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베도라치 : Omobranchus punctatus (Valenciennes)
► 외국명 : (영) Muzzled blenny, Japanese Blenny, (일) Idatenginpo (イダテンギンポ)
► 형 태 : 크기는 전장 10㎝ 정도이다. 머리에 피질돌기나 피판이 없다. 아가미구멍은 협소하며 구멍의 아래 한계는 가슴지느러미 상단 맞은 편이다. 안와하(眼窩下)의 감각공(sensory pore)은 8개 두 눈 사이 관(interorbital canals)의 감각공 수는 3개이다. 측선의 감각공 수는 7-11개이다.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와 연조부가 패인 홈 없이 부드럽게 이어져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밖으로 둥글다. 몸은 밝은 암갈색 바탕이며 5-6개의 수평 줄 무늬가 있고 이 무늬는 암컷에서는 다소 불분명하다.
크기는 전장 10㎝ 정도이다. 체측은 좌우로 측편되어 있으며, 체형은 긴 사각형이다. 두부와 체측은 갈색이며, 복부는 연갈색이다. 안경아래, 안경 후단 및 전새개부에 3개의 진갈색 횡대반문이 있으며, 두부 등 쪽은 진갈색이다. 아가미 후단부터 뒷지느러미 전반부까지 체측은 폭이 가는 진갈색 종대반문이 6~8열로 배열되어 있다. 뒷지느러미 중앙부터 미병부까지 체측은 체측 상단부에만 진갈색 종대반문이 2~3열이다. 등지느러미 기저와 인접한 연조에 진갈색 종대반문이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뒷지느러미는 연갈색이며, 외연은 진갈색이다. 꼬리지느러미의 상하엽 외곽연조는 연갈색이다. 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 시점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 극조부와 연조부는 결각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지느러미 외연은 둥글고 기저 후단은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한 위치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고 등지느러미 극조부를 넘지 못한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전방에 있으며, 복부에 있고 길이는 짧다. 뒷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 연조부의 기저 시점보다 후방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와 융합되지 않고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다. 미병부는 매우 짧다. 꼬리지느러미는 절형이며 외연은 둥글다. 상악말단과 안경 전방의 주둥이 거리는 매우 좁다. 주둥이의 상악은 하악보다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중심에 이른다. 안경은 두부 중심축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안경 전방, 안경 상단 및 후두부의 피질돌기는 없다. 아가미구멍은 매우 작으며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상단에 있다. 전새개부와 새개부의 가시는 없다. 몸 전체의 비늘은 없다. 측선은 등지느러미 극조부 후단의 체측까지 있다. 상악, 하악에 작은 이빨이 있으나, 송곳니는 없다.
► 설 명 : 수심 수 m 이내의 암초 해안이나 조수웅덩이에 서식한다. 바위 해안에 서식한다. 내만의 굴껍데기 사이 등에 숨어 있거나 조수 웅덩이에서 볼 수 있다. 기수역에서도 볼 수 있다. 악조건의 환경에서 잘 견딘다. 베네수엘라의 자연적 오일 누출 지대 바위들 사이에는 자기복제(self-reproducing) 하는 골베도라치가 있다. 알은 바닥 물체에 붙여 낳는다. 알에는 점착성의 실 넝쿨이 달려 있다. 부화한 새끼는 얕은 물에서 플랑크톤 생활을 한다. 관상용으로 사육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서해 남부, 남해안, 제주도), 일본 (중부 이남), 타이완,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호주(북부), 인도,모잠비크 등 주로 인도양~서부태평양 연안에 분포하지만 대서양의 트리니다드, 파나마 운하의 대서양 쪽에도 이입되었다.