 양감입구삼거리 : 행정서남로
화성시 향남읍 양감입구삼거리 ~ 봉담읍 왕림 교차로 : 삼천병마로
화성시 봉담읍 왕림 교차로 ~ 수원시 영통구 영통고가사거리 : 봉영로
수원시 영통구 영통고가사거리 ~ 팔달구 동수원사거리 : 중부대로
수원시 팔달구 동수원사거리 ~ 창룡문사거리 : 경수대로
수원시 팔달구 창룡문사거리 ~ 영통구 광교상현 나들목 : 창룡대로
용인시 수지구 광교상현 나들목 ~ 광주시 오포읍 고산 나들목 : 포은대로
광주시 오포읍 고산 나들목 ~ 남한산성면 은고개 : 회안대로
하남시 천현동 은고개 ~ 풍산동 황산사거리 : 하남대로
하남시 풍산동 황산사거리 ~ 하남시계 : 조정대로
서울특별시
강동구 서울시계 ~ 상일 나들목 : 조정대로
강동구 상일 나들목 ~ 광진구 광장사거리 : 천호대로
광진구 광장사거리 ~ 쉐라톤 워커힐호텔 : 아차산로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구리시계 ~ 교문사거리 : 아차산로
구리시 교문동 교문사거리 ~ 동구동 사노 나들목 : 동구릉로
구리시 동구동 사노 나들목 ~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 나들목 : 금강로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 나들목 ~ 별내면 광전 나들목 : 전도치로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 나들목 ~ 의정부시 송산동 만가대사거리 : 송산로
의정부시 송산동 만가대사거리 ~ 신곡동 신곡고가 교차로 : 시민로
의정부시 신곡동 신곡고가 교차로 ~ 자금동 금신 교차로 : 금신로
의정부시 자금동 금신 교차로 ~ 포천시 영북면 경교 : 호국로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경교 ~ 김화읍 학사 교차로 : 호국로
철원군 김화읍 학사 교차로 ~ 읍내삼거리 : 생창길
은 고개 버스 정거장
은고개를 통과해 중부고속도로로 내려올때 우축으로 내려와야 등로도 뚜렷하고 고속도로 지하통로가 등산로바로 앞에있다.
중부 고속도로 제35호선
중부고속도로(中部高速道路, 고속국도 제35호선의 일부)는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
분기점을기점으로, 경기도 하남시 하남 분기점을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
민국의 고속도로이다.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노선번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법적,
제도적으로 다른 노선이다.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하고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1987년 12월 3일 개통되었다. 88올림픽고속도로에 이어 2번째로
콘크리트로 포장하여 건설비와 유지비를 절감하였고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해
시설개량 공사가 진행되었다. 공사 구간은 하남 분기점에서 호법 분기점까지이고,
양방향 1개 차로씩 통제되었다. 이 구간은 2016년 3월 15일 착공하여 2017년 12월에
완공되었다.
총연장:117.23km
개통년:1987년12월3일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종점: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역사
1985년 4월 19일 :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 착공
1985년 5월 29일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0호선 중부고속도로(중부선)으로 지정
1985년 11월 2일 : 중부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 매봉리 34.1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86년 3월 6일 : 중부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110.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86년 9월 23일 : 동서울 요금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동부읍 하산곡리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곤지암도로관리사무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리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용면화물주차장 건설을 위해 경기도 이천군 신둔면 용면리 ~
고척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음성휴게소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 용성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청주화물주차장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강서동 1.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87년 2월 17일 : 증평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여천리 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진천도로관리사무소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87년 12월 3일 :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145.3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남이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 확장.
1987년 6월 : 음성 나들목, 증평 나들목 신설 공사 착공
1988년 8월 1일 : 음성 나들목과 증평 나들목 개통
1990년 10월 26일 : 오창휴게소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화산리 7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1년 7월 25일 : 기점을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에서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으로,
종점을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으로 변경, 기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구간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로 편입되고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삭제
1991년 10월 31일 : 하남 분기점 개통
1992년 2월 13일 : 이천휴게소 신설 공사로 인해 경기도 이천군 마장면 목리 7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2년 6월 9일 : 곤지암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리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3년 6월 19일 : 음성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294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4년 2월 8일 : 1994년 12월까지 서청주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지동동 2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2월 24일 : 1998년 12월까지 오창 나들목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상평리 ~ 양청리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7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하남 ~ 호법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 및 하남
나들목 설치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 상산곡동 7.06km 구간,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신월리 ~ 이천시 호법면 후안리 2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10월 24일 : 2001년 12월까지 상산곡 ~ 초월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광주군 초월면 신월리 11.02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7월 4일 : 1999년 12월까지 음성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 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3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12월 31일 : 오창 나들목 개통
2000년 7월 22일 : 2001년 12월까지 서이천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신월리 ~ 이천시 호법면 후안리 2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1년 3월 9일 : 2002년 5월까지 곤지암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리 256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1년 8월 1일 : 곤지암 나들목 인근 정체 완화를 위해 서이천 나들목 개통
2001년 8월 25일 : 기점과 종점을 각각 하남 → 청원에서 청원 → 하남으로 변경.
대전통영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를 제35호로 변경, 경부고속도로와 중복 구간(대전
광역시 동구 ~ 대덕구) 지정.
2001년 9월 20일 : 2002년 12월까지 진천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을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 2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1년 11월 23일 :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 2.14km 구간, 산곡 분기점 ~ 하남
분기점 7.55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마장 분기점과 산곡 분기점 개통
2001년 12월 15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2년 5월 15일 : 음성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 공사 기간을 2004년 12월로 연기
2004년 11월 10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5년 4월 1일 : 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가 하남(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로
명칭 변경
2006년 4월 1일 : 하남(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가 하남만남의광장휴게소로 명칭 변경
2006년 4월 5일 : 오창휴게소 (상행) 확장 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유리 ~
화산리 440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7년 11월 8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7년 12월 18일 : 음성 ~ 호법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표교리 44.6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8년 11월 11일 : 대소 분기점 개통
2009년 3월 3일 : 경안 요금소가 경기광주 요금소로 명칭 변경
2009년 5월 27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10년 9월 1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남이 분기점부터 하남 분기점까지 117.2km 구간을
중부고속도로로 고시
2011년 9월 30일 : 남이천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어농리 1.5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3년 4월 4일 : 마장프리미엄휴게소 신설 개장
2013년 6월 4일 : 2015년까지 백곡천교 전면개량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중석리 ~ 문백면 구곡리 1.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3년 7월 5일 : 제2중부고속도로 하행선에서 중부고속도로 상행선을 잇는 마장프리미엄
휴게소 회차로 개통
2013년 7월 19일 : 음성 나들목이 대소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2014년 12월 1일 : 청원 나들목이 남청주 나들목으로, 청원 분기점이 청주 분기점으로
명칭 변경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석실리'로 변경, 종점을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으로 명시,
경부고속도로와 중복 구간 삭제.
2015년 11월 27일 : 2016년 12월까지 음성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를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1.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15년 12월 24일 : 남이천 나들목 개통
2016년 3월 15일 :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에 하남 분기점 ~ 호법 분기점 구간
시설개량 공사 착공 및 양방향 1개 차로씩 통제
2016년 9월 1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2016년 11월 11일 : 경기광주 분기점 개통
2016년 12월 20일 : 음성휴게소 내에 삼성 나들목 개통
2017년 3월 8일 : 2017년 12월까지 이천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를 위해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고척리 27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7년 11월 24일 : 음성 하이패스 나들목 진출입로의 도로관리청 이관 및 하남 방향
진출입로 위치 변경을 위해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7년 12월 20일 : 하남방향 이천휴게소 내에 신둔 나들목 개통
2017년 12월 22일 : 호법 분기점 ~ 하남 분기점 구간 시설개량 공사 완료
2019년 9월 25일 : 2019년 12월 31일까지 일죽졸음쉼터 하남방향 시설개량을 위해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월정리 83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0년 5월 12일 : 2021년 10월까지 청주흥덕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 3.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2년 3월 21일 : 곤지암 분기점 개통
통영대전고속도로와의 노선 번호 중복
<nowiki /> 고속국도 제35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1년 고속도로 개편으로 인하여 노선 번호를 공유하게 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고속도로로 표기되는 경우[57]도 볼 수 있다. 교통방송 등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기종점을 공유하는 통영~하남 간 고속국도 제35호선 정도로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두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엄연한 별개의 고속도로로 지정
되어 있다. 비슷하게 노선번호가 동일함에도 별개로 둔 경우는 무안광주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 그리고 호남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 등이 있다. 이 경우는
논산천안고속도로가 민간투자고속도로이며, 두 도로의 관리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우선 별개의 노선으로 지정했다. 한편 남해고속도로는 영암~순천 구간과 서순천~
부산 구간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1년에 노선 번호를 공유하는 익산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내륙
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등은 명칭이 통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부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를 별개로 놔둔 이유는, 당초 1987년
중부고속도로를 건설할 당시 이 고속도로의 명칭이 서울과 대전을 잇는, '중부지방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라는 의미로 명명된 명칭이기 때문이다.[출처 필요]
무안광주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와 용인
서울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처럼 노선번호만
같고 별개의 고속도로인 경우 기종점 합산도 별개로 하고 있지만, 중부고속도로는
통영을 기점으로 거리 계산을 하기도 한다. 실제로 중부고속도로 우측에 설치된
거리 표지는 통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35호선 전체를 봤을 경우의 길이는 332.53 km가 된다. 동서울 방면으로 주행했을
때, 하남 분기점 끄트머리 오른편에 위치판 '동서울 0km'라는 표지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표지판에 표시되어 있다.
구성
차로수
산곡 분기점 ~ 마장 분기점, 호법 분기점 ~ 남이 분기점 : 왕복 4차로
하남 분기점 ~ 산곡 분기점, 마장 분기점 ~ 호법 분기점 : 왕복 8차로
총연장
117.23 km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10km/h, 최저 5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진천터널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연담리 475m 1987년 구 중부4터널
중부3터널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378m 하남 방면
369m 청주 방면
중부2터널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236m 하남 방면
252m 청주 방면
중부1터널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리 296m 하남 방면
300m 청주 방면
주요 통과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 - 강서동 - 비하동 - 지동동 -
향정동 - 신성동 - 남촌동 - 외북동 - 남촌동 - 외북동 - 내곡동 - 상신동 -
옥산면)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 진천군 (초평면 - 문백면 - 초평면 - 진천읍 -
덕산읍 - 이월면) - 음성군 (대소면 - 삼성면)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 죽산면 - 일죽면) - 이천시 (모가면 - 호법면 - 마장면 -
신둔면) - 광주시 (도척면 - 곤지암읍 - 초월읍 - 남한산성면) - 하남시
(상산곡동 - 하산곡동 - 천현동 - 덕풍동 - 춘궁동)
제2중부고속도로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제2중부고속도로입니다.
특이사항
하남방향 이천휴게소를 통하여 기존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 간 상호 이동이
가능하다. 당초 제2중부고속도로에서 기존 중부고속도로 방향만 이동 가능하였으나,
연결 통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안내 표지판을 따라 나가면 된다.
중부 고속도로 지하통로.좌축에 산에서 내려오면 좌축으로 이통로가 있다 토로를 통과해 콘크리트 포장도로따라
올라가면 좌축 숲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엄미리 740-2
송전철탑 고유번호 업는 철탑 중앙 및을 지나가며.
페목과 빈의자봉을 지나며.
용마산 595.7m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1-8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산61
무명봉 경기도 하남시 샘재로104번길33(천현동)
검단산 정상 검단 지맥 마지막 봉 정상에 서다.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
검단산 정상에는 헬기장과 널다란 평지로 관리가 잘되어있다.년초에 하남시민의 일출 산행지로 유명하겠다.
팔당댐 두물머리가 보이고 맑은 날씨면 강촌까지 보이겠다.
남양주 방향 날이 좋으면 멀리 화학산도 가능하겠다.
하남시 서울의 송파구 강남구 롯데 타워도 보일 텐데 연무가끼어서 아쉽다.
한강에 댐을 막아 호수가되어 팔당호라 한다.
팔 당 호
팔당호(八堂湖, 영어: Paldang Lake)는 경기도 남양주시와 광주시, 양평군, 하남시의 경계에
위치한 호수이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여 한강으로 향하는 길목에 1973년 팔당댐을
설치하며 생긴 인공의 담수호이다. 수도권 지역에 취수를 보내는 광역 상수원이다. 이로
인해 인근 지역이 '팔당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목차
1 취수원
2 그 외
3 갤러리
3.1 파노라마
4 각주
취수원
호수는 수도권 지역의 취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호수의 유역 면적은 2만 3,800km2이며,
만수위 때 수면 면적은 36.5km2이다. 저수용량이 2억 4,400만t이다. 하루당 260만t에 이르는
호수의 용수가 팔당호 취수장을 거친 뒤 수도권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는 수도권 전체
취수량의 약 80%를 차지한다. 비상시 등을 생각했을때 의존도가 높다는 문제 제기가
대한민국 내에서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재인이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나섰을 때 경기도민에 대한 공약으로 취수원 다변화를 약속하였고, 경기도청도 2018년
12월 24일 경기연구원 이 문제에 대한 기본연구용역 협의에 들어가는 등 대체 취수원을
찾기위한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팔당호와 인접 지역은 환경부에 의해 '특별대책지역' 중 하나인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서는 농사, 공장, 식당 등에서 생길 수 있는 온갖
오염물질 배출이 제한되고, 수영, 세탁 등도 금지되고 있다.
그 외
발전용으로 만들어진 팔당댐의 연발전량은 3억 7,800만㎾h이다.[1] 호수 내에는 팔당호의
합류 지점을 두 물이 만난다는 의미에서 두물머리라고 부른다. 남쪽으로는 경안천도
합류하고 있다.
한국의 호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서 지방 :랑림호 연풍호
동북 지방 :광포 부전호 동번포 삼지연 장연호 장진호 천지
해서 지방 :구암호 은파호
관동 지방 :삼일포 소동정호 시중호 천아포
대한민국 대한민국
경기 지방 :남양호 시화호 아산호 청평호 팔당호
관동 지방 :경포호 소양호 송지호 영랑호 의암호 청초호 춘천호 파로호 화진포 횡성호
호서 지방 :간월호 괴산호 대청호 삽교호 충주호
호남 지방 :광주호 나주호 상사호 영산호 영암호 옥정호 용담호
영남 지방 :경천호 보문호 대곡호 대암호 덕동호 사연호 안동호 영천호 운문호 임하호 진양호
합천호 회야호
제주 지방 :백록담
팔당 댐인대 예전에는 차량은 통과했는대 요즘엔 차량통행 못하게 철문을 다닷내.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 산140-6
팔당댐 (45번 국도) 검단 지맥 종주게임을 마침니다.다음 게임 도전에 기대합시다.
국 도 제45호선
국도 제45호선 (서산 ~ 가평선, 國道第四十五號 瑞山加平線)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해미 교차로에서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댐입구삼거리를 잇는 대한민국
의 일반 국도이다.
서산-가평선
총연장:202.6km
기점: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종점: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연혁
1981년 3월 14일 : 국도 제45호선 해미 ~ 청평선 신설
1981년 4월 6일 : 국도로 승격된 평택군 팽성읍 도계 ~ 남양주군 학도면 구암리
92.3 km 구간 개통
1981년 4월 16일 : 국도로 승격된 서산군 해미읍 읍내리 ~ 아산군 둔포면 둔포리
43.427 km 구간 개통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126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결정
1987년 7월 21일 : 아산군 둔포면 둔포리 880m 구간 개통, 기존 760m 구간 폐지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해미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서산 ~ 가평선'이 됨.
1997년 9월 20일 : 예산군 삽교읍 삽교리 ~ 두리 860m 구간 개통, 기존 850m
구간 폐지
1997년 12월 26일 : 광주 ~ 하남시계간 도로(광주군 광주읍 태전리 ~ 중부면 엄미리)
8.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87 km 구간 폐지
1997년 12월 31일 : 자연농원 ~ 광주간 도로(용인시 유방동 ~ 광주군 광주읍 태전리)
16.0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92 km 구간 폐지
1998년 12월 31일 : 팔당대교 ~ 조안간 도로(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 조안면 능내리)
3.92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 km 구간 폐지, 조안 ~ 양수간 도로(남양
주시 조안면 능내리 ~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1.3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
2000년 4월 11일 : 둔포 ~ 평택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석근리 ~ 군문동) 6.46 km
구간 확장 개통
2002년 12월 31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둔포리 둔포 교차로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석근리 2.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2 km 구간 폐지
2004년 12월 31일 :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 둔포면 송용리 7.7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 둔포면 둔포리 총 3.43 km 구간 폐지[14], 이동 ~
용인간 도로(안성시 양성면 이현리 ~ 용인시 마평동) 1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7 km 구간 폐지
2005년 6월 3일 : 평택시 고덕면 동고리 ~ 안성시 양성면 이현리 19.9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1.21 km 구간 폐지
2006년 12월 30일 : 해미 ~ 덕산간 도로(서산시 해미면 휴암리 ~ 예산군 덕산면
대치리) 11.9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1.004 km 구간과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 ~ 예산군 덕산면 광천리 4.689 km 구간 폐지
2007년 12월 20일 : 덕산 ~ 예산간 도로(예산군 덕산면 대치리 ~ 예산읍 석양리
19.2 km 구간과 예산군 예산읍 관작리 ~ 궁평리 3.6 km) 총 22.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예산군 덕산면 대치리 ~ 삽교읍 두리 11.7 km 구간과 예산군 오가면 좌방리 ~
역탑리 총 2.0 km 구간 폐지
2008년 1월 1일 : 아산 ~ 음봉간 도로(아산시 염치읍 석정리 ~ 음봉면 원남리)
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총 3.58 km 구간 폐지[19]
2008년 11월 17일 : 예산군 삽교읍 송산리 ~ 덕산면 둔리 2.3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
2009년 7월 23일 :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 458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548m
구간 폐지
2015년 7월 1일 : 배방 ~ 탕정간 도로(아산시 남동 ~ 탕정면 용두리) 4.9 km
구간 신설 개통
2019년 12월 23일 : 염성 ~ 용두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 아산시 시내 구간(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온천동 ~ 염치읍 석정리) 구간을 지정 해제하고 아산시 국도대체
우회도로와 염성 ~ 용두간 도로를 포함(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염치읍 곡교리)한
구간으로 노선 변경
2019년 12월 30일 : 염성 ~ 용두간 도로(아산시 염치읍 곡교리 ~ 송곡리) 3.44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염치읍 석정리 8.2 km 구간 폐지
2020년 10월 30일 : 대촌 교차로 남리연결로 준공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 예산군 (덕산면 · 삽교읍 · 오가면 · 예산읍) - 아산시 (도고면 ·
신창면 · 염치읍 · 음봉면 · 둔포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 신대동 · 고덕면 · 지제동 · 모곡동 · 지제동 · 칠괴동 · 동삭동 ·
칠괴동 · 칠원동 · 청룡동) - 안성시 (원곡면 · 양성면) -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
남동 · 마평동 · 김량장동 · 유방동 · 포곡읍 · 모현읍) - 광주시 (오포읍 · 태전동 ·
장지동 · 탄벌동 · 송정동 · 남한산성면 · 퇴촌면 · 남종면) - 하남시 (배알미동 ·
창우동) - 남양주시 (와부읍 · 조안면 · 화도읍) - 가평군 청평면
구간 거리표 (단위 km)
예산군 36.9 아산시 37.4 평택시 25.1 안성시 15.0 용인시 30.8 광주시 21.2
하남시 10.7 남양주시 22.5 가평군 8.0
도로명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해미 교차로 ~ 잠양 교차로 : 중앙로
서산시 해미면 잠양 교차로 ~ 해미터널 : 한티로
예산군 덕산면 해미터널 ~ 예산읍 석양 교차로 : 윤봉길로
예산군 예산읍 석양 교차로 ~ 간양 교차로 : 충서로
예산군 예산읍 간양 교차로 ~ 아산시 신창면 읍내 교차로 : 온천대로
아산시 신창면 읍내 교차로 ~ 염치읍 석정 교차로 : 온양순환로
아산시 염치읍 석정 교차로 ~ 둔포면 둔포 교차로 : 충무로
아산시 둔포면 둔포 교차로 ~ 둔포천교 : 장영실로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둔포천교 ~ 신궁 교차로 : 팽성로
평택시 팽성읍 신궁 교차로 ~ 고덕면 고덕 교차로 : 서동대로
평택시 고덕면 고덕 교차로 ~ 용인시 처인구 남리 교차로 : 남북대로
용인시 처인구 남리 교차로 ~ 모현읍 매산교 : 백옥대로
광주시 오포읍 매산교 ~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삼거리 : 회안대로
광주시 남한산성면 상번천리삼거리 ~ 하남시 천현동 팔당댐삼거리 : 태허정로
하남시 천현동 팔당댐삼거리 ~ 팔당대교남단 교차로 : 미사대로
하남시 천현동 팔당대교남단 교차로 ~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대교 나들목 : 창우로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대교 나들목 ~ 조안면 조안 나들목 : 경강로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 나들목 ~ 화도읍 금남 교차로 : 북한강로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 교차로 ~ 샛터 교차로 : 도로명 없음
남양주시 화도읍 샛터 교차로 ~ 가평군 청평면 청평댐입구삼거리 : 경춘로
기타
서울양양고속도로와는 교차하지만 접속되지 않아, 북한강반대편의 북한강로를
거쳐 서종 나들목에서 접속된다.
남리 교차로 ~ 마평 교차로 구간도 이 국도의 구간 중 하나이다. 본래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의 능원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도로가 건설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연결될 예정이었으나 사업이 불투명한 상태다.
이것으로 검단 지맥 게임을 1-2구간으로 나누어 모두 마침니다.
하남시 택시로 하남 지하철 역으로 이동 택시요금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