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bken C, Richter T, von der Linden N, Schmiedeler S, Schneider W. (2022). The role of metacognitive competences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achievement among gifte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93(1), 117-133. http://doi.org/10.1111/cdev.13640
영재 청소년의 학업 성취 발달에서 메타 인지 역량의 역할
Abstract/초록
Gifted underachievers perform worse in school than would be expected based on their high intelligence.
미성취 영재는 높은 지능에 비해 학교 성적이 예상보다 낮다.
Possible causes for underachievement are low motivational dispositions (need for cognition) and metacognitive competences.
저성취의 원인으로는 낮은 동기 부여 성향(인지 욕구)과 메타 인지 역량이 있다.
This study tested the interplay of these variables longitudinally with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from Germany (N = 341, 137 females) in Grades 6 (M = 12.02 years at t1) and 8 (M = 14.07 years).
이 연구는 독일의 초등학교 6학년(평균 연령 12.02세)과 8학년(평균 연령 14.07세)의 영재 및 비영재 학생(총 341명, 여성 137명)을 대상으로 이러한 변수의 상호 작용을 종단적으로 검증했다.
Declarative and procedural metacognitive competences were assessed in the domain of reading comprehension.
독해 역량 영역에서 서술 및 절차적 메타 인지 역량을 평가했다.
Path analyses showed incremental effects of procedural metacognition over and above intelligence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achievement in gifted students (β = .139).
경로 분석 결과 영재 학생의 학업 성취의 발달에 대한 지능 이상의 절차적 메타 인지가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β = .139).
Moreover, declarative metacognition and need for cognition interactively predicted procedural metacognition (β = .169), which mediated their effect on school achievement.
서술적 메타 인지와 인지 필요는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절차적 메타 인지(β = .169)를 상호 작용적으로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